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개요
대한민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기아에서 생산할 준중형 세단, 해치백 형태의 전기차 라인업이다.2. 상세
2.1. 콘셉트 카
| |
2023년 10월 12일[1], EV3와 함께 콘셉트 카로 공개됐다.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라는 기아의 디자인 기조가 유지되었으며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가 적용된다. 전면부엔 스타맵 시그니처 램프 디자인과 디지털 타이거 페이스가 적용됐으며, 측면부에선 롱-테일(Long-tail) 이미지를 구현하는 데크를 통해 낮게 떨어지는 후드 끝단과 함께 새로운 유형의 실루엣을 연출했다. 후면부엔 푸조 408의 것과 상당히 유사한 형태의 스포일러가 적용되었으며 수직형의 테일램프와 면 위주의 디자인을 갖췄다.[2]
실내엔 100% 재활용된 면사와 함께 호두껍질 등을 천연 염료로 사용해 다양한 색상을 구현했다.
2.2. 1세대 (CT1, 2025년 3월 예정)
기본형 | |
GT-Line | |
해치백 기본형 | |
파일:ev4-hatchback-gt-line-01.jpg | |
해치백 GT-Line |
Your Edge in Motion.
2025년 2월 17일에 외관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현지시각 기준 2월 27일 오전 9시[3] 스페인 타라고나의 타라코 아레나(Tarraco Arena)에서 개최하는 2025 기아 EV 데이에서 실물을 공개할 예정이며, 3월부터 대한민국 판매를 시작한다.[4] 생산은 기아 오토랜드 광명 2공장에서 EV3와 함께 생산될 예정이며, 연간 판매 목표량은 7만 대이다. # 이외에도 유럽과 멕시코 현지 생산도 검토하고 있다.
플랫폼은 EV3, EV5랑 같은 전륜 기반 E-GMP가 탑재된다.
배터리는 2024년 5월 14일에 여러 언론을 통해 공개됐는데 EV3와 동일하게 인도네시아 소재 HLI그린파워[5] 공장에서 생산되는 NCMA 배터리가 탑재된다.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K3의 후속으로 K4를 출시하지 않고 이 차로 대체될 예정이다.[6] 이로써 한국 준중형 세단 시장에서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모델은 아반떼, 전기 모델은 EV4가 담당한다. 사실상 아이오닉 6와 마찬가지로 단종된 아이오닉 일렉트릭의 빈 자리도 채울 것으로 보인다.
해치백 수요가 높은 유럽, 호주나 북미 시장에는 해치백형을 판매하지만[7] 해치백의 무덤인 한국에는 판매하지 않고, 오직 세단형만 출시한다.
2020년대 출시된 기아 차종들과 동일하게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 5인치 공조, 12.3인치 ccNC가 하나로 이어진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3. 제원
EV4 | |
<colbgcolor=#05141f><colcolor=#ffffff> 생산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8] |
코드네임 | CT1 |
차량 형태 | 4도어 준중형 세단 5도어 준중형 해치백 |
승차 인원 | 5명 |
전장 | mm |
전폭 | mm |
전고 | mm |
축거 | mm |
윤거(전) | mm |
윤거(후) | mm |
공차중량 | kg |
배터리 용량 | kWh |
타이어 크기 | 215/60R17 215/50R19 |
플랫폼 | 현대 E-GMP (eK) |
구동방식 | 앞모터-앞바퀴굴림(FF)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멀티링크 서스펜션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 |
인포테인먼트 | ccNC |
파워트레인 | |||||||
<rowcolor=#ffffff><colbgcolor=#131e29><colcolor=#ffffff> 트림 | 전동기 형식 | 축전지 전압 | 축전지 용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0~100km/h | 항속 거리 |
스탠다드 | PMSM | V | Ah | kW(ps) | Nm | 초 | km(복합) km(도심) km(고속) |
롱레인지 | V | Ah | kW(ps) | Nm | 초 | km(복합) km(도심) km(고속) |
4.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fff,#1c1d1f><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차급 | 생산 차량 | 출시 예정 차량 |
<colbgcolor=#05141f> 기아 EV 시리즈 | |||
소형 SUV | EV3 | EV2 | |
준중형차 | - | EV4 | |
준중형 SUV | EV5, EV6 | - | |
중형 SUV | - | EV7 | |
준대형차 | - | EV8 | |
준대형 SUV | EV9 | - | |
기아 PV 시리즈 | |||
PBV | - | PV1, PV5, PV7 | |
EV, PV 시리즈 미포함 차종 | |||
경차 | 레이 | - | |
소형 SUV | 니로 | - | |
트럭 | 봉고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nopad>
#!wiki
||<tablebordercolor=#0514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05141f> [[기아|[[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width=90]]]]
||{{{#!wiki style="margin-top: -8px;"
[[기아|{{{#fff '''기아'''}}}]][br]{{{#!wiki style="margin: -2px 0 -7px;"
[[틀:기아의 국내 시판 차량|{{{#fff {{{+1 '''대한민국 시장 시판 차량'''}}}}}}]]}}}}}}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해치백 | 경형 |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00,#fff>모닝 |
세단 | 준중형 | EV4예정 | |
중형 | K5 | ||
준대형 | K8 | ||
대형 | K9 | ||
SUV | 소형 | 니로 · 셀토스 · EV3 | |
준중형 | 스포티지 · EV5예정 · EV6 | ||
중형 | 쏘렌토 | ||
준대형 | EV9 | ||
MPV | 경형 | 레이 | |
준중형 | PV5예정 | ||
준대형 | 카니발 | ||
픽업트럭 | 중형 | 타스만 | |
트럭 | 소형 | 봉고 | |
버스 | 대형 | 그랜버드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5141f> 구분 | 승용차, SUV, RV, 승합 / 경상용차 | 버스 | 트럭 | 군용차 |
1960년대 | 피아트 124 | - | K-360, T-600, T-1500, T-2000 | - | |
1970년대 | 브리사, 피아트 132, 푸조 604 | 아시아 P9AMC, 아시아 B버스, 아시아 AB버스, AM버스 | 타이탄, 복사, KB트럭, B-1000 | K-111, K-511, K-711 | |
1980년대 | 프라이드, 캐피탈, 콩코드, 세이블, 봉고(승합 모델), 베스타, AC버스, 토픽 | 콤비, 코스모스 | 봉고(트럭 모델), 세레스, 트레이드, 라이노, AM트럭 | K-311, K-811 | |
1990년대 | 프라이드 전기차 (관용, 일부 기업 판매) 비스토, 아벨라, 리오, 세피아, 슈마, 크레도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엘란, 스포티지, 록스타, 레토나, 카렌스, 카스타, 카니발, 프레지오, 타우너(승합 모델) | 그랜버드 | 그랜토, 타우너(트럭 모델) | K-131 | |
2000년대 | 모닝, 스펙트라, 쎄라토, 씨드, 포르테, 엑스트렉, 옵티마, 로체, 앙트라지(카니발), K7, 오피러스, 쏘울, 쏘렌토, 모하비, 벤가, 트라벨로, 천리마 | - | 파맥스 | K-911 | |
2010년대 | 레이, K2, K3, K4(중국형), K5, K9, KX3, KX5, KX7, 니로, 스팅어, 스토닉/KX1, 리오 X-라인, 페가스, 즈파오, 텔루라이드, 셀토스, 엑씨드 | - | - | K-151, 중형표준차량 | |
2020년대 | 쏘넷, EV6, K8, 니로 플러스, EV9, EV5, K3(소형차, 리오 후속), K4, EV3, 시로스, 타스만, EV2예정, EV4예정, EV7예정, PV1예정, PV5예정, PV7예정,TV1예정 | - | - | - | |
회색 글씨 - 단종 차량 |
}}}}}}}}}
- [ 차급별 구분 ]
- ||<rowbgcolor=#0514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차급 || 시판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5141f> 경차 모닝 | 레이 <colbgcolor=#eee,#2d2f34> 비스토 소형차 K3(리오 후속) | 페가스 프라이드 (1994 전기차) | 아벨라 | 브리사 | 천리마 | K2 | 리오 | 피아트 124 준중형차 K4 | 씨드 | EV4 캐피탈 | 세피아 | 슈마 | 스펙트라 | 쎄라토 | 포르테 | K3 중형차 K5 콩코드 | 크레도스 | 옵티마 | 로체 | 스팅어 준대형차 K8 세이블 | 포텐샤 | K7 대형차 K9 푸조 604 | 엔터프라이즈 | 오피러스 스포츠카 - 엘란 소형 SUV 스토닉 | 니로 | 셀토스 | 쏘울 | KX1 | 쏘넷 | EV3 | 시로스 아시아 록스타 | 레토나 | KX3 | 리오 X-라인 | 니로 플러스 준중형 SUV 스포티지 | EV5 | EV6 | 엑씨드 | 즈파오 KX5 중형 SUV 쏘렌토 KX7 준대형 SUV 텔루라이드 | EV9 모하비 소형 MPV - 벤가 준중형 MPV 카렌스 엑스트렉 중형 MPV - 카스타 대형 MPV 카니발 - LCV - 봉고3 미니버스 | 베스타 | 타우너 | 토픽 | 프레지오 | 트라벨로 PBV PV1예정 | PV5예정 | PV7예정 - 픽업트럭 타스만 B-1000 경형 트럭 - T-1500 | T-2000 | 타우너 소형 트럭 봉고 세레스 준중형 트럭 - 파맥스 | 타이탄 | 트레이드 중형 트럭 - 복사 | 라이노 | 트레이드 대형 트럭 - AM트럭 | KB트럭 | 그랜토 준중형 버스 - 콤비 중형 버스 - 코스모스 준대형 버스 - 아시아 AB버스 대형 버스 그랜버드 아시아 B버스 군용차 K-151 | K-311 | K-711 | K-911 | 중형표준차량 K-111 | K-131 | K-511 | K-811
[1] 기아가 지정한 EV day이다.[2] 이 때문에 캐딜락 CT4의 후면이 연상된다는 의견도 있다.[3] 한국 기준 오후 5시[4] 당초 2024년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이였으나, 2024년 1월 25일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2025년 상반기로 출시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연기 이유는 품질 개선과 전 세계적인 전기자동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라고 알려졌다.[5]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한 법인이다.[6] K3가 내수에서 아반떼 판매량의 절반을 넘지 못하고 계속해서 판매 부진에 시달려서 결국 후속 모델인 K4는 아예 내수 시장에 출시하지 않는다.[7] 그동안 미국에서는 세단 모델을, 유럽에서는 해치백 모델을 우선 판매했다는 전례를 생각하면 의외의 결정이라는 반응도 많다.[8] AutoLand 광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