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里척관법에서 사용하는 길이 단위다. 차원은 [math(\sf L)]이다.
2. 길이
정확한 길이는 시대와 국가에 따라 다르다.2.1. 한국
흔히 한국인들이 말하는 1리는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393 m가 기본이다. 하지만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올림하여 400 m를 1리라고 간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한국에서도 리의 길이는 시대마다 달랐다. 조선에서는 주척으로 6자를 1보(步)를 삼고, 360보를 1리로 삼았다.[1] 따라서 조선의 1리는 주척으로 2160자인데, 조선의 주척이 20.8 cm라는 설에 따라 계산하면 1리가 449.28 m가 된다. 서울에서 부산까지가 대략 420 km 이므로 대략 1000리에 해당한다. 대한제국 시기인 광무 6년(1902)에는 미터법에 맞추어 주척을 20 cm, 1리는 주척으로 2100자(420 m)로 정했다.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과 단위가 통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조선에서 사용하던 리와 일본에서 사용하는 리가 너무 다르기 때문에, 그나마 조선 리와 가깝게 10분의 1로 줄여 사용하였다. 현대 한국에서 말하는 1리가 393 m, 올림하여 400 m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과거 자동차나 버스가 잘 없던 시기, 두 다리로 걷는 것이 유일했던 이동수단이었던 세대들은 동리별 시군별 거리를 몇 리, 몇리로 말하고, 어린 아이들도 읍면의 경우 10리길(4km, 왕복으로는 20리 8km)을 걸어서 통학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기성세대들은 10리길, 4리, 몇 리, ㅇㅇ읍에서 ㅇㅇ시까지 몇백리 등 대략 가늠할 줄 안다. 다만 현대에 들어선 '엄마 찾아 삼만리'나 '한양 가는 길 천리', '무궁화 삼천리',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같은 관용적 표현이나 전근대 역사 분야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기에 단위로서는 완전히 사장되었다.
2.2. 중국
중국도 시대마다 길이가 달랐다. 춘추곡량전 선공편에 선공 15년(기원전 594년) 때에 예부터 삼백보(步, 걸음)를 1리로 정하여 이를 토대로 토지 제도를 확정했다는 구절이 있는데, 당시에 406.8m였다고 추산된다. 그때부터 4~5백년쯤 뒤인 한나라 때에 1보가 6척(尺), 1리가 300보로 정해졌고,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1척이 23cm 1리가 415.8 m였다고 추측된다. 당나라 때에 1척이 30cm로 변하고, 1보는 5척, 1리는 360보로 변경되어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각각 150cm와 540m였다.청나라 이전의 리는 조선과 같이 360보로 약 576m였다. 청나라가 들어선 뒤로 척관법이 바뀌면서 1리는 150장이었고 1장은 10척이었다.
현대 중국에서 km를 公里(공리)라고 부른다. 반면 전통적으로 쓰이던 '리'는 공리와 구분할 때 市里(시리)라고 부르며 길이는 청나라 때 1리 길이에 가까운 500m로 공식화했다. 어쨌든 민간에서나 기관에서나 里가 아직도 사용되는 셈이다.
2.3. 일본
일본 역시 지역마다 리의 길이가 서로 달랐으나, 메이지 시대에 일본이 사용하는 곡척을 기준으로 6자를 1간(間), 60보를 1정(町), 36정을 1리(里)로 정하였다. 따라서 일본 1리는 곡척으로 1만 2960자인데, 곡척이 약 30.303 cm이므로 계산하면 1리가 약 3927 m가 된다. 일본 1리는 조선(왕조) 기준으로 8리~9리 정도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일본 1리가 정확히 10리가 되었다. 이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서 생긴 오역이 바로 해저 2만리이고, 차이를 고려한 제목이 '엄마찾아 삼만리'다. 일본판 원제는 엄마 찾아 삼천리.3. 응용
넓이 단위로 응용했다. '지름이 몇 리인 원 넓이'를 뜻하는 '방원(方圓)■리'나 '가로 세로로 각각 몇 리인 정사각형 넓이'인 사방(四方)■리' 등이다.'고조선이 연나라에 지며 땅 2천리를 뺏겼다'
4. 관련 표현
- 서울 왕십리는 조선 도읍을 정할때에 어느 노인이 '여기서 10리를 더 가면' 좋은 곳이 있다고 알려 준 것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이 전설은 인근 답십리(踏十里)와도 관련된 전설이다. 실제로 경복궁에서 왕십리까지는 한 4km(10리) 정도 된다.
- 울산광역시의 십리대밭은 10리에 걸친 대나무숲이라는 의미로 실제 길이는 4.3 km 정도다. 2019년 울산광역시가 십리대숲을 백리대숲으로 10배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이후 완수했다. 연장 후 길이는 48㎞다.
- 한국 역사에서 천리장성이 2개 등장하는데, 둘 다 실제로 대략 1000리쯤 된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서울([ruby(首都,ruby=수도)]) 한양(한성부, 현 서울특별시)에서 전라도 해남현(현 전라남도 해남군)까지 1007리, 경상도 동래현(구한말 경상남도 동래군, 현 부산광역시)까지 962리, 평안도 의주목(구한말 평안북도 의주군)까지 1186리, 함경도 경흥부(구한말 함경북도 경흥군)까지 2205리로 기록했다.# 아주 먼 거리를 천리에 비유한다. 천리행군이 여기에서 유래했다.
- 중국의 만리장성은 실제로는 1만 리를 훨씬 넘는다. 산해관부터 가욕관(자위관시)까지 대략 1만 5880리쯤 된다. 만리는 1만이란 정확한 수치를 말하기보다는 그냥 '엄청나게 길다'를 옛날식으로 표현해 지은 개념이다.
5. 여담
- 수메르 문명에서 사용했던 단위 '리그'는 1리그에 약 10리(4~5 km)이다. 오늘날 동아시아권의 1리에 가장 근접한 길이의 서구권 단위는 사실 2펄롱이지만, '먼 거리'로서의 상징성이 마일이나 리그보다 덜하므로 번역어로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보통 '리그' 하면 스포츠 리그 또는 풀리그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
- 지구 둘레는 40,075km로, 리로 바꾸면 10만 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