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s-4|4]]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1972년 폐지된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s-6.2|6.2]]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s-4|4]]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1972년 폐지된 행정구역: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s-6.2|6.2]]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하위 행정구역#|]]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도소재지 원산시 | 문천시 | |||||
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고산군 | 고성군 | 금강군 | 김화군 | 법동군 | |
세포군 | 안변군 | 이천군 | 창도군 | 천내군 | ||
철원군 | 통천군 | 판교군 | 평강군 | 회양군 | }}} | |
}}}}}}}}} |
강원도의 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평강군 平康郡 Phyŏnggang County | }}} | |||
<colbgcolor=#D40001><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평강읍 | ||||
광역자치단체 | 강원도 | ||||
하위 행정구역 | 1읍 1로동자구 29리 | ||||
면적 | 708km² | ||||
인구 | 90,425명 | ||||
인구 밀도 | 미상 | ||||
군수 | 미상 | ||||
지역번호 | 057 |
1. 개요
북한 강원도의 행정구역. 마식령산맥과 광주산맥, 추가령 구조곡이 통과하기 때문에 군의 대부분이 산지이다.평강군의 남부 지역에는 대략 1만년전 최소 10번 이상의 마그마 분출로 철원평야와 한탄강을 형성하게 만든 화산 오리산[1]이 존재한다. 이 평야 덕분에 강원도에서는 벼 농사가 잘 되는 곳으로도 알려져있다.
국도는 3번 국도와 5번 국도가 평강 읍내를 >< 형태로 통과한다. 다만 남북분단으로 인해 이들의 실질적인 종점은 강원도 철원군까지이다.
2. 역사
삼국시대 초기 고구려의 부양현(斧壤縣)이었다.신라가 차지한 이후 9주 5소경 중 한주에 속했고, 경덕왕 때 광평현(廣平縣)으로 고쳤다.
후삼국시대 때 궁예가 왕위에서 쫓겨난 뒤 도망치다가 이곳에서 시해당했다는 전설이 있다. 1018년 고려 현종 때부터 지금의 이름인 평강현으로 바뀌었다.
8.15 광복 이후 남북분단이 되면서 삼팔선이 그어진 뒤 군 전역이 북한으로 넘어가게 되었고, 철원군, 김화군과 함께 북한이 남침을 위한 전쟁 준비를 하는 철의 삼각지대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6.25 전쟁이 터지면서 이 지역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남북이 치열하게 싸웠으며, 휴전하면서 군의 남부로 휴전선이 통과하여 현재는 평강군의 극히 일부분인 남면 정연리와 비무장지대를 포함한 지역만이 군시분계선 이남에 남았고 이들을 제외한 전 지역이 북한령이다.
지금의 평강군은 평강면·서면·남면, 현내면 대부분(9개리)· 회양군 난곡면 일부(6개리), 김화군 근북면· 근동면 각 이북 지역· 금성면 일부(2개리) 일대에 해당한다.[2] 강원선 철도의 종착지이기도 하며, 관내에 복계역과 평강역이 있다.
1952년 북부를 세포군으로 분리하고 회양군 난곡면을 편입했다.
1991년 10월 30일 평강역 폭발사고로 120여명이 사망하고 반경 1km 지점이 초토화되었다.
2001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목전면의 전부(기산역 일대)와 옛 현내면 일부를 세포군으로 이관하고 부군면 통폐합 이전 북측 김화군 지역의 전부, 금성면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그 결과 원래 평강군을 지나가던 금강산선지역은 군에서 제외되고 다른 금강산선이 지났던 구간을 편입한 꼴이 되었다.[3] 현재는 이것이 취소되었다.
3. 남북통일 이후
지리적으로 가까운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과 교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경원선이 연결된다는 가정하에, 남한의 자본이 투자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인프라가 적은 가곡역 부근보다는 평강역이 커질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다.한편 오리산이 현재도 활동하고 있어 위험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고 주변 지형 형성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줘서 연구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지리관측소나 연구소가 세워질 가능성이 높다.
4. 교통
3번 국도, 5번 국도가 여기를 지난다. 철도로는 평강역이 있다.5. 행정구역
1읍 1로동자구 29리로 이루어져 있다.- 평강읍
- 복계로동자구: 2018년에 '복계구'라는 명칭으로 표기되어 로동자구로 승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가곡리
- 건천리
- 근동리
- 금곡리
- 남양리
- 내천리
- 랑월리
- 랑하리
- 리수덕리[4]
- 문봉리
- 문산리
- 봉래리
- 상갑리
- 상송관리
- 상원리
- 성산리
- 수태리
- 신정리
- 압동리
- 옥동리
- 자원리
- 전승리
- 정산리
- 천암리
- 탑거리
- 하송리
- 하주리
- 해방리
- 화암리
6. 기타
오희문과 그의 가족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기간동안 피난생활을 하며 기록한 쇄미록에는 여러 곳을 가기도 했지만 이곳 평강에서 생활을 하면서 겪었던 사건들도 기록되어 있다.조선 후기의 명재상 채제공을 배출한 평강 채씨 본관이 바로 이 곳이다.
철원 안보관광중 평화전망대에서 평강군 땅을 볼 수 있다. 건물, 도로 같은 것이 없고 북한군이 시야확보를 위해 나무를 태웠다.
7. 출신 인물
[1] 해발 453m의 휴화산으로, '한반도의 배꼽'이라고도 불린다. 단, 분단이후 제대로된 연구가 불가능해 분화 가능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오리산 문서로. 중생대 백악기에 점성이 낮은 마그마가 열하분출하여 생성되었으므로 화산체가 전체적으로 완만하다.[2] 후술되었지만 김화군, 금성군이었던 곳은 이후 롤백되어 현재는 다시 김화군 소속이다.[3] 대한민국령이 된 원래의 평강군에는 금강산선의 정연역이, 김화군에서 편입한 현재의 평강군지역에는 하소역과 행정역이 있다.[4] 6.25 당시 강원도 평강군에서 평강인민유격대를 조직한 여성 중대장 리수덕(李壽德)의 이름을 딴 곳이다. 동일 사례로 리수덕원산교원대학도 있다. 현내면 임단리와 북촌리를 합쳐 신설한 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