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4 01:08:47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bgcolor=#e87f8d,#63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목록)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5회차) | 리그 오브 히어로스
트레이너 기능 시험 | 레이싱 카니발 | 마스터즈 챌린지 | 먼슬리 매치 | 한정 미션 및 이벤트 | 상시 이벤트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축전 | 라이브 | 중문 표기
사건 사고 (원화가 트위터 논란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이병진 의원 망언)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인게임 정보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 color=#212529,#e0e0e0> 파일:스페셜 위크 1차 아이콘.png 파일:사일런스 스즈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카이 테이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루젠스키 1차 아이콘.png 파일:후지 키세키 1차 아이콘.png 파일:오구리 캡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쉽 1차 아이콘.png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보드카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와 스칼렛 1차 아이콘.png 파일:타이키 셔틀 1차 아이콘.png 파일:그래스 원더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마존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맥퀸 1차 아이콘.png 파일:엘 콘도르 파사 1차 아이콘.png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티엠 오페라 오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브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루돌프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그루브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디지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이운 스카이 1차 아이콘.png 파일:타마모 크로스 1차 아이콘.png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파인 모션 1차 아이콘.png 파일:비와 하야히데 1차 아이콘.png 파일:마야노 탑건 1차 아이콘.png 파일:맨하탄 카페 1차 아이콘.png 파일:미호노 부르봉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케보노 1차 아이콘.png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맨하탄 카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유키노 비진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이스 샤워 1차 아이콘.png 파일:아이네스 후진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타키온 1차 아이콘.png 파일:어드마이어 베가 1차 아이콘.png 파일:이나리 원 1차 아이콘.png 파일:위닝 티켓 1차 아이콘.png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에어 샤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이신 플래시 1차 아이콘.png 파일:카렌짱 1차 아이콘.png 파일:카와카미 프린세스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바쿠신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킹 더 펄 1차 아이콘.png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신코 윈디 1차 아이콘.png 파일:스윕 토쇼 1차 아이콘.png 파일:슈퍼 크릭 1차 아이콘.png 파일:스마트 팔콘 1차 아이콘.png 파일:젠노 롭 로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센 조던 1차 아이콘.png 파일:나카야마 페스타 1차 아이콘.png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나리타 타이신 1차 아이콘.png 파일:니시노 플라워 1차 아이콘.png 파일:하루 우라라 1차 아이콘.png 파일:뱀부 메모리 1차 아이콘.png 파일:비코 페가수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블러스 선데이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차 아이콘.png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미스터 시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이쇼 도토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도베르 1차 아이콘.png 파일:나이스 네이처 1차 아이콘.png 파일:킹 헤일로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탄호이저 1차 아이콘.png 파일:이쿠노 딕터스 1차 아이콘.png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메지로 파머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타쿠 헬리오스 1차 아이콘.png 파일:트윈 터보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다이아몬드 1차 아이콘.png 파일:키타산 블랙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치요노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리우스 심볼리 1차 아이콘.png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메지로 아르당 1차 아이콘.png 파일:야에노 무테키 1차 아이콘.png 파일:츠루마루 츠요시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데어링 택트 0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로렐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탑 로드 1차 아이콘.png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야마닌 제퍼 1차 아이콘.png 파일:푸리오소 1차 아이콘.png 파일:트랜센드 1차 아이콘.png 파일:에스포와르 시티 0차 아이콘.png 파일:노스 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크리스 에스 1차 아이콘.png 파일:타니노 김렛 1차 아이콘.png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다이이치 루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모누 1차 아이콘.png 파일:애스턴 마짱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크라운 1차 아이콘.png 파일:슈발 그랑 1차 아이콘.png 파일:베르시나 1차 아이콘.png 파일:비블로스 1차 아이콘.png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베르시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단츠 플레임 0차 아이콘.png 파일:케이에스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정글 포켓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노 리즌 1차 아이콘.png 파일:스틸 인 러브 0차 아이콘.png 파일:코파노 리키 1차 아이콘.png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홋코 타루마에 1차 아이콘.png 파일:원더 어큐트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사운즈 오브 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로이스 앤 로이스 0차 아이콘.png 파일:카츠라기 에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네오 유니버스 1차 아이콘.png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로이스 앤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히시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탭 댄스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두라멘테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인 크라프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자리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메사이어 1차 아이콘.png 파일:데어링 하트 0차 아이콘.png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데어링 하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부에나 비스타 0차 아이콘.png 파일:오르페브르 1차 아이콘.png 파일:젠틸돈나 1차 아이콘.png 파일:윈 바리아시옹 1차 아이콘.png 파일:드림 저니 1차 아이콘.png 파일:칼스톤 라이트 오 1차 아이콘.png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드림 저니(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칼스톤 라이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듀랜달 1차 아이콘.png 파일:버블검 펠로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페노메노 1차 아이콘.png 파일:블래스트 원피스 0차 아이콘.png 파일:아몬드 아이 0차 아이콘.png 파일:럭키 라일락 0차 아이콘.png
[[듀랜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버블검 펠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페노메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블래스트 원피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몬드 아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럭키 라일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그란 알레그리아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카렌 부케도르 0차 아이콘.png
[[그란 알레그리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1px"]]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렌 부케도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친구 카드 ]
파일:하야카와 타즈나 서포트 R.jpg 파일:키류인 아오이 서포트 R.jpg 파일:안심자와 사사미 서포트 R.jpg 파일:카시모토 리코 서포트 R.jpg 파일:라이트 헬로 서포트 R.jpg 파일:사타케 메이 서포트 R.jpg 파일:츠루기 료카 서포트 R.jpg
[[하야카와 타즈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류인 아오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안심자와 사사미/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시모토 리코/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트 헬로/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타케 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기 료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아키카와 야요이 서포트 R.jpg
[[아키카와 야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그룹 카드 ]
파일:우마무스메 그룹.png 파일:팀 시리우스 서포트 SSR.jpg
}}}}}}}}}


1. 개요2. 육성 우마무스메
2.1. ★★★ - [팝스☆조커]
2.1.1. 육성 시 특이사항2.1.2. PvP2.1.3. 기타
2.2. ★★★ - [Aurore☆Vacances]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3.2. SR - [nail on Turf]3.3. SSR - [In my way]3.4. SR - [Time flies]
4. 밸런타인 초콜릿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토센 조던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

2. 육성 우마무스메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43 「토센 조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시기
주니어급 6월 후반

출전 조건
없음

비고
교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호프풀 S에서 5착 이내

시기
주니어급 12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100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사츠키상에서 5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4월 전반

출전 조건
팬 수 450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아르헨티나 공화국배에서 3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11월 전반

출전 조건
팬 수 19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2500m(장거리) / 좌
아리마 기념에 출전

시기
클래식급 12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500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500m(장거리) / 우, 내측
오사카배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3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한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텐노상(봄)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4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교토 / 잔디 / 3200m(장거리) / 우, 외측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6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한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내측
텐노상(가을)에서 1착

시기
시니어급 10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2000m(중거리) / 좌
}}}}}}}}} ||
トーセンジョーダン勝った! 根性見せた! 初めてのGⅠタイトルをもぎ取りました!}}}
토센 조던이 우승! 근성을 보여줬습니다! 첫 GⅠ 타이틀을 따냈습니다!
||
첫 G1 우승을 따내야 하는 레이스가 시니어 시즌 막바지인 텐노상(가을)이라는 점에서, 그보다 더 이후인 시니어급 아리마 기념에서 첫 G1 레이스 우승을 해야하는 나이스 네이처와 조건이 비슷하다. 하지만 텐노상(가을)이 아리마 기념보다 4턴 일찍 개최됨에도 불구하고 난이도는 토센 조던 쪽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는데, 목표 레이스 이전에 필수로 뛰어야하는 G1 레이스의 수(6개)가 네이처(4개)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특히 시니어 시즌의 G1 레이스들(목표6~8)은 네이처와 마찬가지로 '3착 이내'가 클리어 조건인지라, 2착 또는 3착에 딱 맞춰 들어와야 한다. 그리고 네이처와 마찬가지로, 고유 아나운스를 들어보려면 제대로 된 육성은 포기하고 도전해야하는 것은 덤.
トーセンジョーダン! 決して揺るがぬ勝負根性で 誰にも崩せない不滅の走りを見せてくれました!}}}
토센 조던! 결코 흔들림 없는 승부 근성으로 누구도 무너뜨릴 수 없는 불멸의 달리기를 보여줬습니다!
||

2.1. ★★★ - [팝스☆조커]

파일:토센 조던 1차 아이콘.png ★★★★★
[팝스☆조커]
토센 조던
とりま、あたしにもやれること
あるって、見せつけてやるし!
암튼, 나도 할 수 있는 게
있다는 걸, 보여 주겠다구!
<nopad> 파일:토센 조던 스킬 모션.gif [팝스☆조커]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음? 아. 아핫☆, ruby=ん?あ。あはっ☆)] [ruby(승부 컬러는, ruby=勝負カラーは、)] [ruby(역시 이거지~!, ruby=やっぱこれっしょ~!)]
[ruby(예~이!, ruby=ウェーイ!)] [ruby(후후훗\,, ruby=ふふんっ、)] [ruby(각오하라구☆, ruby=覚悟しろし☆)]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이제부터, ruby=こっからが)] [ruby(진짜라구~!, ruby=ガチだし~!)]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11월 8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년 2월 27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89 파일:우마무스메 Gp.png98 파일:우마무스메 Gp.png75 파일:우마무스메 F.png101 파일:우마무스메 Gp.png87

+ 10%

+ 0%

+ 10%

+ 10%

+ 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F.png109 파일:우마무스메 F.png120 파일:우마무스메 Gp.png92 파일:우마무스메 F.png123 파일:우마무스메 F.png106 }}}}}}}}}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G.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C.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고유.png ||[고유] YEAH☆VIVID TIME!
최종 직선을 달릴 때 전방에서 추월하려고 하거나 누군가가 따라붙으면 텐션을 올려 속도가 상승한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복병◯ (伏兵◯)
4번 인기 이하인 레이스에서 능력을 발휘하기가 조금 쉬워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추월 확정 태세 (差し切り体勢)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 각성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좋은 위치 뒤따르기 (好位追走)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레어.png ||[레어] 능숙한 환승 (乗り換え上手)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남김 없이 (ありったけ)
종반의 최종 직선에서 좋은 위치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레이스 플래너 (レースプランナー)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
✦ 진화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진화.png ||[진화] 분위기 타자! (ノってこ!)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가속력이 상승하며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선행/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진화.png ||[진화] 트렌드 플래너 (トレンドプランナー)
레이스 중반에 지구력을 회복하고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선행/선입>||

||

태생 3성의 중거리 선행/선입마.

고유 스킬은 최종 직선에서 전방(상위 40% 이내)에 있을 때, ①다른 우마무스메가 1초 이상 따라붙거나 ②혹은 앞쪽의 우마무스메를 추격하는 상태면 속도가 상승(0.35)하는 스킬이다.[패치이전] 스킬 효과는 동일하지만 발동 조건이 2가지라는 점이 특징인데, 최종 직선은 지속적으로 추격이 이루어지는 구간이기 때문에 두 조건 모두 만족하기 어렵지 않다. 여기에 순위 조건도 비교적 널널해서 발동률은 무난하게 좋은 편. 다만 최종 직선이라는 늦은 위치에서 발동하는 고유 스킬임에도 속도 상승량이 평범한 수준에 불과한지라, 발동 조건이 까다롭더라도 효과량이 더 높은 고유 스킬들에 비해서는 메리트가 떨어진다.[5]

2.1.1. 육성 시 특이사항

2.1.2. PvP

원본마의 우승 커리어 대부분이 중거리 레이스였다는 점을 반영해서인지, 우마무스메 토센 조던도 중거리 주자에 적합한 성능으로 출시되었다. 기본 거리 적성부터가 중거리만 A적성으로 책정되어 있고, 스피드/파워/근성 +10%의 성장률이나 소지 스킬('중거리 직선◯', '남김 없이', '좋은 위치 뒤따르기/레이스 플래너')도 중거리 주자 육성에 유리한 구성이다. 장거리(B)나 마일(F) 주자로도 육성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여러모로 실익은 낮은 편.[11] 각질은 선행/선입 어느 쪽이든 각각 메리트가 있으나, 보통은 기본 적성이 A인 선행 쪽이 많이 선택된다.

인싸(갸루) 컨셉으로 나름 특색 있는 캐릭터이고 성장률과 소지 스킬의 밸류도 제법 괜찮은 편이지만, 아쉽게도 실전 성능은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다. 캐릭터의 설계가 게임 초창기부터 있어서 그런지 전반적으로 초기 캐릭터들과 장단점이 거의 비슷한데, 하필 토센 조던은 애매한 고유 스킬의 성능과 각각 다른 조건의 레어 스킬 구성 등의 치명적인 단점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우선 소지 레어 스킬이 선행 조건인 '레이스 플래너'와 선입 조건인 '능숙한 환승'으로 나누어져 있어, 선행/선입 어떤 각질로 육성하든 레어 스킬 하나를 버려야 한다. 문제는 가속력 스킬인 '능숙한 환승'을 믿고 선입마로 육성하자니 '능숙한 환승'과 '독점력' 스킬을 소지한 그래스 원더가 수문장으로 버티고 있고,[12] 반대로 회복 스킬인 '레이스 플래너'를 살려 선행마로 육성하자니 중장거리 선행 라인은 고성능 주자가 너무 많아서 레어 회복 스킬 하나로는 경쟁이 안된다. 더군다나 고유 스킬의 성능도 평범한 수준에, 2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까지는 까다로운 순위 조건으로 발동률까지 처참했다. 당연히 챔피언스 미팅은 물론이고 팀 레이스에서조차 애정픽으로도 채용하기가 어려웠으며, 오죽하면 토센 조던은 전자 피규어(...)에 불과하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였다.

그래서인지 토센 조던은 2주년 밸런스 패치에서 꽤 많은 수혜를 받게 됐다. 우선 고유 스킬의 발동 조건이 엄청나게 완화됐는데, 순위 조건의 범위 확대, 추격당해야 하는 시간 축소, 추월 조건에서 추격 조건으로 변화, 이렇게 세 가지 버프를 한꺼번에 받았다. 아쉽게도 효과량은 그대로라서 고유 스킬의 메리트가 적다는 점은 여전하지만, 그래도 높은 발동률로 최소한의 경쟁력은 갖출 수 있게 된 셈이다. 그리고 소지 레어 스킬 둘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도 진화 스킬의 추가로, 두 스킬 모두 진화시키면 선행/선입 공용 스킬로 변경되면서 해결되었다. 덕분에 선행/선입 어느 각질로 육성하던 제법 밸런스 있는 스킬 구성을 갖게 되었으며, 실전에서도 최소한 애정픽으로 채용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실제로 2주년 밸런스 패치 직후에 열린 2회차 피스케스배(나카야마 2000m)에서는, 티어픽까지는 아니지만 나름 의외의 조커픽으로 활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승부복 명칭인 '팝스☆조커'의 현실화

2.1.3. 기타

2.2. ★★★ - [Aurore[15]☆Vacances]

파일:토센 조던 2차 아이콘.png ★★★★★
[Aurore☆Vacances]
토센 조던
バカンスうぇい☆あたしら
いつメン真夏よりホットっしょ?
바캉스 웨이☆
우리 고멤들, 한여름보다 핫하지?
<nopad> 파일:토센 조던 스킬 모션2.gif [Aurore☆Vacances]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팔로워들\, 알로하~♪, ruby=フォロワーアロハ~♪)] [ruby(리조트 와 버림♪, ruby=リゾートきちゃ♪)]
[ruby(뿌엥!, ruby=ぴえん!)] [ruby(그리고 웨이☆, ruby=からのうぇい☆)] [ruby(그리고 슛!, ruby=からのシュート!)] [ruby(여름이? 최~고☆, ruby=夏しか?勝たーん☆)]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리조트~ 최~고☆, ruby=リゾートしか勝た~ん☆)]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년 6월 29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년 10월 17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97 파일:우마무스메 Gp.png84 파일:우마무스메 Gp.png99 파일:우마무스메 Gp.png86 파일:우마무스메 Gp.png84

+ 8%

+ 8%

+ 14%

+ 0%

+ 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F.png119 파일:우마무스메 F.png102 파일:우마무스메 F.png121 파일:우마무스메 F.png105 파일:우마무스메 F.png103 }}}}}}}}}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G.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C.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고유.png ||[고유] GALmem.포에버♪ (GALmem.ふぉーえば♪)
레이스 중간 부근에서 중위권 그룹에 있으면 속도가 계속해서 다소 상승하며 컨디션이 최상이라면 효과가 증가한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원 찬스 (ワンチャンス)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 (恐れぬ心)
레이스 후반에 중위권 그룹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하며 추가로 가속력이 매우 조금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치밀어 오르는 열 (込み上げる熱)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에 있으면 약간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장거리>||

✦ 각성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경쾌한 스텝 (軽やかステップ)
좌우로 이동할 때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레어.png ||[레어] 기사회생 (起死回生)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복병◯ (伏兵◯)
4번 인기 이하인 레이스에서 능력을 발휘하기가 조금 쉬워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대담무쌍 (大胆不敵)
레이스 후반에 중위권 그룹에 있으면 속도가 상승하며 추가로 가속력이 아주 조금 상승한다 <작전・선입>||

||
✦ 진화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진화.png ||[진화] 무한 찬스! (ワンチャンまくったる!)
최종 코너에서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상승하며, 도쿄 경기장이라면 추가로 속도가 다소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내가 최고임! (あたししか勝たん!)
최종 코너에서 중위권 그룹이라면 속도가 상승하며 도쿄 경기장의 중거리 레이스라면 추가로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나 최고잖아! (あたしサイコーじゃん!)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에 있으면 많이 앞으로 나가고, 도쿄 경기장이라면 아주 많이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
파일:우마무스메_토센조던(승부복)2.png

스토리 이벤트인 #summer #besties에 맞춰 업데이트 된 바캉스 승부복으로, [Ultra☆Marine] 뱀부 메모리와 함께 추가되었다. 의상 자체는 비교적 평범하지만, 트윈테일로 묶었던 머리카락을 풀어 헤치면서 상당한 화제가 되었다. 머리카락이 좀 더 긴 데어링 택트와 비슷한 헤어스타일이 되었는데, 덕분에 이미지가 훨씬 상큼해지고 예뻐지면서 유저들의 눈길을 한데 모았기 때문.[16]

바캉스 조던은 오리지널 조던과 동일하게 중거리가 주력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선행/선입 어느 쪽으로도 활용하기 좋았던 오리지널 조던과는 달리 이쪽은 선입 각질로 육성하는 데에 좀 더 특화됐다는 차이가 있다. 선입 조건이 붙은 스킬은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대담무쌍' 뿐이긴 하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소지 스킬과 후술할 고유 스킬도 모두 순위 조건으로 '중위권 그룹'을 요구하다보니 사실상 선입마용 스킬로 취급되기 때문. 성장률 또한 선입마 육성에 유리하도록 스피드/스태미나(각 8%)보단 파워(14%)에 좀 더 많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오리지널 조던에선 B였던 선입 적성이 바캉스 조던에선 A로 상승했다.

고유 스킬은 레이스 중간 부근(진행거리 비율 40~50% 이내)에서 중위권 그룹(순위 비율 40~80% 이내)에 있으면 발동하는데, 속도 상승량(0.25)은 일반적인 고유 스킬보다 적은 대신 기본 지속시간(6초)이 긴 것이 특징인 스킬이다. 레이스 중간 지점에서 오랜 시간 발동하는 스킬이다보니, 선입마가 레이스 중반에 순위를 올리며 좋은 위치를 점유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레이스 출전 시의 컨디션이 '최상'인 경우엔 효과가 증가하는 추가 효과가 있는데, 소폭이긴 하지만 속도 상승량이 증가(0.25 → 0.3)하게 된다. 컨디션은 비교적 맞춰주기 쉬운 조건이다보니 속도 상승량의 증가폭을 작게 잡는 것으로 밸런싱을 한 셈.

한편 진화 스킬이 상당히 특이한 편인데, 다른 스킬인가 싶을 정도로 원본 레어 스킬과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17] 우선 스킬의 발동 위치가 둘 다 최종 코너로 변경되는데, 이에 따라 코스에 따른 스킬의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둘 다 도쿄 경기장의 중거리 레이스에서만 발동하는 추가 효과가 생기는데, 양쪽 모두 추가 효과가 발동하면 속도/가속력이 모두 상승하는 복합 스킬이 된다. 하지만 추가 효과가 발동하지 못한다면 원본 레어 스킬과 효과량에서 별 차이가 없거나 손해를 본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경기장이 매번 바뀌는 팀 레이스용 주자로 육성할 경우엔 스킬을 진화시키지 않는 쪽이 오히려 유리하다.

여담으로 고유 스킬 연출을 보면 우측 하단에 SNS의 UI가 표시되는데, 여기에 나오는 좋아요, 댓글, 공유 숫자는 모두 원본마와 관련된 숫자들이다. 좋아요 수 178.5K는 경매 낙찰가인 1억 7850만엔을, 댓글 수 3337은 대표적인 우승 기록인 2011년 텐노상(가을)에서의 배당(33.3)과 인기 순위(7번 인기)를, 공유 수 7506은 총 획득 상금인 7억 506만 엔을 표현한 것이다.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

<nopad> 파일:토센 조던 서포트 R.jpg [트레센 학원]
토센 조던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

레어도

MAX Lv
20 (✦0) ~ 40 (✦4)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8월 20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12월 9일
고유 보너스
없음
✦ 에피소드
나는 토센 조던. 꿈은… 요런 딱딱한 이야기는 NG니까 만반잘부~☆ 암튼 네일 좀 봐봐! 멋지지?
✦ 우정 보너스 5~2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25
기 본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특기율 증가 5~50
기 본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25%
Lv.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스태미나 증가 10~20
Lv.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스태미나가 증가
✦ 스태미나 보너스 1
Lv.40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태미나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복병◯ (伏兵◯)
4번 인기 이하인 레이스에서 능력을 발휘하기가 조금 쉬워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스태미나 킵 (スタミナキープ)
레이스 중반이 다가올 때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위치 선정 밀어붙이기 (位置取り押し上げ)
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코너◯ (中距離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직선◯ (先行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노멀.png ||[노멀] 럭키 세븐 (ラッキーセブン)
그룹 번호가 7일 때 다소 좋은 일이 생기기도 한다||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스마트폰은 시간 도둑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우선 한 바퀴 기록을 잰다
    • 컨디션 상승 / 스피드 +5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평소와 다른 장소에서 조깅
    • 스태미나 +1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리뷰는 반쯤 도박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달리지 않는 날에만 쓴다거나
    • 체력 +10 / 컨디션 상승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다른 활용방법을 찾는다
    • '럭키 세븐'의 힌트 Lv +1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3.2. SR - [nail on Turf]

<nopad> 파일:토센 조던 서포트 SR.jpg [nail on Turf]
토센 조던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

레어도

MAX Lv
25 (✦0) ~ 45 (✦4)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8월 20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12월 9일
고유 보너스
✦ nail on Turf
Lv.25 해방

컨디션 효과 증가 15%, 레이스 보너스 5%
✦ 에피소드
에휴~ 이제 그만 휴식~
✦ 우정 보너스 10~3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30
기 본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특기율 증가 5~50
기 본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30%
Lv.10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스태미나 증가 10~20
Lv.10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스태미나가 증가
✦ 힌트 Lv 증가 Lv.1~2
Lv.30 해방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20~30%
Lv.30 해방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스태미나 보너스 1
Lv.4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태미나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복병◯ (伏兵◯)
4번 인기 이하인 레이스에서 능력을 발휘하기가 조금 쉬워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스태미나 킵 (スタミナキープ)
레이스 중반이 다가올 때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위치 선정 밀어붙이기 (位置取り押し上げ)
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코너◯ (中距離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직선◯ (先行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노멀.png ||[노멀] 럭키 세븐 (ラッキーセブン)
그룹 번호가 7일 때 다소 좋은 일이 생기기도 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페이스 업 (ペースアップ)
레이스 중반에 추월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스마트폰은 시간 도둑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우선 한 바퀴 기록을 잰다
    • 컨디션 상승 / 스피드 +5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평소와 다른 장소에서 조깅
    • 스태미나 +1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리뷰는 반쯤 도박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달리지 않는 날에만 쓴다거나
    • 체력 +10 / 컨디션 상승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다른 활용방법을 찾는다
    • '럭키 세븐'의 힌트 Lv +1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잔디에 네일리스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혁신적이다!
    • 성공 시 : 스킬 Pt +4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실패 시 : 컨디션 하락 / 스킬 Pt +10
  • 그만두는 게…
    • 스태미나 +1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소질이 있어야만 가능한 네일이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멋만 부리는 게 아니라 도움도 되는 거구나
    • 성공 시 : 체력 +10 / '페이스 업'의 힌트 Lv +3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실패 시 : '페이스 업'의 힌트 Lv +1
  • 승부에 진심인 점은 멋지다고 생각해
    • 체력 -5 / 스태미나 +2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중거리 선행마를 기준으로 괜찮은 스킬들을 소지하고 있고, '힌트 Lv 증가' 및 '힌트 발생률 증가' 효과도 무난하며, 특히나 풀돌 기준 스태미나 트레이닝 효율이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다. 다만 SR 스태미나 카드엔 이상할 정도로 괴물들이 많은지라(...) 채용률은 별로 높지 않다.

3.3. SSR - [In my way]

<nopad> 파일:토센 조던 서포트 SSR.jpg [In my way]
토센 조던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

레어도

MAX Lv
30 (✦0) ~ 50 (✦4)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1월 28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년 5월 19일
고유 보너스
✦ In my way
Lv.40 해방

트레이닝 효과 증가 5%, 힌트 발생률 증가 20%
✦ 에피소드
「어어, 손을 이렇게…하면 되나요?」
✦ 우정 보너스 10~2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스피드 증가 10~35
기 본
육성 개시 시 초기 스피드가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25
Lv.10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특기율 증가 5~50
Lv.10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트레이닝 효과 증가 1~5%
Lv.15 해방
함께 트레이닝했을 때 효과 증가
✦ 레이스 보너스 1~5%
Lv.15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1~10%
Lv.15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스피드 보너스 1
Lv.3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피드 상승량이 증가
✦ 초기 파워 증가 15~30
Lv.4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파워가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복병◯ (伏兵◯)
4번 인기 이하인 레이스에서 능력을 발휘하기가 조금 쉬워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스태미나 킵 (スタミナキープ)
레이스 중반이 다가올 때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위치 선정 밀어붙이기 (位置取り押し上げ)
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코너◯ (中距離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직선◯ (先行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노멀.png ||[노멀] 럭키 세븐 (ラッキーセブン)
그룹 번호가 7일 때 다소 좋은 일이 생기기도 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직선 회복 (直線回復)
레이스 중반의 직선에서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호전일식 (好転一息)
레이스 중반의 직선에서 지구력을 회복한다||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스마트폰은 시간 도둑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우선 한 바퀴 기록을 잰다
    • 컨디션 상승 / 스피드 +5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평소와 다른 장소에서 조깅
    • 스태미나 +1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리뷰는 반쯤 도박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달리지 않는 날에만 쓴다거나
    • 체력 +10 / 컨디션 상승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다른 활용방법을 찾는다
    • '럭키 세븐'의 힌트 Lv +1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거리감 같은 거 있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DIY에 도전!
    • 스피드 +10 / 스태미나 +5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이미지 체인지☆범용성 있는 어덜트 코디
    • 체력 +1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자존감 올리고 싶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스피드 +10 / 스킬 Pt +1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③ [  굉장한 애는 굉장하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성공 시 : 체력 -10 / 스피드 +15 / '호전일식'의 힌트 Lv +3
    • 실패 시 : 체력 -10 / 스피드 +10 / '직선 회복'의 힌트 Lv +3
}}}}}}}}}

스토리 이벤트인 영관의 파티스리에서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SSR 서포트 카드로, 스태미나 특기였던 기존 카드들과는 달리 스피드 특기로 나왔다. 서포트 카드 중에서는 보드카 SSR 카드에서만 얻을 수 있었던 레어 회복 스킬인 '호전일식'을 가지고 있지만, 이벤트 배포 카드라서 그런지 확률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그래도 스피드 트레이닝 효율은 괜찮은 편이라, 쓸만한 스피드 카드가 없을 때 사용하기엔 적당한 수준.

3.4. SR - [Time flies]

<nopad> 파일:토센 조던 서포트 SR2.jpg [Time flies]
토센 조던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

레어도

MAX Lv
25 (✦0) ~ 45 (✦4)
<colbgcolor=#26b8ae,#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년 2월 24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6월 14일 (예상)
고유 보너스
✦ Time flies
Lv.25 해방

파워 보너스 1, 트레이닝 효과 증가 5%
✦ 에피소드
「…에, 벌써 해 짐? 뭐임?」
✦ 우정 보너스 10~2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50%
기 본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특기율 증가 5~50
기 본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힌트 Lv 증가 Lv.1~2
Lv.5 해방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5~40%
Lv.5 해방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레이스 보너스 1~5%
Lv.10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1~10%
Lv.10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20
Lv.30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스킬 Pt 보너스 1
Lv.4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킬 Pt의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복병◯ (伏兵◯)
4번 인기 이하인 레이스에서 능력을 발휘하기가 조금 쉬워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포지션 노멀.png ||[노멀] 임기응변 (臨機応変)
레이스 종반에 코스를 다소 능숙하게 잡는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빠져나갈 준비 (抜け出し準備)
최종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템포 업 (テンポアップ)
레이스 중반에 전방이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자신감 (自信家)
스피드와 파워가 충분히 강하면 스피드와 파워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반 달인 (中盤巧者)
레이스 중반에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노멀.png ||[노멀] 럭키 세븐 (ラッキーセブン)
그룹 번호가 7일 때 다소 좋은 일이 생기기도 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달려들기 (食らいつき)
레이스 후반에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선행/선입>||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스마트폰은 시간 도둑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우선 한 바퀴 기록을 잰다
    • 컨디션 상승 / 스피드 +5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평소와 다른 장소에서 조깅
    • 스태미나 +1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리뷰는 반쯤 도박이잖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달리지 않는 날에만 쓴다거나
    • 체력 +10 / 컨디션 상승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다른 활용방법을 찾는다
    • '럭키 세븐'의 힌트 Lv +1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일단은 단 걸 먹자니까?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좋은 계기가 된 것 같아)
    • 체력 +10 / 스피드 +10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좋은 휴식이 됐으면 좋겠네)
    • 좋은 상태 '행운 체질' 획득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훌륭해요 상 주고싶은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네 말은 듣기만 해도 기분이 좋네
    • 스피드 +10 / '달려들기'의 힌트 Lv +2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너도 훌륭하다고 생각해!
    • 체력 +15 / 토센 조던의 우정도 +5
}}}}}}}}}

트레이닝 성능에선 별 특징이 없지만, 첫 번째 연속 이벤트에서 좋은 상태인 '행운 체질'을 획득하여 상태 이상 획득을 방어할 수 있다. 카드를 편성하지 않았으나 첫 번째 연속 이벤트가 뜬 경우에 특히나 더 좋은 장점이기도 하다.

4. 밸런타인 초콜릿

토센 조던의 밸런타인 초콜릿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밸런타인 초콜릿 상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토센 조던의
Milk&Dark 트윈 컬러 팝콘

(トーセンジョーダンの
Milk&Darkツインカラーポップコーン)
파일:chocolate_1004801.jpg

팝스☆조커
파일:chocolate_1004802.jpg

Aurore☆Vacances
ゼロだとかわいそーだしやる。
味わって食えし!
암것도 못 받으면 불쌍할 것 같으니까 줄게.
맛나게 먹어!
}}}}}}}}} ||


[1] 7년이란 오랜 커리어(2008~2014년) 동안 텐노상(봄)은 1번, 텐노상(가을)과 재팬컵은 각각 4번이나 나갔고, 그 외에도 많은 G1 레이스를 뛰었다. 하지만 14번의 G1 레이스 중에서 4번(2011년도 재팬컵 2착, 2012년도 텐노상(봄) 2착 등)을 제외하면 모두 3착 미만으로 성적이 좋은 편은 아니었다.[2] 토센 조던이 이겼던 것은 3착을 달성했던 2013년도 재팬컵 뿐이었다. 같은 해 아리마 기념에선 골드 쉽이 3착으로 이겼고, 심지어 2014년도 타카라즈카 기념에선 골드 쉽이 우승을 하여 토센 조던이 완패했다.[3] 비슷하게 시니어 시즌에서 첫 G1 우승을 해야 고유 아나운스를 들을 수 있는 사례로는 나이스 네이처킹 헤일로가 있다. 다만 이들처럼 일정 횟수 이상의 G1 레이스에 출전해야하는 전제 조건이 있는지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태.[패치이전] 2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엔 순위 조건이 더 좁았고, 추격 조건에도 다소의 차이가 있어 발동률이 낮았다. 2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의 고유 스킬에 대해 확인하고 싶다면 본 문서의 이전 버전(r126)을 참조할 것.[5] 가령 토센 조던과 비슷하게 '최종 직선에서 추격'을 트리거로 발동하는 토카이 테이오의 고유 스킬은 순위 조건과 추격 조건 모두 토센 조던보다 까다롭지만, 속도 상승량은 많이(すごく) 수준으로 높기 때문에 훨씬 강력한 고유 스킬로 평가된다.[6] 토센 조던의 동기 중 하나가 부에나 비스타인데다가, 이들이 데뷔했던 시기는 보드카다이와 스칼렛 같은 암말들이 강렬한 활약을 남겼던 때였다.[7] 그나마 나카야마 페스타는 클래식 3관 레이스에 출전이라도 해봤지, 토센 조던과 스트롱 리턴은 아예 도전조차 하지 못했다.[8] 참고로 공용 마이너스 스킬들 중에도 동일한 조건에서 발동하는 '양호한 경기장×' 스킬이 있다. 다만 이쪽은 감소하는 능력치가 파워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9] 보통 이런 부상 이벤트로 인한 페널티는 상태 이상의 형태로 주어졌다가 나중에 치료되거나 좋은 상태로 바뀌는 식으로 나온다. (슈퍼 크릭, 나리타 타이신 등) 그런 점에서 스킬로 고정 페널티를 주는 토센 조던은 특이한 사례.[10] 앞서 링크된 영상은 스피드 1200인 상태로 우승한 경우다.[11] 장거리 주자로 육성하기에는 스태미나에 성장률이 없고, 회복 스킬인 '레이스 플래너' 정도를 제외하면 장거리에서 쓸만한 소지 스킬이 하나도 없다. 마일 개조는 거리 인자를 최대한 투입하고도 육성 도중에 1번 더 계승받아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으며, 힘들게 마일 주자로 개조해도 장거리와 마찬가지로 써먹을 스킬이 없다.[12] 심지어 그래스 원더는 2성 우마무스메라서 3성 우마무스메인 토센 조던보다 접근성도 훨씬 좋다.[13] 참고로 해당 재팬컵의 우승마는 부에나 비스타였다.[14] 다만 토센 조던의 장거리 커리어는 아르헨티나 공화국배와 텐노상(봄)을 제외하고 아리마 기념(나카야마 2500m)만 3번(2010, 2011, 2013) 출전했는데, 2010-2011년에는 모두 5착을, 2013년에는 14착을 기록했다. 2011-2013 시즌에 부에나 비스타, 오르페브르, 젠틸돈나 등의 초강자들이 많았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장거리 적성이 아주 좋았다고 보기는 어려운 셈.[15] 오로르. 프랑스어로 '새벽', '청춘' 등을 의미하는 단어다.[16] "조던이 이렇게 예쁜 애였나?", "트윈테일이 외모 봉인구였네" 같은 반응들이 많이 나왔다. 파카 라이브 방송 당시엔 함께 공개된 뱀부 메모리의 바캉스 승부복의 존재를 지워버릴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다.[17] 이전의 진화 스킬들은 효과량만 증가하는 식으로 단순하게 변했으나, 두 진화 스킬 모두 큰 폭의 변화를 겪는 바캉스 조던의 경우는 꽤 이례적인 케이스였다. 다만 나중엔 이런 케이스가 꾸준히 등장하면서 바캉스 조던의 사례도 비교적 평범(?)한 수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