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3:49:53

아리스토캣

파일: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텍스트 로고.svg파일: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세기 영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_디즈니플러스.jpg 파일:피노키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환타지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덤보_디즈니플러스.jpg
1937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1940

피노키오
1940

환타지아
1941

덤보
파일:밤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라틴 아메리카의 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3인의 기사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음악의 세계_아마존 프라임.jpg
1942

밤비
1942

라틴 아메리카의 밤
1944

3인의 기사
1946

음악의 세계
파일:미키와 콩나무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즐거운 음악시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_디즈니플러스 한글.webp 파일:신데렐라_디즈니플러스.jpg
1947

미키와 콩나무
1948

즐거운 음악시간
1949

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
1950

신데렐라
파일:이상한 나라의 앨리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피터 팬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레이디와 트램프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잠자는 숲속의 공주_디즈니플러스.jpg
1951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953

피터 팬
1955

레이디와 트램프
1959

잠자는 숲속의 공주
파일:101마리의 달마시안 개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아더왕의 검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정글북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아리스토캣_디즈니플러스.jpg
1961

101마리의 달마시안 개
1963

아더왕의 검
1967

정글북
1970

아리스토캣
파일:로빈 훗_디즈니플러스.jpg 파일:곰돌이 푸의 모험_디즈니플러스.jpg 파일:생쥐 구조대_디즈니 플러스.jpg 파일:토드와 코퍼_디즈니 플러스.jpg
1973

로빈 훗
1977

곰돌이 푸의 모험
1977

생쥐 구조대
1981

토드와 코퍼
파일:타란의_대모험_디즈니 플러스.jpg 파일:위대한_명탐정_바실_디즈니_플러스.jpg 파일:올리버와_친구들_디즈니_플러스.jpg 파일:인어공주 디즈니 플러스.jpg
1985

타란의 대모험
1986

위대한 명탐정 바실
1988

올리버와 친구들
1989

인어공주
파일:코디와 생쥐 구조대 디즈니 플러스.jpg 파일:미녀와 야수 디즈니 플러스.jpg 파일:알라딘_디즈니_플러스.jpg 파일:라이온 킹_디즈니플러스.webp
1990

코디와 생쥐 구조대
1991

미녀와 야수
1992

알라딘
1994

라이온 킹
파일:포카혼타스_디즈니플러스.jpg 파일:노틀담의 꼽추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헤라클레스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뮬란_디즈니플러스.webp
1995

포카혼타스
1996

노틀담의 꼽추
1997

헤라클레스
1998

뮬란
파일:타잔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환타지아2000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다이너소어_디즈니플러스.webp 파일:쿠스코 쿠스코_디즈니플러스.webp
1999

타잔
2000

환타지아 2000
2000

다이너소어
2000

쿠스코? 쿠스코!
}}}}}}}}}
[ 21세기 영화 ]
}}} ||
아리스토캣 (1970)
The Aristocats
파일:아리스토캣_디즈니플러스.jpg
{{{#!wiki style="margin: -6px -10px"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정글북 아리스토캣 로빈 훗
장르 애니메이션, 어드벤처
감독 볼프강 레이더먼
제작 볼프강 하이블러
볼프강 레이더먼
각본 켄 앤더슨
레리 클레몬스
음악 조지 브런스
출연 필 해리스
에바 가보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브에나 비스타 디스트리뷰션
스트리밍 파일:Disney+ 로고.svg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1970년 12월 24일
파일:미국 국기.svg 1980년 12월 19일 (재개봉)
파일:미국 국기.svg 1987년 4월 10일 (재개봉)
상영 시간 78분
제작비 $4,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55,675,257
한국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1]

1. 개요2. 예고편3. 등장인물
3.1. 고양이3.2. 고양이 외의 동물(사람 포함)3.3. 재즈 밴드
4. 사운드트랙5. 파생작
5.1. 후속작 계획5.2. 실사 영화
6. 여담

[clearfix]

1. 개요

1970년에 개봉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스무번째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월트 디즈니가 1966년에 사망하기 전 기획에 관여한 마지막 작품이기도 하다. 400만 달러의 제작비로 557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에 성공하였다.

제목은 aristocrat과 cat을 합성한 단어이자, aristocrats에서 r 하나를 뺀 단어이기도 하다. 오프닝에서도 The Aristocrats라고 적힌 로고에 아기 고양이가 r을 빼고 글씨를 밀어 The AristoCats로 변형시킨다. 초기에 한국에 소개할 때는 제목을 직역한 '양반고양이'로 불렀다고 한다. 한국어 더빙은 1999년에 VHS를 통해 출시되었다.

2. 예고편


캡션

3. 등장인물

3.1. 고양이

3.2. 고양이 외의 동물(사람 포함)

3.3. 재즈 밴드

오말리와 한 집에 사는 친구들.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이름이 있지만 작중에서 불려지는 이름은 스캣 뿐이고 나머지 고양이들은 캐스트 목록에는 나오지 않는다. 괄호 안은 영어 위키백과를 참조한 이름.

4. 사운드트랙

[[RIAA|
파일:RIAA 골드.png
]]

미국 내 판매량 500,000 단위 이상


5. 파생작

5.1. 후속작 계획

디즈니툰 스튜디오에서 제작하는 홈비디오용 후속편이 2005년에 제작을 시작하여 2007년에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2006년 초에 취소되었다. 애니메이션 부서의 대표로 부임한 존 라세터는 완성도가 낮은 비디오용 속편 때문에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의 브랜드 가치도 덩달아 낮아진다는 판단을 내려, 비디오용 속편 부서의 책임자 샤론 모릴을 다른 부서로 재배치시키고 당시 디즈니툰 스튜디오에서 작업 중이거나 예정된 속편들을 대거 폐기하였다.

스토리 보드미완성 영상이 남아있는데 유람선 여행을 하다 겪는 내용으로 보인다.

5.2. 실사 영화

파일:디즈니 로고 화이트.png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2022년 1월에 실사 영화 제작을 발표했다. # 연출은 퀘스트러브 톰슨이 맡는다.

6. 여담



[1] 1970년대에 제작해 당대 아시아인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이 있고, 이로 인해 현실과 동떨어진다는 이유로 인해 인종차별 경고문을 붙임과 동시에 2021년부터 디즈니 측에서 7세 이상 관람가 딱지를 붙였다. # 이는 디즈니 플러스로 볼 경우 적용되며, 한국 정발판은 한국 실정에 맞게 편집한 만큼 적용되지 않는다.[2] 직역판에서는 공작부인으로 불리며, 더빙판에서는 다치스라고 나온다.[uncredited] [4] 다른 작품에서도 흰 고양이 캐릭터를 맡은 적 있다.[5] 아기고양이가 셋인데 그들의 아빠 고양이, 즉 더치스의 첫 남편(?)에 대해서는 어째서인지 언급되지 않는다. 거의 '평생 성에서만 살던 공주님' 느낌으로 묘사되는 더치스의 성격을 보면 길 생활을 하다 임신한 상태로 아델라이드 부인에게 주워진 것 같지도 않고, 작중에서 딱히 떡밥으로조차 쓰이지 않는 부분.[6] 물론 엄마 더치스는 '귀족 고양이(아리스토캣)들은 그런 짓 하지 않는단다'라며 질색하지만.[7] 6년 전 메리 포핀스에서 엘렌을 연기한 배우.[8] 카르멘을 연기했다고 하는 것으로 보면 아마 메조 소프라노 출신인 듯하다.[9] 거의 후크 수준으로 험하게 구른다.[10] 나쁜 마음을 품기 전 충직한 집사 모드일 때는 꽤 선량해 보이는 아저씨였고, 결국 욕심 때문에 타락한 뒤에도 다른 디즈니 빌런들 중 진짜 사악하고 무섭게 생긴 캐릭터들과 비교하면 다소 맹해 보인다.[11] 수십 년간 부인을 모셨는데 고양이한테 밀렸다는 사실에 배신감을 느낀 것도 한몫하긴 했다. 하지만 고양이들이 뭘 알고 인간인 아델라이드의 재산을 쓸 수 있을 리가 없을 테니 실질적으로 재산을 관리하는 사람은 그 고양이들을 돌볼 에드가가 될 테고, 아델라이드와 조르주 역시 '유언장 뒷내용을 알았다면 에드가가 갑자기 사라지진 않았을 텐데'라고 하는 걸 보면 이들도 결과적으로 재산을 받는 것은 에드가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뜻이 된다.(실제로도 인간이 아닌 존재가 재산을 상속받을 경우 실질적인 재산권을 행사하는 것은 상속 받는 것의 관리자이다.) 사랑하는 고양이들과 충직한 집사 모두에게 물려주고 싶었던 것이다. 즉 에드가가 감정을 잠시만 누르고 이성적으로 생각했다면, 재산은 사실상 그가 받는 거였고 길게 잡아도 아기고양이들이 자연사하는 십여 년 정도만 참으면 재산의 명의까지 합법적으로 자기가 차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상술한 것처럼 고양이들의 수명을 엉터리로 계산한 게 결정적 행동의 동기였던 걸 보면 에드가 입장에선 결국 멍청함이 불러온 참사.[12] 한국에선 불가능하다. 실제로 개에게 재산을 물려주려던 할머니가 있었지만 SBS에서 90년대 후반에 나온 변호사 프로그램에서 불가능하다고 동물에게 재산을 상속할 수 없다고 나와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사람에게 상속하면서 상속 조건으로 그 동물을 천수를 누릴때까지 키운다든지 다른 방법도 얼마든지 있다고 하여 할머니가 그렇게 한다고 기뻐하며 끝냈다.이는 명목상으로 동물에게 상속하는 나라들도 실질적으로 관리인이 사실상 상속인이던 거랑 다를 게 없다.[13] 유언장 작성 일로 마담 아델라이드를 만나러 저택 2층으로 가려는데, 에드가가 엘리베이터로 가지 않냐고 권하자 "내가 그런 새장을 왜 타?"라면서(더빙판에서는 '그런 성냥갑을 타라고?'라고 표현했다.) 굳이 계단을 고집한다. 고령의 몸에 든 짐도 많아 에드가가 부축해주려는데, 이 과정에서 또 에드가를 골탕 먹이듯이 상당히 고생시킨다. 나중에 2층에 도착해 손님 도착했다고 알리는 에드가의 모습을 보면 지쳐서 꼴이 말이 아닐 정도.[uncredited] [15] Roquefort. 원래 발음대로면 '로크포르'로 읽어야 한다. 로크포르는 양젖으로 만든 냄새가 고약하기로 소문난 치즈의 이름이다.[16] 오말리의 친구 고양이들은 그렇지 않았고 그들의 소굴에 찾아갔다가 죽을 뻔했지만 멘붕 상태에서 자기도 모르게 오말리의 이름을 얘기해주고 같은 편이 되었다.[17] 이놈들이 침대로 사용했다.[18] 아리스토캣의 OST 중 하나인 Everbody Wants To Be A Cat의 간주에서는 젓가락으로 피아노를 두드리며 이상한 외계어까지 선보인다. 가사도 뭔가 4차원스러운게, 상하이 홍콩 푸융단(네이버 시리즈온 자막은 푸융단 대신 계란 말이는 맛있고로 의역했다), 점괘 과자는 항상 틀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