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4 16:55:44

이천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시로 승격된 경기도의 행정구역인 이천군(利川郡)에 대한 내용은 이천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도인민위
원산시
문천시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고산군 고성군 금강군 김화군 법동군
세포군 안변군 이천군 창도군 천내군
철원군 통천군 판교군 평강군 회양군 }}}
}}}}}}}}}
이천군
伊川郡 / Ichŏn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603.22㎢
광역시도 강원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1읍 22리
인구 57,563명
시간대 UTC+9
1. 개요2. 명칭3. 역사4. 교통5. 북한 기준 행정구역6.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6.1. 구 이천군 지역6.2. 구 안협현 지역
7. 기타8.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clearfix]

1. 개요

북한 강원도 서북부에 있는 군(郡). 전 지역이 휴전선 이북에 있는 미수복지역이다.

2. 명칭

남한의 경기도 이천시와는 한글은 같지만, 한자 명칭과 그 유래는 다르다.[1] 이 때문에 순천처럼 경기도 이천시로 가야할 물건이 이곳으로 잘못 배송되는 일이 있다.#

伊는 원 발음이 '이'인 까닭에 문화어로도 '리천'이 아니라 '이천'이다. 따라서 '리천군'으로는 이 문서에 들어올 수 없으며, 오히려 문화어 기준으로 '리천'이 되는 곳은 우리가 잘 아는 경기도 이천시(川)이다.[2] 즉, 남한 기준으로는 둘 다 '이천'이고, 북한식으로는 이곳 이천은 그대로 이천, 남한 이천만 리천이 된다는 얘기.[3]

비슷한 예로 함경남도 영광군(榮光)이 '령광'이 아니라 전라남도 영광군(光)이 '령광'이다.

3. 역사

이천은 삼국시대고구려 이진매현(伊珍買縣)이었다.

신라가 차지한 후 신라 경덕왕 때 지금의 이름인 이천현(伊川縣)으로 고쳤으며, 9주 5소경한주에 소속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10도 중 삭방도에 소속되었다가 이후 동주(철원)의 속현이 되었다. 동주의 속현이 된 것으로 보아 5도양계 중 교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말 경기도에 포함되었으나 조선 초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원도가 되었다.

안협은 삼국시대고구려 아진압현(阿珍押縣)이었다. 마찬가지로 고려 시대 때 동주 속현이 되어 교주도 소속이었다가 고려 말에 경기도에 포함되고, 조선 때 강원도가 되었다. 태종 재위기 때 삭녕군과 합쳐져 안삭군이 되었다가 2년 만에 다시 쪼개지기도 했다.

1895년에 23부제 시행으로 이천군과 안협군으로, 1896년에 13도제 시행으로 강원도 이천군, 안협군이 되었다.

광복 당시에는 군청을 이천면 향교리에 두고 11개 면(이천·낙양·동·방장·산내·서·안협·용포·웅탄·판교·학봉)으로 이루어졌다.[4] 북한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판교면 등을 분리하여 판교군을 신설하였고, 지금의 이천군은 이천면·학봉면·서면(6개리)·산내면(6개리)·용포면(5개리)에 해당한다.

4. 교통

3번 국도가 군의 동서를 가로 지르며, 남북으로 41번 국도가 가로지른다.지방도는 463번 지방도[5], 이외 청년이천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동점역·송정역·이천청년역·하안역·문동청년역이 있다.

5. 북한 기준 행정구역

1읍 22리로 구성되어 있다.

6.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f14f30 21%, #f14f30); font-size: 1em"
]]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009fe3 21%, #009fe3); font-size: 1em"
]]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s-6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761c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761c2>
파일:이천군 상징 하양.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낙양면 동면 방장면 산내면 서면 안협면
용포면 웅탄면
군청
이천면
판교면 학봉면 }}}}}}}}}
강원특별자치도미수복지역(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伊川郡
Icheon County
}}}
파일:이천군/이북5도2.jpg
<colbgcolor=#008c44><colcolor=#fff> 군청 소재지 이천면 향교리
광역자치단체 강원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 11 91
면적 1,707.9㎢
인구 82,599명[6]
인구밀도 48.36명/㎢
명예읍·면장 11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강원미수복 군 소개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기.svg

위 사진은 강원도 이천군의 군기이다.

이천군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이천군이 안협군을 흡수하면서 형성되었다.
[clearfix]

6.1. 구 이천군 지역

6.2. 구 안협현 지역

7. 기타

북한 철원군과 함께 구글지도나 구글 어스에서 검색할 시 군역 전체(북한 행정구역 기준)가 표시되는 몇 안되는 북한의 행정구역이다. 다른 북한의 행정구역들은 대부분 중심 시가지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평양시조차 구글 지도로 검색하면 시가지 영역만 비춰주는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의외.

강원도를 흔히 서울의 동쪽에 있는 도로 인식하지만, 이천군은 대부분의 영역이 경복궁보다도 서쪽에 있다. 이북5도, 북한 행정구역 전부 다. 그리고 이천군의 최서단이 서울의 최서단보다 더 서쪽에 있다.

8.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1] 경기도의 이천은 利川이고 강원도의 이천은 伊川이다.[2] 당시 강원도 이천군은 군청 소재지가 이천이었고, 경기도 이천군(이천시)은 군청소재지가 이천(1938년에 읍내면에서 승격되며 개칭)이었다는 차이도 있다.[3]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 때 기준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된 지명을 일본 한자음으로 읽을 경우에도 강원도 이천군을 イせん(Isen, 센)으로 읽고, 경기도 이천시를 リせん(Risen, 센)으로 읽는다.[4] 이 중 동면, 서면, 안협면은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 안협현에 속했던 지역이다.[5] 안협면이 종점이다.[6] 1944년 호구조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