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3:03:17

곰돌이 푸

크리스토퍼 로빈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주인공: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디즈니 로고.svg 미디어 프랜차이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373a3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ickey_logo_transparent.png파일:500px-Winnie_the_Pooh_(2011_film)_logo.svg.png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Disney_Princess_2014_Logo.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isney_Fairies_Logo.png파일:external/cifegroup.com/tsumtsum-logo.png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Descendants_Logo.png
파일:Kingdom_Hearts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he Nation's Best-loved Novel
※ 2003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 독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웹사이트, 전화, 문자 투표를 바탕으로 '영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소설책 200권'을 선정
TOP 10
<rowcolor=white> 1위 2위 3위 4위 5위
반지의 제왕 오만과 편견 황금나침반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파일:반지의 제왕 1968년 북 커버.png 파일:오만과 편견 북 커버.png 파일:황금나침반 북 커버.png 파일: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북 커버.jpg 파일:해리 포터와 불의 잔 북 커버.png
J. R. R. 톨킨 제인 오스틴 필립 풀먼 더글러스 애덤스 J. K. 롤링
<rowcolor=white> 6위 7위 8위 9위 10위
앵무새 죽이기 곰돌이 푸 1984 사자와 마녀와 옷장 제인 에어
파일:앵무새 죽이기 북 커버.png 파일:곰돌이 푸 북 커버.jpg 파일:attachment/1984/c0026408_4bf7e8c421895.jpg 파일:사자와 마녀와 옷장.jpg 파일:Jane-Eyre.jpg
하퍼 리 A. A. 밀른 조지 오웰 C. S. 루이스 샬롯 브론테
11위 - 30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white>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캐치-22 폭풍의 언덕 새의 노래 레베카 호밀밭의 파수꾼
조지프 헬러 에밀리 브론테 시배스천 폭스 대프니 듀 모리에 J. D. 샐린저
<rowcolor=white>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위대한 유산 작은 아씨들 코렐리의 만돌린 전쟁과 평화
케네스 그레이엄 찰스 디킨스 루이자 메이 올컷 루이 디 베르니이르 레프 톨스토이
<rowcolor=white>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호빗
마거릿 미첼 J. K. 롤링 J. K. 롤링 J. K. 롤링 J. R. R. 톨킨
<rowcolor=white>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더버빌 가의 테스 미들마치 A Prayer For Owen Meany 분노의 포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토머스 하디 조지 엘리엇 존 어빙 존 스타인벡 루이스 캐럴 }}}}}}}}}
출처: Top 100 Top 200 }}}}}}}}}

곰돌이 푸
Winnie the Pooh
파일:winnie-the-pooh-friends-i12468.jpg
원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표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Winnie-the-Pooh.jpg}}}}}}}}}
<colbgcolor=#ffd700><colcolor=#010101> 작가 A. A. 밀른
삽화가 E. H. 셰퍼드
국가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출판사 메수엔
출판일 1926년 10월 26일 ([age(1926-10-26)]주년)
원작자 A. A. 밀른
E. H. 셰퍼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시리즈 시작 1966년 2월 4일[1] ([age(1966-02-04)]주년)
소유 월트 디즈니 컴퍼니

1. 개요2. 탄생 배경3. 등장인물
3.1. 후속 등장인물
4. 작품 목록
4.1. 곰돌이 푸의 모험 (1977)4.2. 곰돌이 푸 (2011)4.3.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2018)4.4. 곰돌이 푸: 피와 꿀 (2023)4.5. 제목 미정 애니메이션
5. 파생작6. 패러디7. 기타
7.1. 밈7.2. 중국에서의 검열 및 반중 정서의 상징화

[clearfix]

1. 개요

영국의 작가 A. A. 밀른이 집필한 동화와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미디어 믹스로, 1977년에 제작한 디즈니의 장편 애니메이션[2] <백 평짜리 숲>[3]에서 곰돌이 푸와 그의 친구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그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2011년에는 곰돌이 푸 탄생 90주년을 맞아 리메이크를 제작했다. 소련에서도 1969년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으나 당시 공산 국가에서 만든 작품이라 대중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원 제목이 'Winnie the Pooh'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푸(Pooh)'는 친구들 사이에서 부르는 별명으로 본명은 위니(Winnie)이다. 즉, "곰돌이 위니"라는 뜻인데, 나중에 하이픈이 추가되어 'Winne-the-Pooh'가 되자, 정식으로는 풀네임을 '위니 더 푸'라 부르고 줄여서는 '푸'로 부른다. 별명으로 볼 때 품종은 푸 베어(Pooh bear)인 듯 하다.

세계적인 캐릭터 중 하나이자 대중문화의 상징 중 하나로 전세계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캐릭터이다. 전세계 미디어 믹스 총 수입 4위(810억 달러[4])에 들 정도로 포켓몬스터, 헬로키티 다음가는 인기 최고의 컨텐츠 중의 하나인데, 1, 2위가 일본산인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서양권 최고의 인기 컨텐츠라고 볼 수 있다.

총 수입면에서는 스타워즈, 미키와 친구들, 디즈니 프린세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겨울왕국과 함께 디즈니 IP 중 가장 많은 매출을 자랑하는데, 영어 위키백과 미디어 믹스 순위에 따르면 디즈니 프랜차이즈 총 수입 2위를 기록 중이다.[5]

일반적으로 생기발랄하고 잘 노는 캐릭터, 영웅의 보호를 받는 유약한 소년이 주인공으로 많이 등장하는 일반적인 만화와는 달리 곰돌이 푸는 매우 철학적인 성격을 가진 캐릭터다. 상당히 철이 든 모습을 보여주나 이를 경직되지 않고 유머러스하게 전달한다. 이런 독특한 고유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인기가 대단하다.

2. 탄생 배경

파일:Harry_Colebourne_and_Winnie.jpg
1914년 솔즈베리 평원의 콜번과 위니
1914년 8월에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캐나다 기병연대 포트 개리 호스(Fort Garry Horse)의 수의장교 중위 해리 콜번은 영국으로 가기 위해 8월 24일 캐나다 퀘벡 발카르티에의 캐나다 육군 수의대(CAVC)로 가던 중, 온타리오 화이트 리버의 기차 정류장에서 사냥꾼으로부터 20캐나다 달러(2023년 가치로 524달러)에 암컷 새끼 아메리카흑곰을 구입했다. 매우 어린 새끼 곰은 사냥꾼에 의해 이미 사회화가 되어 인간에게 친밀했으며, 어미 곰은 봄에 죽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리 콜번은 아기 곰에게 입양한 지역인 매니토바위니펙을 따서 "위니펙 베어"(Winnipeg Bear)라는 이름을 지어줬고 이를 줄여 "위니"(Winnie)라고 불렀다.

이후 위니는 CAVC의 비공식 마스코트이자 제2캐나다보병여단 본부의 애완동물이 되어 영국으로 가는 정기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 스톤헨지로 널리 알려진 솔즈베리 평원으로 데려가 기병연대 포트 개리 호스의 비공식 마스코트가 되었다.[6] 콜번은 프랑스로 떠나기 전인 1914년 12월 위니를 런던 동물원으로 보내 최종 목적지로 위니펙에 있는 애시니보인 공원 동물원으로 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종전 후 콜번은 위니가 런던 동물원에 남도록 허용했고, 위니의 장난기와 온화함으로 인해 영국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다 1934년에 사망했다.

한편, 작가 A. A. 밀른과 그의 아들 크리스토퍼는 동물원을 자주 찾았는데, 아들이 유독 위니를 좋아했다. 밀른은 위니를 모델로 아들이 가진 테디 베어에 이름을 붙였고 아들에게 읽어줄 잠자리 동화를 지었다. 이후 아들의 인형은 부엉이, 토끼 등으로 늘어났는데 그 뒤 친구이자 영국의 일러스트레이터 E. H. 셰퍼드에게 삽화 그림을 부탁하여 1926년에 <위니 더 푸 (Winnie-the-Pooh)>라는 책으로 펴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다.

2년 뒤인 1928년에는 속편 <푸 코너에 있는 집(The House at Pooh Corner)>을 출판했다. 책마다 10편씩의 이야기가 담겼으며, 밀른은 이 두 권 이후 푸의 이야기를 쓰지 않았다.

이후 디즈니에서 1977년에 애니메이션화하여, 스물두번째로 제작한 장편 애니메이션이 됐다.
[clearfix]

3. 등장인물

3.1. 후속 등장인물

4. 작품 목록

4.1. 곰돌이 푸의 모험 (1977)

곰돌이 푸의 모험 (1977)
The Many Adventures of Winnie the Pooh
파일:곰돌이 푸의 모험_디즈니플러스.jpg
{{{#!wiki style="margin: -6px -10px"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로빈 훗 곰돌이 푸의 모험 생쥐 구조대
장르 애니메이션
감독 존 라운스베리
볼프강 레이더먼
제작 볼프강 레이더먼
각본 레리 클레몬
랄프 라이트
출연 스털링 할로웨이
존 피들러
음악 리처드 M. 셔먼
로버트 B. 셔먼
버디 베이커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브에나 비스타 디스트리뷰션
스트리밍 디즈니+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1977년 3월 11일
파일:영국 국기.svg 1977년 5월 11일
상영 시간 74분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clearfix]
예고편
곰돌이 푸 동화가 유럽에서 크게 성공하자 자신의 자녀들에게도 곰돌이 푸를 즐겨 읽어주던 월트 디즈니는 이 동화를 자사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싶어했다. 1961년에 원작자로부터 판권을 획득한 디즈니는 애니메이터들이 즉시 장편 구상에 착수하나 아직 미국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동화가 장편 영화로 만들어지면 흥행이 어려울까봐 걱정한 디즈니에 의해 작품을 세 편으로 나눠 각각 단편으로 먼저 만들자고 제안한다.

첫번째 단편인 1966년작 '곰돌이 푸와 꿀나무'는 발표하자마자 크게 흥행해 미국 어린이들은 곰돌이 푸에 열광했다. 월트 디즈니는 두번째 단편 '곰돌이 푸와 폭풍우 치던 날(1968)'을 제작하는 도중 세상을 떠났는데 이 두번째 단편도 크게 흥행했다. 세번째 단편 '곰돌이 푸와 티거(1974)'를 발표한 이후 디즈니는 장편 영화의 발표를 준비한다.

이리하여 세 개의 단편을 엮고 추가 장면들과 크리스토퍼 로빈과의 엔딩을 추가한 버전이 1977년에 개봉한 이 영화다.

곰돌이 푸는 디즈니 최고의 판매량을 자랑하는 시리즈가 되어 1970년대 들어 흥행이 부진하던 디즈니에게 단비와 같은 작품이 되어주었으며 지금도 회사의 밥줄 시리즈 중 하나다.

장편 넘버링에 카운트되는 다음 작품이 나오기까지는 40여년이 걸렸지만 그 사이 TV 시리즈와 여러편의 TV 영화, 티거 무비, 피글렛 빅 무비 외 극장에 걸린 외전 등 많은 애니메이션들이 만들어졌다.

정글북의 일부를 재활용하였다. #

4.2. 곰돌이 푸 (2011)

파일: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텍스트 로고.svg파일: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세기 영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_디즈니플러스.jpg 파일:피노키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환타지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덤보_디즈니플러스.jpg
1937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1940

피노키오
1940

환타지아
1941

덤보
파일:밤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라틴 아메리카의 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3인의 기사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음악의 세계_아마존 프라임.jpg
1942

밤비
1942

라틴 아메리카의 밤
1944

3인의 기사
1946

음악의 세계
파일:미키와 콩나무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즐거운 음악시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_디즈니플러스 한글.webp 파일:신데렐라_디즈니플러스.jpg
1947

미키와 콩나무
1948

즐거운 음악시간
1949

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
1950

신데렐라
파일:이상한 나라의 앨리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피터 팬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레이디와 트램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잠자는 숲속의 공주_디즈니플러스.jpg
1951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953

피터 팬
1955

레이디와 트램프
1959

잠자는 숲속의 공주
파일:101마리의 달마시안 개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아더왕의 검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정글북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아리스토캣_디즈니플러스.jpg
1961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
1963

아더왕의 검
1967

정글북
1970

아리스토캣
파일:로빈 훗_디즈니플러스.jpg 파일:곰돌이 푸의 모험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생쥐 구조대_디즈니 플러스.jpg 파일:토드와 코퍼_디즈니 플러스.jpg
1973

로빈 훗
1977

곰돌이 푸의 모험
1977

생쥐 구조대
1981

토드와 코퍼
파일:타란의_대모험_디즈니 플러스.jpg 파일:위대한_명탐정_바실_디즈니_플러스.jpg 파일:올리버와_친구들_디즈니_플러스.jpg 파일:인어공주 디즈니 플러스.jpg
1985

타란의 대모험
1986

위대한 명탐정 바실
1988

올리버와 친구들
1989

인어공주
파일:코디와 생쥐 구조대 디즈니 플러스.jpg 파일:미녀와 야수 디즈니 플러스.jpg 파일:알라딘_디즈니_플러스.jpg 파일:라이온 킹_디즈니플러스.webp
1990

코디와 생쥐 구조대
1991

미녀와 야수
1992

알라딘
1994

라이온 킹
파일:포카혼타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노틀담의 꼽추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헤라클레스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뮬란_디즈니플러스.webp
1995

포카혼타스
1996

노틀담의 꼽추
1997

헤라클레스
1998

뮬란
파일:타잔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환타지아2000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다이너소어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쿠스코 쿠스코_디즈니플러스.webp
1999

타잔
2000

환타지아 2000
2000

다이너소어
2000

쿠스코? 쿠스코!
}}}}}}}}}
[ 21세기 영화 ]
}}} ||

곰돌이 푸 (2011)
Winnie the Pooh
파일:winnie the pooh.jpg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라푼젤 곰돌이 푸 주먹왕 랄프
장르 애니메이션, 가족
감독 스티븐 J. 앤더슨
돈 홀
제작 피터 델베코
클라크 스펜서
각본 버니 메틴슨
스티븐 J. 앤더슨
클리오 챙
돈 도허티
돈 홀
켄덜 호이어
브라이언 키싱어
니콜 미첼
제러미 스피어스
음악 헨리 잭맨
출연 짐 커밍스
잭 부틀러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픽처스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스트리밍 디즈니+[36]
개봉일 파일:벨기에 국기.svg 2011년 4월 6일
파일:독일 국기.svg 2011년 4월 11일
파일:영국 국기.svg 2011년 4월 15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1년 7월 10일 (로이 E. 디즈니 애니메이션 빌딩 선공개)
파일:미국 국기.svg 2011년 7월 15일
상영 시간 63분
제작비 $30,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26,692,846
월드 박스오피스 $50,145,607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clearfix]
예고편[37]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51번째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타잔쿠스코? 쿠스코!를 작업한 돈 홀과 존 라세터칼아츠 후배이자 로빈슨 가족을 연출한 스티븐 앤더슨이 연출을 맡았다. 라푼젤의 성공 이후 디즈니 스튜디오가 디즈니 르네상스의 2D 황금기를 재현하기 위해 제작한 작품으로, 첫 편을 제외하면 TV 애니메이션, 홈미디어로만 출시한 다른 후속작과는 달리 이례적으로 극장용 장편으로 제작했다.

동화책을 읽듯이 내용이 전개되며[38], 분위기에 맞추어 전작과는 달리 차분한 톤의 작화를 보여준다. 또한 로페즈 부부의 참여작 답게 각종 뮤지컬 스코어가 들어갔다. 스토리는 이요르의 없어진 꼬리를 대신할 물건을 찾기 위한 크리스토퍼 로빈과 푸 일행의 모험담이다.


마크 헨, 안드레스 데자, 브루스 스미스 등 디즈니 르네상스를 이끌은 원로 애니메이터들이 대거 참여해 이에 걸맞은 영상미를 보여준다. 작품 자체의 평은 좋은 편이나, 전세계 박스오피스에서 5,000만 달러를 벌어 겨우 제작비 3,000만 달러를 회수했다. 거액을 투자하지 않은 저예산 작품이라 큰 타격을 받진 않았으나 프랜차이즈의 인지도를 고려하면 디즈니가 기대한 바에 비해 상당히 실망스러운 결과를 받았다.

현재까지 디즈니의 마지막 장편 2D 애니메이션으로 앞으로 개봉이 예정된 작품들 모두 3D 애니메이션이라 한동안은 이 타이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39]

대한민국에는 미개봉했으며 더빙도 되지 않다 2021년 11월이 되어서야 디즈니+로 풀렸다.

애비뉴 QThe Book of Mormon의 작곡가로 유명한 로버트 로페즈 & 크리스틴 앤더슨로페즈가 처음으로 참여한 디즈니 작품이다. 둘 중 크리스틴 앤더슨로페즈는 캉가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이들은 이후 디즈니의 겨울왕국에도 참여했다.

리뷰어 Nostalgia Critic은 디즈니셈버 리뷰에서 작품의 노래들을 극찬하며 제작자들이 반드시 성공할 것은 예상했으나 불과 2년 뒤에 디즈니 역사상 최고의 흥행작 중 하나를 만들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돌아보았다.

4.3.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201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8년에 개봉한 시리즈 최초의 실사 영화다.

4.4. 곰돌이 푸: 피와 꿀 (202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곰돌이 푸: 피와 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전까지 곰돌이 푸의 영상화를 맡은 디즈니와는 무관한 영국 공포 영화로, 밀른의 동화책에 나오는 푸는 처음 공표한 1926년으로부터 저작권 유효 기간인 95년이 지난 2022년 1월 1일부로 저작권이 소멸해 퍼블릭 도메인이 되었다. 이는 원작의 저작권이 풀린 것으로 디즈니 작품은 저작권이 유효하다.[40] 영화 자체는 곰돌이 푸를 소재로 사용한 노이즈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을 뿐 전형적인 저예산 슬래셔 고어 영화라 원작 팬들은 관람에 주의가 필요하다. 사실상 곰돌이 푸 팬덤에서는 흑역사 내지 없는 작품으로 취급한다. 평가도 로튼토마토 3%로 매우 처참하다. 그럼에도 속편 제작을 확정해 티거도 등장시킨다고 한다.

4.5. 제목 미정 애니메이션

마다가스카몬스터 vs 에일리언을 제작한 드림웍스 출신 제작진들이 곰돌이 푸의 프리퀄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마찬가지로 원작 푸의 저작권이 풀렸기에 디즈니 외의 다른 회사에서도 독자적인 푸 작품을 만들 수 있어 제작하는 작품으로, 피와 꿀과는 달리 이쪽은 원작에 충실한 영화로 나올 예정이다. #

현재 밝혀진 내용으로는 푸와 친구들의 어린 시절 그들이 어떻게 만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고 하며 TV 시리즈 속편으로도 이어질 예정이다.

5. 파생작

6. 패러디

7. 기타

7.1.


2024년 5월 말부터 갑작스레 인스타그램 릴스틱톡 등에서 곰돌이 푸가 강남스타일을 추는 영상[46]에 본 곡[47]합성한 영상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2023년 상반기에 유행한 메타톤 잼민이와 비슷한 결의 밈이다.

영상뿐만 아니라 챌린지로도 승화해 많은 사람들이 챌린지에 참여했다.

남해마늘축제(청소년댄스뮤직 경연대회)에서 한 밴드가 '사랑했나봐'를 부를 때 한 관객이 자리에서 일어나 강남스타일 춤을 추는 영상도 유명하다. #

7.2. 중국에서의 검열 및 반중 정서의 상징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진핑/별명 문서
4.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죠슈아웡vs곰돌이 푸.jpg
2017년 7월 중국 주석 시진핑과 닮아[48] 희화화가 진행되었다는 이유로 중국 웨이보에서 검열하기 시작했다.

2013년 곰돌이 푸를 시진핑에 비유한 사건 이래로 중국공산당이 시행 중인 곰돌이 푸 금지 조치가 극한의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 중국 공산당이 엄중 단속하는 또 하나의 사교(邪敎): 곰돌이 푸와 친구들 중국내에선 이런 식으로 덮으면 다 해결된다고 착각하는 모양이나, 이런 검열 때문에 해외에는 역으로 시진핑 = 곰돌이 푸 공식이 더욱 선명하게 박혀버린 것이다.[49] #

파일:D-X7LhcUcAAEUVi.png

중국에서 진행하는 곰돌이 푸 검열 행태 때문에, 역으로 시진핑을 향한 공격 대상이 되었다. 2019년 7월 1일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에서 이른바 시진핑 생매장 퍼포먼스라고 불리는 장면이다. 시진핑이 하도 곰돌이 푸를 검열해대니, 시진핑 생매장 = 곰돌이 푸 생매장이 되어버린 것이다. 마침 시진핑(습근평)의 '平' 자가 '푸'와 비슷하다.

파일:1910210714130180_w.jpg

2019년 10월 중국과 NBA 간 갈등 사태 당시, NBA에 압박을 가하는 시진핑을 비난하기 위해 미국 NBA 관중이 곰돌이 푸 코스프레를 하고 나타났다. 기사

애니메이션 사우스 파크에서는 이러한 검열 사태를 비꼴 목적으로 시즌 23에서 대놓고 풍자 에피소드를 만들었다. Band in China 에피소드에서는 곰돌이 푸가 중국으로 관광하러 왔다 중국 주석 시진핑과 닮았다는 이유로 감옥에 갇히고, 중국 사람들에게 배척당하면서도 꿋꿋하게 피글렛과 함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나[50] 결국은 검열 때문에 푸가 사업에 방해된다고 판단한 디즈니의 대주주 미키 마우스[51]의 청부를 받은 랜디 마시가 고품질 꿀로 유인해 와이어로 목 졸라 살해한다. 그리고 할로윈 특집 에피소드인 Tegridy Farms Halloween Special 에피소드에서 좀비로 부활해 랜디에게 복수를 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사실 대마초와 랜디의 대마초 사업 자체에 악감정을 가진 셸리 마시가 조합한 약물이 대마초에 뒤섞이는 바람에 랜디가 본 환각이다.

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서도 곰돌이 푸 가면을 쓴 시위대들이 등장하해 곰돌이 푸가 전세계적으로 반중의 상징으로 쓰인다는 것을 증명했다. 기사

이와는 별개로 곰돌이 푸 검열 이후에도 상하이 디즈니랜드에서 곰돌이 푸를 주제로 한 놀이기구는 해체되지 않고 멀쩡히 운영한다. 2018년 기사(영어) 2021년 5월에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에서 곰돌이 푸 인형탈을 쓴 직원이 어린 아이에게 구타를 당하는 일이 있어 화제가 되었다. 대만 야후 기사(중국어) 한국 기사(짤막하게 언급) 중국 대륙에도 이 일이 보도되기는 했으나 "곰돌이 푸"(小熊维尼)라고 표현하기에는 눈치가 보였는지 "噗噗熊"(푸푸곰)이라는 이름으로 보도했다. 이후 "상하이 디즈니 푸푸곰 구타"(上海迪士尼噗噗熊被打)라는 검색어가 인기 순위에 오르자 검열되고 관련 글 게시가 금지되었다. 비록 100% 검열은 하지 않았어도 여전히 곰돌이 푸를 소비하는데 눈치를 보는 상황이다. 2024년 9월 22일에는 한 중년 남성이 퍼레이드 중이던 곰돌이 푸 탈을 쓴 사람을 구타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1] 단편 영화 곰돌이 푸와 꿀 나무.[2] 이전에 띄엄띄엄 제작한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월트 디즈니 사망 후 단편 애니메이션을 묶어 1977년에 장편으로 발표했다.[3] 본래는 <100에이커의 숲>이나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숲의 면적이 숲이라 부르기 뭐할 정도로 줄어들었는데 1에이커는 약 1,224평이다. 어느 번역판은 100마지기 숲으로 번역했는데 논 백마지기가 약 2만 평이니 이쪽은 비교적 어울리는 번역이다.[4] 한화 약 4886억 원.[5] 전 세계 미디어믹스 프랜차이즈 규모[6] 위니와 마찬가지로 폴란드의 군인에게 입양된 시리아불곰 보이텍(Wojtek)이 있다.[7] 새끼 돼지라는 뜻이다.[8] 배역명 꿀꿀이.[9] 앞서 방영한 KBS2 1990년 방영판에서는 올빼미를 맡았으나 부엉이로 불렸다. 피글렛을 연기할 때는 "크리스토오퍼 로오비이인~"이라고 부르는 대사의 어감이 찰치다.[10]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돕겠다는 마음이 빛을 볼 때가 많다. 피글렛 빅 무비에서는 (비록 친구들은 몰랐을지언정) 꿀 따기 작전에 실질적인 역할을 해냈고, 너무 작아서 아무도 돕지 못할 거라고 절망하는 와중에도 둥지에서 떨어진 새끼 새, 흔들리는 풀잎을 건너지 못하던 무당벌레, 도토리가 너무 높아 폴짝이던 다람쥐를 도와준다.[11] 피글렛 동상에 스프링을 달아주면 꿀 분수가 나온다. 만약에 함부로 스프링을 때면 분수에서 꿀이 나오는 대신 화산에서 용암이 나온다.[12] 배역명 당나귀.[13] 그래서인지 로빈이 새 꼬리를 달아주는 장면도 종종 있고 디즈니의 마지막 2D 작품 <곰돌이 푸(2011)>에서는 다른 에이커 숲 친구들이 이요르의 잃어버린 꼬리를 대신할 다른 물건들을 가져다 붙여주거나 티거가 자신처럼 펄쩍펄쩍 뛰면 기분이 나아질 거라며 스프링을 달아준 것 때문에 사방팔방으로 튀어다니며 고생했다.[14] 외양상으로만 보면 rabbit보다는 hare에 가깝게 길고 호리호리한 몸매다.[15] 배역명 껑충이.[16] 그 이후 다음 부활절 하루 전날, 친구들이 부활절 파티를 기대하며 토끼네 집으로 오자 토끼는 새봄맞이 대청소를 하자며 친구들에게 청소를 시킨 후 자신은 나가서 정원 손질을 하고 당근을 캐 양팔에 한아름 알고 돌아오는데 즐거운 부활절 축제를 기대하며 온 친구들은 토끼의 행동에 모두 실망해 주저앉아 부활절 축제와 자신들의 부활절 물건들을 그리워하며 겨우 청소를 하던 도중 푸가 그만 먼지 때문에 재채기를 하는 바람에 토끼가 벽장 속에 숨겨둔 부활절 파티 용품들과 친구들의 부활절 물건을 찾아내 부활절 파티를 준비하며 토끼네 집을 화려하게 꾸민다. 이후 문을 열고 집 안으로 당근을 가지고 돌아온 토끼에게 부활절을 축하한다며 깜짝 놀라게 해 준다. 그러나 그때의 충격이 아직 남아있는 토끼는 집안을 깨끗하게 해 놓기는 커녕 오히려 더 엉망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대단히 화를 내며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부활절 장식들과 용품들을 치우며 친구들을 모두 집 밖으로 쫓아낸다. 이후 티거가 토끼를 설득하러 왔을 때도 돌려보낸다.[17] 해설자가 보여준 앞으로도 계속 같은 길을 걸었을 때 토끼의 미래는 겉으로는 새봄맞이 대청소를 하는 것이라고 기뻐하는 것 같으나, 실제로는 친구들이 모두 마을을 떠나 혼자만 남는 암울한 미래였다. 토끼는 그럴 리가 없다며 친구들의 집을 모두 찾아가나, 이미 친구들의 집은 모두 이사를 간 후라 먼지가 쌓이고 거미줄이 가득한 낡은 폐가들로 변한 상태였다.[18] 부활절 토끼가 티거라는 말에 상처를 받아 벽장 속에 숨겼는데, 이후 친구들을 쫓아내며 발로 짓밟아 망가뜨린 것을 루와 친구들이 고쳤다.[19] 이요르는 일행이 사는 곳에서 조금 떨어진 지역의 아무 터에다 나뭇가지로 집을 지어 살며 자기가 주인공인 에피소드가 아닌 이상 등장도 없거나 하더라도 주도적인 역할을 맡지 않는데 비해 토끼, 티거, 푸, 피글렛 이 4인조는 거의 매 에피소드마다 반드시 등장하는 수준이고 토끼의 경우 일행을 주도할 때가 상당하며 푸와도 가까운 거리에 사는데다 티거가 오기 전부터 이 동네 주민이다. 이는 캐릭터의 비중이나 역할과는 상관없이 순전히 이요르의 생김새가 상품성에서 토끼보다 훨씬 높은데에 있다.[20] 볼프강 레이더만의 아들로, 아버지의 역작 정글북의 주인공 모글리의 성우를 맡았다.[21] 티거가 로빈의 아내, 고퍼가 아기 역할을 맡는다.[22] 배역명 부엉이.[23] 대모험에서 푸가 흘린 꿀에 편지가 뒤죽박죽이 되자 로빈이 괴물에게 잡혀갔다고 지도를 그려 푸 일행을 개고생시킨다.[24] 극장판에서는 거대한 바람 때문에 나무 채로 무너진 적이 있으나 TV판에서는 별개로 아무 문제가 없다. 집이 무너지자 이요르가 새로운 집을 찾아준다고 돌아다녔는데 홍수 때문에 착오가 생겨 결국 찾았다는 집은 피글렛의 집이었다. 피글렛은 이요르의 수고와 올빼미의 처지를 생각해(올빼미는 속도 없이 좋아했다) 그냥 입을 다물고 자기 집을 양보한다.[25] 오리지널 41쪽부터 62쪽까지 계속된 이야기는 분량 문제로 통편집당했다.[26] 모두를 구할 수단으로 로빈 집에 줄넘기 줄을 빌리러 무서워 보이는 숲에 들어갈 걸 고민하는 피글렛에게 날아서 충고해주고 내려오는 걸 보자 모두 벙찌는데 연설에 놀란 것이라는 괴상한 전개가 이어진다.[27] 극장판(크리스토퍼 로빈을 찾아서, 티거 무비, 피그렛츠 빅 무비, 히파럼프 무비)에는 안 나왔으며 2011년 리메이크에서는 아예 존재가 지워졌다.[28] 헤팔럼 가족이나 다른 단역들도 중복으로 맡았다.[29] 재더빙 한정으로 자문자답이 나온다.[30] 더빙에서는 '게으름뱅이 코주부'.[31] 단 모든 헤팔럼이 전부는 악당으로 나오는 것은 아니며 가족들도 나오는데 선한 헤팔럼으로 나오기도 한다.[32] 엔딩에서는 다른 코끼리들과 토끼가 일한다.[33] 더빙판 제목은 '곰돌이 푸 - 오리지널 클래식'[34] TV 시리즈[35] TV 애니메이션.[36] 한국에는 극장 개봉하지 않고 2021년 11월 12일 디즈니+로 공개했다.[37] 예고편에 사용한 음악은 Keane의 놀 "Somewhere Only We Know"로, 아동용 만화가 분명한 작품에 이런 곡을 사용한 것이 의아할 수 있으나 어릴 적부터 곰돌이 푸를 보며 자란 성인 관객들에게 "어릴 적 우리만 아는 특별한 곳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가사가 향수를 자극하는 적절한 선곡이라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38] 나레이터가 각 장면 앞에 전개를 읊어주며, 등장인물과 상호작용도 한다.[39]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디즈니는 전통적인 방식의 2D 애니메이션 제작을 중단하고 본격적으로 제작 방향을 3D 애니메이션으로 변경하였다. 위시가 나오기 전까지 사실상 앞으로 전통적인 2D 방식의 장편 애니메이션을 보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나 그렇다고 2D 애니메이션이 나올 가능성이 전무하다고 단언할 수도 없다. 주먹왕 랄프의 단편 페이퍼맨으로 시작해 빅 히어로의 단편 피스트까지 CG 애니메이션에서 2D의 느낌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계속 개발하여 접목시키는 시도가 이어졌으며, 위시는 엄밀히 말하면 3D와 2D를 결합한 형태의 애니메이션이다.[40] 저작권 만료 이전에 나온 소련판은 국가간의 저작권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때라 예외.[41] 루 인형도 있었으나 1930년대에 잃어버렸다.[42] 가사: 일어나라, 아침해 떴다 친구 만나러 가자 / 바보같이 보여도 난 그가 좋아요 / 푸우~ 곰돌이 푸우~ / 나의 친구 언제나 즐거운 푸우~ 곰돌이 푸우~ / 친구들과 함께 꿀 찾아다니지 /​ 아무리 말려도 우리의 곰돌인 포기하지 않아요 / 곰돌이 푸는 위험한 모험이 눈 앞에 닥쳐도 두렵지가 않아 / 푸우~ 곰돌이 푸우~ / 어디를 가든 널 따라갈테야 푸우~ / 만나고 싶은 어리석고 살이 찐 순진한 곰[43] 《유로비트 디즈니》에서는 맷 랜드(Matt Land)가 커버했다. #[44] 정확한 일자는 불명이나, 레슬리 역시 사망했다. 링크 딸 클레어는 2012년에 사망했다.[45] 다만 기록에는 아버지가 딱딱하게 대했을 뿐 절연할 정도의 큰 문제는 없었는데 어머니와 불화가 있었고, 아버지가 살아있을 때는 그래도 본가에 돌아가곤 했으나, 아버지 사망 이후론 어머니 임종도 지키지 않을 정도로 절연했다고 나온다.[46] 과거 외국에서는 이 영상에 캘빈 해리스의 “summer”을 붙이는 밈이 있었다.[47] 원곡이 아닌 2016년 피아노 버전이다.[48] 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와 걸어가는 사진과 전 일본 총리 아베 신조와 악수하는 사진의 눈짓과 동작이 비슷해 밈이 된 게 근원이다.[49] 블라디미르 푸틴은 이와 다르게 SUPER GAY PUTIN 영상을 묵인해 회피했다. 저거 만들었다고 해코지 했다가는 나는 게이입니다라고 FSB가 공인하는 꼴이다.[50] 곰돌이 푸가 피글렛과 함께 가게에 들어가 꿀이 있는지 물어보는데 가게 주인이 깜짝 놀라 중국어로 귀찮게 하지 말고 어서 저리가라고 내보낸다.[51] 미키 마우스는 곰돌이 푸보다 2년 뒤에 나왔다. 사우스 파크에 등장하는 미키 마우스는 앞선 시즌 13 에피소드 1에서 자기 말 안듣는 밴드 멤버를 복날 개 패듯이 두들겨 패는 조폭 같은 모습을 보여줬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