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 }}} | ||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 | |||
| 국립대구박물관 | 국립대구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
| 공립 | ||||
| 대구약령시한의약박물관 | 대구향토역사관 | 대구방짜유기박물관 | 대구섬유박물관 | |
| 대구근대역사관 | 대구교육박물관 | 대구미술관 | 전통산업박물관 | |
| 대구문학관 | 대구간송미술관 | |||
| 사립 | ||||
| 송광매기념관 | 자연염색박물관 | 박물관 수 | 대구은행금융박물관 | |
| 작은중앙가족박물관 | 권종호미술관 | |||
| 대학교 | ||||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 경북대학교미술관 | 계명대학교행소박물관 | |
| 계명대학교극재미술관 | 대구교육대학교교육박물관 | 대구보건대학인당박물관 | ||
|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75b0db>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0,#fff> 수성못 • 대구스타디움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국립대구박물관 • 대구미술관 • 대구간송미술관 • 대구어린이세상 • 범어 대성당 • 범어네거리 • 범어로데오타운 • 수성아트피아 • 고모역 • 노변동 사직단 • 고산서당 • 망우공원 • 모명재 • 들안길 • 수성 패밀리파크 | ||
| | }}}}}}}}} |
| <colcolor=#fff><colbgcolor=#bb9513> 국립대구박물관 國立大邱博物館 Daegu National Museum | ||
| | ||
| 설립일 | 1994년 12월 7일 | |
| 관장 | 김규동 | |
| 관람시간 | 화~일요일 09:00~18:00 | |
| 우편 번호 | 42111 | |
| 대표 전화 | 053-768-6051~2 | |
| 주소 | ||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 | ||
| 상급 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
| | ||
1. 개요
| |
| 국립대구박물관의 전경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으로 대구 및 경상북도 지역의 문화유산을 전시, 보존, 연구하는 박물관이다. 황금고가도로 하부도로로 가서 좌회전해서 조금만 가면 보인다. 맞은편에 야구 명문 남고 경북고등학교가 있다.
2. 연혁
- 1989.2. 국립대구박물관 건립계획 수립
- 1990.7. 국립대구박물관 건립공사 착공
- 1994.5. 국립대구박물관 직제 공포(대통령 제14249호), 국립대구박물관 준공
- 1994.12.7. 개관(국립박물관으로서는 여덟번째)
- 2003.4 ~11. 사회교육관 설계완료(기본 및 실시설계)
- 2004.3. 사회교육관 건립공사 착공
- 2004.12. 미술실 개편
- 2006.10.19. 해솔관(사회교육관)개관
- 2009.12.01.~ 2010.6.30. 국립대구박물관 보수공사
- 2010.7.19. 국립대구박물관 재개관
3. 역대 관장
- 초대 김성구 (1994~1997)
- 2대 안승모 (1997~1998)
- 3대 김권구 (1998~2002)
- 4대 김정완 (2002~2005)
- 5대 서오선 (2005)
- 6대 김정완 (2006~2008)
- 7대 구일회 (2008)
- 8대 이내옥 (2008~2010)
- 9대 함순섭 (2010~2016)
- 10대 권상열 (2016~2018)
- 11대 홍진근 (2018~2019)
- 12대 함순섭[1] (2019~2022)
- 13대 김규동 (2023~현재)
4. 관람안내
관람시간 : 평일 오전 10시~오후 6시(토요일, 공휴일은 1시간 연장)야간개장 시간(4월~10월 한정) : 매주 토요일 오전 6시~오후 9시
입장료 : 무료. 단, 일부 기획전시는 무료가 아니다.
5. 시설안내 및 소장품
국보와 보물을 합쳐 59건 102점을 포함한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선사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대구경북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단, 경주시 지역 출토품은 거의 대부분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또 한반도 남부에서는 드물게 출토되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유물인 금동관이 여기 소장되어 있다. 참고로 '대구' 박물관이지만 경북의 유물이 더 많다. 6.25 이후 남은 대구 유물을 경북대학교박물관으로 보낸 것도 한몫했다.#5.1. 실내전시
고대문화실중세문화실
섬유복식실
기획전시실 1ㆍ2관
5.2. 야외전시장
야외전시장에는 정도사 터 5층석탑[2], 용두보당 재현품[3], 석탑 부재[4], 옥산동 토기가마[5], 칠곡군 복성리 고인돌[6], 상동 청동기시대 집터[7]가 있다.이후 2025년 11월 4일 ‘모두의 정원’을 공개했는데 고(故) 이건희 기증품 중 석조물 257점이 전시된다. 박물관 뒤편 산책로를 따라 ‘해담길’, ‘월담길’, ‘별담길’로 구성된다.※
5.3.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소장유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산 신대리 1호 목관묘 출토 청동호랑이모양 띠고리
- 경산 임당동 1호분 금귀걸이
- 경산 조영동 금귀걸이
- 경주 노서동 은팔찌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3호)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4호)
-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 금동 당간 용두
-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 김천 양천동 금동반가사유상
- 대구 가천동 출토 금동관
- 대구 내당동 금귀걸이
- 대구 달성 55호분 금귀걸이
- 대구 비산동 금귀걸이
- 대구 비산동 쌍환두대도
- 대구 비산동 출토 금동관
- 안동 옥동 금동반가사유상
-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의성 탑리 금동관
-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금동제사방불판
- 진주하씨 묘 출토유물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6. 대중교통
도시철도 2호선 만촌역에서 약 1.8km, 도시철도 3호선 황금역에서 약 1.0km 떨어져 있다.만촌역에서 목적지까지 가려면 도보로 약 30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만촌육교 정류장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하는 게 좋으며 시내버스로 약 5분이 소요된다. 해당 시내버스로는 순환3(-1)번, 수성1(-1)번, 수성3(-1)번, 수성5번, 경산 100번, 경산 100-1번[8], 349번, 402번, 504번, 청도 0번이 있다.
6.1. 도시철도
*훗날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이 개통하면 바로 앞에 역이 생길 것이다.
[1] 현 국립경주박물관장[2] 원래 칠곡군 약목면 정도사(淨兜寺) 터에 있던 것을 1934년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가 1994년 국립대구박물관 개관과 함께 이곳으로 다시 옮겨 세웠다.[3] 보당(寶幢)은 절의 입구나 법당 앞에 세워 번(幡)이나 괘불(掛佛)을 달았던 시설을 말한다. 당간지주(幢竿支柱)는 보당을 지탱하기 위하여 좌우를 받치는 기둥석과 그 아래 기단면석으로 이루어진 기둥이다. 이 당간지주와 용두 모형은 박물관에 전시된 영주 풍기 출토 통일신라시대 용머리 장식을 참고했고 당간은 공주시 갑사와 청주시 용두사지 철당간, 지주석은 합천군 해인사, 김제시 금산사의 것을 참고하여 실물크기로 복원했다.[4] 대구 동구 백안동에서 발견된 신라시대의 화강암제 석탑으로 탑신 1매와 옥개석 2매만 남아있고 상륜부와 기단부는 남아있지 않다.[5] 경산시 옥산동에서 발견된 반지하식 굴가마로 가마 내부에서는 삼국시대의 토기 조각과 토제품류가 출토되었다.[6] 칠곡 약목 복성리에 있었던 20여기의 고인돌 또는 돌널무덤중의 일부로 땅위에 드러나 있던 고인돌 상석 한 개와 그 아래 무덤 구조로서 땅 속에 묻혀있던 돌널무덤 두 개가 발굴조사 된 후 국립대구박물관에 옮겨진 것이다. 이 무덤속에는 대롱옥으로 만든 목걸이와 돌화살촉, 붉은간토기 등의 유물이 남아 있었다. 또 다른 하나의 돌널무덤은 바닥에 자갈을 깐 뒤 죽은 사람을 묻었던 무덤으로, 여기 옮겨져 있는 고인돌에서 약 30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7] 수성구 상동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지원센터를 증축하기 위한 터에서 발견되었으며 집자리 안에서 골아가리 토기, 반달돌칼 등 토기편과 석기편이 발견되었다.[8] 박물관→만촌역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