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현(縣)은 고대부터 있던 행정구역 명칭이다. 옛 지방행정 단위로 중국에서 기원했으며, 현재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에서 행정단위로 사용하며, 한자 문화권 국가들 중에서 이러한 행정 구역이 필요가 없는 도시 국가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한국(남한과 북한 둘 다)만 사용하지 않는다.2. 각국 변천 및 현황
2.1. 중화권
2.1.1. 전근대
전근대 중국에서 지방 구획 중 아주 오래된 것이다. 縣자는 원래 目 + 木 + 糸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사람의 잘린 머리를 실로 묶어 본보기로 나무에 매달아 놓는 형벌인 효수를 형상화했다. 이는 중국 최초의 왕조인 상나라가 인신공양을 행하던 나라였기 때문이다. 훗날 주나라에서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천자에게 매여 있다'는 뜻에서 해당 글자가 지방 구획을 가리키는 글자가 되었고, 원래 縣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한자인 懸이 추가되었다.춘추시대까지 군(郡)보다 컸으나 전국시대부터 군보다 작아졌다. 진(秦)나라부터 주부군현(州府郡縣)이라 하여 상하 관계가 뚜렷해져, 현은 언제나 지방행정구역 가운데 최하단위가 되었다. 전한시대부터 현에 여러 등급이 생겼다. 한(漢)나라는 1만 호를 기준으로 그 이상인 현에 영(令)을, 그 이하에 장(長)을 두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는 적 (赤),기 (畿), 망 (望), 긴 (紧), 상 (上), 중 (中), 하 (下)의 7등급으로 구분하여 모두 영을 두었다. 몽골제국은 현을 상·중·하 3등급으로 나누어 모두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설치하였다. 명나라는 3등급으로 구분하여 모두 지현(知縣)을 두었고, 청나라도 아무런 구별 없이 지현을 두었다.
2.1.2. 중화인민공화국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현은 지급 행정구역 가운데 맹(盟)을 제외한 지구(地区), 지급시(地级市), 부성급시(副省級市), 자치주(自治州)와 성급 행정구역인 직할시(直轄市)[1]에 속한 행정구역이며, 이 가운데 소수민족이 모여사는 자치현도 있다. 지급 행정구역 산하 현이 도시화가 되(었다고 중앙정부가 판단하)면 현급시(縣級市)가 되며 직할시 산하 현은 시할구(市轄區)가 된다.영어명은 County를 쓴다.
2.1.3. 중화민국(대만)
중화민국 대륙시기 중 북양정부 때에 도와 성급인 천변(川邊)·열하·차하르·수원(綏遠)특별행정구, 경조지방(京兆地方), 청해지방(青海地方)과 알타이지구(地區), 일리지구(地區), 타르바가타이지구(地區)에 속했고 국민정부 때에 행정독찰구(行政督察區)와 해남특별행정구에 속했으며 지금 대만에서 성에 직속한 행정구역이다.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문서를 보면 동북9성(東北九省)과 대만성, 해남특별행정구를 뺀 대부분 성이 관할하는 현이 최소 60개는 되며 100개가 넘는 곳도 흔하다. 그리고 성 대부분이 웬만한 나라 크기인, 그야말로 대륙의 기상인데 현은 한국의 도농복합시, 군 정도 크기여서 한국으로 대입하면 도급 행정구역 없이 시와 군만 관할하는 셈이다. 때문에 행정상 과부하가 걸려 1914년에 중간단위인 부(행정구역)를 폐지하지 못하고 도(행정구역)으로 개편할 수밖에 없었고, 출장소 관할구역 격인 행정독찰구를 두게 되었다.현행 대만 행정구역은 성 바로 아래가 현이지만 대륙 행정구역은 해남성과 명목 행정구역인 대만성을 제외한 모든 성에 성과 현 사이에 한 단계(지급)가 더 있어 성 바로 아래가 현이 아니다. 해남성과 명목 행정구역인 대만성에 지급 행정구역이 있지만 지급 행정구역이 현급 행정구역을 관할하지 않기 때문이다.
1998년 이후 성이 실제 기능을 하지 않게 되어 사실상 현이 직할시와 함께 최상급 행정구역이 되었다. 하지만 성은 중화민국 헌법에 설치가 규정되어있어 지금도 명목 행정구역으로 남아있다.
영어명은 County를 쓴다.
2.2. 일본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일본|]]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e0000> | 도(都) | 도(道) | 부(府) | 현(県) |
기타 | 군(郡) | | 마치(町) | ||
초메(丁目) |
일본에서 원래 쓰지 않던 행정단위를 메이지 유신 당시에 도입하였다. 최초에 41개가 있었지만 무진전쟁 이후 폐번치현으로 302개로 늘었고 이후 몇번 통폐합되어 현재 43개로 줄어들었다. 일본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미국 행정구역 가운데 주와, 중국 행정구역 가운데 성과 자치구와, 대한민국 행정구역 가운데 도와 같은 최상위 행정구역이다. 총 43개가 존재한다. 현 목록은 도도부현 문서에 있다.
영어로 Prefecture(프리펙쳐)를 쓴다. 일본어로 けん(ken-켄)으로 읽는다.
2.3. 베트남
베트남어로 huyện(후옌)이라고 쓰며, 영어로 District로 번역한다.성(tỉnh, 틴) 아래 농촌 지역에 설치되는 기초 행정구역이란 점이 한국 군과 같다.
2.4. 한반도
삼국시대 후기에 설치되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후기 신라와 발해 때에 본격 설치되어 조선 말기까지 있던 가장 작은 규모인 행정구역이었다. 신라와 발해 모두 전국에서 인구가 많고 큰 고을을 각각 군(행정구역)과 주로 정하고 주, 군 하나에 주변 작은 현 0~4개(신라) 또는 1~6개 정도를 거느리는 형태였다. 후기 신라는 모든 지방 행정단위에 지방관이 파견되었으나, 나말여초 혼란기를 거쳐 지방 호족세력의 위상이 강화된 고려는 지방관이 있는 주현과 지방관 없이 주현 지방관의 통제를 받는 속현으로 나뉘었으며, 고려후기부터 새로 지방관을 파견하고 소규모 속현을 아예 통폐합하기 시작하여 조선초기부터 모든 현에 지방관을 파견했다. 1895년(고종 32) 때 23부제 시행 및 관제개혁과 동시에 전국 모든 부,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이 '군'으로 통일되어 폐지되었으며 '부'는 새로 만들어진 광역 행정구역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때부터 쓰이지 않는다.1895년에 23부제가 시행되기 전까지 기초 행정구역으로 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이 있었는데 현이 수령 품계가 가장 낮았다. 지방관은 종6품인 현감(縣監)이었으며, 이 가운데 큰 현 또는 왕비를 배출하거나 왕자의 탯줄을 묻을 곳으로 선정된 현에 종5품인 현령(縣令)이 파견되었다.
인구와 전결(田結)을 따라 현령과 현감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기준이 알려져 있지 않다. 현의 인구가 많아지면 군으로 승격해주는 조항도 있었다. 1995년 이후 특정 군의 읍이 인구 5만을 달성할 경우 읍을 분리독립시키는 게 아니라 군 전체를 시로 올리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1914년~1995년까지 읍이 인구 5만을 달성하면 그 읍이 군에서 분리독립되었는데, 이는 군보다 읍면이 더 중요한 일본식인 시정촌제의 잔재였다.
현의 면적규모를 현재 기준으로 따져 보면 좁은 현은 면 서너 개 정도, 넓은 현은 군 하나 정도에 해당한다.
2.4.1. 기록된 역대 현 목록
사학계 대부분 기준 비정지, 1905년 기준이다.사학계 대부분 기준 비정지, 1905년 기준이다.
2.4.1.1. 경기도
- 가평현(加平縣): 현 가평군(설악면, 조종면, 상면 제외)
- 강화현(江華縣) ← 해구현(海口縣) ← 갑비곶차현(): 12 년에 몽골과 전쟁할 때에 임시수도가 되며 강도 강화부로 승격, 현 강화군 일부
- 개성현(開城縣) ← 동비홀: 1018년에 설치, 1308년에 개경을 개성부로 격하하며 개성부 성외지역을 분치, 1395년에 개성부에 편입, 개성유후사로 승격
- 견주현(見州縣): 1018년에 견주에서 격하 설치, 14 년에
- 고봉현(髙逢縣) ← 왕봉현(王逢縣): 757년에 개칭, 1413년에 덕양현 등과 고양현으로 통폐합, 현 고양시 일산 일대
- 고양현(髙陽縣): 1413년에 고봉현과 덕양현을 통폐합, 1477년에 군으로 승격, 1510년에 현으로 격하, 1510년에 군으로 재승격, 현 고양시(덕양구 신평동, 북한동 제외) 및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남부, 마포구 상암동 일대
- 과천현(果川縣) ← 과주현(果州縣): 고려 후기에 현 용산구 일대인 용산처(龍山處)가 부원현으로 분리 승격, 1413년에 개칭, 1895년에 군으로 승격, 현 과천시, 안양시·군포시 대부분,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부분, 동작구 동부, 관악구 남현동 일대
- 광덕현(光德縣): 현 평택시 고덕면 일부
- 교동현() ← 현: 16 년에 교동도호부(1895년 이후 교동군)로 승격, 현 강화군 교동면, 서도면, 삼산면 리
- 교하현(交河縣) ← 어을매(): 현 파주시 금촌 시내, 교하(운정) 등
- 금과현(衿果縣): 1414년에 금천현과 과천현을 통폐합, 년에 금천현과 과천현으로 재분할
- 금양현(衿陽縣/金陽縣): 14 년에 금포현과 양천현, 금천현과 양천현을 통합, 14 년에 재분할
- 금포현(金浦縣) ← 검포현(黔浦縣): 1 년에 군으로 승격, 현 김포시 동 지역(구래동, 마산동 제외) 및 인천 서구 검단 지역 일대
- 덕수현(德水縣) ← 덕물현(德勿縣): 1416년에 풍덕군으로 통폐합, 현 개성시 판문구역 , 해방당시 경기도 개풍군 동남부 일대
- 덕양현(德陽縣) 또는 행주현(幸州縣), 1018년 ← 계백현(): 1413년에 고봉현 등과 고양현으로 통합, 현 고양시 덕양구 일부
- 마련현(麻漣縣): 1413년에 마전현과 연천현(본음 련쳔현)을 통합해 형성, 141 년에 마전현과 연천현으로 재분할
- 마전현(麻田縣): 1471년에 마전군으로 승격, 현재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미산현, 백학면 일대
- 미원현(): 년에 미원장()에서 승격, 16 년에 양근군에 편입, 현 가평군 설악면
- 부원현(富原縣): 년에 과주() 용산처(龍山處)에서 승격, 1413년에 고양현으로 통폐합
- 부평현(富平縣): 1438년 온정(온천) 보고 누락으로 부평도호부에서 격하, 1446년에 승격 및 복원, 1505년에 재격하, 1506년에 재승격 및 복구, 1698년에 3차격하, 1707년에 3차승격 및 복구, 현 인천시 부평구(관할하지 않은 적이 있는 십정동 제외), 계양구, 서구(검단 지역 제외), 경기 부천시, 설 구로구 안양천 서쪽 지역 및 강서구 오곡동 및 오쇠동 일대
- 분진현() ←
- 사천현(沙川縣) ← 현(): 14 년에 양주부에 통폐합, 현 경기도 동두천시, 양주시 은현면 일대
- 삭녕현(朔寧縣) ← 현()
- 서원현(瑞原縣) ← 수리홀(): 1 년에 원평군(原平郡)
- 송림현(松林縣): 14 년에 임강현에 편입, 1477년에 장단부, 1905년 경기도 장단군 송남면, 송서면, 해방당시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일대
- 수안현() ←
- 승령현() ← 현(): 1914년에 철원군에 편입되어 현 북측 철원군 및 연천군 신서면 일부
- 시흥현(始興縣), 1775년 ← 금천현(衿川縣, 1413년) ← 금주현(衿州縣) 또는 검주현(黔州縣), 1018년 ← 곡양현(曲陽縣, 757년) ← 잉벌노현():
- 쌍부현(雙阜縣): 년에 수원부에 편입, 현 화성시 서부
- 안삭현(安朔縣): 14 년에 안협현과 삭녕현을 통폐합, 14 년에 재분할
- 안산현(安山縣) ←← 장항현(長項縣) ← 장항구현(項口縣), 고사야홀차()
- 양근현(陽根縣) ← 익화현(益和縣), 13 ← 양근현 ← 빈양현(濱陽縣), 757년 ← 양근현: 현 양평군 서부, 광주시 남종면
- 양성현(陽城縣): 현
- 양지현(陽智縣): 1 년에 설치, 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등
- 양천현(陽川縣), 13 년 ← 공암현(孔巖縣), 757년 ← 재차파의현(): 년에 양천군으로 승격, 현 서울특별시 양천구, 강서구 일대, 구로구 개봉동 천기리 마을 및 영등포구 양평동 일부도 포함
- 연천현(漣川縣, 1413년) ← 연주현(漣州縣, 13 년) ← 장주현() ← 공성현(公城縣, 757년) ← 공목달(公木達): 현 연천군 연천읍, 군남면, 중면 일대
- 영신현() 또는 일신현(): 현 평택시 평택시청 본청 관할 동지역
- 용구현(龍駒縣) ← 거서현() ← 구성현(): 현
- 용성현(龍城縣), 940년? ← 차성현(車城縣), 757년 사물현(): 1 년에 수원부에 편입, 현 평택시 읍면 (안중출장소 관할 지역) 일대
- 용인현(龍仁縣): 1413년에 용구현과 처인현을 통합, 1895년에 군으로 승격
- 음죽현(陰竹縣)
- 이천현(利川縣, 원음 리쳔현)
- 임강현(臨江縣)
- 임진현(臨津縣)
- 장단현(長湍縣): 1477년에 임강현, 임진현을 편입하고 도호부로 승격
- 적성현(積城縣), 757년 ← 칠중현() 또는 난은별(): 현
- 조종현(), 1 ← 준수현(), 757년 ← 심천현() 또는 부사홀() 또는 부사매(): 13 년에 가평군에 편입, 현 가평군 조종면 및 상면 일대
- 죽산현(竹山縣): 1 년에 으로 승격, 1895년에 죽산군으로 개편, 현 안성시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및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일대
- 지평현(砥平縣) ← 현: 1895년에 지평군으로 승격, 현 양평군 동부
- 진위현(振威縣) ← 현: 현 평택시 대부분
- 처인현(處仁縣): 12 년에 처인부곡에서 격상, 설치, 1413년에 용인현으로 통폐합
- 천녕현(川寧縣) ← 현: 1469년에 여주목에 편입, 현 여주시 일부
- 통진현(通津縣) ← 현()
- 파평현(坡平縣), 757년 ← 동림현(東林縣) 또는 파해평리현(坡害平吏縣): 13 년에 원평군으로 통합, 현 파주시 파평면 등
- 포천현(抱川縣) ← 포주현(抱州縣) ← 현: 현 포천시 남부
- 풍양현() ← 황양현() ← 골의노현(): 1427년에 양주목에 편입, 현 남양주시 진접읍, 진건읍, 오남읍 및 구리시 일대
- 해풍현(海風縣) ← 정주현(貞州縣)
- 황려현(黃驪縣) 또는 황리현(黃利縣), 940년 ← 황효현(黃驍縣, 757년) ← 골내근현(骨乃斤縣): 13 년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 현 여주시 대부분
2.4.1.2. 충청북도
- 보은현()
- 서원현() ← 상당현()
- 연풍현() ← 현
- 영동현()
- 영춘현()
- 음성현() ← 현()
- 제천현() ← 현()
- 진천현()
- 청산현() ← 기산현(耆山縣) ← 굴산현(屈山縣)
- 청안현()
- 황산현()
- 황청현(黃靑縣): 1413년에 황간현과 청산현을 통합해 형성, 1416년에 황간현과 청산현으로 재분할
- 회인현(回仁縣)
2.4.1.3. 충청남도
- 가림현(嘉林縣): 940년에 가림군을 현으로 격하, 995년에 군으로 승격, 환원되었다 1018년에 다시 현으로 격하, 1336년에 임주로 승격
- 결성현(潔城縣) ← 현
- 경양현(慶陽縣)
- 고구현(高丘縣)
- 공산현(公山縣) 우이현(嵎夷縣)
- 남포현(藍浦縣) ← 현
- 노성현(魯城縣) ← 이산현(泥山縣) ← 현
- 당진현(唐津縣)
- 대흥현(大興縣)
- 덕산현(德山縣)
- 덕은현(德恩縣)
- 덕진현(德津縣)
- 목천현(木川縣)
- 문의현(文義縣)
- 보령현(保寧縣)
- 부여현(扶餘縣)
- 부성현(富城縣)
- 비인현(庇仁縣)
- 석성현(石城縣)
- 신창현(新昌縣)
- 아산현(牙山縣) ← 아주현(牙州縣)
- 연기현(燕岐縣) ← 현
- 연산현(延山縣) ← 황산현(黃山縣) ← 황등야산현(黃登野山縣)
- 예산현(禮山縣)
- 유성현(儒城縣) ← 현 ← 노은지현
- 은산현(殷山縣): 1610년에 은진현, 연산현, 이산현을 통합하여 형성, 1618년에 은진현, 연산현, 이산현으로 분할
- 은진현(殷津縣): 1397년에 은현과 진현을 통폐합
- 전기현(全岐縣): 14 년에 전의현과 연기현을 통폐합, 14 년에 재분할
- 전의현(全義縣)
- 충순현(忠順縣): 현 대전광역시 동구 지역, 망이·망소이의 난 항목을 참고
- 평택현(平澤縣) 팽성현(彭城縣)
- 합덕현(合德縣): 현 당진시 합덕읍
- 회덕현(回德縣) ← 비풍현(豊縣) ← 우술현(雨朮縣) : 현 대전광역시 대덕구 지역
2.4.1.4. 전라북도
- 금구현()
- 무규현()
- 장수현()
- 주례현()
2.4.1.5. 전라남도
- 광산현() ←← 무진
- 광양현()
- 낙안현()
- 남평현()
- 능성현()
- 도강현()
- 돌산현(突山縣) ← 여산현(廬山縣): 여수시 여수반도 화양면(추정)과 도서지역(현 삼산면 제외)으로 1414년에 폐현되어 여수현 폐지 17년만에 순천도호부에 편입되었다. 이후 1896년에 화양면이 제외된 여역으로 설군되었으나 18년만인 1914년에 여수군으로 재병합되어 현 여수시 도서지역으로 남아 있다.
- 동복현()
- 무안현()
- 무진현(): 격하
- 여수현(麗水縣) ← 해읍현(海邑縣): 1397년에 오흔인 현령이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거절했다는 이유로 폐현되어 순천도호부에 편입되었다. 그후 17세기 후반부터 삼복삼파를 거쳐 1897년에 용두면을 잃은체 여수군이 설치되어 지금까지 도농복합 여수시로 현존중. 다당시 영역은 여수시 여수반도 대부분
- 옥과현()
- 장성현()
- 창평현()
- 탕진현()
- 함평현()
- 해남현(海南縣)
- 화순현()
- 흥양현(興陽縣)
- 광산현(光山縣), 1 년 <- 해양현(海陽縣): 고려 초기에 광주(942년 정명)에서 해양현으로 격하, 년에 익주(翼州)로 승격, 광주()로 환원
- 낙안현(樂安縣): 1018년에 낙안군에서 격하, 설치
- 남양현(南陽), 940년? <- 충렬현(忠列縣), 757년 <- 조조례현(助助禮縣): 14 년에 보성군에 통폐합, 현 보성군 면 일대
- 능성현(綾城縣): 1 년에 능성군에서 격하, 16 년에 능주로 승격, 현 화순군 능성면, 면 일대
- 수령현(遂寧縣): 현 장흥군 면 일대
- 정안현(定安縣), 940년? ← 오아현(烏兒縣), 757년 ← 오차현(烏次縣): 고려 인종 재위기간에 장흥부(長興府)로 승격, 현 장흥군 장흥읍, 면 일대
- 조양현():
- 태강현(泰江縣), 940년 ← 백주현(栢州縣), 757년 ← 현(): 현 보성군 면 일대
- 흥양현(興陽縣), 1441년 ← 고흥현(髙興縣), 1285년: 현 고흥군
- 도양현(道陽縣): 도량도부곡(道良道部曲)에서 승격, 14 년에 장흥부에 통폐합, 현 장흥군 면 일대
- 두원현(荳原縣), 940년? <- 강원현(薑原縣), 757년 <- 두힐현(豆肸縣): 14 년에 장흥부에 통폐합, 현 장흥군 면 일대
- 부유현(富有縣), 757년 <- 둔지현(遁支縣): 14 년에 순천부에 통폐합, 현 전라남도 순천시 면 일대
- 수령현(遂寧縣), 940년? <- 마읍현(馬邑縣), 757년 <-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 14 년에 장흥부에 통폐합, 현 장흥군 면 일대
- 원율현(原栗縣), 940년? <- 율원현(栗原縣), 757년 <- 율복현(栗攴縣): 14 년에 담에 통폐합, 현 담양군 면 일대
- 장택현(長澤縣) <- 계수현(季水縣), 757년 <- 계천현(季川縣): 14 년에 장흥부에 통폐합, 현 장흥군 면 일대
- 추성현(秋成縣): 고려 초기에 추성군(秋成郡)에서 격하, 1395년에 재승격,
- 회령현(會寧縣), 940년? <- 대로현(代勞縣), 757년 <- 마사량현(馬斯良縣):14 년에 장흥부에 통폐합, 현 장흥군 면 일대
태강(泰江) 은 본래 백제 의 비사현(比史縣) 이었는데, 신라 에서 백주현(栢舟縣) 으로 고쳐서 낙안군 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 에서 태강(泰江) 으로 고쳤다가 뒤에 내속하였으며, 풍안현(豊安縣) 은 본래 고려 의 식촌 부곡(食村部曲) 이었는데,
충선왕(忠宣王)
2년 경술에 원(元)나라 의
폐환(嬖宦) 273) 이대순(李大順)
의 청(請)으로 풍안현 으로 승격하였으며, 도화현(道化縣) 은 본래 고려 의 타주 부곡(他州部曲) 이었는데,
명종(明宗)
27년 정사 【금(金)나라 승안(承安) 3년.】 에 도화현 으로 고쳤으며, 복성(福城) 은 본래 백제 의 파부리군(波夫里郡) 이었는데, 신라 에서 부리현(富里縣) 으로 고쳐서
능성(綾城) 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 에서 복성현 으로 고쳤다가 뒤에 내속하였다.2.4.1.5.1. 옛 탐라국
- 고내현()
- 곽지현()
- 귀덕현()
- 귀일현()
- 금녕현(): 1416년에 제주목에 편입, 현사(縣舍, 중심지)는 현 금녕리 일대
- 대정현() ← 서도현()
- 대촌현()
- 명월현()
- 산방현()
- 신촌현()
- 애월현()
- 예래현()
- 정의현() ← 동도현
- 차귀현()
- 토산현()
- 포아현()
- 함덕현()
- 홍로현()
2.4.1.6. 경상북도
- 개령현(開寧) : 현 김천시 북부
- 경산(慶山) : 경산시. 여기에 수성구 고산까지 관할했었다.
- 고령(高靈) : 고령군
- 군위(軍威) : 군위군
- 봉화(奉化) : 봉화군. 봉화읍은 안동 소속.
- 비안현(比安縣) ← 안비현(安比縣): 1421년에 비옥현과 안개현을 안비현으로 통폐합, 1423년에 비안현으로 개칭, 현 의성군 서부
- 비옥현(肥沃縣): 1421년에 안비현()으로 통폐합, 현 의성군 비옥면
- 송생현(): 14 년에 청송군에 통폐합, 현 청송군 일부
- 신광현(): 14 년에 계림부에 통폐합, 현 포항시 북구 신광면
- 신녕(新寧) : 현 영천시 일부
- 안강현(安康縣): 년에 계림부에 통폐합, 현 경주시 안강읍, 강동면 일대
- 연일(延日): 현 포항시 중남부. 남구 시내가 여기 소속이었다.
- 영덕현(盈德): 현 영덕군 남부
- 영양(英陽) : 영양군
- 예안(禮安) : 현 안동시 동부
- 용궁(龍宮) : 현 예천군 일부
- 의성(義城) : 의성군
- 의흥(義興) : 현 군위군 동부
- 자인현(慈仁縣) : 현 경산시 남부: 14 년에 경주부에 통폐합, 1670년에 분리
- 장기현(長鬐) : 현 포항시 남부
- 지례현(知禮) : 현 김천시 남부
- 진보(眞寶) : 1914년 청송군과 영양군에 분할 편입
- 청송현(): 13 년에 진보현과 통합해 한자가 다른 청보현()으로 개편, 141 년에 송생ㅎ현
- 청보현(): 13
- 청하(淸河) : 현 포항시 북부
- 하양(河陽) : 현 경산시 북부[2]
- 함창(咸昌) : 현 상주시 일부
- 현풍(玄風) : 현 달성군 남부
2.4.1.7. 경상남도
- 거제(현巨濟縣): 거제시
- 고성(固城) : 고성군
- 구산(): 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일대
- 기장현(機張) : 기장군
- 남해현(南海) : 남해군
- 단성현(丹城縣): 현 산청군 일부
- 동래현(東萊縣)
- 동진현(東津) ← 율포현(栗浦縣): 757년에 개칭, 940년에 흥례부()로 통폐합, 현 울산광역시 북구 강동동(행정동) 일대
- 동평현(東平): 현 부산광역시 원부산권
- 명진현(冥津縣): 1 년에 거제현에 통폐합, 현 거제시 거제면 명진리 일대
- 반성현(): 년에 진양대도호부에 통폐합, 현 진주시 일반성면, 이반성면 각 일부
- 사천현(泗川) : 사천시
- 산청현(山淸縣) ← 산음현(): 현 산청군 일부
- 삼가현(三嘉) : 현 합천군 남부
- 안음(): 현
- 안의(安義) : 현 함양군 일부
- 언양(彦陽): 현 울주군 언양읍, 삼남, 삼동면, 상북면 일대읍
- 영산(靈山) : 현 창녕군 남부
- 완포현(莞浦縣)
- 웅신(): 14 년에 웅천현으로 통폐합
- 웅천(熊川): 1510년에 도호부로 승격, 1512년에 격하, 현 창원시 진해구, 성산구 웅남동(행정동) 및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 의령(宜寧) : 의령군
- 진해(鎭海): 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일대
- 창녕(昌寧) : 창녕군
- 칠원(漆原): 현 함안군 동부
2.4.1.8. 강원도
- 금성(金城): 현 철원군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 (이상 실효지배) 및 창도군, 김화군 일대, 해방 당시 김화군 금성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 금화(金化): 1962년말까지 금화군인 철원군 김화읍, 근동면, 서면, 근남면, 근북면, 1950년대까지 '금화'라고 읽었다.
- 기린현(基麟縣): 현 인제군 기린면
- 기성(): 창도군 일부, 해방 당시 금화군 창도면 일부
- 낭천현(狼川) : 1902년에 화천으로 개칭
- 수입현() ← 문등현():
- 방산현(方山縣) ← 삼령현(三嶺縣) ← 삼현현(三峴縣) 인데, 신라 에서 :
- 서화현(): 현 인제군 서화면
- 안삭현()
- 안협(安峽) : 현 이북 철원군 동부, 해방 당시 이천군 안협면, 동면, 서면
- 양구현(楊溝縣 ←> 楊口縣), 요은홀차(要隱忽次): 양구군
- 울진(蔚珍) : 1963년 경상북도로 이관
- 이천(伊川): 이천군[3]
- 인제(麟蹄): 인제군
- 통구현():
- 평강(平康): 평강군
- 홍천현(洪川縣) 현(縣): 현 홍천군, 내면 제외
- 횡성(橫城縣): 1895년에 현 횡성군으로 승격
- 흡곡현(翕谷縣): 현 통천군 일부
2.4.1.9. 황해도
- 강령(康翎): 14 년에 백령진()과 통합하며 영강현에서 개칭, 현 강령군 대부분, 해방 당시 옹진군 동부 4개면
- 강음(江陰): 금천군 중부
- 문화(文化): 신천군 서부
- 송화(松禾): 송화군
- 신계(新溪) : 신계군
- 신음()
- 영강현()
- 옹진현(甕津縣): 옹진군
- 우봉현(牛峰縣): 1670년에 강음현과 금천군으로 통합, 현 황해북도 금천군 및 개성시 장풍군 각일부, 해방당시 황해도 금천군 중부 및 경기도 장단군 대남면·소남면
- 은율(殷栗) : 은율군
- 장련(長連): 은율군 동부
- 장연(長淵): 장연군
- 토산(土山): 현 토산군 일대, 해방당시 금천군 동부
- 해안(): 현 룡연군 중서부, 해방 당시 장연군 해안면
- 협계(): 신계로 통폐합
2.4.1.10. 평안도
- 강동():
- 강서현()]]: 12 년에 설치, 1895년에 강서군으로 승격,
- 맹산():
- 삼등현()
- 삼화현(): 12 년에 설치, 1895년에 삼화군으로 승격, 현 남포시 일부, 해방당시 진남포시 및 용강군 삼화면 등
- 순안현(): 현 평양시 순안구역 아닌 구역]]
- 순화현(): 현 평양시
- 양덕현()
- 영유현(): 현 평원군(평안남도)
- 용강현()
- 운산현()
- 증산현산(甑山縣): 13 년에 삼화현에서 분리, 현 증산군, 해방 당시 강서군 증산면 등
- 함종현(): 1 년에 승격,
2.4.1.11. 평안북도
2.4.1.12. 함경남도
- 이성현() 이원현(): 정조의 휘를 피하기 위해 정조 대에 이원으로 고쳤다.
- 홍원현()
2.4.1.13. 함경북도
- 길성현(吉城縣): 1410년에 길주목이 격하되며 명천현과 분리, 현 길주군, 김책시, 화대군 및 백암군 일부, 해방당시 길주군, 성진시, 학성군
- 명천현(明川縣): 현 명천군, 명간군, 군, 해방당시 명천군
2.4.2. 관련 문헌
2.4.2.1. 지리지
2.4.2.2. 지도
2.5. 외국 행정구역의 번역
그리스의 주(州, Region, περιφέρειες)의 하위 행정구역인 '현('νομός, Prefecture)도 있었다. 2010년 행정구역체계 변경으로 지역단위(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지만 현 시절과 별로 달라진 게 없다.독일도 주의 하위 행정구역을 현으로 번역한다. 일본어를 사이에 끼고 중역한 것이므로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중국어권에서는 이 행정단위를 행정구(行政區)로 번역한다.
이탈리아 또한 흔히 주(州)에 해당되는 레조네(Regione)의 하위 행정구역 프로빈차(Provincia)를 현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프로빈차의 공식 번역명칭은 도(道)이다.
스페인어권의 행정구역 Município도 현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으나, Município는 자치권을 가진 하위 행정구역을 모두 포괄하는 단위라 사실 어떻게 번역해도 적절하지 않다. 최근에는 시로 번역하는 경우가 다수지만, 합의된 번역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화가 진전되지 않아 시라는 표현이 어색한 동티모르의 행정구역인 Município는 나무위키를 포함해 현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튀르키예 행정구역인 il도 영어로 Prefecture로 번역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튀르키예측에서 번역한 서류들에서 prefecture 번역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주(il, region)의 하위단위로 il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나무위키에서는 도로 표기한다.
한국에서 군으로 번역하는 몽골 행정구역인 솜을 중국어권에서 현으로 번역한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자치구에 있는 것은 소목(蘇木)으로 음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