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창준위) | → | 대한국민당 | → | 현재 |
국민의힘 (개별합류) |
| |
대한국민당 | |
등록 약칭 | <colbgcolor=#fff,#1f2023>대국당 |
등록번호 | 제238호 |
등록일 | 2021년 6월 4일 (대한국민당) |
당명 변경 | 2022년 2월 11일 (개벽의시대) 2023년 1월 9일 (대한국민당)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22, 22호 (종로5가, 광동빌딩) |
당대표 | 김종갑 |
사무총장 | 최진호 |
당 색 | 초록색 (#51A776) |
당원 수 | 5,455명 (2023년 12월 31일 기준)[1] |
당비납부 당원 수 | 0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 |
홈페이지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당.국민소리당 창당을 추진했던 민계식 전 현대중공업 회장이 국민의힘 출신인 김종갑 국사바로알기위원회 고문, 이재원 변호사 등과 손잡고 2021년 6월에 창당했다. 창당을 주도한 인사들의 면면을 보면 보수 성향인 정당으로 생각된다. 창당 8개월여 만인 2022년 2월 당명을 '개벽의시대'로 변경했다가, 다시 1년여 만인 2023년 1월 '대한국민당'으로 돌아왔다.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했으나 후보자 전원이 낙선하며 원내 진입에 실패했다.
2. 역사
창당을 주도한 민계식 전 회장은 현대중공업에서 잔뼈가 굵은 대표적인 산업화 시대의 기업인으로, 현대그룹 창업주이자 범현대가를 일군 정주영 회장의 측근 중 한 명으로도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문재인 정부 당시 조국 법무부장관 일가를 둘러싼 부정 의혹이 불거지면서 시작된 이른바 '조국 사태' 때 그의 서울대학교 교수직 사퇴를 촉구하는 규탄 집회를 열기도 했고, 이후 이준석 대표 체제에서 국민의힘이 주최한 '제1회 국민의힘 토론배틀 : 나는 국민의힘 대변인이다(나는 국대다)'에도 참가한 바 있다.[2]민 전 회장은 2019년 신구범 전 제주도지사, 최광 전 보건복지부장관,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원장 등과 함께 '국민의소리'라는 단체를 결성하고 이를 정당으로 발전시켜 '국민소리당' 창당을 준비했으나, 장기표 원장과 최광 전 장관 등이 미래통합당에 합류하면서 내부 세력이 분열하여 실패하였다. 신구범 전 도지사도 친박 우익 정당인 대한애국당에 입당하면서, 민 전 회장은 사실상 홀로 남게 되었다.
이후 국민소리당 창당 추진 모임에 남은 인사들과 국민의힘 탈당파 일부를 기반으로 2021년 6월 4일에 창당하였다. 전신인 국민소리당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보수 성향과 친미 성향이 짙은 정당이지만, 새로 합류한 김종갑 고문 등이 사단법인 국사바로알기중앙위원회 세력을 이끌고 합류하면서 민족주의 성향도 일부 존재하게 된 듯하다. 창당을 주도한 인사들이 밝힌 바에 따르면 보수주의가 주된 이념이며, 코로나19 팬데믹과 경제난으로 인한 국가의 파멸을 좌시할 수 없어 구국충정의 사명감으로 창당에 이르게 됐다고 한다. 노동조합의 활동에 대해 "왜곡된 노동운동"이라며 비판하는 한편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시장경제를 주장하고,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 아프리카 지역에 '한강의 기적' 경제개발론을 전파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를 내세우는 전형적인 국가보수 성향 정당이지만, 의외로 '무상교육 확대', '기본소득제' 등 진보 의제로 생각되는 정책 시행도 주장하고 있다.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의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듯하다.
특이하게도 정당 설립 당시에는 7인 공동대표 체제였다. 선관위에 대표가 7명 등록되어 있었다. # 김종갑, 송부웅, 김택룡, 왕명호, 신형필, 이복이, 황영자. 이렇게 7명의 대표로 출범하였고, 시간이 지난 후 왕명호, 송부웅, 황영자는 대표를 그만두어 4인 당대표 체제가 되었다.
그러다가 2022년 2월에는 나머지 네 명의 대표를 대신해서 신영우라는 사람이 단독 대표를 하며, 당명이 '개벽의시대'로 바뀌고, 당헌과 사무소소재지도 바뀐다. 이후 '개벽의시대'로 11개월 정도 운영을 하다가, 2023년 1월에 원래 당대표 네 명이 복귀하며, 당명도 다시 '대한국민당'으로 회귀한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김종갑 단독 대표 체제가 된다. 그리고 또다른 특이한 점으로는 선관위 공고를 보면 유독 사무소 소재지를 바꾼 기록이 많다.
대외적으로 특별히 눈에 띌 만한 활동이 보이지 않는다. 2022년에 연이어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창당의 주역들은 물론 지도부의 공개 행보조차 없어 뉴스에 딱히 보도되지도 않았다. 민계식 전 회장이 출연한 펜앤드마이크 방송 보도 기사의 댓글에 따르면, 그가 국민의힘 대변인 선발 토론배틀에 참가하는 등 당내 활동을 소홀히 한 탓에 당원들이 뿔뿔이 흩어졌다고 한다. #
3. 선거
3.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제22대 총선 대한국민당 선거공보 |
개표 결과 김종갑 후보는 0.09%(85표)를 득표해 7명 중 6위로 낙선[3]했으며, 정당 득표율 0.04%(11,947표)로 3%에 미달하며 비례대표 의원 후보들도 모두 낙선하였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eee,#333> 민주 | ■ 더불어민주당(166), ■ 조국혁신당(12), ■ 민주평화당, ■ 새미래민주당, ■ 소나무당, ■ 열린민주당 | |
보수 | ■ 국민의힘(107), ■ 개혁신당(3), ■ 가가국민참여신당, ■ 공화당, ■ 국민연합, ■ 국민통합연대, ■ 내일로미래로, ■ 대한국민당, ■ 자유와혁신, ■ 한국국민당 | ||
진보 | ■ 진보당(4), ■ 기본소득당(1), ■ 사회민주당(1), ■ 정의당(#), ■ 노동당, ■ 녹색당, ■ 미래당 | ||
중도 | ■ 국민대통합당, ■ 중도혁신당 | ||
극좌 | ■ 국민주권당, ■ 민중민주당 | ||
극우 | ■ 가나반공정당코리아, ■ 대한당, ■ 새누리당, ■ 우리공화당, ■ 자유민주당, ■ 자유통일당 | ||
혼합 | ■ 국가혁명당, ■ 한나라당, ■ 한반도미래당, ■ 홍익당 | ||
단일 | ■ 노인복지당, ■ 대한상공인당, ■ 여성의당, ■ 한국농어민당, ■ 한류연합당 | ||
민족 | ■ 거지당, ■ 대한민국당, ■ 통일한국당, ■ 한국독립당 | ||
종교 | ■ 기독당, ■ 태건당 | ||
지역 | ■ 대중민주당 | ||
▪️ 의석 수 순으로 정렬. ▪️ ~당(숫자) : 해당 정당이 보유한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 ~당(#) :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방의회 의석을 보유한 원외정당 | |||
* 2025년 8월 20일 기준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가국민참여신당 | 가나반공정당코리아 | 거지당 | 공화당 | ||||
국가혁명당 | 국민대통합당 | 국민연합 | 국민주권당 | |||||
국민통합연대 | 기독당 | 내일로미래로 | 노동당 | |||||
노인복지당 | 녹색당 | 대중민주당 | 대한국민당 | |||||
대한당 | 대한민국당 | 대한상공인당 | 미래당 | |||||
민주평화당 | 민중민주당 | 새누리당 | 새미래민주당 | |||||
소나무당 | 여성의당 | 열린민주당 | 우리공화당 | |||||
자유민주당 | 자유와혁신 | 자유통일당 | 정의당▲ | |||||
중도혁신당 | 태건당 | 통일한국당 | 한국국민당 | |||||
한국농어민당 | 한국독립당 | 한나라당 | 한류연합당 | |||||
한반도미래당 | 홍익당 |
▲: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방의회 의석이 있는 정당 | ||||||||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 창준위) | }}}}}}}}}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원내정당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07석 | 3석 | }}} | ||||
원외정당 | ||||||
| | | ||||
| | | ||||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민주당계 · 제3지대 · 중도 · 보수 · 극우 · 민족 · 대중 · 단일쟁점 · 빅 텐트 · 명망가 · 종교 · 기독교 · 지역 · 호남권 · 혼합 정치 · 비례위성) |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