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22:01:10

해기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상선사관
,
,
,
,
,

국가전문자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법률 / 경제 법무부 (변호사) | 법원행정처 (법무사) | 특허청(변리사) | 고용노동부 (공인노무사) | 행정안전부(행정사)
관세청(관세사 · 보세사) | 기획재정부 (세무사) | 금융위원회 (공인회계사) | 금융감독원 (보험계리사 · 보험중개사 · 손해사정사)
공정거래위원회 (가맹거래사) | 산업통상자원부 (유통관리사) | 중소벤처기업부 (경영지도사) | 국토교통부 (감정평가사 · 공인중개사 · 물류관리사 · 주택관리사)
의료 / 복지 보건복지부 (장애인재활상담사 · 간호사 · 간호조무사 · 물리치료사 · 방사선사 · 보건교육사 · 보건의료정보관리사 · 보조공학사 · 사회복지사 · 안경사 · 안마사 · 약사 · 언어재활사 · 영양사 · 요양보호사 · 위생사 · 응급구조사 · 의사 · 의지보조기기사 · 임상병리사 · 작업치료사 · 장례지도사 · 정신건강간호사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조산사 · 치과기공사 · 치과위생사 · 치과의사 · 한약사 · 한약조제사 · 한의사)
교육 교육부 (보건교사 · 사서교사 · 실기교사 · 영양교사 · 전문상담교사 · 정교사 · 준교사 · 평생교육사)
보건복지부 (보육교사) |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 청소년지도사)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지도사 · 건강운동관리사 · 문화예술교육사 · 한국어교원) | 환경부 (환경교육사)
문화 문화체육관광부 (관광통역안내사 · 국내여행안내사 · 준학예사 · 호텔경영사 · 호텔관리사 · 호텔서비스사 · 경주심판 · 사서 · 무대예술전문인)
행정안전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수리기술자)
운전 경찰청 (자동차운전기능검정원 · 자동차운전면허 · 자동차운전전문강사) | 해양경찰청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국토교통부 (버스운전자 · 조종사(사업용/운송용/자가용) · 경량항공기 조종사 · 철도차량 운전면허 ·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 택시운전자격 · 항공교통관제사 · 항공기관사 · 항공사 · 항공운전관리사 · 항공정비사 · 화물운송종사자)
해양수산부 (고속구조정조종사 · 구명정조종사 · 기관사 · 도선사 · 소형선박조종사 · 수면비행선박조종사 · 운항사 · 통신사 · 항해사)
안전 / 환경 국방부 (국방무인기조작사 · 국방보안관리사 · 국방사업관리사 · 낙하산전문포장사 · 수중무인기조종사 · 수중발파사 · 심해잠수사 · 영상판독사 · 폭발물처리사 · 함정손상통제사 · 항공장구관리사 · 헬기정비사)
경찰청 ((일반/기계/특수)경비지도사) | 국토교통부 (교통안전관리자) | 소방청 (소방안전관리자 · 소방시설관리사 · 소방안전교육사) | 해양경찰청 (수상구조사)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 원자로조종면허(감독자/취급자) · 핵연료물질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 중소벤처기업부(기술지도사)
고용노동부 (산업보건지도사 · 산업안전지도사 · 기업재난관리사) |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사 · 환경측정분석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사 · 아마추어무선기사) | 국토교통부 (건축물에너지평가사 · 건축사)
농업 / 식품 농림축산식품부 (경매사 · 농산물품질관리사 · 손해평가사 · 가축인공수정사 · 농산물검사원 · 말조련사 · 수의사 · 장제사 · 재활승마지도사)
산림청 (산림치유지도사 · 나무의사 · 목구조관리기술자 · 목구조시공관리자 · 목재교육전문가 · 산림교육전문가 · 수목치료기술자)
해양수산부 (수산질병관리사 · 감정사 · 검량사 · 검수사 · 수산물품질관리사) | 환경부 (정수시설운영관리사)
}}}}}}}}} ||

1. 개요2. 면허3. 교육4. 해기사의 종류
4.1. 항해사4.2. 선박 기관사4.3. 전자기관사4.4. 통신사4.5. 운항사4.6. 수면비행선박조종사4.7. 소형선박조종사
5. 도선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해기사
선박직원법 전문 같은 법 시행령 전문

1. 개요

선박직원법
제2조(정의)
3. "선박직원"이란 해기사(제10조의2에 따라 승무자격인정을 받은 외국의 해기사를 포함한다)로서 선박에서 선장·항해사·기관장·기관사·전자기관사·통신장·통신사·운항장 및 운항사의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4. "해기사"(海技士)란 제4조에 따른 면허를 받은 사람을 말한다.

제4조(면허의 직종 및 등급) ① 선박직원이 되려는 사람은 해양수산부장관의 해기사 면허(이하 "면허"라 한다)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3.3.23.>

해기사(, Ship officer)는 선박을 운용하는 직업이나 그 일에 필요한 면허증을 말한다. 이 직업을 가진 사람은 선박직원법의 영향을 받는다. 면허증은 해양수산부 산하 지방해양수산청에서 발급하고, 시험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주관한다. 크게 갑판부와 기관부로 나뉜다.

군함이나 관공선 혹은 여객선, 어선을 운항하는 해기사[1]도 많지만 한국에서 해기사라고 하면 상선을 운항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2. 면허

항해사의 경우는 상선한정과 어선한정 면허가 따로 분류되며 교류교육과 시험을 통하여 동일 면허의 발급이 가능하다. 즉 3급 어선 항해사 소지자[2]는 교류교육 이수 후 상선전문 시험을 쳐[3] 합격하면 3급 상선 항해 면허를 추가 취득 가능하다. 그 반대 역시 가능함. 다만, 기관사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해양계나 수산계 가릴 것 없이 모든 면허가 동일하다.[4]

5급 이상 항해사/기관사 면허를 소유한 이는 해양수산부, 관세청, 해양경찰청 등에서 9급 공무원으로 경력채용하고 있다. 지방공무원은 항해사/기관사 면허만 가지고 있어도 경채 응시 가능.

한 가지 유의해야 하는데, 3급과 3등은 엄연히 다르다. 예를 들어, 3급 항해사는 소정의 과정을 거쳐 지방해양수산청장으로부터 '3급 항해사' 면허증을 받은 사람을 뜻하는 것이고, 3등 항해사는 선박 내에서 주어지는 직책으로, 대개 의료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지만 의료관리자 자격은 별도로 취득하여야 한다.

군함들은 해양수산부 관할이 아니기 때문에 해군들에게 해기사 면허는 필요 없다.[5] 해군 출신이 해기사 면허를 따려면 승함 경력을 바탕으로 스스로 준비하는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해군에서 복무하다보면 우린 무면허로 배 몬다는 드립을 들을 수 있다. 항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조타나 전탐 직별 부사관들이 전역 대비해서 도전하는 일이 많다. 다만 전역 후 공무원이나 군무원 기타 공공기관 선박직과 관련된 채용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승선하자 마자 6급 항해사/기관사 필기부터 합격 해 놓는 것을 추천한다. 필기 유효기간이 3년이므로 필기 합격 후 승선경력을 채워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면허 상호인정 협정을 맺은 나라에서는 별도의 추가교육훈련 없이도 한국 면허가 통한다. 해외국적선에 타는 것이 수월해 지는 것이다. 편의치적선 제도 때문에 해외국적선에 승선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 외항선 해기사의 경우 사실상 필수적이다. 파나마, 라이베리아, 마셜 제도, 바하마, 몰타, 버뮤다, 키프로스 등등...

3. 교육

대한민국에서 해기사에 대한 공부를 할 수 있는 교육기관은 아래와 같다.

* 해운계 4개교: 목포해양대학교(3급 항해사, 3급 기관사), 한국해양대학교(3급 항해사, 3급 기관사), 부산해사고등학교(4급 항해사, 4급 기관사), 인천해사고등학교(4급 항해사, 4급 기관사)
* 수산계 13개교: 부경대학교, 군산대학교, 전남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3급어선), 강원도립대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5급),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5급), 한국해양마이스터고등학교(5급),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5급), 완도수산고등학교, 제주성산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와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는 지정교육기관이 아니라 해양수산연수원의 추가교육 이수 필요
* 기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해양경찰교육원

이 중에서 대학교 졸업시 3급 항해사/기관사, 고등학교 졸업 시 4급 항해사/기관사 취득이 가능하며,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는 3, 5, 6급 항해사/기관사 양성과정인 오션폴리텍을 개설하고 있다. 해양경찰교육원에서 신임경찰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5급 항해사/기관사 취득이 가능. 교육기관 연간 배출 인원은 약 2,000여 명이다. 해기사면허 취득 방법 및 양성기관

4. 해기사의 종류

4.1. 항해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항해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선박 기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선박 기관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전자기관사

電子機關士, Electronic Engineering Officer

단일등급. 항해장비 및 갑판기기를 포함한 선박의 전기·전자 및 자동제어 설비·시스템의 유지·점검·보수관리·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응시 경력으로 미루어 볼 때 3급과 4급 기관사의 중간 위치이며, 전자기관사 승선 시 출력 3천 kW 이상의 원양항해 선박에 부과되는 3등기관사·전기기사·전기기능사·전자기사·전자기능사 등의 승선의무가 면제된다.

4.4. 통신사

通信士, Radio Operator

1~4급까지 있다. 예전에 모스 부호나 일반 무전기로만 해상통신이 가능했을 때는 통신장을 따로 승선시켜야 했으나, INMARSAT 기반의 GMDSS가 도입되면서, 항해사나 운항사가 통신사의 업무를 겸직할 수 있게 되어, 현재는 통신사 면허만 가지고 배를 타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대부분의 상선에서 2등항해사 또는 3등항해사가 항통사라는 직책을 가지고 있다.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대형 여객선에 한해 겸직 금지 규정을 두자는 의견도 있다. LNG선, 유조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는 항통사 직책이 따로 존재한다.

크게 기존 무선 방식인 전파통신급과 GMDSS 선박용인 전파전자급으로 나뉘며, 3급 이하는 승선 경력 없이도 취득이 가능하다. 해당 등급에 맞는 국가기술자격증(전파전자통신기능사 이상)이나 무선종사자 국가자격증(제한무선통신사, 해상무선통신사)을 취득하고,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취득 등급 및 항해사 소지 여부에 따라 알맞은 통신사 취득 교육을 받은 다음, 통신사 면접시험(필기 없음)에 합격하면 통신사 면허를 딸 수 있다.

1, 2급은 3개월(전파통신급은 6개월) 이상의 연안 또는 원양항해 통신사 경력이 있고 각각 전파전자통신기사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면접시험에 합격하면 된다.

4.5. 운항사

運航士, Ship Operator

1~4급까지 있다. 항해사와 기관사의 하이브리드 직종. 하지만 그렇기에 응시자가 적고(...) 현재는 별도의 양성과정도 없다.

운용하는 선박 역시 거의 없는 실정.

4.6. 수면비행선박조종사

위그선을 조종할 수 있는 항해면허. 소형과 중형으로 나뉘며, 취득 조건으로 항해사(또는 운항사) 면허와 경량항공기조종사 이상 면허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해양대학교와 항공대학교를 동시에! 자가용조종사 이상 항공면허 소지자를 대상으로 한 6급 항해사 오션폴리텍 과정도 있다.

한정면허도 있다. 날개 폭만큼의 높이 이하에서만 운항할 수 있는 '표면효과 전용선' 한정면허, 비사업용 선박만 운항할 수 있는 '비사업용 선박' 한정면허가 있다.

4.7. 소형선박조종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형선박조종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小型船舶操縱士, Small Vessel Operator

5톤 이상 25톤 미만의 선박을 조종할 수 있는 면허. 시험은 4지선다 4과목(항해, 운용, 기관, 법규), 과목별 25문제. 응시하려면 2t 이상의 선박에서 2년간 운항 경력을 쌓아야 한다.

5. 도선사

도선사 항목으로. 오랫동안 경력을 쌓은 항해사나 운항사(항해전문)만이 도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다만 도선사는 엄밀히 말하면 해기사가 아니다. 면허도 선박직원법이 아니라 도선법에 의해 발급된다.
[1] 해기사 어선 한정면허 필요[2] 해기사 면허는 6급부터 1급까지 있으며, 1급이 가장 어렵다. 보통 해기사 5~3급 자격증을 소유하거나 필기로 합격하면 선사에 입사할 수 있다. 당연히 5급보단 3급을, 그냥 3급보단 자격증 많은 3급을 선호한다. 번외로 6급은 5급을 합격하면 6급을 합격한 것으로 보고, 2,1급은 선장이나 일항사가 따는 것이라 3,4,5급이 입사 스펙에 적당하다.[3] 5과목 중 마지막 전문 과목이 상선과 어선으로 다른데 교류시험 시 이 마지막 전문과목만 따로 치면 된다.[4] 5급 이하에 한해서 한정면허를 발급받아 1년간 승선 후 한정제한을 풀 수 있는 경우가 있다.[5] 비슷하게 군용차는 자동차 운전면허와 건설기계 조종사면허가 필요 없으며 군용 비행기를 조종할 때는 항공종사자 자격증명도 필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