|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국회 | 단체명 | 의석 | 당적 | |
| 제6대 국회 | 삼민회 | 22석 | [[민주당(1963년)| 민주당 ]] | 13석 | |
| [[자유민주당(1963년)| 자유민주당 ]] | 6석 | ||||
| [[국민의당(1963년)| 국민의당 ]] | 3석 | ||||
| 제18대 국회 | 선진과 창조의 모임 | 20석 | [[자유선진당| 자유선진당 ]] | 18석 | |
| [[창조한국당| 창조한국당 ]] | 2석 | ||||
| 제20대 국회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 20석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14석 | |
| [[정의당| 정의당 ]] | 6석 | ||||
| 민주통합의원모임 | 20석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8석 | ||
| [[대안신당| 대안신당 ]] | 7석 | ||||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 4석 |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석 | }}}}}}}}} | |||
| | |
| 민주통합의원모임 | |
| <colcolor=#00A85F> 한문 명칭 | 民主統合議員모임 |
| 결성일 | 2020년 2월 17일 |
| 해산일 | 2020년 3월 16일 |
| 교섭단체 대표 | 유성엽 (민생당, 3선) |
| 수석부대표 | 장정숙 (민생당, 초선) |
| 국회 의석수 | 22석[1] / 298석 (7.46%) |
| 2020년 3월 16일 해산 당시 기준 | |
1. 개요
민주통합의원모임은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대안신당의 공동교섭단체로 출범하여, 앞의 3당이 합당한 민생당과 이를 지지하는 무소속 의원들로 구성된 공동교섭단체였다.2. 구성원
2020년 2월 17일 당시 바른미래당 8인[2], 대안신당 7인, 민주평화당 4인, 무소속 1인으로 총 의원수 20인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하였다.2020년 2월 24일 기준 민생당 18인[3]과 무소속 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3월 2일 무소속 김경진 의원과 민생당 박선숙 의원이 합류했다. #
2020년 3월 16일, 지난 2월 18일 행해졌던 비례대표 의원 8인의 '셀프 제명'에 대해 민생당이 한 무효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 의해 인용되면서 민생당의 의석수가 26석이 되었다.# 따라서 민생당은 독자적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하게 되었고, 국회법에 따라 공동교섭단체인 민주통합의원모임은 해산되었다.
| 성명 | 선수 | 지역구 | 구분 | 비고 |
| 김경진 | 초선 | 광주 북구 갑 | [[무소속| 무소속 ]] | [B] |
| 김광수 | 전북 전주시 갑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민생당|민생당 ]] | [A] | |
| 김동철 | 4선 | 광주 광산구 갑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민생당|민생당 ]] | |
| 김종회 | 초선 | 전북 김제시·부안군 | [[대안신당| 대안신당 ]]→[[민생당|민생당 ]]→[[무소속|무소속 ]] | [A][7] |
| 박선숙 | 재선 | 비례대표 | [[민생당| 민생당 ]] | [B] |
| 박주선 | 4선 | 광주 동구·남구 을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민생당|민생당 ]] | [A] |
| 박주현 | 초선 | 비례대표 | ||
| 박지원 | 4선 | 전남 목포시 | [[대안신당| 대안신당 ]]→[[민생당|민생당 ]] | |
| 유성엽 | 3선 | 전북 정읍시·고창군 | ||
| 윤영일 | 초선 | 전남 해남군·완도군·진도군 | ||
| 이상돈 | 비례대표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무소속|무소속 ]] | [10][11] | |
| 이용주 | 전남 여수시 갑 | [[무소속| 무소속 ]] | [12] | |
| 장병완 | 3선 | 광주 동구·남구 갑 | [[대안신당| 대안신당 ]]→[[민생당|민생당 ]] | [A] |
| 장정숙 | 초선 | 비례대표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민생당|민생당 ]] | |
| 정동영 | 4선 | 전북 전주시 병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민생당|민생당 ]] | |
| 조배숙 | 전북 익산시 을 | |||
| 주승용 | 전남 여수시 을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민생당|민생당 ]] | ||
| 채이배 | 초선 | 비례대표 | ||
| 천정배 | 6선 | 광주 서구 을 | [[대안신당| 대안신당 ]]→[[민생당|민생당 ]] | |
| 최경환 | 초선 | 광주 북구 을 | ||
| 최도자 | 비례대표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민생당|민생당 ]] | ||
| 황주홍 | 재선 | 전남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민생당|민생당 ]] |
2.1. 역대 지도부
| 기간 2020년 2월 17일 ~ 2020년 3월 16일 |
- 교섭단체 대표: 유성엽 (대안신당 → 민생당)
- 수석부대표: 장정숙 (바른미래당 → 민생당)
3. 역사
3.1. 2020년
- 2월 17일: 오후 3시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 3당 합동으로 의원 총회를 열어 대안신당의 통합추진위원장인 유성엽 의원을 원내대표로 하는 공동 교섭단체 민주통합의원모임의 구성을 의결했다.
- 2월 24일: 무소속인 이상돈, 이용주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의원 18명은 모두 민생당에 속하게 되었다.
- 3월 2일: 무소속 김경진, 민생당 박선숙 의원이 합류하여 민생당의 모든 의원이 민주통합의원모임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의원 수가 22명으로 증가하였다.
- 3월 16일: 법원이 민생당 합당 이전 바른미래당 비례대표 의원 8인의 '셀프 제명'의 효력을 정지하면서, 민생당이 독자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민통모는 자동 해산되었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a85f><colcolor=#FFF> 역사 | 창당 과정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선거 | 선거 | ||
| 21대 총선 | 후보자 · 총선 결과 | ||
| 2021년 재보선 | 재보선 결과 | ||
| 8회 지선 | 지선 결과 |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문제점(내분) | ||
| 관련 단체 | 혁신과미래연구원 · 민주평화연구원 | ||
| 바른미래당 · 민주평화당 · 대안신당 · 민주통합의원모임 · 기후민생당 | |||
| 기타 | 호남 자민련 · 천정박 | ||
| 관련 틀 |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계파 분류 · 20대 국회의원 | ||
[1] 민생당 19석, 무소속 3석[2] 당시 17석 중 권은희·김삼화·김수민·김중로·박선숙·신용현·이동섭·이태규·임재훈 의원(9인) 불참[3] 박선숙 의원 불참[B] 2020.03.02. 민주통합의원모임 합류[A] 2020.02.24. 민생당 신설합당[A] [7] 2020.03.09. 민생당 탈당[B] [A] [10] 2020.02.18. 바른미래당 제명[11] 2020.03.16 바른미래당 제명 취소 및 민생당 복귀. 다만 동시에 민생당은 단독 교섭단체 지위를 얻어 민통모는 해산되므로 민생당과 민통모 모두에 속한 적은 없게 된다.[12] 공동교섭단체에는 참여하되, 민생당에는 입당하지 않겠다고 밝혔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