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21:55:57

한국과학기술원/동아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과학기술원
파일:한국과학기술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or: #004191;"
연구조직
캠퍼스대학원 총학생회학부 총학생회
동아리카포전(응원가/응원단)논란 및 사건사고
부설 기관
고등과학원나노종합기술원한국과학영재학교}}}}}}}}}

1. 학부 동아리
1.1. 분류1.2. 총학생회 산하 특별기구1.3. 생활문화 분과
1.3.1. 정동아리1.3.2. 가동아리
1.4. 연행예술 분과
1.4.1. 정동아리1.4.2. 가동아리
1.5. 전시창작 분과
1.5.1. 정동아리1.5.2. 가동아리
1.6. 밴드음악 분과
1.6.1. 정동아리1.6.2. 가동아리
1.7. 보컬음악 분과
1.7.1. 정동아리1.7.2. 가동아리
1.8. 연주음악 분과
1.8.1. 정동아리1.8.2. 가동아리
1.9. 사회 분과
1.9.1. 정동아리1.9.2. 가동아리
1.10. 종교분과
1.10.1. 정동아리1.10.2. 가동아리
1.11. 구기체육 분과
1.11.1. 정동아리1.11.2. 가동아리
1.12. 생활체육 분과
1.12.1. 정동아리1.12.2. 가동아리
1.13. 이공학술 분과
1.13.1. 정동아리1.13.2. 가동아리
1.14. 인문학술 분과
1.14.1. 정동아리1.14.2. 가동아리
2. 대학원 동아리3. 연합 동아리4. 사라진 동아리5. 동아리연합회
5.1. 역사
6. 관련 문서

1. 학부 동아리

2022년 현재 80개로, 4,000여 명 남짓한 학부생 수에 비하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중복 가입도 드물지 않으며, 심지어 세 개 이상의 동아리에 중복 가입한 사람들도 꽤 많다.[1] 그렇다고 이름만 걸어두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동아리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아무래도 대전이 좀 심심한 도시인데다, 대다수가 타지 출신이라 기숙사에 거주하며 학교 안에서 살다시피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 그런 듯하다.

동아리가 많다보니 동아리방도 학생회관이나 태울관 등 여러 건물에 흩어져 있다. 특히 밴드 동아리는 연습으로 인한 소음 피해를 막기 위해 대부분 학생회관 지하에 모여 있다.

어느 대학이나 그렇지만, 유서깊고 규모있는 동아리들은 대부분 과 관련된 별명들이 있다. 오케술트라, 여섯술, 술박스 등등. 인피니트는 이름 자체가 주량 또한 성비가 불균일한 카이스트 특성상, 성비가 그나마 균형적이고 규모가 일정 이상 크며 분위기가 화목한 몇몇 동아리들은 연애 동아리라는 오명아닌 오명(?)도 있다.

동아리의 해체, 설립이 종종 이루어지는 관계로, 이 문서보다 빠르게 동아리가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KAIST 학부생이라면 동아리연합회 공식 자료를 참고하자. 동아리 목록

1.1. 분류

학부 동아리연합회 소속 동아리는 정동아리와 가동아리로 분류된다. 정동아리는 동아리방과 동아리지원금을 제공받으며, 가동아리는 공용공간을 사용할 수 있고 가동아리로 1년간 유지하면 정동아리 등록 심사를 받을 수 있다. 동아리연합회에 등록하지 않는 동아리도 간혹 있는데, 주로 학과에서 별도의 지원을 받는 동아리(과동아리)이거나 학교의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동호회들이 있다.

VOK, ELKA, SPARCS, G-inK, 글로벌학생봉사단 등은 공식적으로 동아리가 아닌 총학생회 산하 특별기구로 분류된다. 물론 학생들 사이에서의 인식은 여타 동아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2]

KAIST 오케스트라, 카이누리, KAIST 신문사, KAIST Herald는 학부 총학생회 소속도 학부 동아리연합회 소속도 아닌, 학교 소속의 단체이다. 물론 이들 또한 학생들 사이에서의 인식은 동아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동아리들 중에는 통합되기 전의 ICU 소속이었던 것들도 있다. ICU와 통합된 직후에는 같은 주제의 동아리가 KAIST와 ICU에 모두 있을 경우 합칠 것인지, 아니면 방향성이 다르므로 따로 운영할 것인지 각각의 동아리들마다 논의가 있었다.

참고로 아래 가동아리로 분류된 동아리들 중에는 신생이라 아직 정동아리로 등록되지 않은 것들도 있지만, 모종의 사유로 정동아리 자격을 박탈당해 가동아리로 강등된 것들도 있다.
아래 정동아리 중 상임동아리는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1.2. 총학생회 산하 특별기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과학기술원/총학생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과학기술원/총학생회#s-2.4|2.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과학기술원/총학생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과학기술원/총학생회 산하 특별기구이다. 이들은 동아리연합회 소속이 아니기에 엄밀한 규정상 동아리는 아니나, 흔히 동아리 취급된다. 동아리방도 장영신학생회관, 교양분관 등 다른 곳에 위치한 경우가 있다. G-inK(Green in KAIST), 글로벌학생봉사단, SPARCS, VOK, ELKA 등의 단체가 있다.

1.3. 생활문화 분과

교양, 생활문화 관련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3.1. 정동아리

1.3.2. 가동아리

1.4. 연행예술 분과

동적 예술 관련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4.1. 정동아리

1.4.2. 가동아리

1.5. 전시창작 분과

정적 예술 관련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5.1. 정동아리

1.5.2. 가동아리

1.6. 밴드음악 분과

밴드 동아리들의 분과다.
카이스트의 밴드 동아리들은 독특하게도 장르 별로 동아리가 나뉘어 있다.(타 대학의 경우 락밴드, 재즈밴드 등으로 큰 범주로 나뉘어 있는 반면 카이스트의 밴드는 락 밴드만 다섯 장르로 나뉘어 있다.)이는 동아리연합회칙 중 '특정 분야를 다루는 동아리는 1개만 존재할 수 있다'는 조항 때문인데, 밴드 외에도 풋살 동아리와 축구 동아리, 일반 농구 동아리와 3대3 농구 동아리가 나뉘어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외에도 밴드 분과는 유서 깊은 사연이 있다. 2008년까지 카이스트 밴드는 장르의 구분이 없었다. 2009년 카이스트와 ICU가 통합되면서 ICU 소속 동아리였던 CarpeDiem과 Twenties Dream도 카이스트의 밴드 분과로 편입하게 된다. 당시의 동아리 연합회는 '밴드가 너무 많다' 며 밴드의 구조조정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반발한 밴드들은 어쩔 수 없는 생존 전략으로 밴드의 장르 구분을 통해 각 밴드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당연히 장르 구분을 무작위로 정한 건 아니고, 각 밴드 별로 기존에 선호하던 장르를 선택한 것이다.

예컨대 인피니트는 메탈과 하드락을 많이 커버하였었고, 창작동화는 창작곡 위주로 공연을 하였다. 이후 장르 구분이 생기며 각 동아리는 기존에 선호하던 장르를 더욱 구체화하면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상기의 조항에 따라 밴드의 병합이나 구조조정 없이 잘 운영되고 있는 셈이다. 다시 말하자면 밴드의 장르 구분은 당시에 필요악이었다고 볼 수 있다. 밴드 분과의 장르 구분은 꽤나 엄격해서, 공식적인 축제 무대에서는 자신에게 할당된 장르의 곡들만 공연하는 것이 원칙이며 타 장르의 곡을 공연하고자 할 경우 해당 장르의 밴드에게 허락을 구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 다만 다양한 장르의 곡을 내는 아티스트, 많은 장르의 시초가 되는 아티스트의 곡들은 장르 구분에 유한 편이며 밴드 동아리 장르에 포함되지 않는 곡들은 제약을 받지 않는다. (예컨대 윤하는 팝, 모던락, 펑크락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내고, 비틀즈의 경우 하드락, 메탈, 팝, 사이키델릭 락 등 현대 대중음악을 정의한 밴드이기 때문에 사실상 제약을 받지 않는다.)

1.6.1. 정동아리

1.6.2. 가동아리

1.7. 보컬음악 분과

보컬 중심 음악을 주로 공연하는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7.1. 정동아리

1.7.2. 가동아리

1.8. 연주음악 분과

특정 악기를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8.1. 정동아리

1.8.2. 가동아리

1.9. 사회 분과

자원봉사 관련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9.1. 정동아리

1.9.2. 가동아리

1.10. 종교분과

종교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10.1. 정동아리

1.10.2. 가동아리

1.11. 구기체육 분과

구기스포츠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11.1. 정동아리

1.11.2. 가동아리

1.12. 생활체육 분과

비구기스포츠 동아리들의 분과이다.

1.12.1. 정동아리

1.12.2. 가동아리

1.13. 이공학술 분과

수학, 과학, IT 계열의 학술 동아리들이 모여있는 분과이다.

1.13.1. 정동아리

1.13.2. 가동아리

1.14. 인문학술 분과

인문사회 학술 동아리나 창업 관련 동아리들이 이 분과에 속한다.

1.14.1. 정동아리

1.14.2. 가동아리

2. 대학원 동아리

대학원 동아리연합회 소속의 동아리들이다. 대체로 서측 학생회관에 동방이 있다는 것, 그리고 외국 학생들을 위해 영어 명칭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

3. 연합 동아리

서울권 대학들처럼 그 개수가 많진 않지만, 그래도 활발히 활동하는 연합동아리 몇 군데가 있다. 설립연도가 최근인 경우가 많으며, 그만큼 자유롭고 활발한 분위기 속에 활동할 수 있다. 특히 지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다소 폐쇄적인 KAIST에서, 연합동아리는 외부 사회와 교류하기 위한 꽤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4. 사라진 동아리

5. 동아리연합회

카이스트 2000 동아리인, 100개 동아리를 대표하는 단체.
의결기구로는 전체동아리대표자회의, 확대운영위원회, 운영위원회가 있으며,
집행기구로는 동아리연합회장단, 동아리연합회 집행부가 있다.
동아리연합회 공식 네이버 카페

5.1. 역사

역대 동아리연합회 연혁
임기 대수 명칭 회장
(비상대책위원장)
부회장
(부위원장)
비고
1991년 초대 책임감있고 창조적인 김종철 - 초대 동아리연합회
1992년 2대 뚝딱! 뚝딱! 백은권 서영석
1993년 3대 문화혁신의 기수 박민식 정해동
1994년 4대 통큰 강윤환 서은아
1995년 5대 함께하는 노종원 강윤환
1996년 6대 다시 뛰는 김진혁 박형수
1997년 7대 당신을 사랑합니다 남호근 김형준
1998년 8대 내친구 한윤석 권영재
1999년 동연 부재 동아리연합회장단이 선출되지 않아 '동아리연합특별위원회'가 운영되었다.
2000년 9대 불꽃 김민성 전강민 총학생회장단이 선출되지 않아 동아리연합회장이 전학대회 임시 의장으로 선출되어 그 직을 수행
2001년 10대 풀뿌리 이태희 이자영
2002년 11대 더불어 황원일 조석민
2003년 12대 - 진상원 인병주
2004년 13대 - 정현교 윤재선
2005년 14대 우리 장완희 연보라
2006년 1월
~ 2006년 3월
비대위 - 홍용현 -
2006년 15대 만남 이원형 김성수 3월 재선거에서 당선
2007년 16대 창문 양한슬 백한나
2008년 17대 조연 김주만 박상연
2009년 18대 이슬 박상돈 최준수
2010년 19대 적절 변규홍 박상규
2011년 1월
~ 2011년 3월
비대위 - 변규홍 -
2011년 20대 비상 최정은 강다혜 3월 재선거에서 당선
2012년 21대 교감 손성빈 현지훈
2013년 22대 더불어 걷는 강철환 변규홍
2014년 1월
~ 2014년 3월
비대위 - 윤태한 이동진
2014년 23대 안녕 윤태한 이동진 3월 재선거에서 당선
2015년 24대 한성진 김완태
2016년 1월
~ 2016년 2월
비대위 - 최진우 김지훈
2016년 3월
~ 2016년 4월
비대위 - 한성진 김승진
2016년 동연 부재 - - - 비상대책위원장단, 집행부, 운영위원회 전원이 총사퇴하며 1년간 동연이 부재하였다.
2017년 1월
~ 2017년 4월
준비위원회 - 김대환 - 동아리연합회 재건 준비위원회
현재의 동아리연합회칙이 제정되었다.
2017년 25대 RE:Born 오병철 박세윤 회장이 6월 도중 사퇴, 박세윤 학우가 회장 대행을 하였다.
2018년 26대 윤현식 정지윤
2019년 27대 (비대위) 정지윤 장성연 이후 동아리연합회는 비대위 관련없이 연도별로 대수를 친다.
2020년 28대 (비대위) - 정지윤 -
2021년 1월
~ 2021년 8월
29대 (비대위) - 김재희 -
2021년 9월
~ 2022년 2월
29대 (비대위) - 연승모 -
2022년 30대 (비대위) 연승모 신동찬 동아리연합회칙 전부개정을 하였다.
2023년 31대 오윤석 박정호 5년간의 비대위 체제를 종결하였다.
2024년 32대 권혁원 조현준
2025년 33대 오상근 유효근

6. 관련 문서


[1] 물론 그 경우 빡센 공연이나 학술보다는 로드가 비교적 낮은 교양이나 사회 동아리인 경우가 많다.[2] 가령 ELKA 단원에게 동아리를 물으면 그냥 ELKA라 대답하지, "동아리는 안 하고 ELKA한다" 식으로 말하지는 않는다는 뜻.[3] 동아리명이 연습량 뿐 아니라 주량도 의미한다는 흉흉한 루머가 유서깊다.[4] 현존하는 부산과학고등학교과는 별개의, 현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전신. 이름에 얽힌 복잡한 사연은 각각의 학교 문서 참고.[5] 현재 Clubs 시스템 내 등록인원이 1명으로 기재되어 있다.[6] 임원진의 갑질로 신입생을 부당하게 제명한 사실이 드러나 큰 논란이 일었다. 해당 폭로글은 카이스트 에브리타임에 게시된 이래 공감수 1위를 유지 중이다. (2025년 4월 기준)[7] 항공우주공학과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동아리연합회 소속이 아니다.[8] 동연 소속이 아닌 자연대 소속이었다. 코로나19 때 소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