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00:58:21

최경락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인물 및 단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박근혜 측근 / 대리인 김기춘 · 우병우 · 이춘상 · 정호성 · 이재만 · 안봉근 · 박지만 · 박근령 · 신동욱
/ 이중환 · 손범규 · 채명성 · 서성건 · 서석구 · 전병관 · 이상용 · 황성욱 · 배진혁[1]
유영하 · 이동흡 · 김평우 · 정기승 · 조원룡 · 이동찬 · 도태우
최순실 측근 / 변호인 최태민 · 임선이 · 최순득 · 정윤회 · 정유라 · 장시호
최재석 · 조순제 · 고영태 · 차은택 · 윤영식 / 이경재 · 맹준호 · 정준길
정부 관계자 청와대 안종범 · 현기환 · 김한수
김상률 · 조원동
윤전추 · 이영선 · 김영한
행정부 황교안 · 문형표 · 김종덕 · 조윤선
김종 · 송성각 · 유진룡 · 여명숙
국정원·국군·경찰 국정원·국군 추명호 · 조현천 경찰 최경락 · 박관천 · 백승석 · 이철성
재단 · 협회 전경련 이승철 미르 ·
K스포츠
정현식 · 정동춘 · 이성한
노승일 · 박헌영
국민연금 · 삼성그룹
승마협회 관련
문형표 · 홍완선
이재용 · 김재열
최지성 · 장충기 · 박상진
의료 논란 김영재 · 김상만 · 주사 아줌마
이선우 · 조여옥 · 신보라 · 이슬비
이임순 · 서창석 · 박채윤
이화여대 입시부정 및 특혜 김장자 · 최경희 · 김경숙
남궁곤 · 류철균 · 이인성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김기춘 · 조윤선 · 김희범 · 김소영
정관주 · 신동철 · 모철민 · 송광용
정치인 이완영 · 이정현 · 김진태 · 이만희 · 유정복 기타 이상달 · 김해호 · 김현승 · 조한규 · 정규재
최순천 · 정우식 · 신주평
정원 · 이영복 · 린다 김 · 임애순 · 이정국
헌법재판관 박한철[2] · 이정미[3] · 김이수 · 이진성 · 김창종 · 안창호 · 강일원 · 서기석 · 조용호
사건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박영수 · 이규철 · 박충근 · 이용복 · 양재식 · 윤석열 · 어방용
사법부 한정석 · 조의연
국회 탄핵심판 소추위원 / 대리인 권성동 · 장제원 · 윤한홍 · 박범계 · 이춘석 · 박주민 · 김관영 · 손금주 · 이정미
/ 이명웅[4] · 황정근[5] · 최규진[6] · 문상식[7] · 김현수[8] · 임종욱[9]
관련 단체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 · 친박 · 미르재단 · K스포츠재단 · 더블루K · 비덱 ·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 · 전경련 · 삼성그룹(삼성전자 승마단) · 국민연금공단 · 이화여자대학교 · 한독 경제인회 · 차병원그룹
기타
박정희 · 영세교 · JTBC · 조선일보 · 한겨레 · 박사모 ·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총궐기 운동본부 ·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 · 일베저장소 · 워마드 · 주식 갤러리 · 길라임 · 고령향우회 · 팔선녀 · 알자회 · 회오리축구단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 아프리카 TV
밑줄은 혐의를 주도한 핵심인물이고, 기울기내부고발자 및 피해자이며, 위첨자 은 게이트 사건이 드러난 시점에 사망한 사람을 뜻합니다.

[1] 2016년 12월 30일 박진현(여·32·변시2) 변호사가 사임하고 배진혁 변호사(37·사법연수원 43기)가 합류하였다.[2] 제5기 헌법재판소 소장. 2017년 1월 31일 퇴임[3] 헌법재판소 소장 권한대행, 2017년 3월 13일 퇴임[4] 헌법재판소 부장연구관 출신, 연수원 21기.[5] 판사 출신, 연수원 15기.[6] 판사 출신, 연수원 36기.[7] 검사 출신, 연수원 33기.[8] 검사 출신, 연수원 36기.[9] 로스쿨 출신, 변시 4회.
}}}}}}}}} ||

1. 개요2. 생애3. 사망4. 문제의 유서

1969년 ~ 2014년 12월 13일 (향년 45세)

1. 개요

"경찰은 힘없는 조직이다."
- 외압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하면서 남긴 최경락 경위의 유서.

박근혜 정부의 경찰공무원이다. 2014년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이 일어났을 때 청와대에서 관련 문건을 유출한 혐의로 수사를 받던 도중 A4용지 14장에 이르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하였다. 최 경위는 고향 근처인 경기도 이천시 근방에서 자살하면서, 안에 번개탄을 피워놓고 손목에 자해까지 하면서 죽음에 이르렀다.

사망 당시 나이는 만 45세로 최종계급은 경위였다. 고인의 사진을 JTBC유족의 허락을 받고 공개하였다. #[1]

2. 생애

최 경위는 1969년에 태어나 학원 논술 강사를 하다 1999년 30살에 경찰이 되었다. 대학생 시절 비운동권이던 최 경위는 후배들에게 “운동만 하지 말고 공부하라”고 말할 정도로 모범생으로 통했다. 아내는 전형적인 가정주부이고 중학교, 초등학교 자녀를 둔 최 경위는 자살하기 전까지 은행 대출을 받아 1억 5천만원짜리 전세에 살고 있었다.

3. 사망

파일:external/ncache.ilbe.com/340801f0eac92bcd04b131b1add9d412.jpg
문건 유출 혐의 최경락 경위 자살…시신 부검키로
최 경위는 청와대 파견근무에서 올해 초 해제된 박관천 경정이 가져온 청와대 문건을 무단 복사하고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자택 압수수색에 구속 영장을 청구당했다. 당시에는 박관천 경정과 조응천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순실정윤회, 박근혜 현 대통령과의 부적절한 관계와 비선실세 활동을 담은 '감찰 문건'을 세계일보에 흘렸는데, 이 과정에서 최 경위가 유출 혐의를 받아 “나는 유출과는 무관하며, 단지 세계일보 등의 기사와 관련한 언론동향 보고만 올렸는데, 검찰에서 자신을 문건 유출 혐의자로 몰아붙였다”고 주장하며 억울함을 표시했다.

# 최 경위는 자살 직전까지 “나는 유출과 무관하다”, “검찰에서 나를 문건유출 혐의자로 몰아붙였다”고 하소연했으며 8장짜리 공개된 유서에는 “힘없는 (경찰)조직임을 통감한다”, “세계일보 A기자, 조선일보 C기자 때문에 너무 힘들다”고 토로했다. 또한,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에서 (함께 수사선상에 오른) 한일 경위에게 (수사와 관련한) 제의를 했다고 폭로하였다. 당시 민정수석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핵심인물 중 하나인 우병우이다. ##2 최 경위가 죽었을 때,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윗선의 압력이 있지 않았겠냐는 의혹이 당시에도 많았는데 2016년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정권 차원에서 사건을 덮기 위해 엉뚱한 사람을 압박했다는 주장이 크게 힘을 얻고 있다.

관련자인 한일 전 경위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당시 상황에 대해서 여론이 주목이 다시 주목하자, 좀더 자세한 상황을 토로하였다. #

4. 문제의 유서

다음은 유가족 동의하에 공개된 유서의 전문이다.[2]
저를 알고 있는 모든 분들께 최근 일련의 일들로 인해 신경 써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수많은 언론인들이 저를 비난하고 덫으로 몰고 가고 있지만, 저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보내주신 것은 감사드립니다. 경찰 생활하면서 16년 동안 월급만 받아 가정을 꾸리다 보니, 대출 끼고 현재 전세를 살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그리고 경찰 생활을 하며 많은 경험을 했지만, 이번처럼 힘 없는 조직임을 통감한 적이 없습니다. 힘 없는 조직의 일원으로 이번 일을 겪으면서 많은 회한이 들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당당하게 공무원 생활을 했기에 지금은 행복합니다.

제가 정보관으로 활동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접하였으나, 그중에서 진정성이 있던 아이들은 세계일보 ㅇㅇㅇ과 조선일보 ㅇㅇㅇ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사태에서 “BH국정 농단”은 저와 상관 없고, 단지 세계일보 ㅇㅇㅇ 기자가 쓴 기사로 인해 제가 이런 힘든 지경에 오게 되고, 조선일보 ㅇㅇㅇ은 제가 좋아했던 기자인데 조선에서 저를 문건 유출의 주범으로 몰고 가 너무 힘들게 됐습니다.

그리고 제가 동료이자 아우인 한일이가 저와 친하다는 이유 하나 때문에 이런 소용돌이 속으로 들어오게 된 것은 정말 미안하게 생각합니다. 세상의 멸시와 경멸은 참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실은…

세계일보 ㅇㅇㅇ 기자도 많이 힘들 텐데 “내가 만난 기자 중 너는 정말 순수하고 맑은 영혼을 가진 동생이었다. 그동안 감사했다.”

한일이에게.

너무 힘들어 하지 마라. 나는 너를 이해한다. 민정비서관실에서 너에게 그런 제의가 들어오면 당연히 흔들리는 것은 나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제 내가 이런 선택을 하게 된 것은 너와 나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회사 차원의 문제이나, 이제라도 우리 회사의 명예를 지키고 싶어 이런 결정을 한다. 너무 힘들었고, 이제 편안히 잠 좀 자고 쉬고 싶다. 사랑한다, 한일아.

절대 나로 인해 슬퍼하지 말고, 너의 가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여라. 그리고 부탁하건대 내가 없는 우리 가정에 네가 힘이 되어주길 바란다. 한일아, 나는 너를 사랑하고 이해한다 사랑한다 한일아.

언론인 들어라.

훌륭하신 분들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생활하시죠. 저널리즘! 이것이 언론인들의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부디 잃어버린 저너리즘을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나는 새로운 삶에 대한 호기심이 나를 짓눌러 이렇게 극단적인 선택을 합니다.


[1] 50초 부근에 나온다.[2] 한일 경위의 경우에는 이미 위에 이름이 공개된 관계로 블라인드 처리를 지우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