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아 PV5 패신저 홈페이지 기아 PV5 카고 홈페이지 기아 PV5 택시 홈페이지 |
1. 개요
2025년 출시된 기아 최초의 전용 PBV 차량이다. 기아 PV 시리즈 중 중대형 크기다.2. 상세
===# 콘셉트 카 #===2024년 1월 9일 CES에서 콘셉트 카로 함께 공개한 PV1, PV7 중 중형급 PBV 역할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으며, 기본형과 하이루프 2가지로 우선 공개됐다.
콘셉트 카 제원 | ||||
<colbgcolor=#05141f> 종류 | 전장 | 전폭 | 전고 | 축거 |
기본형 | 4,645mm | 1,900mm | 1,990mm | 2,995mm |
딜리버리 | ||||
하이루프 | 2,200mm | |||
샤시캡 | 4,275mm | 1,900mm | ||
로보택시 | 4,645mm | 1,960mm | 2,080mm |
2024년 11월 5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SEMA 2024에서 아웃도어 콘셉트 모델을 공개하였다.
2.1. 1세대 (SW1, 2025~현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실내 이미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5인승 | |||
7인승 | |||
5인승 WAV |
패신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실내 이미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카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실내 이미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크루 |
30초 버전 | 디자인 필름 |
패신저 | 카고 |
Ground of innovation
하나의 공간, 무한대의 라이프
2025년 2월 20일 외관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현지시각 기준 2월 27일 오전 9시 스페인 타라고나의 타라코 아레나(Tarraco Arena)에서 개최한 2025 기아 EV 데이에서 실물을 공개함과 동시에 인테리어가 공개됐다.하나의 공간, 무한대의 라이프
2025년 4월 3일 개최한 제15회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선보였으며[1], LG전자와 협력한 슈필라움(Spielraum)[2] 2대(글로우캐빈(Glow Cabin), 스튜디오)도 같이 전시했다. 생산은 기아 오토랜드 화성의 신공장인 4공장(EVO Plant)에서 진행한다.
전면부는 A필러의 연장선에서 이어지는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검은 색상으로 마감한 차체에 헤드램프가 적용됐다. 전후면 하단부는 부분적으로 교체 가능한 로워 범퍼가 적용됐다. 측면부는 검은색의 휠 아치 클래딩, 사이드 로커 디자인으로 강인함을 부여했고, 낮게 위치한 벨트라인을 따라 대형 글래스가 적용됐다. 충전구는 전면부 중앙에 배치했다. 높은 전고를 가졌지만 전륜 휠아치 곡률, 루프 후방 챔버 형상, 테일게이트 측면 엣지 디자인을 반영하고 풀 언더커버, 외장형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적용해 0.28의 공기저항계수로 1kWh당 4km 후반대의 뛰어난 효율을 자랑한다. 휠은 16인치 단일이며, 스틸 휠에 풀 사이즈 커버를 장착한 것을 기본으로 전면가공 알로이 휠은 패신저의 플러스 트림에만 장착된다. 후드와 D필러 어라운드 가니쉬는 무도장 플라스틱 복합재로 만들어졌다.
외장색은 공통적으로 클리어 화이트, 스틸 그레이, 오로라 블랙 펄이 있다. 패신저는 프로스트 블루, 시티스케이프 그린을 선택할 수 있으나, 소프트 민트, 레이크하우스 그레이는 플러스 트림만 선택 가능하다.
PBV 전용 E-GMP.S를 탑재했으며, 4.5~4.7m 크기에 3m에 육박하는 휠베이스를 자랑한다. 배터리 용량은 43.3kWh LFP(유럽형 카고), CATL에서 공급받는 51.5~71.2kWh NCM 3가지가 있으며, CTP 기술을 채택했다. 전륜 싱글모터는 250Nm(25.4kgf.m)의 토크를 내며, 스탠다드는 89.4kW(120ps), 롱레인지는 120kW(163ps)로 출력을 세팅했다. WLTP 기준 400km, 한국 기준 280~377km의 주행거리를 확보했다. 10%에서 80%까지 급속 충전 시 30분이 소요된다.
바디 부품이 모듈화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으로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최적화해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리어 테일게이트는 위로 열리는 것(패신저)과 양쪽으로 열리는 트윈 스윙 도어(카고) 2가지로 나온다.
<rowcolor=#ffffff><colbgcolor=#05141f><colcolor=#ffffff> 라인업 | 비교 |
기본 | |
패신저 | 크래시 패드 수납공간, USB 단자, 열선시트, 2열 리클라이닝&폴딩 시트가 적용됐다. 실내는 1/2/3열 시트 배열을 탑승 규모와 목적에 따라 고객 맞춤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기아 애드기어를 통해 운전석 좌측면부, 플로어 콘솔 상단부 등에 마련된 체결 플랫폼에 스마트폰 거치대, 카드 결제기와 같이 모듈화 된 사양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399mm의 낮은 2열 스텝고를 통해 승하차가 용이하며, 휠체어 승객을 위해 775mm의 슬라이딩 도어 개방폭을 확보했다. 한국에서는 5인승(2-3-0)을 먼저 출시했으며, 추후 1-2-2 배열과 2-2-3 배열의 7인승도 출시한다. 플러스 트림은 6 스피커가 장착된다. |
카고 | 컴팩트, 롱, 하이루프[3] 3가지가 있다. 한국에서는 롱 루프를 우선 출시했으며, 길이 2,255mm, 폭 1,565mm, 높이 1,520mm의 공간에 1,343mm의 트렁크 개구폭을 확보해 4,420L까지 적재 가능하다. 1,100mmⅩ1,100mm 규격 파렛트도 무리 없이 실을 수 있으며, 419mm의 적재고를 확보했다. 양문형 테일게이트는 95° 또는 180° 각도로 열리며, 적재공간 내부에 LED 조명을 적용했다. 기본적으로 3도어지만, 컨비니언스[4]를 선택하면 2열 좌측 슬라이딩 도어가 추가되어 4도어가 된다. 최대적재량은 스탠다드 700~650kg, 롱레인지 600~550kg이다.[5] |
WAV[6] | 2025년 5월 13일 퓨처 오브 더 카 서밋(Future of the Car Summit)에서 선보였다. 일반 승객 이외에도 휠체어 승객이 탑승할 수 있게끔 2열 오른쪽 도어에 리프트를 설치해 유니버설 디자인 콘셉을 추구하며, 보호자가 3열 동승 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했다. AAOS에는 휠체어 탑승객의 편의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토탈 솔루션을 적용했다. 유럽, 영국 이외에도 글로벌 시장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
오픈베드 | |
컨버전 | |
라이트 캠퍼 | 레저와 휴식에 최적화된 사양이다. |
프라임 | 패신저의 고급화 모델이다. |
오픈베드 | 기본 모델에 특장 사양을 더해 개발했다. |
내장/냉동탑차 | |
미닫이탑차 | |
크루(유럽) |
인테리어에는 7인치 클러스터, 12.9인치(16:9) 안드로이드 기반 Pleos Connect(AAOS) 내비게이션[7], 무선 OTA, 디지털 키 2, 앱 마켓, 100W C타입 USB 단자, 1열 이중접합 차음 글라스, 1열 시트백 하단 풋레스트, B필러 어시스트 핸들, 플로어 분리형 흡음 패드, TPO 소재 카펫, V2L, 워크 어웨이 락, 2열 스마트 파워 슬라이딩 도어, 스마트폰 무선충전 시스템을 적용했다. 내장색은 3가지인데, 공통적인 딥 네이비 이외에 패신저는 딥 네이비/도브 그레이 투톤, 에스프레소 브라운/오닉스 블랙 투톤을 선택할 수 있다. 핸들 위 아래쪽에 있던 플라스틱 유격이 사라지면서 훨씬 디자인이 자연스러워졌으며, 1열 내부 도어캐치는 위로 당기면 열린다.
7개 에어백,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8], i-페달 3.0, 스마트 회생제동 3.0을 기본 적용했으며, 좁은 골목길을 주행하거나 주차 시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측방 주차 거리 경고, 후방 주차 충돌 방지 보조[9], 서라운드 뷰 모니터, 후측방 모니터는 선택 사양이다.
순정 악세사리로 러기지 평탄화 데크, LED 테일게이트 램프, L-트랙 마운팅 패키지, 휠하우징 커버 스토리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카고용 시스템 선반, 러기지 테이블은 기아 샵에서 구매 가능하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5년 6월 9일 가격표가 공개됐으며, 10일부터 사전계약을 받았다. 출고는 동년 8월부터 시작했다.
<rowcolor=#ffffff><colbgcolor=#05141f><colcolor=#ffffff> 가격/트림 | 세제혜택 전 | 세제혜택 후 | |
카고 | 스탠다드 베이직 | 4,200만 원 | |
롱레인지 베이직 | 4,470만 원 | ||
패신저 | 베이직 (택시) | 4,540만 원 | |
베이직 | 4,782만 원 | 4,709만 원 | |
플러스 | 5,077만 원 | 5,000만 원 |
택시 |
이와 동시에 택시 트림도 같이 출시했다. 일반 패신저와 차이점은 컨비니언스와 파워도어 옵션이 Ⅰ과 Ⅱ로 나눠져 있다.[10] 2025년 9월 16일부터 카카오 T 기사용 앱, 카카오내비, 미터앱[11]으로 구성된 올인원 디스플레이 2가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유럽 시장에는 2025년 4분기부터 판매를 시작한다. 가격은 패신저 38,290유로, 카고 39,160~39,690유로부터 시작한다.
미국 CES에서 공개한 것으로 봐서 미국 수출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았는데, 실제로 DRL이 황색인 북미형 모델의 테스트카가 포착되면서 PV5의 북미 수출은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북미형 테스트카
2026년에 일본 시장 출시가[12] 확정되었는데, 소지츠 상사와 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차데모 충전 방식을 채택하는 등의 현지화도 거친다.#
3. 제원
PV5 | |
<colbgcolor=#05141f><colcolor=#ffffff> 생산지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석천리(AutoLand 화성) |
코드네임 | SW1 |
차량형태 | 5/6도어 준중형 MPV |
승차인원 | 2명(카고) 5/6명(패신저) |
전장 | 4,495mm (숏루프) 4,695mm (롱·하이루프) |
전폭 | 1,895mm |
전고 | 1,905mm |
축거 | 2,995mm |
윤거(전) | 1,617mm |
윤거(후) | 1,625mm |
공차중량 | 1,800~1,920kg(카고) 2,075kg(패신저) |
배터리 용량 | 43.3kWh(LFP 카고) 51.5~71.2kWh(NCM) |
타이어 크기 | 215/65R16 |
플랫폼 | 현대 E-GMP.S |
구동방식 | 앞 모터-앞바퀴굴림(FF) |
전륜 현가장치 |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토션빔 서스펜션 |
전륜 제동장치 | |
후륜 제동장치 |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Pleos Connect[13] |
파워트레인 | ||||||
<rowcolor=#ffffff><colbgcolor=#131e29><colcolor=#ffffff> 트림 | 전동기 형식 | 축전지 전압 | 축전지 용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항속거리 |
카고(스탠다드) | 290V | 177Ah | 89.4kW(121ps) | 250Nm | 280~271km(복합) 321~305km(도심) 229km(고속) | |
패신저 | 402V | 120kW(163ps) | 358km(복합) 404km(도심) 301km(고속) | |||
카고(롱레인지) | 377km(복합) 421km(도심) 323km(고속) |
4. 기타
- 플레오스 PBV용 인포테인먼트를 탑재하였으나, 정작 USB 음악, 비디오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다. 가격표 상세사항의 인포테인먼트 설명 표에 X라고 표시되어 있고, 실제 전시된 양산 차량에 USB-C 메모리를 갖고 가서 테스트한 가망 고객의 후기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기능 총집합 팝업창 아이콘들 중에 USB 음악이 있으나, 작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 2026년에 일본 시장에 출시한다. 현대차처럼 현지 법인을 세우고 공략하는 대신, 현지 무역상사기업과 협력을 통해 무주공산인 일본 전기 경상용차 시장에 도전한다.
- 미디어오토 장진택 기자의 시승기에 의하면 파워윈도우 스위치와 작동 방법이 비슷한 내부 도어 손잡이를 주행 중에 당겼는데, 시승차 잠금장치에 이상이 있었는지 도어가 열린다고 한다. #
5. 경쟁 차종
6.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fff,#1c1d1f><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차급 | 생산 차량 | 출시 예정 차량 |
<colbgcolor=#05141f> 기아 EV 시리즈 | |||
소형 SUV | EV3 | EV2 | |
준중형차 | EV4 | - | |
준중형 SUV | EV5, EV6(GT, GT-Line) | - | |
중형 SUV | - | EV7 | |
준대형차 | - | EV8 | |
준대형 SUV | EV9(GT, GT-Line) | - | |
기아 PV 시리즈 | |||
PBV | PV5 | PV1, PV7 | |
EV, PV 시리즈 미포함 차종 | |||
경차 | 레이 | - | |
소형 SUV | | - | |
준중형 MPV | 카렌스 | - | |
트럭 | 봉고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nopad>
#!wiki
||<tablebordercolor=#0514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05141f> [[기아|[[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width=90]]]]
||{{{#!wiki style="margin-top: -8px;"
[[기아|{{{#fff '''기아'''}}}]][br]{{{#!wiki style="margin: -2px 0 -7px;"
[[틀:기아의 국내 시판 차량|{{{#fff {{{+1 '''대한민국 시장 시판 차량'''}}}}}}]]}}}}}}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해치백 | 경형 |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00,#fff>모닝 |
세단 | 준중형 | EV4 | |
중형 | K5 | ||
준대형 | K8 · EV8예정 | ||
대형 | K9 | ||
SUV | 소형 | 니로 · 셀토스 · EV3 | |
준중형 | 스포티지 · EV5 · EV6(GT · GT-Line) | ||
중형 | 쏘렌토 | ||
준대형 | EV9(GT · GT-Line) | ||
MPV | 경형 | 레이 | |
준중형 | PV5 | ||
대형 | 카니발 · PV7예정 | ||
픽업트럭 | 중형 | 타스만 | |
트럭 | 소형 | 봉고 | |
버스 | 대형 | 그랜버드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5141f> 구분 | 승용차, SUV, RV, 승합 / 경상용차 | 버스 | 트럭 | 군용차 |
1960년대 | 피아트 124 | - | K-360, T-600, T-1500, T-2000 | - | |
1970년대 | 브리사, 피아트 132, 푸조 604 | 아시아 P9AMC, 아시아 B버스, 아시아 AB버스, AM버스 | 타이탄, 복사, KB트럭, B-1000 | K-111, K-511, K-711 | |
1980년대 | 프라이드, 캐피탈, 콩코드, 세이블, 봉고(승합 모델), 베스타, AC버스, 토픽 | 콤비, 코스모스 | 봉고(트럭 모델), 세레스, 트레이드, 라이노, AM트럭 | K-311, K-811 | |
1990년대 | 프라이드 전기차 (관용, 일부 기업 판매) 비스토, 아벨라, 리오, 세피아, 슈마, 크레도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엘란, 스포티지, 록스타, 레토나, 카렌스, 카스타, 카니발, 프레지오, 타우너(승합 모델) | 그랜버드 | 그랜토, 타우너(트럭 모델) | K-131 | |
2000년대 | 봉고Ⅲ 미니버스, 모닝, 스펙트라, 쎄라토, 씨드, 포르테, 엑스트렉, 옵티마, 로체, 앙트라지(카니발), K7, 오피러스, 쏘울, 쏘렌토, 모하비, 벤가, 트라벨로, 천리마 | - | 파맥스 | K-911 | |
2010년대 | 레이, K2, K3(GT), K4(중국형), K5, K9, KX3, KX5, KX7, 니로, 스팅어, 스토닉/KX1, KX 크로스, 페가스, 즈파오, 텔루라이드, 셀토스, 엑씨드 | - | - | K-151, 중형표준차량 | |
2020년대 | 쏘넷, EV6(GT, GT-Line), K8, 니로 플러스, EV9(GT, GT-Line), EV5, K3(BL7), K4, EV3, 시로스, 타스만, EV4, PV5, EV2예정, EV7예정, EV8예정 PV1예정, PV7예정,TV1예정 | - | - | - | |
회색 글씨 - 단종 차량 |
}}}}}}}}}
- [ 차급별 구분 ]
- ||<rowbgcolor=#0514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차급 || 시판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5141f> 경차 모닝 | 레이 <colbgcolor=#eee,#2d2f34> 비스토 소형차 K3(BL7) | 페가스 프라이드 (1994 전기차) | 아벨라 | 브리사 | 천리마 | K2 | 리오 | 피아트 124 준중형차 K3(중국형) | K4 | 씨드 | EV4 캐피탈 | 세피아 | 슈마 | 스펙트라 | 쎄라토 | 포르테 | K3(GT) 중형차 K5 콩코드 | 크레도스 | 옵티마 | 로체 | 스팅어 준대형차 K8 세이블 | 포텐샤 | 오피러스 | K7 대형차 K9 푸조 604 | 엔터프라이즈 스포츠카 - 엘란 소형 SUV 스토닉 | 니로 | 셀토스 | KX1 | 쏘넷 | EV3 | 시로스 록스타 | 레토나 | KX3 | KX 크로스 | 니로 플러스 | 쏘울 준중형 SUV 스포티지 | EV5 | EV6(GT | GT-Line) | 엑씨드 | 즈파오 KX5 중형 SUV 쏘렌토 KX7 준대형 SUV 텔루라이드 | EV9(GT | GT-Line) 모하비 소형 MPV - 벤가 준중형 MPV 카렌스 엑스트렉 중형 MPV - 카스타 준대형 MPV - 카니발 대형 MPV 카니발 - LCV - 기아마스타 봉고 | 베스타 | 타우너 | 토픽 | 프레지오 | 봉고Ⅲ 미니버스 | 트라벨로 PBV PV1예정 | PV5 | PV7예정 - 픽업트럭 타스만 B-1000 경형 트럭 - T-1500 | T-2000 | 타우너 소형 트럭 봉고 세레스 준중형 트럭 - 파맥스 | 타이탄 | 트레이드 중형 트럭 - 복사 | 라이노 | 트레이드 대형 트럭 - AM트럭 | KB트럭 | 그랜토 준중형 버스 - 콤비 중형 버스 - 코스모스 준대형 버스 - 아시아 AB버스 대형 버스 그랜버드 아시아 B버스 군용차 K-151 | K-311 | K-711 | K-911 | 중형표준차량 K-111 | K-131 | K-511 | K-811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3c83><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c83> | }}} | ||
현대자동차 | <colbgcolor=#fff,#1c1d1f> ST1 (이베코 e무비) | 아이오닉 5 로보택시 | |||
기아 | 니로 플러스 | PV1 | PV5 | PV7 | |||
회색 글씨: 단종 차량 |
[1] 타스만과 EV 시리즈들과 달리 탑승은 불가능했다.[2] 독일어로 '놀이 공간'을 의미한다.[3] 동승석 폴드 & 다이브, 워크 스루를 통해 5,165L까지 적재할 수 있다.[4] 인조가죽 시트, 통풍 시트, e hi-pass, 레인센서, 2 트위터 스피커가 포함된다.[5] 기아 순정 악세사리를 고르면 스탠다드는 650~600kg, 롱레인지 3도어는 550kg로 줄어든다.[6] Wheelchair Accessible Vehicle[7]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차종 중 최초로 탑재한다.[8] 전방 충돌방지 보조, 차로 유지 보조 2,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고속도로 주행 보조, 횡풍 안정 제어,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HoD), 운전자 주의 경고, 전/후방 주차 거리 경고[9] 패신저 모델 한정[10] 1열 통풍시트는 운전석이 컨비니언스Ⅰ, 동승석이 컨비니언스Ⅱ로 나눠져 있으며, 파워도어는 우측이 Ⅰ, 좌측이 Ⅱ로 나눠져 있다.[11] 티머니, 이동의즐거움[12] PV5 이전에 기아의 일본 시장 첫 진출 차량은 엘란이었다.[13] AAOS 기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