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7 18:18:01

제15회 서울모빌리티쇼

파일:서울모빌리티쇼 로고.png 역대 서울모빌리티쇼 문서 일람
{{{#!wiki style="margin: 0 -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2px -9px"
코엑스 시기
1995년 1997년 1999년 2002년
1회 2회 3회 4회
킨텍스 시기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5회 6회 7회 8회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9회 10회 11회 12회
서울모빌리티쇼 변경 후 (킨텍스 시기)
{{{#!wiki style="margin: -16px -11px" 2021년 2023년 2025년 2027년 2029년
13회 14회 15회 }}}
}}}}}}}}} ||
역대 서울모빌리티쇼
제14회
(2023)
제15회
(2025)
제16회
(2027 예정)
파일:2025 서울모빌리티쇼 로고.png
{{{#FFF 2025 서울모빌리티쇼
25. 04. 03.~25. 04. 13.}}}
1. 개요2. 일정3. 후원 및 부대 행사4. 개최 전 이슈5. 참가 업체
5.1. 국산차5.2. 수입차5.3. 부품 및 모빌리티5.4. 모빌리티 서비스5.5. 모형 수입업체
6. 신차7. 부스별 특징8. 평가9. 여담


1. 개요

자유로운 이동이 어디서든 가능하도록
Mobility, Everywhere
2025년 4월 3일부터 4월 13일까지 열린 서울모빌리티쇼 행사이다.

경기도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 1~5홀에서 개최되었으며, 열다섯 번째 서울모터쇼이자[1] 모터쇼 이후 30주년을 맞은 행사이다.

2025년 4월 14일 서울모빌리티쇼 종료 이후 서울모빌리티쇼 최종 관람객이 약 56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2023년 제14회 서울모빌리티쇼보다 약 10% 증가했으며, 2019년 제12회 서울모터쇼에서 나온 역대 최고 관람객 62만 8천명에 육박하는 수치이다. 특히 2019년 서울모터쇼는 킨텍스 제1, 제2 전시장을 모두 활용하였는데 62만 8천명인 반면, 2025년 서울모터쇼는 킨텍스 제1전시장만 활용해 행사 규모가 2019년 대비 절반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2019년 관람객 수치에 육박하는 결과가 나왔다.

2. 일정

3. 후원 및 부대 행사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의 주최로 이루어지며,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고양시의 후원을 받고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모빌리티어워드, 모바일로보틱스월드, 디자인페스티벌, 국제컨퍼런스, 자율주행차 시승 등의 부대 행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지난 회차처럼 장한평이나 파주 등지를 활용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4. 개최 전 이슈

파일:킨텍스주차장폐쇄.png
* 2025년 3월 17일부터 킨텍스 제1전시장 주차장이 전면 폐지돼 주차가 불가능하다.

5. 참가 업체

5.1. 국산차

5.2. 수입차

5.3. 부품 및 모빌리티

5.4. 모빌리티 서비스

5.5. 모형 수입업체

6. 신차

7. 부스별 특징


8. 평가

9. 여담



[1] 서울모빌리티쇼로 개명한 뒤로는 세 번째 행사이다.[2] 신형 넥쏘를 월드 프리미어로 전시할 계획이라고 한다.[3] 쌍용자동차가 대우그룹 산하에 있던 1999년과 마힌드라 & 마힌드라의 경영권 포기로 회사가 존폐 위기를 맞이했던 2021년에 이어 세번째 불참이다.[4] 아시아 대륙에서는 중국에서만 참가하고 있다.[5] HD현대건설기계현대인프라코어[6] 사실 증차가 아니라 원래 계획되었던 횟수로 돌아온 것이다. 교외선 무궁화호 열차의 초기 안정화 및 무선국 개설 허가 지연 등으로 원래 계획의 절반 이하인 일 8회로 감축해 운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7] #[8] 첫 주 자율주행 성과 보고회가 같이 열렸을 때 아폴로 전기버스를 한 대 전시한다.[9] 수입사인 차봇모빌리티에서 그레나디어등 일부 차종을 전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10] 롯데케미칼롯데이노베이트를 주축으로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1] 경북에 소재한 자동차 부품 기업으로 UAM 사업에도 진출했다. 부스에서 2인승 기체를 전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2] UAM 기업으로 2023년 이후 두 번째 참가이다.[13] DM-i PHEV 사양으로 2025년형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은 초기형 차량이다.[14] HD현대가 골드 파트너, BYD가 실버 파트너를 맡았다.[15] 자율주행 성과 보고회는 티켓 없이 관람 가능하며, 관람한 후 다시 모빌리티쇼 행사장으로 입장하려면 티켓을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