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산지 | |
마천령산맥 | ||
<colbgcolor=#cccccc,#333333><colcolor=black,white> 산 | 백두산 (천지) · 북포태산 · 남포태산 | |
고개 | 마천령 · 허항령 · 남설령 | |
함경산맥 | ||
산 | 관모봉 · 투구봉 · 만탑산 · 괘상봉· 궤상봉 · 두류산 | |
고개 | 금패령 · 마운령 · 황초령 · 후치령 · 부전령 · 함관령 · 북계수령 · 차유령 | |
고원 | 개마고원 | |
부전령산맥 | ||
산 | 북수백산 · 차일봉 · 두운봉 · 백산 | |
낭림산맥 | ||
산 | 낭림산 · 희색봉 · 소백산 | |
고개 | 아득령 · 검산령 | |
강남산맥 | ||
산 | 연덕산 · 백암산 · 덕산 · 천마산 | |
적유령산맥 | ||
산 | 백산 · 숭적산 | |
고개 | 적유령 · 구현령 | |
묘향산맥 | ||
산 | 묘향산 | |
언진산맥 | ||
전체 | 언진산 · 자비령 | |
멸악산맥 | ||
산 | 멸악산 · 장수산 · 구월산 | |
마식령산맥 | ||
전체 | 천마산 · 마식령 | |
기타 | ||
산 | 개연산 · 금강산 · 송악산 · 칠보산 · 오리산 | |
고개 | 분수령 · 철령 |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자료 출처는
1. 개요
북한 강원도 평강군의 평강역으로부터 남서쪽 약 2.9km[1] 지점에 위치한 높이 453 m짜리 화산으로 별명은 '한반도의 배꼽.' 이 화산 등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한탄강과 철원평야를 형성했다.한자로는 오리 압(鴨)자를 써서 압산(鴨山)이라고 하는데, 한자 자체의 뜻과는 상관없이 '오리'라는 훈을 빌린 이두식 표기이다. 오리산이란 이름은 분출구의 크기가 약 5리라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오리산 분화구는 지름 150m, 깊이 20m 정도로 오리(2km)에 턱없이 못 미친다.
2. 역사
이곳 일대는 남북의 서로 다른 습곡대들의 충돌이 일어나던 곳이라 결국 이 지역에 화산이 생겼다. 중생대 백악기(1억 3500만 년 전~6500만 년 전) 때 대규모 화산폭발이 일어났는데, 오리산과 함께 검불랑이라는 화산도 같이 분출했다.약 1만 년 전에는 최소한 10번 마그마를 분출했다고 보인다.
3. 특징
오리산은 흔히 생각하는 분화와 용암이 폭발하는 형태인 중심 분출이 아니라 벌어진 지각 틈에서 마그마가 흘러나오는 열하분출에 해당한다. 오리산과 같이 열하분출의 경우 주로 점성이 약한 현무암질 마그마가 흘러나오는데, 이 때문에 백두산과 한라산 같은 거대한 화산체를 형성하지 않는 대신 거대한 평야를 이루었다. 그 결과 형성된 것이 바로 철원평야.4. 한반도의 배꼽
이 화산은 다음과 같은 지형을 이루었다.4.1. 추가령 구조곡
추가령 구조곡은 중부 한반도의 화산들이 분출한 마그마가 흐르면서 생긴 열곡구조인데, 오리산 또한 추가령 구조곡이 형성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4.2. 한탄강
화산폭발 후 고도가 높은 평강·철원에는 대지가 형성되었는데, 이후 빙하기가 오자 빙하가 일대를 뒤덮었다. 이후 빙하기가 끝나고 빙하가 녹아내리자, 마그마가 굳어 현무암이 되면서 수축하여 생긴 틈을 타고 물이 흘러들어가 한탄강이 생겼다.4.3. 철원평야
화산이 폭발하여 철원 일대를 용암이 뒤덮게 되고 이후 식으면서 광활한 현무암 대지가 형성했는데 바로 철원평야다.5. 폭발 가능성
현재 이 화산은 휴화산으로 추측된다.북한에 위치하다보니 직접적인 조사와 연구가 불가능하여 확신할순는 없지만 대체로 휴화산으로 보고있다.
다만 휴화산이라고 분화가 멈춘것은 아니기에 언제든 분화는 가능하다.
5.1. 피해
오리산이 다시 분출하면 피해가 엄청나리라 예상된다. 만약 크게 폭발한다면 일단 강원도 중부의 민간인 출입통제선 일대에는 비상이 걸릴 것이다. 또한 오리산이 있는 곳은 휴전선 일대로 남북한 군사력이 밀집한 곳이다. 즉, 화산이 폭발할 시 군사적인 측면의 피해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 위 사진에서 보이듯 북한은 아예 오리산 정상에 초소까지 만들어 놓았다. 거기다가 분화구 중심부가 시가지로부터 고작 3~4 km 남짓, 기차역으로부터는 2.9 km 떨어졌다.[2] 크든 작든 폭발 시 남북 그리고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물론이고 북측 평강군 시가지가 매우 가까우므로 민간인 인명피해도 클 것이 자명하다.하지만 문제는 이곳이 북한 입장에서는 최전방이기 때문에 오리산을 포함한 평양-원산 축선에 조선인민군 전력이 포진되어 있다는 것이다. 물론 남한 입장에서도 추가령 구조곡이 지나가는 연천, 철원 일대는 최전방이자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에 육군 병력을 집중했지만, 남한은 북한 측의 공세를 충분히 막아낼 수 있는 형편이 되기 때문에 연구에 협조적으로 나와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북한은 남한 측의 공세를 막아낼 능력이 못 되기 때문에 연구목적이라 할지라도 이 곳에 대한 정보가 조금이라도 공개된다면 그대로 치명타가 된다. 따라서 오리산은 북한군에게 있어서 아무리 화산일지라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땅이다. 이 때문에 분화 시 엄청난 피해가 예상되므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협조적으로 나올 리가 없다 보니 한국은 물론 일본 학자들도 연구를 못 하여 정확한 위험도와 분화 가능성을 예상하지 못하는 깜깜이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위성사진에도 나오듯이 북한이 군사기지를 차려놓았을 가능성도 높은 상태라 북한의 학자들조차도 오리산을 연구하지는 못할 듯하다.
자세한 것은 추가령 구조곡 참고.
2020년 5월 11일 평강군 북북서쪽 37km 지역에서 규모 4.0(나중에 3.8로 정정)의 지진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