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08:30:48

고흥군

흥양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54aa5><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고흥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군청
고흥읍
도양읍 }}}
과역면 금산면 남양면 대서면 도덕면
도화면 동강면 동일면 두원면 봉래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영남면 점암면 포두면 풍양면 }}}
}}}}}}}}} ||
전라남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高興郡
Goheung County
}}}
<colbgcolor=#254aa5><colcolor=#fff> 군청 소재지 고흥읍 고흥군청로 1 (등암리)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2 14
면적 807.39㎢
인구 60,190명[1]
인구밀도 74.55명/㎢[2]
군수
파일:zsdkl3gasdg.svg
공영민 (초선)
군의회
파일:zsdkl3gasdg.svg
11석[3]

1석[4]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2석[5]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문금주
상징 <colbgcolor=#254aa5><colcolor=#fff> 군화 동백꽃
군목 유자나무
군조 비둘기
지역번호 061
홈페이지 www.goheung.go.kr
SNS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리
3.1. 반도3.2. 기후
4. 교통5. 경제
5.1. 산업5.2. 금융
6. 관광
6.1. 특산물
7. 교육8. 군청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기타13.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의 동남부에 있는 군.

한센병으로 유서깊은 국립소록도병원이 소록도에 위치해 있다. 가보면 당시 한센인들의 처참했던 생활상을 볼 수 있다. 과거 수용 인구가 수천 명이었던 시절도 있었으나 현재는 1,000명 이하의 환자들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오후 5시까지만 입장이 되니 참고할 것. 2009년에 소록대교가 완공되어, 지금은 버스로도 방문할 수 있다. 그 전에는 편도 500원인 배를 타고 들어갔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예하 나로호누리호의 발사기지인 나로우주센터가 봉래면의 외나로도에 있으며, 국내 최초로 민간항공기와 드론에 대한 시험비행평가 및 인증평가를 진행하는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이 고흥만에 위치하여 사천시와 함께 항공우주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경남 사천, 진주에 비하면 우주항공산업이 절대적으로 약세이다. 발사기지나 청소년 수련시설인 동일면 내나로도국립청소년우주센터(NYSC) 외 아무런 우주항공시설이 없다. 다만 3차례의 발사를 통해 전국적으로 나로우주센터가 알려졌기 때문에 군에서 홍보를 한다.

2. 역사

마한의 땅이었던 고흥은 삼국시대백제에 정복된 이후 조조례현(助助禮縣, 남양면), 두힐현(豆肹縣, 두원면), 비사현(比史縣, 동강면)의 세 현이 설치되었다.

남북국시대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 전국 지명의 한화(漢化, 고대 한국어 지명을 한문식으로 바꿈) 정책이 시행되면서 조조례현은 충렬현(忠烈縣)으로, 두힐현은 강원현(薑原縣)으로, 비사현은 백주현(柏舟縣)으로 바뀌었다.

고려 초기에는 '고양이 부곡'이라는 뜻의 고이부곡(高伊部曲) 또는 '묘부곡(猫部曲)'이라 불리다가, 1285년 고흥현(高興縣)으로 개칭되어 '고흥'이라는 명칭이 최초로 등장하였다. 이때 고흥반도에는 고흥 이외에 두원, 남양, 태강 등 수많은 속현과 부곡이 뒤섞여 있었다.

조선 초기에 고흥반도에 왜구가 들끓어 잠시 현재의 보성군 조성면[6]으로 관아를 옮겼다가(고흥반도는 잠시 보성군에서 관할하게 된다), 1441년에 고흥반도로 복귀하고 흥양현(興陽縣)으로 개칭하여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흥양'이라 불렸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고흥군(高興郡)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흥양'의 일본어 발음이 '코요'라, 같은 도의 광양과 혼동되어 바꾼 것으로 보인다.[7]

1896년 돌산군의 성립으로 거금도, 나로도, 거문도, 초도 등 부속도서를 돌산군에 내주었다가, 1914년 돌산군이 다시 여수군과 통합되는 과정에서 거금도, 나로도 등이 고흥으로 돌아왔다. 거문도, 초도 등은 그대로 여수군에 잔류하여 현재 여수시 삼산면 소속이다. 동시에 보성군 남면(현 벌교읍)의 일부를 가져왔다. 1973년 도양면이 도양읍으로, 1979년 고흥면이 고흥읍으로 승격되었다. 원래 낙안군 땅이었다가 돌산군에 편입되고, 돌산군 폐군 때 고흥으로 넘어온 장도는 1983년에 보성군 벌교읍으로 편입되어 제자리를 찾았다. 1989년 산내면이 영남면으로 개칭되었다.

3. 지리

3.1. 반도

북쪽으로 보성군, 서쪽으로는 장흥군 동쪽으로는 여수시와 접해있다. 인구밀도가 낮은 전라남도에서 또 돌출되어 있는 반도 지형인 데다가 군 자체 면적도 큰편이다. 억소리가 절로 나올 정도로 상당히 광활해서[8][9] 타 도시로의 이동이 매우 불편하다. 고흥군 밖에서 가장 가까운 읍내보성군 벌교읍까지 나가는 데만 해도 약 30km다. 순천까지는 약 53km. 또한 27번 국도를 타고 고흥 초입인 동강면에서 도양읍까지 이동하는데 그 거리만 도로 기준으로 47km이다. 저 정도의 거리면 오산에서 서울까지의 직선거리에 달한다. 그래서 인구 유입은 거의 없는 반면 인구 유출은 상당하다. 특히 대학이 없고 일자리도 부족하기 때문에 젊은 인구의 유입이 드물며, 고령화율이 3명 중 1명 꼴인 36.7%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최고를 기록했다.[10] 그나마 예전부터 인구가 많아서 지금도 주변 군들에 비해선 인구가 많은 편이다.

반도 지형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2020년 초까지만 해도 육로로 고흥군에 가려면 반드시 보성군을 거쳐야 했다. 특히나 거의 대부분 벌교읍을 거치게 된다. 그래서 고흥과 벌교는 교류가 많은데, 일례로 고흥군 학생들 사이에서 벌교고의 인기가 상당히 많아서, 벌교고 학생 3할이 고흥군 출신인 적도 있었다. 거기에 2014년 말에는 고흥 출신 벌교고 학생이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 수시 합격했다는 현수막이 보성군 전역에 걸린 바가 있다. 다만 2015년에는 고흥고가 거점고로 지정되면서 학생들을 많이 끌어모았다고 한다.

3.2. 기후

남부지역이라 기온은 따뜻하지만 바다가 가까워 바람이 습해 차다. 그 때문에 실제 기온은 영상인데 체감온도가 영하를 찍는 날이 많다. 또한, 바다가 가까워 눈이 오는 날이 드물다. 눈이 오면 그날로 고흥은 아비규환. 실제로 2004년 1월 고흥읍 모 고등학교에서 겨울방학 보충학습 중 타지에서 출근을 하던 교사들이 아침에 내린 눈으로 출근을 못 하여 학생들이 5교시까지 자율학습만 하고 가던 일도 있었다. 사실 윗동네인 보성만 해도 눈 왔다 하면 선생님들이 못 내려간다.

옹진처럼 태풍이 자주 상륙하는 곳이기도 하다. 남쪽을 향해 있는데다 한반도 남해안에 위치해 있어 위도도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1987년의 셀마, 2002년의 루사, 2007년의 나리 따위의 강력한 태풍이 상륙한 적이 많다.

==# 인구 #==
파일:고흥군 CI.svg 전라남도 고흥군 인구 추이[11]
(1957년~현재)
1957년 195,342명
1958년 200,364명
1959년 204,589명
1960년 209,191명
1961년 210,531명
1962년 221,424명
1963년 227,190명
1964년 230,530명
1965년 232,523명
1966년 234,623명
1967년 236,311명
1968년 237,223명
1969년 238,135명(정점)
1970년 228,879명
1971년 229,248명
1972년 231,680명
1973년 231,236명
1974년 230,017명
1975년 217,583명
1976년 219,649명
1977년 216,690명
1978년 211,273명
1979년 203,596명
1980년 191,607명
1981년 189,627명
1982년 186,317명
1983년 2월 15일 고흥군 동강면 장도리 → 보성군 벌교읍 편입
1983년 179,623명
1984년 173,796명
1985년 160,857명
1986년 159,519명
1987년 156,012명
1988년 150,868명
1989년 148,293명
1990년 134,280명
1991년 134,924명
1992년 126,916명
1993년 121,864명
1994년 117,080명
1995년 112,399명
1996년 108,148명
1997년 104,513명
1998년 103,275명
1999년 102,591명
2000년 101,171명
2001년 95,960명
2002년 92,715명
2003년 91,649명
2004년 86,907명
2005년 84,023명
2006년 81,361명
2007년 78,952명
2008년 77,032명
2009년 75,573명
2010년 74,375명
2011년 73,120명
2012년 72,152명
2013년 71,259명
2014년 70,392명
2015년 69,391명
2016년 68,469명
2017년 67,631명
2018년 66,757명
2019년 65,972명
2020년 64,923명
2021년 63,711명
2022년 63,263명
2023년 61,113명
2024년 12월 60,1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흥읍 12,425명
도양읍(본청) 9,369명
포두면 4,548명
금산면 4,008명
도화면 3,584명
과역면 3,042명
동강면 2,893명
풍양면 2,879명
두원면 2,824명
도덕면 2,713명
점암면 2,528명
남양면 2,156명
대서면 2,091명
봉래면 1,814명
동일면 1,408명
영남면 1,195명
도양읍 소록출장소 522명
도양읍 시산출장소 191명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

1969년 기준 238,135명을 기록하면서 해남보다 인구가 많아 정점에 달하던 시절도 있었으며[12] 한때는 모든 읍면이 1만 명을 넘겼다. 그 중 금산면·점암면·포두면 등은 2만 명 정도에 근접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촌향도의 여파는 고흥군도 피할 수 없어 1970년 23만명 선이 잠깐 무너졌다가 회복하였고, 이후로도 조금씩 감소하며 1975년 23만 명과 22만 명 선이 무너지긴 하였으나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20만 명을 넘겼다. 그러나 이후 급감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13] 15만 명 선이 무너졌고, 이후로도 계속하여 감소하면서 2001년 95,960명을 기록하면서 10만 명 선 붕괴, 이후로는 조금씩 줄어들며[14] 2015년 외국인 인구를 포함하여도 69,391명을 기록하면서 6만 명 선으로 내려왔고, 2024년 10월 기준으로 60,332명을 기록하면서 1966년의 ¼ 수준으로 인구가 감소했다. 물론 군청에서는 2030년 인구 10만 달성을 목표로 고속도로와 철도 확충, 우주와 드론산업 유치, 정주여건 개선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현실은 냉혹하기 그지없어 전남 대다수의 시군과 마찬가지로 행정안전부 지정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되어 있으며 전국 시군구 중 고령화비율 2위(43%)를 차지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고, 아예 인구 6만명대도 위협받고 있다.

===# 읍면별 인구[15] #===
파일:고흥군 CI.svg 고흥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618명
1970년 17,643명
1975년 17,659명
1979년 5월 1일 고흥군 고흥면 → 고흥읍 승격[16]
1980년 16,576명
1985년 15,436명
1990년 14,622명
1995년 14,344명
2000년 14,869명
2005년 13,551명
2010년 12,838명
2015년 12,565명
2020년 12,523명
2024년 12월 12,42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도양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금산면 소록리·오마리 → 도양면 편입
1966년 34,727명
1970년 32,407명
1973년 7월 1일 고흥군 도양면 → 도양읍 승격
1975년 34,169명
1980년 31,683명
1983년 2월 15일
도양읍 도덕출장소 → 도덕면 승격 분리
풍양면 시산출장소(시산리) → 도양읍 편입
금산면 신촌리 일부[편입지1]도양읍 봉암리 편입
1985년 22,108명
1990년 22,285명
1995년 16,559명
2000년 15,697명
2005년 13,296명
2010년 11,900명
2015년 11,247명
2020년 10,662명
2024년 12월 9,3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풍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봉래면 시산리 → 풍양면 편입
1966년 17,463명
1970년 16,158명
1975년 14,903명
1980년 12,657명
1983년 2월 15일 풍양면 시산출장소(시산리) → 도양읍 편입
1985년 9,446명
1990년 7,367명
1995년 6,686명
2000년 5,789명
2005년 4,607명
2010년 3,872명
2015년 3,536명
2020년 3,155명
2024년 12월 2,8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도덕면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도양읍 도덕출장소 → 도덕면 승격 분리
1985년 8,555명
1990년 7,762명
1995년 5,927명
2000년 5,083명
2005년 4,050명
2010년 3,507명
2015년 3,229명
2020년 2,960명
2024년 12월 2,7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고흥군 CI.svg 금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금산면 소록리·오마리 → 도양면 편입
1966년 20,314명
1970년 21,224명
1975년 20,342명
1980년 17,662명
1983년 2월 15일 금산면 신촌리 일부[편입지1] → 도양읍 봉암리 편입
1985년 14,607명
1990년 11,866명
1995년 8,915명
2000년 7,458명
2005년 5,957명
2010년 5,082명
2015년 4,833명
2020년 4,345명
2024년 12월 4,0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도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봉래면 지죽리 → 도화면 편입
1966년 16,481명
1970년 15,705명
1973년 7월 1일 봉래면 사양리 일부[편입지2]도화면 사덕리 편입
1975년 15,646명
1980년 14,786명
1985년 11,877명
1990년 10,384명
1995년 8,003명
2000년 6,892명
2005년 5,594명
2010년 4,779명
2015년 4,283명
2020년 3,893명
2024년 12월 3,5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포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봉래면 오취리 → 포두면 편입
1966년 19,741명
1970년 18,575명
1975년 18,783명
1980년 16,478명
1985년 13,481명
1990년 10,588명
1995년 9,544명
2000년 8,137명
2005년 6,736명
2010년 5,975명
2015년 5,412명
2020년 4,954명
2024년 12월 4,54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봉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봉래면 시산리 → 풍양면 편입
봉래면 지죽리 → 도화면 편입
봉래면 오취리 → 포두면 편입
1966년 16,825명
1970년 16,676명
1973년 7월 1일 봉래면 사양리 일부[편입지2] → 도화면 사덕리 편입
1975년 15,675명
1980년 13,651명
1985년 11,394명
1990년 7월 1일 봉래면 내도출장소 → 동일면 승격 분리
1990년 4,811명
1995년 3,782명
2000년 3,442명
2005년 2,830명
2010년 2,283명
2015년 2,107명
2020년 1,905명
2024년 12월 1,8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점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1,249명
1970년 20,093명
1975년 19,120명
1980년 15,424명
1985년 12,211명
1986년 4월 1일 점암면 양사출장소 → 산내면 승격 분리
1990년 6,278명
1995년 5,414명
2000년 4,725명
2005년 3,637명
2010년 3,196명
2015년 2,904명
2020년 2,651명
2024년 12월 2,5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과역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178명
1970년 13,377명
1973년 7월 1일 과역면 도천리 일부[편입지3] → 남양면 남양리 편입
1975년 12,316명
1980년 10,421명
1985년 8,964명
1990년 6,911명
1995년 6,428명
2000년 5,770명
2005년 4,701명
2010년 4,055명
2015년 3,633명
2020년 3,316명
2024년 12월 3,0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남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945명
1970년 12,563명
1973년 7월 1일 과역면 도천리 일부[편입지3]남양면 남양리 편입
1975년 10,595명
1980년 9,226명
1985년 7,182명
1990년 5,453명
1995년 4,608명
2000년 3,978명
2005년 3,240명
2010년 2,760명
2015년 2,547명
2020년 2,319명
2024년 12월 2,1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동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385명
1970년 14,399명
1975년 13,365명
1980년 11,293명
1983년 2월 15일 고흥군 동강면 장도리 → 보성군 벌교읍 편입
1985년 8,515명
1990년 6,328명
1995년 5,762명
2000년 5,282명
2005년 4,298명
2010년 3,822명
2015년 3,402명
2020년 3,117명
2024년 12월 2,89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대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788명
1970년 11,941명
1975년 11,001명
1980년 10,330명
1985년 7,974명
1990년 5,458명
1995년 4,851명
2000년 4,206명
2005년 3,451명
2010년 2,816명
2015년 2,541명
2020년 2,300명
2024년 12월 2,0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두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873명
1970년 14,304명
1975년 13,856명
1980년 11,452명
1985년 9,107명
1990년 6,505명
1995년 6,120명
2000년 5,070명
2005년 4,089명
2010년 3,685명
2015년 3,356명
2020년 3,066명
2024년 12월 2,8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고흥군 CI.svg 영남면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4월 1일 점암면 양사출장소 → 산내면 승격 분리
1989년 4월 1일 고흥군 산내면 → 영남면 개칭
1990년 3,564명
1995년 2,691명
2000년 2,236명
2005년 1,822명
2010년 1,605명
2015년 1,415명
2020년 1,275명
2024년 12월 1,1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00명
파일:고흥군 CI.svg 동일면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7월 1일 봉래면 내도출장소 → 동일면 승격 분리
1990년 4,112명
1995년 2,690명
2000년 2,355명
2005년 1,971명
2010년 1,749명
2015년 1,591명
2020년 1,481명
2024년 12월 1,4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00명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흥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철도는 없다. 철도 불모지/대한민국 참고. 대신 국도고속도로, 해상교통이 갖추어져 있다. 민선 6~7기부터 우주산업을 적극적인 유치를 통해 광주고흥고속도로, 벌교-녹동간 고흥우주선(가칭)철도, 도양-득량도-장흥간 연륙교등을 통해 획기적인 변화를 주게 될것으로 전망된다.

77번 국도 고흥 - 여수 연도교 개통으로 여수 접근성이 나아지긴 했으나, 고속화된 15번 국도에 비해 선형이 훨씬 구불구불하여 고흥읍내 - 여수시내는 기존처럼 벌교 - 순천까지 돌아가는 게 더 빠르다고 안내된다.

5. 경제

파일:전남지역별GRDP.png
전통적인 농업 지역으로서 농업과 수산업이 주산업을 이루고,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하는 3차산업의 비중도 차츰 커지고 있다. 또한 2009년 봉래면 외나로도나로우주센터가 건립되어 우주산업의 전진기지가 되었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2018년을 기준하여 1조 3559억 원으로 전남 전체 GRDP의 1.8%를 차지하여 도내 22개 시·군 가운데 12번째에 해당한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의 비중은 농림어업(3350억 원)이 25.8%로 가장 크고, 이밖에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19.4%),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10.7%), 제조업(8.8%), 건설업(7.7%), 금융·보험업(6.6%), 교육서비스업(5.6%), 도소매업(4.7%) 등의 순이다.

2018년을 기준하여 사업체 수는 5233개로 전남 전체 사업체의 3.3%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9번째로 비중이 크다. 사업체별로는 도소매업체(1600개)가 30.6%로 가장 많고, 이밖에 숙박·음식점업체(18.8%),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체(12.1%), 제조업체(11.3%), 운수업체(6.5%) 등의 순이다. 전체 사업체의 절반 이상이 고흥읍(31.7%)과 도양읍(22.9%)에 분포하고, 개인 사업체가 약 76%, 종사자 5인 미만의 영세업체가 약 85%를 차지한다. 사업체 종사자는 2만 156명으로 전남 전체 종사자의 2.7%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10번째에 해당한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 종사자(3326명)가 16.5%로 가장 많고, 이밖에 제조업(16.4%),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13.2%), 건설업(10.2%), 숙박·음식점업(10.1%) 등의 순이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고흥 유자, 한우, 석류, 마늘, 미역, 다시마, 이 등록되어 있다. 총 7품목으로 전국 최다이다.

5.1. 산업

수산업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수산업은 예로부터 농업과 더불어 고흥 주민들의 중요한 생활 기반이며, 1970년대 초반까지 고흥반도 연안 곳곳에 염전이 분포하여 소금을 생산하였으나 지금은 모두 농경지로 바뀌었다. 어로(漁撈) 활동의 기반인 어항(漁港) 시설은 녹동항·발포항·시산항·여호항·오천항·풍남항 등 국가어항 6개소와 동봉항·명천항·죽도항을 비롯한 지방어항 17개소, 구룡항·남당항·은전항을 비롯한 소규모 어항 120여 개소 등이 조성되어 있다.

2018년을 기준하여 어가(漁家) 및 어가 인구는 해수면어업 4380가구 9240명으로 군 전체 인구의 약 14%를 차지한다. 보유 어선은 동력선 3280척과 무동력선 6척이며, 총 톤수는 9283t으로 5t 미만의 소형이 약 88%를 차지한다. 수산물 어획고는 해조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금산면과 도양읍을 중심으로 해조류 양식어업이 이루어진다. 주요 수산물은 미역·다시마·김·매생이·굴·꼬막·낙지·붕장어·삼치·서대·전어 등이며, 특히 미역·다시마·김과 굴은 지리적표시 수산물로 등록되어 있다.

고흥 북부 해안가를 중심으로 꼬막이 생산되며, 이 꼬막들이 고개 너머 벌교로 건너가서 벌교꼬막이란 이름을 달고 팔리고 있다. 장도가 고흥에 있었을 적에는 거의 이름만 벌교꼬막이고 대부분의 물량을 고흥에서 책임졌지만, 장도를 벌교에 넘겨준 뒤로는 보성 관내에서 생산되는 진짜 벌교 꼬막이 비교적 늘어났다.

농업은 2018년을 기준하여 경지면적은 2만 1017ha로 전남 전체 경지면적의 7.2%를 차지하여 해남군·영암군·나주시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논밭의 비율은 논(1만 3745ha)이 65%를 웃돌아 미곡 중심의 식량작물 재배가 우세하며, 포두면의 장수저수지를 비롯하여 관내 곳곳에 조성된 270여 개소의 저수지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농가 인구는 1만 2097가구 2만 3206명으로 군 전체 인구의 약 35%를 차지하고, 전남 전체 농가 인구의 7.6%를 차지하여 순천시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2018년 식량작물 생산량은 7만 559t, 미곡 생산량은 6만 5060t으로 모두 도내에서 해남군·영암군 다음으로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를 비롯하여 채소류의 오이·토마토·양파·마늘, 과실류의 유자·석류·참다래 등이 있다. 특히 유자·석류·마늘은 지리적표시 농산물로 등록된 특산물이며, 동강면 등 5개 면의 26만여㎡ 면적이 고흥웰빙유자석류특구로 지정되어 있다. 2018년 농업을 포함한 농림어업의 부가가치는 전남 농림어업 총부가가치의 6.5%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해남군·신안군·무안군·나주시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남부 지방에 위치해 있어 온난한 기후를 띠며 이를 이용한 농업이 크게 발달했다. 우선 두 말할 것 없이 유자가 가장 유명하다. 고흥의 유자는 일본과 중국에 대부분 수출되며 내수는 적다. 고흥 = 유자라는 공식이 심해져서 해남이나 완도 등지에서 자란 유자가 고흥농협에서 거래되기도 한다. 다만 유자 재배가 너무 힘들어 재배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석류의 인기에 따라 재배가 늘어나고 있다. 석류는 원산지가 이란이며 조선 초기에 들어왔다. 일반적으로 신맛이 나는 석류와 단맛이 강한 종자가 있으며 특별히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귤류도 재배하여 일본에서 들여온 부지화가 제주도에서 한라봉이라는 브랜드로 팔리는데, 고흥에서는 하나봉이라는 이름으로 재배/판매한다. 마지막으로, 고흥 북부,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마늘이 유명하다. 최근에는 기존 한국에서 재배하지 않던 작물에도 눈을 돌렸는데, 커피가 그 예시이다. [23]

임·축산업은 2015년을 기준하여 산림면적은 4만 6034ha로 군 전체 면적의 57%를 웃돌고, 전남 전체 산림면적의 6.7%를 차지하여 순천시·화순군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임상(林相)별로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입목지가 96.2%(4만 4328ha)를 차지한다. 주요 임산물은 취나물·고려엉겅퀴(곤드레)·더덕·작약·시호·떫은감·표고버섯 등이다. 특히 취나물(185만 7000㎏)은 국내 생산량의 25%를 차지하여 전국 시·군 가운데 가장 많으며, 작약(9만 7147㎏)은 전국 생산량의 9.2%를 차지하여 영천시·영주시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축산업은 한육우·젖소·돼지·닭 등 주요 축종의 가구당 사육 마릿수가 늘어나는 규모화·전업화의 경향이 나타난다. 2020년을 기준하여 한육우는 1420가구(농장)에서 3만 5137마리(가구당 약 25마리)를 사육하고, 젖소는 34가구 1649마리(가구당 약 49마리), 돼지는 21가구 4만 3211마리(가구당 약 2058마리), 닭은 961가구 75만 5075마리(가구당 약 786마리)를 사육한다. 한육우는 포두면·동강면, 젖소는 동강면·도화면·포두면·대서면, 돼지는 포두면·두원면, 닭은 두원면·도화면·남양면의 사육 비중이 크다. 유자발효생균제를 활용한 첨가제 등을 사료로 하여 사육한 한우가 특산물로 꼽히며, 2012년 '고흥한우'라는 명칭의 지리적표시 축산물로 등록되었다.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가 주류를 이룬다. 2018년을 기준하여 제조업체 수는 591개로 전남 전체 제조업체의 4.2%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11번째에 해당한다. 업종별로는 식료품 제조업체(322개)와 산업용 기계·장비 수리업체(85개)가 약 69%를 차지한다. 농공단지로는 풍양면의 풍양농공단지와 동강면의 청정식품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밖에 동강면의 동강특화농공단지, 대서면의 대서농공단지, 고흥읍의 고흥무인항공영농기술특화농공단지 등이 조성되고 있다. 2018년 제조업의 부가가치(1138억 원)는 전남 제조업 총부가가치의 0.5%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15번째에 해당한다.

전라남도에서도 남동쪽 끝에 혼자 크게 툭 튀어 나와 있는지라 교통이 불편했던 편으로, 때문에 제조업 기반이 거의 발달하지 못하였다. 동강면에 동강농공단지, 풍양면에 풍양농공단지가 있는 게 전부이며, 도양농공단지와 대서농공단지는 조성이 지지부진하다. 군 지역 농공단지 특성상 식품 관련이 많으며, 풍양면에는 석재가공 공장이 제법 있다.

간척지는 드넓은데 시골이라 사람이 없다는 점을 활용해 드론 관련 산업을 육성하려고 하고 있다. 고흥읍내에서 서쪽으로 산을 넘으면 고흥만 간척지가 있는데 이곳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있으며, 국가비행시험장도 존재한다.# 그리고 항공센터, 우주항공첨단소재센터, 드론지식산업센터 등이 있는지라 이를 토대로 드론 산업을 육성하려고 시도 중이다.# 또한 알다시피 누리호를 발사한 나로우주센터가 고흥에 위치해 있어 고흥에서는 발사체클러스터를 조성하려고 시도를 한 끝에 마침내 봉래면 외나로도 신금·예내·외초리 일원고흥 우주발사체 국가산단 유치 성공으로 이어져 2030년까지 3800억 원을 들여 173만㎡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또한 무인항공 특화농공단지와 영남면에 대규모 복합 관광단지도 조성 중이다. 한때 도양읍에 일반산단을 만들려 했던적은 있지만 여러가지 사정으로 무산되었다.

5.2. 금융

고흥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고흥우체국 (17)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광주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고흥농협 (2) 팔영농협 (7) 녹동농협 (4) 두원농협 (3)
흥양농협 (5) 풍양농협 (2) 거금도농협 (2) 고흥축협 (3)
수산업협동조합
고흥군수협 (5) 나로도수협 (1)
새마을금고
고흥새마을금고 (3) 녹동새마을금고 (2)
우주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녹동신협 (2) 포두신협 (1)
산림조합
고흥군산림조합 (1)

6. 관광

전남 남해안이 그렇듯 수려한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때문에 관광산업 역시 시동을 걸고 있으며 유명 관광지로 소록도, 팔영산, 나로우주센터 등이 있다.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대규모 리조트 조성을 시도중이기도 하다.[26]

6.1. 특산물

7. 교육

파일:고흥군 CI_White.svg 전라남도 고흥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고흥동초등학교 과역초등학교 금산초등학교 남양초등학교
남양초등학교우도분교장 녹동초등학교 녹동초등학교소록도분교장 녹동초등학교시산분교장
대서초등학교 도덕초등학교 도화초등학교 동강초등학교
두원초등학교 백양초등학교 봉래초등학교 영남초등학교
점암초등학교 포두초등학교 풍남초등학교 풍양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흥군 CI_White.svg 전라남도 고흥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흥과역중학교 고흥남양중학교 고흥대서중학교 고흥도덕중학교
고흥도화중학교 고흥백양중학교 고흥여자중학교 고흥점암중학교
고흥중학교 고흥풍양중학교 금산중학교 녹동중학교
동강중학교 봉래중학교 포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흥군 CI_White.svg 전라남도 고흥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고흥고등학교 고흥도화고등학교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고흥영주고등학교 녹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 군청

파일:2018030701000633000024301.jpg
파일:external/www.gwangnam.co.kr/17_173722.jpg
고흥군청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고흥군청로 1(등암리 186-10)
옛 고흥군청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흥양길 40(옥하리 200-2)

과거 군청 자리는 1441년(조선 세종 23) '흥양현(興陽縣)' 시절부터 관아로 사용한 것을 일제강점기 이후로도 썼으며, 위 사진의 옛 청사 건물은 1985년에 건립했다. 하지만, 군 규모에 비해서 비좁은 면[27]이 있어서 남계택지개발지구를 조성했던 등암리 현 위치에 신청사를 건립, 2018년 3월 6일에 군청을 이전했다.

이전한 이후 옛 군청 부지는 건물을 철거했으며, 같이 자리한 옛 관아 건물을 활용한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흥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예비군훈련장이 고흥읍 행정리에 있다. 그 외에 별다른 시설은 없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흥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13. 출신 인물

경상북도 의성군처럼 인구가 많았던 지역이라 그런지 유명한 인물들도 많이 나온 편이다.
[1] 2024년 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2월 기준.[3] 고흥군 가선거구 (고흥읍, 두원면, 영남면, 점암면): 류제동, 박경석, 한승욱
고흥군 나선거구 (과역면, 대서면, 남양면, 동강면): 김민열
고흥군 다선거구 (도양읍, 도덕면, 풍양면, 금산면): 김준곤, 이재학, 조영길
고흥군 라선거구 (도화면, 포두면, 동일면, 봉래면): 고건, 박규대
고흥군 비례대표: 김미경, 전명숙
[4] 고흥군 나선거구 (과역면, 대서면, 남양면, 동강면) 신건호 의원 당선무효로 인한 공석[5] 고흥군 제1선거구 (고흥읍, 점암면, 영남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 송형곤 (3선)
고흥군 제2선거구 (도양읍, 풍양면, 도덕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동일면): 박선준 (재선)
[6] 고려시대 보성의 속현, 조선시대에는 폐현된 옛 조양현의 읍치가 있었다.[7] 이와 같은 사례로 충청남도 홍성(원래 홍주였으나 같은 도의 공주와 일본어 발음이 '코슈'로 같아 개칭), 경상북도 영주(원래 영천_榮川이었으나 같은 도의 영천_永川과 한국어·일본어 발음이 모두 같아 개칭_일본어 발음은 '에이센') 등이 있다.[8] 면적이 도내에서 해남군, 순천시에 이어 세 번째로 넓다. 원래는 네 번째였으나 고흥만 간척지가 생기면서 화순군을 제치고 3위로 올랐다.[9] 고흥읍 출신 류 모씨의 증언에 의하면 호동리 일대는 바닷가였으며 섬이 하나 있었다는데 82년도 사진 확인 결과 닭다리 모양의 섬이 하나 있는것이 확인되었다.(호동리 산 266번지 일대 구릉으로 추정)[10] TV조선JTBC에서 관련 취재를 한 적이 있다. 30년 뒤 우리의 모습? 국내 최고령 지역 고흥을 가다(TV조선) 노인인구 비율 '전국 최고'…전남 고흥군에 가보니(JTBC)[11] 1969년 인구의 경우 오차가 하나도 없이 1968년 조사에서 나온 가구수, 인구수 등을 비롯한 전항목에서 같은값이 나와 추정치로 계산함.[12] 1966년 당시에는 아직 농업 기반의 사회였던 만큼 농지가 많았던 전남지역의 인구가 많은 편이었다. 무안군(당시엔 신안군도 포함하고 있었다)이 무려 전국 군 지역 인구 1위를 차지했고, 나주군, 해남군도 인구가 20만을 넘겼다.[13] 1981년 19만 명, 1983년 18만 명, 1985년 17만 명, 1986년 16만 명, 1989년 15만 명 선이 무너졌다.[14] 2004년 9만 명, 2007년 8만 명, 2015년 7만 명 선이 무너졌다.[15] 위의 고흥군 전체 인구와 달리 통계청 및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참조하였기에 총합이 다를 수 있음.[16]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편입지1] 상화도, 하화도[편입지1] [편입지2] 하도[편입지2] [편입지3] 우도, 상구룡도, 중구룡도, 하구룡도, 각도섬, 오리섬, 해섬[편입지3] [23] 2012년 이후부터 시작하여 커피 재배 농가가 늘었다. 국내 최대 규모라 써붙인 "고흥 커피마을"이 대표적인데 직접 생산하고 로스팅까지 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6] #[27] 이는 고흥군뿐만 아니라 읍 중앙부나 원도심에 군청이나 시청이 현재까지 존재하는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마찬가지이다. 낙후된데다가 비좁아서 군청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나 찾아오는 민원인들이 불편함을 엄청 느낀다. 그래서 엄청난 돈을 들여서 외곽으로 이전했거나 추진 중이나 그럴 경우 원도심 지역의 공동화를 피할 수 없다. 때문에 해남군이나 장수군의 경우처럼 예전 청사의 뒤쪽으로 신 청사를 지어서 이전한 경우도 있다.[28] 7개국이 참가했는데 8위인 이유는 고흥과 같은 지역 대표팀 때문이다.[29] 지역구: 전라남도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30] 고흥문화회관에 가면 그의 기념비가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김연수관'이 있다.[31] 거금도 출신. 프로레슬링에 관심을 가져 많은 후원을 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이 김일 선수를 초청해 원하는 게 있으면 말해보라고 했는데 김일 선수가 고향 거금도에 전기를 놓게 해달라고 했다고. 그래서 거금도에 낙도 치고는 1970년대에 일찌감치 전기가 들어왔다.[32] 거금도 출신. 성장은 경기도 광명에서 하였다. 같은 에픽하이 멤버인 타블로의 부모님도 역시 거금도 출신이다.[33] 현재는 귀향해서 고향 포두면 금사마을에서 농장을 운영한다고 한다.[34] 박소연 선수 자신은 나주시에서 나고 자랐다.[35] 태어난 곳은 서울이지만 어릴 때 자란 고흥군도 고향으로 여긴다. 그래서 당시 박지성 아버지가 서울에 거주해서 고흥에 계신 박지성 할머니께 '박지선'이라는 이름으로 고흥군 면사무소에 대신 출생 신고를 부탁드렸는데, 면사무소 직원이 잘못 알아듣고 '박지성'으로 등록해서 이름이 '박지성'이 됐다고 한다.[36] 실제로 이홍하는 사학 운영 방식에서 박철웅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이홍하 역시 조선대학교 출신이다.[37] 지역구: 광주광역시 서구 갑.[38] 민선 1기 광주광역시장[39] 강기정의 고향 선배이면서 동시에 광주대동고등학교 선배다. 송영길이 광주대동고등학교 국회의원 1호, 강기정이 2호다.[40] 지역구: 인천광역시 계양구 을.[41] 고흥대서중 출신으로 원래는 투창 선수였으나 광주진흥고등학교 진학 후 야구선수가 됐다.[42] 성장은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해서 거기서 배구를 시작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