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원외정당(院外政黨)은 의회에 의석을 가지지 않은 정당을 의미한다. 여기서 '원외'는 '의회 밖'이라는 뜻이다.2. 발생 원인
- 총선 패배 - 지역구 선거에서 의원을 당선시키지 못하고, 비례대표의 경우 봉쇄조항에 미만하는 표를 받으면 원외정당이 된다.
- 소속 의원의 탈당 - 내부 갈등이나 분열로 인해 당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의원들이 모두 탈당하면 원외정당이 된다.
3. 예시
전 세계의 모든 원외정당을 모두 기입할 수는 없으니 기재할 만한 특이사항이 있는 정당만 서술한다.3.1. 아시아의 원외정당
- 부탄에서는 여러 당 중에 1, 2위를 얻은 정당에게만 의원이 배분되는 선거제 상, 로타이 체링 총리가 이끄던 부탄연합당처럼 집권 여당이 원외정당이 되는 경우가 벌어진다. 2024년 11월 기준 주요 원외정당은 부탄연합당, 부탄친선당, 평화번영당이다.
3.1.1. 대한민국의 원외정당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가국민참여신당 | 가나반공정당코리아 | 가락당 | 공화당 | ||||
국가혁명당 | 국민대통합당 | 국민연합 | 국민주권당 | |||||
국민통합연대 | 금융개혁당 | 기독당 | 기독대한당 | |||||
기후민생당 | 내일로미래로 | 노동당 | 노인복지당 | |||||
녹색당 | 대중민주당 | 대한국민당 | 대한상공인당 | |||||
대한민국당 | 미래당 | 민중민주당 | 새누리당 | |||||
새미래민주당 | 소나무당 | 여성의당 | 열린민주당 | |||||
우리공화당 | 자유민주당 | 자유통일당 | 정의당▲ | |||||
태건당 | 통일한국당 | 한국국민당 | 한국농어민당 | |||||
한국독립당 | 한나라당 | 한류연합당 | 한반도미래당 | |||||
홍익당 | 히시태그국민정책당 |
▲자가 붙은 정당은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방의회 의석이 있는 정당이다. | ||||||||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 창당준비위) | }}}}}}}}} |
3.2. 유럽의 원외정당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이성의 목소리, 재정복!, 축제는 끝났다처럼 유럽의회 기준으로는 원내정당이지만 그 나라의 의회에는 의석이 없는 형태의 정당도 꽤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5%의 봉쇄조항을 두는 연방의회 선거와 달리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로 96석의 의원을 선출하기에 유럽의회에 진출하는 군소정당이 꽤 있다.
- 개혁을 위한 우크라이나 민주동맹 - 원외정당이지만 수도인 키이우특별시의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그 주인공은 비탈리 클리츠코.
- 라트비아 사회민주당 "화합" - 2018년 총선까지 원내 1당이었다가 2022년 총선에서 원외정당이 되었다.
독일 자유민주당- 지역구 당선자 없이, 비례대표 의석만으로 의회에 진출하는 정당 특성상, 2013년 총선(제18대)처럼 5%에 못 미치는 득표율을 거두어 원외정당이 될 때가 있었다.- 헝가리 티서당 - 원외정당이지만, 헝가리 야권 지지자들의 지지를 받아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제2당(21석 중 7석) 자리에 오르고 여론조사상 피데스와 호각세를 이루고 있는 당이다. #
3.3. 아메리카의 원외정당
국민민주회의- 2008년 총선에서 집권한 뒤 2013년 총선에서 원외정당이 되었다가 2022년 원외에서 벗어나며 집권한 정당이다.- 파라분도 마르티 국민해방전선 - 2024년 엘살바도르 총선에서 패배하여 원외정당이 되었다.
- 자유당(미국) - 2019년 4월 공화당을 탈당한 저스틴 어마시 하원의원이 2020년 4월 입당하여 미국 하원에 의석을 보유한 원내정당이 되었지만 어마시 의원이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불출마하고 해당 선거에 당선자를 내지 못하며 다시 원외정당이 되었다.
3.4. 아프리카의 원외정당
- 사회민주주의를 위한 수렴 - 적도 기니 민주당이 의석을 독식하는 적도 기니의 정치 상황에서, 규모 있는 정당 중 이 당이 유일하게 허용되는 야당이지만, 2017년 선거 이후 원외정당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