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23:41:12

고우키

고선생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기술 목록}}}에 대한 내용은 [[고우키/커맨드 리스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우키/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우키/커맨드 리스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고우키(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고우키(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고우키(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기술 목록: }}}[[고우키/커맨드 리스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우키/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우키/커맨드 리스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동음이의어: }}}[[고우키(동음이의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고우키(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고우키(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 로고.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dark-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D2D2D, #161616 9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84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정렬 가나다순)]
##
[[고우키|파일:고우키 outfit01.png
파일:sf6y1.svg
고우키]]
[[라시드(캡콤)|파일:라시드 outfit01.png
파일:sf6y1.svg
라시드]]
[[시라누이 마이(스트리트 파이터)|파일:마이 outfit01 보정.png
파일:sf6y2.svg
마이]]
[[베가(캡콤)|파일:베가 outfit01 보정.png
파일:sf6y2.svg
베가]]
[[사가트|파일:사가트 outfit01.png
파일:sf6y3.svg
사가트]]
[[알렉스(캡콤)|파일:알렉스 outfit01.png
파일:sf6y3.svg
알렉스]]
[[에드(캡콤)|파일:에드 outfit01.png
파일:sf6y1.svg
에드]]
[[엘레나(캡콤)|파일:엘레나 outfit01 보정.png
파일:sf6y2.svg
엘레나]]
[[잉그리드(캡콤)|파일:잉그리드 outfit01.png
파일:sf6y3.svg
잉그리드]]
[[테리 보가드(스트리트 파이터)|파일:테리 outfit01.png
파일:sf6y2.svg
테리]]
[[A.K.I.|파일:A.K.I. outfit01.png
파일:sf6y1.svg
A.K.I.]]
[[크림슨 바이퍼|파일:바이퍼 outfit01.png
파일:sf6y3.svg
C. 바이퍼]]

회색 배경: 출시 예정

{{{#!wiki style="margin: -25px -4px -11px"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
파일:akumapf-sp1.gif 고우키 (아쿠마)
고우키
(시리즈별 성능)
진 고우키 신 고우키 광기의 오니
제로 고우키 메카 고우키 철권 세븐나이츠

||<-2><tablebordercolor=#900><tablealign=right><table width=450><colbgcolor=#000><colcolor=#fff> 고우키[1]
豪鬼 | Gouki | Akuma[2] ||
파일:sf6프로필 고우키.png
역대 캐치프레이즈
[ 펼치기 · 접기 ]
권의 극에 달한 자(拳を極めし者)
귀신조차 죽이는 멸의 권(鬼をも屠る滅の拳)(SFZ3)
무용사분쇄(無容赦粉砕)(SF6)[alt]
살의의 파동(殺意の波動)(몬스터 헌터 라이즈[4])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격투 스타일 살의의 파동, 암살권(CvS2, SF5)
암살권(SF6[상세])
신장/체중 178cm / 80kg(SSF2X, SFZ3, USF4)
178cm / 90kg(SF5, SF6)
쓰리 사이즈 B118/W84/H86(USF4)
생년월일 불명[6]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특기
직업
성우
[ 펼치기 · 접기 ]
* 니시무라 토모미치[7]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8], 스트리트 파이터 EX[9], 슈퍼 퍼즐 파이터 2 X, 스트리트 파이터 3 시리즈[10], 마블과의 VS. 시리즈[11] 포켓 파이터, CAPCOM VS SNK 시리즈[CVS], SVC CHAOS, 캡콤 파이팅 잼[13], 남코X캡콤, OVA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 더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
[ 펼치기 · 접기 ]
SSF2 - Gouki's Stage
SFZ - Gouki's Stage
SFZ2 - Stage - Gouki
SFZ3 - Feel The Cool
SF3SI - The Flame (2nd edit)
SF3TS - Killing Moon (Gouki's Stage)
SF4 - Theme of Gouki
SF5 - Gouki's Theme
SF6 - Shura
프로필 출처
[ 펼치기 · 접기 ]
샤돌루 격투가 연구소의 고우키 캐릭터 도감
스파 5 시리즈 공식 사이트(일본어)
스트리트 파이터 30th 애니버서리 콜렉션 인터내셔널의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스파 6 공식 사이트

1. 개요2. 특징
2.1. 수출판 이름 "아쿠마"
3. 시리즈별 모습 및 변천사4. 작중 행적5. 시리즈별 성능
5.1. 기타 미디어에서
6. 대사 일람7. 코스튬8. 기타
8.1. 제작비화8.2. 라이벌 관계8.3. 생활상8.4. 기타8.5. 복장의 설정에 대해
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파일:고우키 트레일러.gif
>권의 극에 달하고자 살의의 파동을
지닌 채 끝없이 싸우는 수라.
스트리트 파이터 6 공식 소개문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의 사부인 고우켄의 친동생.

2. 특징

첫 등장은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

형인 고우켄과 함께 고우테츠에게 암살권을 사사하였으며, 이런 점에서 보자면 류와 켄의 사숙이 된다. 또한 외형이 험상궃고 싸우는 과정에서 사람을 태연히 죽이기도 하지만, 본인은 오로지 '스스로의 관심사'에 따라 행동할 뿐이라 선악관 자체가 흐릿하다. 이 때문에 강자를 처단한다는 관심사에서 스승 고우테츠를 격살하는 등 잔혹한 일면이 있으면서도, 평소에는 자연과 조화로이 지낸다는 명목하여 누구에게 강탈하거나 협박하는 그런것이 아닌 직접 사냥하거나 채집한 먹거리를 길거리에서 정당한 대가를 치르고 팔아 생활비를 마련하는 등, 한없이 자연인에 가까운 면모도 겸비한다.[22]

시리즈 최강자 급으로 꼽히던 샤돌루의 총수 베가를 순식간에 격살하고, 류와 켄의 스승인 고우켄과 본인 형제의 스승인 고우테츠 마저 꺾은 등, 대전 격투 게임 시리즈 역사상 최초의 확정적인 세계관 최강자인 셈.

강자는 나름대로 흥미를 가지며 그들과 싸우려 하지만, 반대로 약자에겐 딱히 흥미를 가지진 않는다. 말 그대로 '무관심'에 가까우므로, 그들이 자신에게 먼저 시비라도 걸지 않는 이상[23] 본인도 딱히 일반인들에게 해코지를 하는 경우는 없다.[24] 반대로 한번 흥미를 가지면 꽤나 질척거린다 할 정도로 매달리는 모습도 보여주는데, 대표적으로 고우키에게 인정받은 나 그와 붙었던 고우켄, 고우테츠 등이 이에 속한다.[25]
"겁먹었나? 극에 이르고자 한다면 목숨 걸고 싸워라!"
스트리트 파이터 5, 루크 설리반 전 승리 대사
"목표가 있는 사람일지언정, 나에게 도전하면 용서하지 않는다!"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마코토 전 승리 대사
고우키의 이런 태도는 그의 신념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고우키는 자신의 기량을 극한까지 갈고 닦아 강자와의 목숨을 건 사투에서 모든 것을 쏟아부어 이기는 것만이 궁극에 도달하는 길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니 자신이 인정하는 강자에게는 집착하지만, 일반인이나 약자하고는 싸워봐야 득이 될게 없으니 무시하는 것. 또한 자신에게 도전하는 약자를 보면 극대노하는것도 그런 약자가 목숨을 건 사투를 가벼이 여기며 모욕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수라이면서도 나름대로 합리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보스급 캐릭터의 유형 중에서도 주인공 복사 형태인 플레이어형 보스에 해당된다. 류와 켄 마스터즈가 사용하는 똑같은 필살기인 파동권, 승룡권, 용권선풍각 뿐 아니라 고우키는 여기에 몇 가지 기술[26]이 더 있다.

사실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에서 단순히 작중에서 강하다는 사실을 어필한 캐릭터는 고우키 말고도 베가, 고우켄, , 가이, 코디 트래버스, , 유리안, 오로, 잉그리드, 광기의 오니,[27] 네칼리, 시리즈의 외전 격 작품인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가루다, 카이리 등 의외로 꽤 많이 있다. 앞에서 언급한 가루다의 경우 2021년 2월 5일까지 진행된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파이팅 EX 레이어의 콜라보 이벤트에서 고우키의 스파 5 CE 엑스트라 배틀 콜라보레이션 코스튬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캐릭터들과는 달리 고우키는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에서 처음 등장했을 당시의 끝판에 갑툭튀하여 최종보스 베가순옥살로 잠재운 장면과 모든 것이 베일에 싸인 불가사의한 모습이 어우러져 많은 플레이어들의 뇌리에 단단히 각인되었으며, 무엇보다 이런 식의 연출로 캐릭터의 강함을 묘사한 사례는 적어도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내에서는 최초라, 다른 캐릭터들 보다 훨씬 포스가 강하다고 느껴지는 것이다.

때문에 설정상 고우키와 실력을 견줄만큼 강하거나 그 이상일지도 모르는 캐릭터들은 있지만, 그와 맞먹을 정도의 특유의 포스를 보여주는 캐릭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나마 최종보스인 베가 정도가 그에 비견될 만한 포스와 실력을 겸비하고 있다고 볼 수 있기는 한데, 고우키의 첫 등장 연출이 베가를 때려눕혔던 것이라는 걸 감안했을 때 베가를 고우키에 비견할 수는 없다는 의견도 드물지 않다. 자신을 표현하는 호칭인 '권의 극에 달한 자'라든가, 스트리트 파이터 6에의 캐릭터 가이드 기본편에선 '파동의 기술은 여러 개가 존재하지만 내 기술이야말로 극에 달했음을 기억해 둬라.'란 표현, 그와 대면한 인물들의 평가 등을 통해 게임 밖의 인식을 떠나 세계관 내에서도 알 사람들 안에서 고우키는 최강자란 인식이 강하게 박혀있다.

2인칭으로 '우누(うぬ)'를 사용한다. 현재는 사장된 고어로 현대 일본어의 '야로(野郎)'(자식/새끼)와 비등비등한 말로써 자신에게 사용할땐 비하하는 용도, 남에게 사용할 땐 헐뜯는 용도로 쓰였다. 고우키가 어지간한 상대는 다 자기 아래로 깔보기에 적절한 2인칭이다. 다만 엘레나에게만큼은 '오마에(お前)'라고 한다.

2.1. 수출판 이름 "아쿠마"

프로필에 나오듯 해외 수출판에서는 이름이 아쿠마(Akuma)로 바뀌었다.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의 오피셜 블로그의 회답에 따르면 자신들도 이름이 바뀐 이유에 대한 정확한 답변은 받지 못했고, 다만 이것저것 물어본 결과 "영어권 사람들에게 'Gouki'라는 말은 발음이 어려웠고 또한 일본인다움을 어필하기 위해서 현재의 이름(아쿠마)이 된 것이 아닐까?"라는 말을 들었다고 하는데 결국 이것도 추정에 불과한 이야기인 듯. 담당자 역시 이 말을 하면서 "고우켄고우테츠도 모두 Gou가 붙어있는데 고우키 혼자 Akuma로 바뀌는 바람에 관계성을 알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

반면 스트리트 파이터 2의 기획자였던 니시타니 아키라는 2013년 자신의 트위터에 "당시 일본에서 자신의 아이에게 '아쿠마'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 해외에서 화제가 되었고 거기에서 따온 것이라고 들은 적이 있다"는 글을 올렸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이 역시 확신하는 뉘앙스는 아닌 것으로 보이고, 결국 캡콤도 해외판 이름을 왜 저렇게 설정했는지 까먹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직도 고우키의 이름이 바뀐 이유는 불명이다. 그나마 이름이 뒤죽박죽 섞인 샤돌루 사천왕과 다르게 아예 새로운 이름으로 변경된 덕분에 이 쪽은 논란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

한국에서 샤돌루 사천왕 3명은 내수용과 해외명을 병행해서 쓰지만[28] 고우키는 거의 내수판 이름인 고우키로만 부른다. 이는 X 시절에는 이름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며 게임 잡지 등을 통해 고우키라고 훨씬 많이 알려진 상태였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도 내수명 고우키가 더욱 잘 알려져있으며, 실제로 스트리트 파이터 5에서부터 캐릭터들의 공식 중국어 이름 표기가 정착되며 내수판인 고우키(豪鬼)를 공식적으로 따르게 되었다.

6에서는 해외 발매 중 한국과 중국 등 캡콤 아시아가 담당하는 일부 국가에서 일본판 이름인 고우키로 바뀌었다. 다른 나라는 그대로 아쿠마로 유지.

3. 시리즈별 모습 및 변천사

각 시리즈별 일러스트
{{{#!folding [ 열기 / 닫기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hinAkumaSSFIIX.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AkumaSuperSFIIX.jpg 파일:Gouki_Street Fighter Zero.png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파일:Gouki_Street Fighter Zero 2.jpg 파일:Gouki_Super Puzzle Fighter II X.png 파일:Gouki_Super Puzzle Fighter II X_Character Select_original artwork.jpg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슈퍼 퍼즐 파이터 2 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AkumaSFEX.jpg 파일:Gouki_Street Fighter EX & EX Plus Alpha_Character Select.jpg 파일:Gouki_Pocket Fighter.png
스트리트 파이터 EX 스트리트 파이터 EX & 스트리트 파이터 EX 플러스 알파 셀렉트 이미지 포켓 파이터
파일:Gouki-Street Fighter 3 2nd Impact_Character_artwork.png 파일:Gouki-Street Fighter 3 2nd Impact_Character_Select_artwork.png 파일:Gouki_Street Fighter Zero 3.jpg
스트리트 파이터 3 세컨드 임팩트 스트리트 파이터 3 세컨드 임팩트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파일:Gouki_Street Fighter Zero 3 Double Upper_Character Select.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AkumaSFIII3rd.jpg 파일:Gouki_Street Fighter III 3rd Strike_Character Select.jpg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29]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 셀렉트 이미지
파일:Gouki_Street Fighter Zero 3 Double Upper.jpg 파일:Gouki_Street Fighter Zero Fighters Generation.jpg 파일:Gouki_Super Puzzle Fighter II X_(PFIITurboHDR).jpg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더블 어퍼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파이터즈 제너레이션 슈퍼 퍼즐 파이터 2 X HD 리믹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AkumaSF4.jpg 파일:Gouki(Akuma)_Street Fighter IV_Artwork 2.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SF4_akumaart.jpg
스트리트 파이터 4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30]
파일:Gouki_Street Fighter IV_Character Select.jpg 파일:Gouki_Street Fighter X Tekken.jpg 파일:Gouki_Street Fighter III Third Strike Online Edition.jpg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셀렉트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 온라인 에디션
파일:Gouki_Street Fighter V_Shadaloo C.R.I._profile_artwork.jpg 파일:external/static.capcom.com/AKM_Character_art.jpg
스트리트 파이터 5에 맞춘 고우키 캐릭터 도감 일러스트[31] 스트리트 파이터 5 공식 일러스트
파일:Gouki(Akuma)_Street Fighter V_Character Select.png 파일:Rockman_X_DiVE_Hunter_Program_AKUMA.png 파일:20220420_012427.jpg
스트리트 파이터 5 셀렉트 이미지 록맨 X 다이브 콜라보레이션 킹 오브 파이터 올스타 콜라보레이션
파일:스파6 고우키 공식 일러스트1.jpg 파일:character_gouki_l.png
스트리트 파이터 6 공식 일러스트 스트리트 파이터 6 셀렉트 이미지
}}} ||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우키/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우키/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우키/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시리즈별 성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우키/시리즈별 성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우키/시리즈별 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우키/시리즈별 성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기타 미디어에서

다음은 게임 상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데모 기술.

대적언(大赤焉): 캡콤 파이팅 잼의 아케이드 모드 엔딩에서 신 고우키가 운석을 분쇄했다.
천패도쇄참(天覇涛砕斬): SVC CHAOS의 아케이드 모드 엔딩에서 진 고우키가 바다를 갈랐다.
무도천충(無道天衝): 스트리트 파이터 5에서 네칼리에게 사용했다.
붕천정권격(崩天正拳撃): 스트리트 파이터 5카게나루모노의 캐릭터 스토리에서 고우키가 카게에게 사용했다.

준 공인으로 취급받고 있는 코믹스 류 파이널에서는 유파의 계승자인 살의의 파동을 극복하게 하기 위해 스스로 살의의 파동을 사용하게 된 것으로 나오는데, 최후의 결전에서 순옥살로 류를 몰아붙이지만, 순옥살을 극복한 류의 영거리 파동권에 맞고 사망한다. 이때, 류의 파동권에 당한 고우키의 몸을 살의의 파동이 잠식해간다. 그리고 류의 힘이 살의의 파동을 정화하는 듯한 연출이 있다. 이때 류에게 내가 너에게 모든 걸 맡겼듯이 너도 네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맡겨라.고 말한 것 때문인지 고우키가 류의 아버지라는 설이 추측되고 있다.

대전 상대에 대해서는 거의 용서가 없지만, 동굴을 헤매게 된 아이를 돕기도 하는 것 같다. 우선 '싸울 가치가 되는 인간'만 죽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이전에 '싸울 가치가 되는' 상대에게만 싸움을 거는 인물이기에 만일 싸울 가치가 없다 싶으면 주저없이 그 싸움을 포기하는 일면도 보인다. 실제로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의 아케이드 모드 엔딩에서 겐과 잘 싸우던 도중 겐이 지병에 걸린 것을 알게 되자 싸움을 멈추고 훌쩍 떠나버리는 면모도 보였다.

영화 스트리트 파이터: 전설의 귀환에서는 주역으로 등장한다. 청년 시절은 가쿠 스페이스[32], 중년 버전은 조이 엔사가 연기했다.[33] 탄생비화는 오피셜과 거의 동일하지만 영화에선 게임에서 조명되지 않은 과거사를 그려내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요코하마 공습으로 인해 어머니를 잃고 군인이었던 아버지의 친구인 고우테츠에게 형 고우켄과 함께 양자로 입적되어 암살권을 배우게 된다. 고우테츠의 조카딸인 사야카와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고, 형인 고우켄보다도 뛰어난 재능으로 암살권의 성취 또한 앞서 나가고 있었지만, 너무나도 강한 힘을 원한 나머지 살의의 파동에 손을 대고 말고, 스승 몰래 비전서를 훔쳐보고 독학으로 익히다, 이를 눈치챈 스승에게 파문을 당해 도장을 떠난다. 이후 산 속에서 자급자족하면서[34] 살의의 파동이 육체를 좀먹는 부작용으로 피를 토해가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끈질긴 수행 끝에 전설로만 전해지던 암흑의 파동을 각성해서 그것으로 살의의 파동을 누르면서 살의의 파동을 제어하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어느 날 밤 고우테츠 앞에 나타나 혈투를 벌인다. 처음엔 우위를 점하는가 싶다가 고우테츠의 용권선풍각에 맞고 호승룡권의 기를 체내로 직접 주입당해 피를 토한다. 그러나 고우테츠가 자신을 끝낼 각오를 하고 날린 멸 파동권[35]순옥살로 피한 후 그대로 명중시켜 고우테츠를 살해하고[36] 고우켄과 사야카 앞에서 모습을 감춘다. 그러다가 켄 마스터즈의 수행이 막바지에 다다랐을 무렵,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의 기를 느끼고 고우켄 앞에 나타나 결투를 신청하지만 고우켄은 자신은 살의의 파동을 쓰지 않으며 싸우지 않겠다고 대답한다. 그러자 고우키는 고우켄에게 네 제자들을 먼저 손봐주겠다고 도발하다가[37] 지금은 때가 아니란 고우켄의 말을 듣고 후일을 기약하며 물러난다. 이후 류와 켄 마스터즈가 하산한 이후에 다시 고우켄의 앞에 나타나 최후의 일전을 벌일 준비를 하며 영화가 끝난다. 고우키의 상징과도 같은 순옥살 피니시에서 나타나는 등짝의 하늘 천(天) 자는 살의의 파동이 실체화되어 등에 새겨진 것인데 이것이 마치 화상의 흉터처럼 새겨졌으며, 도복에 나타나는 天 자는 등에 새겨진 상처에서 발산하는 열로 인해 도복에 그을린 것이라는 식으로 재해석이 되었다.[38] 고우테츠를 순옥살로 쓰러뜨리자 하늘의 구름이 움직이며 달을 가리고 거대한 검은색의 하늘 천(天) 자로 변하면서 순옥살 피니시 특유의 그 사운드가 퍼지는 장면은 일품. 젊었을 적엔 비교적 평범한 인상이었는데, 살의의 파동에 빠지면서 얼굴이 바뀐 것도 원작과 동일. 살의의 파동과 암흑의 파동을 익히면서 인간성도 타락했는지 순옥살에 당해 얼굴이 피떡이 되어 쓰러진 고우테츠에게 “당신은 위대한 스승이다... 죽어가면서도 큰 가르침을 주었지...”라며 조롱을 날리고 목의 염주를 강탈해 자신의 목에 건 뒤 뒤늦게 현장으로 달려온 고우켄이 날린 파동권이 빗나가자 네놈은 아직 멀었다고 조롱하고 사라진다. 훗날 고우켄 앞에 나타나서도 그 놈은 새로운 괴물의 탄생을 보았으므로 만족하고 죽었다는 등 악담을 서슴치 않는다.

1999년 10월 21일 네오지오 포켓으로 발매된 SNK VS CAPCOM 카드 파이터즈, 2001년 9월 13일 1과 마찬가지로 네오지오 포켓으로 발매된 카드 파이터즈 2 익스팬드 에디션에서는 같은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캐릭터들과 함께 카드로 등장한다. 익스팬드 에디션에서의 고우키의 카드 번호는 C-018. 카드 파이터즈 2 익스팬드 에디션에서 같이 등장하는 신 고우키의 경우 SNK 사이드의 갓 루갈과 함께 카드로 등장한다. 신 고우키의 카드 번호는 C-160, 갓 루갈의 카드 번호는 S-160. 2006년 12월 14일 닌텐도 DS으로 발매된 카드 파이터즈 DS에서도 같은 스파 시리즈의 캐릭터들과 함께 카드로 등장하며 고우키 본인은 붉은색 계열의 카드로 등장하고 금강국열참으로 바위산을 박살내는 장면은 청색 계열의 액션 카드로 등장하며 SNK 사이드의 루갈 번스타인과 함께 청색 계열의 액션 카드로도 등장한다. 카드 파이터즈 1편에서는 밸런스 파괴의 주 원인이 되었던 캐릭터로 SP를 채워주지 않는 대신에 적의 캐릭터 1인을 강제로 KO시키는 것이 가능했다. 카드 파이터즈 2 익스팬드 에디션에서 이것은 정면 캐릭터 한정으로 조정되었고 DS 버전에서는 능력치가 약간 하락한 대신 강제발동의 형식을 띠게 되어 주변의 600이상 BP를 가진 캐릭터가 없으면 아군을 포함해서 등장하지 못하고 KO되기도 한다.

캡콤 파이팅 올스타즈에서는 같은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춘리, 찰리 내쉬, 알렉스,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마이크 해거, 포이즌, 스트라이더 히류 시리즈의 스트라이더 히류, 사립 저스티스 학원 시리즈의 이치몬지 바츠, 카자마 아키라, 뱀파이어 시리즈데미트리 막시모프, 파이팅 올스타즈의 오리지널 캐릭터들인 룩(Rook), D.D, 잉그리드, 최종보스 캐릭터 아벨(アヴェル, Avel) 등의 캐릭터들과 함께 출연할 예정이었으나 2003년 8월 7일에 개발 중지가 되어서 등장하지 못했다.

2015년 3월 30일 Android판과 6월 25일 iOS 버전 서비스를 시작, 2017년 3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한 웹 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배틀 콤비네이션에서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하며, SSR 카드로도 등장한다. SSR 카드 3

일본어판에서 2015년 7월 17일 ~ 7월 26일과 2016년 2월 17일 ~ 3월 2일까지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스트리트 파이터 5콜라보 이벤트가 진행된 몬스터 스트라이크에서는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춘리, 가일, 에드먼드 혼다, 블랑카, 베가, 사가트, 마이크 바이슨, 발로그, 찰리 내쉬, 캐미 화이트, 켄 마스터즈, 네칼리, 레인보우 미카, 칸즈키 카린, 장기에프, 달심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한다.

발키리 커넥트에서는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춘리, 캐미 화이트, 켄 마스터즈, 칸즈키 카린 등의 캐릭터들과 함께 등장한다. 자세한 건 발키리 커넥트/영웅/콜라보 문서 참조.

퍼즐앤드래곤에서는 , 류의 궁극 진화로 등장하는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몬스터 교환소에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하는 스파 5 시리즈 버전의 카게나루모노춘리, 베가, 찰리 내쉬, 칸즈키 카린, 가일, 카스가노 사쿠라, 코디 트래버스, 사가트, 캐미 화이트, 켄 마스터즈, 발로그, 레인보우 미카, 장기에프, 달심, 알렉스, 마이크 바이슨, 블랑카, 히비키 단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한다.

TEPPEN에서는 2020년 1월 7일에 발매된 세번째 확장팩 The Force Seekers에서 검은색 영웅으로 참전했으며 검은색 계열의 카드들로도 등장하며 TEPPEN에서 같이 등장하는 광기의 오니의 경우 레전드 카드 버전 권의 극에 달한 자 고우키의 각성 발동 시 변하는 유닛 카드로 등장한다. 캐릭터 테마곡은 스파 5 시리즈에서도 어레인지 되어서 나오는 고우키의 상징과도 같은 스파 2 시리즈캐릭터 테마곡의 어레인지 버전이다. TEPPEN/검은색 문서 참조.
또한 강자를 찾아 모험하는 고우키의 행적에 걸맞게(?) 크로스오버 이미지가 들어간 카드들이 존재한다.#1, #2, #3, #4, #5
한국 시간으로 2020년 12월 28일 업데이트에서 질 발렌타인바이오하자드 5, 얼티밋 마블 VS 캡콤 3 등에서 보여준 금발의 블리치 헤어 컬러, 네로데빌 메이 크라이 5의 EX 컬러인 화이트 재킷 컬러, 제로록맨 X 시리즈 및 이후 작품들에서도 보여준 블랙 제로 컬러 스킨들과 함께 추가된 고우키의 영웅 스킨 1은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의 진 고우키 스킨이다.#1/#2

몬스터 헌터 라이즈에서는 2021년 8월 27일에 몬헌 라이즈×캡콤 3차 콜라보 이벤트에서 덧입기 장비로 등장한다. 고우키를 모티브로 삼아 만든 몬스터 헌터 시리즈라잔도 몬헌 라이즈에서 출연하기 때문에 고우키가 라잔을 사냥하는 기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 덧입기 장비로 등장한 , 카스가노 사쿠라와는 달리 한손검 장비시 무기가 보이지 않는다. 또한 멸 승룡격(滅・昇竜撃)은 호승룡권, 풍차는 용권참공각, 수리검은 호파동권이나 참공파동권으로 바뀐다. 다만 인체 비례가 헌터의 몸에 맞춰져 있어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유저들이 보기엔 좀 괴상한 모습이며 그 외엔 캐릭터 컬러 설정이 피부도 되기 때문에 온갖 괴상한 컬러 배합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서는 2025년 5월 28일에 몬헌 와일즈×스파 6 콜라보 이벤트에서 참전한다. 고우키 본인이 NPC로서 짧게 등장(!)하며, 스파 6와 와일즈가 동일한 RE 엔진으로 제작된 점을 활용해 스파 6 고우키의 액션을 그대로 집어넣었다. 고우키의 모습을 한 원세트 방어구 및 해당 방어구 제작시 습득되는 덧입기 착용시 드라이브 게이지가 생기고 납도 상태에서 아이템 슬라이더에서 버튼 입력으로 고우키의 공격 모션을 그대로 사용하는 어시스트 콤보와 드라이브 게이지를 전부 소모해 상쇄 판정을 내는 드라이브 임팩트, 슬링어 장비식의 호파동권을 사용 가능하며 몬스터의 약점 및 상처에 드라이브 임팩트 명중시 자동으로 순옥살이 발동한다. 미션을 통해 호승룡권 제스쳐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데 특정 연계 마무리로 사용하면 호승룡권 OD로 강화된다. 연계 마무리에 제스쳐가 아닌 아날로그 스틱으로 1P 기준 승룡권 커맨드를 넣으며 네모 키를 눌러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일순천격 역시 네모, 네모, 세모+동그라미 키를 눌러서 아수라섬공으로 발동되는 원조 순옥살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계없이 단독으로 발동된다.

록맨 X 다이브에서는 , 춘리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하며 스파 5 시리즈에서의 기본 복장으로 등장한다.#1/#2/#3

Brawlhalla에서는 , 춘리, 베가, 켄 마스터즈, 달심, 카스가노 사쿠라, 루크 설리반 등과 함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하며 2021년 11월 23일에 류, 춘리와 함께 Brawlhalla×스트리트 파이터 콜라보레이션 1차 이벤트에서 추가되었다.#1/#2

마인크래프트에서는 2월 19일에 발매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35주년 기념 콜라보 더 월드 워리어 스킨 팩에서 , 춘리, 베가, 켄 마스터즈, 장기에프, 달심, 알렉스, 가일, 마이크 바이슨, 한주리, 블랑카, 에드먼드 혼다, 세스, 루크 설리반 등과 함께 스킨으로 등장하며 스파 5 시리즈에서의 기본 복장으로 등장한다.#

킹 오브 파이터 올스타에서는 , 춘리, 베가, 루크 설리반 등과 함께 2022년 3월 24일에 출시된 킹오파 올스타×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 콜라보 캐릭터로 등장하며 스파 5 시리즈에서의 기본 복장으로 등장한다.#1/#2

Fall Guys에서는 고우키의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의 도복이 , 춘리, 가일, 캐미 화이트의 복장과 함께 콜라보레이션 코스튬으로 등장하며 2022년 11월 26일에 류, 캐미의 복장과 함께 Fall Guys X 스트리트 파이터 콜라보레이션 1차 이벤트에서 추가되었다.#1/#2/#3

6. 대사 일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우키/대사 일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우키/대사 일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우키/대사 일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코스튬

7.1. 스트리트 파이터 5

외형적으로는 머리카락이 사자갈기 같이 길어지면서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의 경향인 디자인 변경이 가해진 모습이 보인다.

스파 4 시리즈까지의 짧은 머리 모습은 노스탤지어 프리미엄 복장으로 추가되었는데, 이 복장은 시즌 2 캐릭터 패스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유료 결제로 구입해야 한다. ↑ + PPP + 약K를 동시에 누르면 상의 탈의를 한다. 노스탤지어 복장의 경우에는 스파 4 시리즈 시절까지 손에 끼고 다닌 , 과 비슷한 격투용 오픈핑거 글러브를 손에 끼고 있다.

전투복 코스튬은 샤돌루 격투가 연구소의 고우키 캐릭터 도감에서 보여준 복장의 어레인지 버전 코스튬이며 콜라보레이션 코스튬은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 파이팅 EX 레이어가루다 엑스트라 배틀 콜라보 코스튬이다.#

한국 시간으로 2021년 9월 21일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두번째 콜라보 프리미엄 코스튬은 SNK VS CAPCOM 카드 파이터즈 DS에서 청색 계열의 카드로 등장했고 얼티밋 마블 VS 캡콤 3에서 고우키의 DLC 코스튬으로 등장하는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메카 고우키 코스튬이다.#

7.2. 스트리트 파이터 6

{{{#!folding [ 미사용 디자인 펼치기 · 닫기 ]
파일:고우키 미사용 디자인.png}}}번호=1,
캐릭터=고우키,
추가색상1=, 추가컬러1=EX01,
추가색상2=, 추가컬러2=EX02,
추가색상3=, 추가컬러3=EX03,
추가색상6=, 추가컬러6=DX01,
추가색상7=, 추가컬러7=DX02,
추가색상8=, 추가컬러8=DX03,
확장자=jpg,
)]
새로운 기본 복장.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39], 스트리트 파이터 3 시점부터[40] 점점 흰머리가 자라더니 어느덧 완전 백발이 되었다. 또한 전작의 어색했던 디자인을 바로 잡았는데, 상투를 제대로 뒤쪽으로 틀어올리고, 턱만 매끈하게 드러났던 수염도 더 자연스럽고 풍성해졌다. 또한 그래픽의 발전으로 피부의 질감 또한 더욱 상세해졌는데, 사람의 피부라기 보단 코끼리나 코뿔소과 같은 동물의 가죽이라는 말이 더 어울리는 단단한 형태로 변화했다.

컬러 EX01은 SiN 고우키의 색상으로, 발매와 함께 배틀 허브에서 기간 한정으로 진행된 자이언트 어택 이벤트에 참가해서 획득할 수 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와의 콜라보로 아자라칸를 오마주한 컬러가 10월 1일까지 한정 판매된다.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관련하여 EX 컬러가 제공되었다.
마스터 리워드로 획득할 수 있는 DX 컬러는 염주와 바지, 그리고 손에 두른 밧줄의 색상이 바뀐다.
번호=2,
캐릭터=고우키,
)]
> 네가 권의 극에 달하고자 한다면 다른 모든 것을 버려라.
검은 옷은 그 증표라고 생각해라.
월드 투어 유대감 100 달성 코멘트

다른 아웃핏 2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수염이 없고, 붉은 상투 머리 모습으로 예고편에 등장했다. 아웃핏 2가 단순히 과거 모습이 아닌 현재의 캐릭터가 이전 복장과 스타일을 갖춘 것이란 설정이기 때문에 정확히는 스트리트 파이터 3의 모습으로, 흰머리가 약간은 있는 모습이다. 밧줄은 복장 1에 비해 얇은 편이다. 컬러 2번은 신 고우키의 색상, 컬러 9번은 의 색상이다.
번호=3,
캐릭터=고우키,
확장자=jpg,
)]
> 저희는 고우키가 일본 해안에 있는 섬에 사는 인상으로, '고진죠 태고(御陣乗太鼓)'를 기반으로 디자인했습니다. 근육이 인간같아 보이지 않기에, 찢어진 기모노 안에 빨간 훈도시가 살짝 보이게 잡았습니다.

디자인 팀 코멘트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아웃핏 3이다. 가면이야 그렇다 쳐도 공중동작을 선보일때마다 보이는 훈도시가 마치 팬티처럼 보여 부담스럽다는 인상이다. 국내에서는 이 때문에 해병 고우키라고도 불린다. 높은 픽률에도 불구, 아웃핏 1과 2에 밀려 선택받지 못하며 가장 실패한 아웃핏 3중 하나가 되었다.

8. 기타

8.1. 제작비화

야스다 아키라의 코멘트에 의하면, 게임 발매 직전에 상사에게 전화로 한 시간 안에 추가로 캐릭터를 한 명 디자인 해오라.는 말도 안되는 지시를 받아서 냅다 완성한 디자인이라고 한다. 류와 켄의 헤드 스왑이었던 것은 아마 그 때의 잔재로 보인다. 즉, 태생이 급조된 캐릭터라고도 볼 수 있지만, 이후 고우키의 파급력과 인지도를 생각해보면 거의 신의 한 수였던 셈이다.

고우키의 기술들 모션이나 이미지를 보면 눈치챌 수 있듯이 모티브는 금강역사가 맞다고. 트레이드 마크 중 하나인 "天"자는 당시 스탭이 그냥 집어넣어 본 것이 그대로 굳어버린 것이라고 한다.

8.2. 라이벌 관계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 이래 본편에서 공식적인 설정상의 라이벌은 . '죽음을 두고 겨룰 수 있는 상대'로 서로를 인정하고 있는 관계이며 스파 제로 시리즈 중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 더블 어퍼에서는 서로 순옥살과 참영을 주고 받은 뒤 시작하는 대전 이벤트가 존재한다.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에서는 형 고우켄도 살아돌아오고 의 경우엔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서도 애송이 취급은 하고 있다지만 충분히 성장한 상태라서 겐과의 라이벌 구도는 약해졌지만 대사를 보면 여전히 서로를 의식하는 관계.

스트리트 파이터 6에서는 를 상당히 의식하고 있는 듯 하다. 기본적으로 고우키는 살의를 암살권의 본질로 보고 이를 정면으로 받아들인 자신과 달리 받아들이지도, 거부하지도 않은 채로 싸우는 류를 얕잡아 보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함과 싸움 중의 웃음을 잃지 않는 류를 보고 불가사의함을 느끼며, 월드 투어에서는 사투 중에 웃는 주인공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아케이드 모드에서는 류에게 감화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까지 한다.

VS. 시리즈마블 코믹스와의 크로스오버작의 경우 울버린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SNK VS CAPCOM 정상결전 최강 파이터즈SVC CHAOS에서는 같은 수라의 길을 걷는 야가미 이오리와 대결 구도를 이루고 있다.[41] 다만 설정상 권의 극에 달한 자라는 이명 탓에 오히려 권을 극한까지 끌어올린 미스터 가라데와 라이벌 관계이다. CAPCOM VS SNK 2에서는 왠지 루갈 번스타인과 서로의 힘을 뺏고 뺏기는 관계가 되어버렸다.[42] 그 전개는 고우키가 루갈을 쓰러트리나 쓰러지기 일보직전인 루갈이 고우키에게 오로치의 힘을 건네준 덕분에 신 고우키로 각성하는가 하면 루갈이 고우키를 쓰러트리고 살의의 파동을 챙겨감으로서 갓 루갈로 각성한다. 아수라의 분노에선 억누르던 살의의 파동이 완전하게 개방되어 광기의 오니로 변하더니 아수라와의 대결에서 그야말로 엄청난 전투력을 보여준다.

8.3. 생활상

파일:고우키극장판.jpg

1994년 8월 6일에 개봉된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트리트 파이터 2 무비에서는 카메오로 온갖 장면에서 출연하는데, 이 중에는 길가에서 과일을 파는 듯한 장면이 특히나 인상이 깊어서 아래의 장면과 설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파일:고우키장사.jpg

극장판 장면의 오마쥬로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절에는 고우키가 아이에게 과실을 팔고 잔돈을 건네주고 있는 공식 일러스트가 나왔다. 「이것으로 생계를 꾸리고 있는 겁니까」라고 하는 물음에 개발자는「만약 팔고 있었다고 해도, 아무도 사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웃음)」라고 말했다.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서는 라시드의 캐릭터 스토리의 이스터 에그로 나오는 SNS에서 루퍼스가 「어이, 방금 엄청난 걸 봐 버렸어! 괴물 같은 얼굴을 한 놈이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뭘 하려는 건가 싶었는데 야채를 팔기 시작하더군.」이라는 내용으로 언급되며, 고우키의 캐릭터 레벨 50을 달성할 시의 칭호가 '과일 팝니다'인데, 그냥 재미 삼아 넣은 요소겠지만 덕분에 본가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에도 등장한 캐릭터성이 되었다.

파일:고우키여비.jpg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스토리에서도 산속의 짐승을 잡거나 과일을 내다 팔아 여비를 충당한다고 한다. 해외로 나갈 때는 나룻배를 타고 물고기를 잡아먹고 다니며 어중간한 놈과 싸우는 것보다 물고기가 안 잡히는 게 더 생명의 위협이 느껴진다고 한다. 이렇게 자연인 생활을 하면서 전자기기인들 가질 리 없으니 호감도 100을 찍어도 플레이어에게 메세지가 오지 않는다.

나카야마 D가 푼 고우키 주수입원중 농담성으로 불법적인 게임에 참가하여 돈을 번다는 설정이 있다. #

야생이 배경인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서는 콜라보 퀘스트를 클리어 하면 금지된 땅 이곳저곳에 나타나서 자연인처럼 생활하거나 수련을 하는 고우키를 목격할 수 있다.

8.4. 기타

8.5. 복장의 설정에 대해

본 문서 최상단의 일러스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도복 위에 검은띠를 매지 않고 밧줄을 매고 다닌다. 하지만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에 처음 나왔을때는 , 켄 마스터즈에서 헤드 스왑으로 색깔과 머리만 바꾸고 몸통에 따로 밧줄 그래픽을 만들지는 않았기 때문에 게임상에서는 그냥 검은띠를 맨 것으로 보인다.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터보 HD 리믹스에서 새로 만든 캐릭터 그래픽에서는 밧줄을 매고 있다.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나 VS. 시리즈에서도 밧줄이 아니라 검은띠인건 마찬 가지인데 실제 게임 그래픽 상에서도 밧줄을 매고 나오게 된건 스트리트 파이터 3 세컨드 임팩트에서부터. 하지만 SVC CHAOS에서는 타사 작품이라 고우키가 밧줄을 매고 다닌다는 것을 일러스트레이터가 몰랐는지 캐릭터 일러스트에서도 검은 띠를 매고 있다. 재미난건 CAPCOM VS SNK 2 쪽인데, 신키로의 S/N/K 그루브 일러스트에서는 검은띠를, 니시무라 키누의 C/A/P 그루브의 일러스트에서는 밧줄을 매고 있다. CAPCOM VS SNK에서의 S/N/K 일러스트에서는 멀쩡하게 밧줄이었는데 이는 캡콤 측에서 신키로의 화풍을 흉내내 그린 것이기 때문.

신고 다니는 짚신[45]은 등장하는 작품들마다 있다가 없다가 한다. 첫 등장인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에서는 신고 나왔지만 스파 제로 시리즈 및 스파 제로 시리즈의 스프라이트를 유용한 크로스오버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및 플러스 알파 등에선 맨발이다가 다시 스트리트 파이터 3 세컨드 임팩트 이후부터 신고 나온다.

헤드 스왑 캐릭터라는 한계 때문인지 허리에는 밧줄, 발에는 짚신이라는 고전적인 복장인데 정작 손에는 , 켄 마스터즈와 비슷한 모던한 격투용 오픈핑거 글러브를 끼고 다닌다는 좀 언밸런스한 차림새를 하고 있었는데 헤드 스왑이 될 필요가 없어진 3D 작품인 스트리트 파이터 4[46]에서는 글러브 대신에 밧줄을 무에타이 선수들의 붕대처럼 묶고 다니는 것으로 디자인이 변경되어 보다 어울리는 모양새가 되었다.[47] 다만 웃기게도 게임 내 이미지나 선택 일러스트에서는 밧줄을 묶고 다니는 데 초기 스트리트 파이터 4슈퍼 스파 4/AE/Ver. 2012 & 울트라 스파 4의 공식 일러스트를 보면 여전히 오픈핑거 글러브를 끼고 있다. 다행히 마블 VS 캡콤 3 시리즈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의 일러스트에서는 밧줄로 변경되었다.[48]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style="max-width:350px;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break-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5em; margin:-6px -1px -11px"
파일:sf2_ryu.png파일:sf2_honda.png파일:sf2_blanka.png파일:sf2_guile.png파일:sf2_ken.png파일:sf2_chunli.png파일:sf2_zangief.png파일:sf2_dhalsim.png파일:sf2_bison.png파일:sf2_barlog.png파일:sf2_sagat.png파일:sf2_vega.png파일:sf2_hawk.png파일:sf2_feilong.png파일:sf2_cammy.png파일:sf2_deejay.png파일:sf2_gouki.png파일:sf2_evilryu.png파일:sf2_evilken.png파일:sf2_random.png
}}}}}}}}} ||
<rowcolor=#000,#fff>

{{{#!wiki style="max-width:490px; min-width: 350px;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break-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5em; margin:-6px -1px -11px"
히든 캐릭터
[[길(캡콤)|파일:sf3_gill.jpg
]]
[[알렉스(캡콤)|파일:sf3_alex.jpg
알렉스
]]
[[숀 마츠다|파일:sf3_sean.jpg
]]
[[이부키(캡콤)|파일:sf3_ibuki.jpg
이부키
]]
[[네크로(캡콤)|파일:sf3_necro.jpg
네크로
]]
[[유리안|파일:sf3_urien.jpg
유리안
]]
[[고우키|파일:sf3_gouki.jpg
고우키
]]
[[양(캡콤)|파일:sf3_yang.jpg
]]
[[트웰브(캡콤)|파일:sf3_twelve.jpg
트웰브
]]
[[마코토(캡콤)|파일:sf3_makoto.jpg
마코토
]]
[[춘리|파일:sf3_chunli.jpg
춘리
]]
[[Q(캡콤)|파일:sf3_q.jpg
Q
]]
[[레미(캡콤)|파일:sf3_Remy.jpg
레미
]]
[[윤(캡콤)|파일:sf3_yun.jpg
]]
[[켄 마스터즈|파일:sf3_ken.jpg
]]
[[휴고(캡콤)|파일:sf3_hugo.jpg
휴고
]]
[[엘레나(캡콤)|파일:sf3_elena.jpg
엘레나
]]
[[더들리(캡콤)|파일:sf3_dudley.jpg
더들리
]]
[[오로(캡콤)|파일:sf3_oro.jpg
오로
]]
[[류(캡콤)|파일:sf3_ryu.jpg
]]
}}}}}}}}} ||
<rowcolor=#fff>

{{{#!wiki style="max-width:700px; min-width: 350px;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1em; margin:-6px -1px -11px"
[[류(캡콤)|파일:sf5_ryu.png
]]
[[춘리|파일:sf5_cnl.png
춘리
]]
[[찰리 내쉬|파일:sf5_nsh.png
내쉬
]]
[[베가(캡콤)|파일:sf5_veg.png
베가
]]
[[캐미 화이트|파일:sf5_cmy.png
캐미
]]
[[버디(캡콤)|파일:sf5_brd.png
버디
]]
[[켄 마스터즈|파일:sf5_ken.png
]]
[[네칼리|파일:sf5_ncl.png
네칼리
]]
[[발로그(캡콤)|파일:sf5_blr.png
발로그
]]
[[레인보우 미카|파일:sf5_rmk.png
R. 미카
]]
[[라시드(캡콤)|파일:sf5_rsd.png
라시드
]]
[[칸즈키 카린|파일:sf5_krn.png
카린
]]
[[장기에프|파일:sf5_zgf.png
장기에프
]]
[[라라 마츠다|파일:sf5_lar.png
라라
]]
[[달심|파일:sf5_dsm.png
달심
]]
[[F.A.N.G|파일:sf5_fan.png
F.A.N.G
]]
이하 시즌 추가 캐릭터 (일레븐은 캐릭터 패스 / 프리미엄 패스 특전 보너스)
<colcolor=#fff>
시즌
1
[[알렉스(캡콤)|파일:sf5_alx.png
알렉스
]]
[[가일|파일:sf5_gul.png
가일
]]
[[이부키(캡콤)|파일:sf5_ibk.png
이부키
]]
[[마이크 바이슨|파일:sf5_bsn.png
M. 바이슨
]]
[[한주리|파일:sf5_jri.png
주리
]]
[[유리안|파일:sf5_urn.png
유리안
]]
시즌
2
[[고우키|파일:sf5_gok.png
고우키
]]
[[콜린(캡콤)|파일:sf5_kln.png
콜린
]]
[[에드(캡콤)|파일:sf5_ed.png
에드
]]
[[아비게일(캡콤)|파일:sf5_abg.png
아비게일
]]
[[메나트|파일:sf5_mnt.png
메나트
]]
[[제쿠|파일:sf5_zku.png
제쿠
]]
시즌
3
[[카스가노 사쿠라|파일:sf5_skr.png
사쿠라
]]
[[블랑카|파일:sf5_blk.png
블랑카
]]
[[팔케(캡콤)|파일:sf5_flk.png
팔케
]]
[[코디 트래버스|파일:sf5_cdy.png
코디
]]
[[G(캡콤)|파일:sf5_g.png
G
]]
[[사가트|파일:sf5_sgt.png
사가트
]]
시즌
4
[[카게나루모노|파일:sf5_kge.png
카게
]]
[[포이즌(캡콤)|파일:sf5_psn.png
포이즌
]]
[[에드먼드 혼다|파일:sf5_hnd.png
E. 혼다
]]
[[루시아 모건|파일:sf5_lca.png
루시아
]]
[[길(캡콤)|파일:sf5_gil.png
]]
[[세스(캡콤)|파일:sf5_sth.png
세스
]]
시즌
5
[[히비키 단|파일:sf5_dan.png
]]
[[로즈(캡콤)|파일:sf5_rse.png
로즈
]]
[[오로(캡콤)|파일:sf5_oro.png
오로
]]
[[카자마 아키라|파일:sf5_akr.png
아키라
]]
[[루크 설리반|파일:sf5_lke.png
루크
]]
[[일레븐(캡콤)|파일:sf5_elv.png
일레븐
]]
}}}}}}}}} ||
[1] 일본어에서는 '오' 모음 다음의 '우'는 장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외국어의 장음을 생략하는 한국에선 원래 '고키'가 맞는 표현이다.[2] 해외판. 아래 2.1 문단 참고.[alt] 귀신의 화신(鬼神権化)[4] 일본어 자막 영상, 한국어 자막 영상에서 발췌.[상세] -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지닌 극에 달한 기술들로 상대를 멸살한다.[6]고우켄의 생년월일도 샤돌루 격투가 연구소의 고우켄 캐릭터 도감에서 불명으로 나와서 대략적인 추측도 불가하다.[7] 베가와 더불어 1인 2역을 맡았었다. CAPCOM VS SNK 시리즈 부터 베가남코X캡콤을 제외하면 와카모토 노리오로 교체되었으나 고우키는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에서 타케토라로 교체되기 전까진 계속 니시무라 토모미치가 담당했다. 베가와 1인 2역을 맡는 작품에서는 일부 기합소리를 베가와 공유하기도 한다.[8]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 더블 어퍼까지 담당.[9] 스트리트 파이터 EX, 스트리트 파이터 EX 플러스 알파 까지 담당.[10] 스트리트 파이터 3 세컨드 임팩트, 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 까지 담당.[11] 엑스맨 VS 스트리트 파이터,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마블 VS 캡콤 2 까지 담당. 타츠노코 VS 캡콤 및 얼티밋 올스타즈 부터의 VS. 시리즈는 성우진이 고착화된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이후에 나왔기도 하고 마블 VS 캡콤 3 시리즈를 제외하면 고우키가 불참했기 때문.[CVS] CAPCOM VS SNK, CAPCOM VS SNK PRO, CAPCOM VS SNK 2 까지 담당.[13] 캡콤 파이팅 잼에서는 신 고우키로 맡았었다.[14] 스트리트 파이터 리얼 배틀 온 필름에서는 고우키 말고도 베가(M.바이슨, 독재자), 사가트를 맡았었다.[15] 흥미롭게도 두 성우 모두 용자 시리즈 제2작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지구용사 선가드)에서 각각 주인공 카토리 유우타로(파이버드)와 악역 드라이어스의 목소리를 맡았었다.[16] 스트리트 파이터 2의 TV판 애니메이션 작품인 스트리트 파이터 2 V에서 켄 마스터즈의 아버지를 잠깐 맡았었고, 1992년 12월 16일 발매된 드라마 CD 스트리트 파이터 2 복수의 전사(復讐の戦士)에서는 가일을 맡았었다. 그 밖에 뱀파이어 시리즈의 드라마 CD 작품들 중 하나인 뱀파이어 헌터 다크니스 미션~ 특선 버터 간장 맛에서는 드라마 내에 나레이션도 맡았었다. CAPCOM VS SNK 시리즈[49], SVC CHAOS,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및 이후 작품들에서의 베가의 일본어 음성 성우이기도하다.[17] 애니메이션 주먹왕 랄프,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에서도 를 담당했다.[18] 2017년 11월 22일, 12월 4일에 4Gamer.net에서 나온 발키리 커넥트,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콜라보 관련 기사 1, 2에서 발췌.[A] [20]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본토인 일본어 음성 느낌이 나는 목소리가 아니라고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며, 고우키의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TEPPEN에서의 영어 음성 성우인 리처드 엡카 또한 호불호가 갈린다.[21] #[22] 이 때문인지 김갑환도 고우키를 보고 악인이라 판단하긴 했으나, 구제의 여지조차 없다고 평가한 베가와 달리 고우키에겐 구제의 여지가 있다는 식으로 이야기한다. 그나마 6편에서는 엘레나 등 다른 인물들과의 교류를 통해 약자를 바라보는 눈을 가지게 되었다니 다행일지도?[23] 그럴 경우에는 극대노하여 사정봐주지 않고 작살내거나 죽여버린다.[24] 포켓 파이터 인트로에서 수행 장소로 쓰고 있던 무인도에 유원지가 세워지자 찾아온 손님이나 유원지 관계자에게 해코지를 하지 않고 쿨하게 다른 수행 장소를 찾으러 떠났다.[25] 심지어 살의의 파동에 눈 뜬 이후에도 고우테츠가 관련 기술을 엄격히 금지시키자 그의 앞에서만큼은 일단 따르는 모습을 보여줬고, 승부 끝에 사부를 죽이고 형에게 빈사상태에 이를 중상을 입히긴 했지만, 이들 모두 승부 자체에 스스로 죽을 각오로 나섰으며 이들도 승부를 순수하게 즐겼다.[26] 이 중 백귀습은 형 고우켄도 사용하는 기술로 나온다.[27] 단, 이쪽은 고우키가 살의의 파동에 완전히 지배당한 설정이라 애매하다.[28] 예를 들어, 샤돌루의 총수 베가를 베가 님이라고도 부르지만 빈슨 장군이라고 해도 통하는 것 등이다.[29] 머리가 일부 흰머리로 세월의 흐름이 느껴지는 고우키 일러스트도 몇몇 있다.[30] 스트리트 파이터 4의 공식 일러스트 2,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일러스트 둘 다 똑같이 고우키의 고유기술이자 특수기로 유명한 천마공인각을 사용하고 있다.[31] 샤돌루 격투가 연구소의 고우키 캐릭터 도감에서 보여준 복장이며 스파 5 시리즈에서의 전투복 복장으로 어레인지 되어서 등장한다.[32] 오버워치시마다 겐지의 성우로 유명하다.[33] 참고로 조이 엔사는 해당 영화의 감독이기도 하다.[34] 강에 파동권을 쏴 물고기를 잡는다.[35] 멸살호파동은 아니다. 일본어 대사가 '메츠...하도켄!'이고 자막도 '멸... 파동권!'이다. 멸살호파동이면 발음은 '메사츠고하도'이다.[36] 원본 순옥살이 대대로 무적시간이 나빴다는 걸 생각하면 미묘하다. 이때는 초기 스트리트 파이터 5 발매 전이라 순옥살의 형태가 고우키가 고우테츠에게 근접하자 몸 주변의 붉은 오라가 고우테츠를 감싸고 고우테츠의 몸이 하얀 빛에 휩싸이면서 고우테츠의 비명이 들린다.[37] 정말로 둘에게 위해를 가하려 했다기 보다는 싸움을 거부하는 고우켄을 자극하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38] 왜 굳이 天 자였느냐 하면, 사랑했던 사야카가 고우키에게 직접 써준 글귀가 바로 하늘 天이었기 때문.[39] 제로 시리즈 기준 고우키가 51세였다고 하니 현 시점에선 백발이 되고도 남았다.[40] 시간 순서상으로 5-3-6 순서이다.[41] 아이러니하게도 마블 코믹스울버린SNK 사이드의 야가미 이오리는 고우키와 마찬가지로 등장하는 대전 격투 게임들마다 대부분 만년 강캐 성능을 자랑하는 캐릭터들로 악명 높다.[42] 그도 그럴게 앞서 나온 울버린이나 야가미 이오리는 성격이나 컨셉 탓에 라이벌 관계가 보이는거지만 고우키는 애초에 최종보스급 최강자이다보니.... 거기에 울버린과 이오리는 보스 캐릭터라기 보다는 주인공급 라이벌 캐릭터에 가까운 캐릭터들이다.[43] 멜티블러드 타입 루미나에 세이버가 참전한 이유를 “마키히사 공과의 약속을 지키러”로 왜곡한다든가.[44] 엔딩에서 고우키의 목에 팔을 두르고 셀카를 찍는 미친 친화력을 보여줬다.[45] 셋타(雪馱)라고 불리는 일본 전통의 짚신이다. 조리의 일종.[46] 다만 같은 3D 작품이라도 스트리트 파이터 EX 및 플러스 알파에서는 원판인 스파 2 시리즈의 재현 차원에서였는지 오픈 핑거 글러브였다.[47] 실제 대마나 마로 짠 밧줄은 글러브나 기타 장구가 없었던 전근대 시대에는 경기 때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현대의 핸드랩(붕대)처럼 손에 촘촘히 감는 식으로 경기에 쓰였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입식 격투기들인 무에타이의 노 글러브 버전인 촉무아이나 복싱의 전신인 퓌그마키아에서는 흔했던 일이라 사료나 예술 작품으로도 나와있는 방식. 현실적으로 봐도 과일 정도 팔아 입을 것 먹을 것 겨우 챙겨다니는 고우키에게 오픈 핑거 글러브라는 물건은 내구도는 그렇다치고 세탁이나 관리, 정비가 너무 어려운 물건이지만 밧줄은 한 다발 챙겨다니기만 하면 언제든 손에 감을 수도 있고 세탁도 필요없으며 여차하면 자연에서 섬유를 추출하여 직접 꼬아도 되는 채집성, 보관성 만땅의 물건이므로 고증에도 맞다.[48] 다만 어디까지나 캐릭터성에 비해 아쉽다. 일뿐 고우키는 류나 켄과 같은 격투술을 사용하기에 그들이 사용했던 장비를 쓴다해도 설정 상 문제는 없으며 실제로 스트리트 파이터6의 과거복장인 아웃핏2는 오픈핑거 글러브를 착용하고 있다. 단, 위의 지적들이 반영된것인지 비교적 깔끔한 류나 켄의 글러브에 비해 오래되어 변색된듯한 색감과 질감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