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드 이발소|
]]
- [ 등장인물 ]
- [ 관련 문서 ]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808080><colbgcolor=#421,#26150a><colcolor=#fff> 설정 ||<width=80%> 등장인물・브레드이발소 ||
스핀오프 브레드와 윌크의 세계여행
윌크의 디저트 이야기극장판 극장판 1기・극장판 2기 기타 파일럿・패러디
1. 상세 정보
안녕하세요? 윌크의 디저트 이야기입니다!
브레드 이발소 시즌 2에서 브레드의 이발교실과 비슷하게 본편 끝부분에서 방영되는 쿠키 영상이다. 윌크 화이트가 애니 본편에서 등장하는 빵과 디저트들의 역사를 소개하는 영상이다. 매주 토요일 저녁 6시에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되고 있다. 단 2023년 7월 말 핫도그 편 이후는 모음집만 올라오고 있다.예외로 7회에서는 할로윈에 대해 방영을 하였다. 7회에서는 등장하는 디저트가 없기 때문이다.[1]
9회에서는 종이팩 우유에 대해 방영을 하였다. 참고로 9편은 '로봇 윌크'편이다.
23회에서는 발렌타인 데이에 대해 방영을 하였다.
아동용이라 순화시키거나 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게 상당수인데 대표적인 예로 '만두' 편이 있다. # 소시지나 베이글, 식빵처럼 디저트 메뉴가 아닌 어떨땐 식재료나 조미료등의 용도인 음식들도 자주 나온다.
'윌크가 들려주는 단짠단짠 디저트의 역사'라는 제목으로 도서화되었다.#
2. 에피소드
모음집 제외.주제 | 배경 | 인물 | 링크 |
빵의 역사 |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중세 유럽 | 파라오와 요리사[2] | |
건빵 | 고대 이집트(두유라), 고대 로마(부클럼), 대항해시대 유럽 영국 | 세계의 해군 | |
초콜릿 | 15세기 카스티야 연합 왕국 시기 스페인 아즈텍 제국 | 툴리오, 미구엘[4], 아즈텍 왕(아위소틀로 추정),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이사벨 1세 | |
티라미수 | 1970년대 이탈리아 | 캄페올 부부, 캄페올 부인의 시어머니 | |
마카롱 | 1550년대 프랑스 왕국 | 앙리 2세, 카트린 드 메디시스 | |
아이스크림 | 1270년대 원나라 18세기 영국 1835년 미국 | 마르코 폴로, 제럴드 티생, 제이콥 푸셀 (이름 언급: 알렉산드로스 3세, 네로, 앙리 2세, 카트린 드 메디시스, 찰스 1세, 제이컵 퍼킨스) | |
할로윈 | 고대 아일랜드 1840년대 말 미국 | 아일랜드인들 | |
버터 | 기원전 3000년경 바빌로니아[5] | 버터를 발견한 소년[6] | |
우유팩 | 1915년 미국 | 존 반 워머 | |
프레첼 | 7세기 독일(프랑크 왕국)[7] | 수도사, 아이들 | |
붕어빵[8] | 1909년 일본 | 고베 세이지로 | |
크로와상 | 1683년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 제빵사, 터키 군대, 레오폴트 1세[9] | |
치즈 | 기원전 6000년경 아라비아[10] | 카나나 | |
만두 | 225년 중국 촉한 | 제갈량, 강의 신[11] | |
감자칩 | 1853년 미국 뉴욕 | 조지 크럼, 코닐리어스 밴더빌트[12] | |
케이크 | 고대 그리스 | 제빵사, 아르테미스 여신 | |
소시지 | 기원전 1184년경 트로이 전쟁 | 취사병, 오디세우스 | |
베이글 | 1680년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유대인 이민자들, 얀 3세 소비에스키 | |
꽈배기 | 기원전 636년 중국 진(희성) | 진문공, 개자추 | |
도넛[13] | 17세기 추정 네덜란드 공화국 이민선 | 네덜란드 청교도들[14] | |
발렌타인 데이 | 260년대 로마 제국 | 발렌타인 주교 | |
식빵 | 1928년 미국 | 오토 로웨더 | |
컵케이크 | 영국의 작은 마을 | 엄마와 딸[16] | |
메론빵 | 1917년 중화민국 북양정부 하얼빈 | 이반 사고얀 | |
과자 | 1142년 중국 남송 | 악비, 진회[17] | |
파이[18] | 고대 로마 | 주인과 하녀 | |
카망베르 치즈[19] | 1791년 프랑스 왕국 | 샤를 장 봉부스틴 신부, 마리 아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
발효홍삼[20] | 고려시대 | 인삼 상인, 인삼 상인의 아내와 아들 | |
컵케이크의 종류[21] | 딸기 컵케이크, 초콜릿 컵케이크, 레드벨벳 컵케이크, 블루베리 컵케이크, 민트초코 컵케이크 | 처음으로 체리툰 작화진이 참여한 영상. 초콜릿 컵케이크 장면에서 체리툰에 출연한 아이들이 나오고, 레드벨벳 컵케이크 장면에서 오른쪽 모서리에 남규리의 모습이 잠깐 나온다. | |
우유 | 기원전 4000년경 유럽 | 양치기 | |
평양냉면 | 고려시대 평양 1900년대 대한제국 | 달쇠, 면장공, 고종,[22] 고종 비[23] | |
난 | 1300년대 인도 델리 술탄국 | 난민들, 쿠시르 | |
팝콘 | 1621년 북아메리카 플리머스 식민지 | 영국인들, 인디언들, 옥수수의 정령 | |
젤리 | 17세기 프랑스 1845년 미국 | | |
호빵 | 1341년 원나라 1341년 일본 무로마치 시대 1969년 대한민국 제3공화국 | 임정인, 류잔 선사, 천황,[27] 허창성[28] | |
잼 | 기원전 320년대 마케도니아 왕국 1550년대 프랑스 왕국 | 알렉산드로스 3세, 노스트라다무스, 안 퐁사르드[29] | |
두부 | 시대 미상의 중국 저장성 | 라기, 라기의 부모 | |
두유[30] | 1937년 일제강점기 조선 1967년 대한민국 제3공화국 | 정재원, 김금엽[31] | |
떡 | 서기 24년 신라 |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32] | |
소시지의 종류 | 비엔나소시지, 바이스부르스트, 스모크 햄, 살라미, 킬바사, 라창 | - | |
바게트 | 20세기 초 프랑스 제3공화국 | 제빵사[33] | |
솜사탕 | 1899년~1904년 미국 | 윌리엄 J. 모리슨, 존 C. 와튼, 윌리엄의 조카 | |
콜라[34] | 1886년 미국 조지아주 | 존 펨버턴 | |
민트초코 | 1973년 영국 | 마릴린 리케츠, 앤 공주 | |
치즈스틱 | 1393년 프랑스 1960년대 미국 | 중세 프랑스의 가족, 치즈스틱 미국기원설 주장 학자 | |
케이크의 종류 | 스펀지 케이크, 치즈 케이크, 무스 케이크, 크레이프 케이크 | - | |
와인 | 원시시대 | 원시인 남자와 여자[35] | |
홍차 | 1700년대 초 영국 | 영국인 여성들과 남성들[36] | |
샌드위치[37] | 1760년대 영국 | 존 몬태규, 하녀, 요리사 | |
와플 | 18세기 영국 | 요리사, 아내, 제임스 쇼니[38] | |
케첩 | 1700년대 초 영국 상선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령 믈라카 술탄국 | 주방장, 식당 주인 | |
마요네즈 | 1756년 스페인 메노르카 섬 | 리슐리외 공작, 요리사 | |
도넛의 종류 | 글레이즈 도넛, 도넛홀즈, 폰더링 도넛, 필드 도넛 | 인물 | |
햄버거 | 1220년대 몽골 제국 | 칭기즈 칸 | |
엔비베베[41] | 어린이 화장품 엔비베베 광고 영상 | 진시황, 엘리자베스 1세,[42] 가족(엄마, 아빠, 딸) | |
돈까스[43] | 1899년 일본 | 카로 고기베[44] | |
샤슐릭 | 시대 미상 중앙아시아 타타르 부족 | 족장, 족장 딸, 샤슐릭을 만든 청년, 구혼자들 | |
쌀국수 | 1900년대 응우옌 왕조 시기 베트남 | 프랑스인 식당 매니저, 베트남인 어머니와 아이들[45] | |
페이조아다 | 14세기 포르투갈 1820년대 이전 브라질 | 포르투갈인 주인, 흑인 노예 소녀, 흑인 노예 소녀의 가족들[47] | |
하몬 | 페니키아 식민 시기 고대 스페인 | 아버지와 아들들[48] | |
핫도그 | 1893년 미국 | 크리스 본드 아헤, 태드 도건[49] | |
3. 기타
- 13화에서는 방영되지 않고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 원래는 2020년 4월에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공식 채널 영상에서 공개된 바에 따르면 녹음상의 문제로 6월부터 방영하게 되었다고. 아마 녹음 중 소리가 뭉개지거나 녹음 파일이 날아가거나 등의 문제로 추정된다.
- 체리툰 그림체와 상당히 비슷하다는 평이 많은데, 사실은 체리툰과 브레드 이발소는 같은 제작진이 만들고 있다.[50] 이전에는 눈코입을 단순하게 묘사한 그림체였으나 시즌 2부터 체리툰 특유의 그림체로 바뀌었다. 시즌 2의 시작인 컵케이크의 종류 편은 아예 체리툰에서 나온 어린이 캐릭터들이 나왔다...
- 초반에는 대부분 디저트 위주로 나왔으나 현재는 소시지, 만두, 햄버거, 핫도그, 샌드위치 같은 음식들 같이 디저트랑 거리가 먼 이야기도 하면서 더이상 디저트 이야기가 아니게 된다.
이정도면 윌크의 음식이야기 라고 해야 될것같은데
- 음식을 처음 먹어보는 사람들이 주로 등장하다 보니 맛 표현을 오글거리게 정성들이는 편이다.
- 본편과 달리 윌크가 2D 그래픽으로 등장한다.
- 2024년 9월, 시즌 4가 제작되고 있음이 드러났다.댓글 참고
[1] 밀크와 코코가 있었지만, 그 둘은 다른 디저트가 아니고 각각 윌크와 초코를 변형시킨 유령 캐릭터였다. 철자로는 milk와 coco이다. 보면 알겠지만 wilk의 w를 뒤집고 choco의 h를 뺀 것이다.[2] 파라오를 위해 처음으로 효모를 넣은 빵을 만든 것으로 나온다.[3] 영상에서는 '아즈텍 왕국'으로 잘못 나온다.[4] 아즈텍 제국으로 황금을 찾아 떠나지만 결국 카카오를 가져오고 콜럼버스에게 넘긴다. 여담으로 엘도라도(애니메이션)의 주인공 콤비와 이름이 같다.[5] 다만 이 시기는 수메르 문명 시기다.[6] 몸이 약해서 전쟁에 나가기 위해 우유를 넣은 가죽을 메달아놓고 막대기로 열심히 때리다가 버터를 발견했다. 여담으로 소년이 매우 잘생겼다는 반응들이 많다...[7] 독일이라고 나왔지만 엄밀히 말해 프랑크 왕국 시대다.[8] 사실상 붕어빵의 기원인 일본 타이야키를 다루고 있다.[9] 이름은 안 나오지만 시대상 및 캐릭터의 외모로 보아 확실.[10] 다만 기원전 6000년경치고는 문명이 상당히 발달한 것으로 나온다.[11] 애니메이션에서 직접 모습이 묘사된 오리지널 캐릭터. 여신으로 나온다.[12] 손님. 이름은 안 나온다.[13] 흔히 생각나는 선장이 빵을 배의 키에 꽃아서 생겨 고리 모양 도넛이 되었다는 유래가 아니다. 배 안에서 도넛을 온전히 튀기기 위해 고리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나온다.[14] 청교도는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분파를 말하기 때문에 오류. 개혁교회가 올바르다.[15] 시대적 배경은 나오지 않는다. 현재와 멀지 않은 가까운 근대로 추정.[16] 가난한 엄마가 생일을 맞은 딸을 위해 작은 케이크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나온다.[17] 오늘날의 상업적인 과자가 아니라 악비를 죽게 만든 진회를 사람들이 싫어하여 유탸오라는 튀김 과자가 만들어졌다는 내용이다.[18] 고대 로마 배경이지만,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던 포크와 나이프를 음식으로 만들어 달라는 장면이 나온다.[19] 극중 설명에서는 1792년에 혁명이 일어나 왕과 왕비가 처형당했다고 나오지만, 사실 이 해는 공화정이 선포된 해이며 왕과 왕비는 이듬해 1793년에 처형당했고, 영상 내 일화는 공화정 성포 전 입헌군주제 시절인 1791년에 일어난 사건이다.(단 18세기 초에 이미 카망베르 지역에서 치즈를 생산했다는 기록도 있다.) 추가로 프랑스 혁명을 보여줄 때 7월 혁명을 묘사한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보여주는 오류를 범했다.[20] 퍼멘진 발효홍삼 광고. 재생목록에는 없다.[21] 시즌2 시작.[22] 황제임에도 왕이 사용하는 '전하'라는 호칭을 듣는 오류가 있다.[23] 이름은 안 나온다.[24] 초반부 특별출연.[25] 영상에서는 영어식 발음인 데니스 파핀으로 나온다.[26] 영상에는 안 나오지만 1845년에 가루로 만드는 젤라틴 특허를 얻었다.[27] 단팥빵을 맛본 메이지 덴노의 일화와 착각하여 등장한 듯하다.[28] 삼립의 창업자. 광고 문제 때문에 회사 이름은 안 나온다.[29] 노스트라다무스의 아내. 이름은 안 나온다.[30] 광고 협찬을 받지 않아서 브랜드 이름 베지밀은 나오지 않는다.[31] 정재원의 아내. 이름은 안 나온다.[32] 영상 내에서 차차웅 왕이라는 명칭이 등장하는데, 차차웅은 군주의 칭호이므로 잘못된 표현이다.[33] 노동법이 제정되어 새벽에 빵을 구울 수 없자 속까지 잘 구워지는 길쭉한 빵을 만들었다는 설을 소개했다.[34] 1886년 금주법이 제정될 때 당시에 존재하지 않았던 텔레비전(그것도 컬러 텔레비전)이 나오는 오류가 있다. 덤으로 이때 펨버턴이 '프렌치 와인 오브 코카'를 '프렌치 오브 와인 코카'로 잘못 말한다. 의도인지 아니면 성우의 실수인지는 불명. 펨버턴이 모르핀 중독자였다는 사실은 나오지 않으며 처음부터 전쟁 때문에 고통받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만든 것으로 나온다. 광고 문제 때문인지 코카콜라라는 브랜드의 성립은 나오지 않는다.[35] 와구와구 와 마샤마샤 라는 이름이 붙었다.[36] 홍차를 소개한 여성에게 샬롯 이라는 이름이 붙었다.[37] 샌드위치 백작이 업무가 바빠서 샌드위치를 먹었다는 정설을 채택했는데 포커 도박 중독자라는 루머를 사실로 믿는 댓글들이 항의했다.[38] 등장 시 슬램덩크 패러디 짤이 나온다.[39] 영상에서는 말라카 왕국으로 나오지만, 사실 이때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지배하고 있었다. 또 18세기인데 영국 국기가 아일랜드를 상징하는 붉은 대각선이 그려진 것으로 나온다.[40] 18세기인데 현재의 영국 국기와 프랑스 국기가 나오는 오류가 있다.[41] 어린이 화장품 엔비베베 광고. 이날만큼은 윌크의 화장품 이야기로 바뀌었다.[42] 모두 브레드와 윌크의 세계여행에 등장한다.[43] 시즌3 시작.[44] 몰락한 사무라이로 실존인물이 아니라 '칼로 고기베'를 비튼 말장난으로 만든 오리지널 캐릭터로 보인다. 실제로는 렌가테이의 창업자 기다 겐지로가 만들었다.[45] 식당에서 일하는 베트남인 어머니가 자식들을 위해 프랑스인이 먹지 않는 고기 부속부위로 쌀국수를 끓이는 것으로 나온다.[46] 브라질에서 페이조아다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이 1827년이므로 최소 그 이전으로 보인다.[47] 백인 지배층이 먹지 않는 고기 부속으로 음식을 만든다는 점에서 쌀국수 편과 유사하다. 브레드와 윌크의 세계여행 리우데자네이루 편이 발표된 날 등장했으며 영상 초반부에 윌크가 언급한다. 여담으로 2:25 부근에 미국 해군가 Anchors Aweigh의 'Here's wishing you a happy voyage home!' 부분이 배경음악으로 나온다.[48] 아버지가 아들들에게 농장을 물려주기 위해 고기를 오래 보관하는 방법을 찾으라고 시키고 셋째가 소금에 절이는 방법을 발견하는 이야기를 소개했다. 출처 미상.[49] 1893년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현 볼티모어 오리올스) 야구장 이야기가 나오는데, 1893년이라는 연도와 1904년 세인트루이스 박람회가 섞여서 헷갈린 듯하다. 덤으로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는 1902년에 생겼다.[50] 때문에 체리툰 영상에서 브레드 인형이 출연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