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젤리(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젤리(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젤리(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의 동음이의어: }}}[[젤리(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젤리(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젤리(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국에서 흔히 '젤리' 로 불리는 고형의 캔디류}}}에 대한 내용은 [[구미(음식)]]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구미(음식)#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구미(음식)#|]]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국에서 흔히 '젤리' 로 불리는 고형의 캔디류: }}}[[구미(음식)]]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구미(음식)#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구미(음식)#|]]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젤리 |
영어 | Jelly |
일본어 | ゼリー |
1. 개요
젤라틴을 사용한 디저트의 총칭. 디저트의 일종이며 겔(콜로이드)류에 속한다.2. 상세
|
크리스마스 푸딩 |
영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에서 과일 등을 굽거나 익힌 뒤 식혀 굳히거나 동물 지방과 부산물에서 우려낸 젤라틴으로 끓인 뒤 굳혀 보존식품으로 저장해 먹던 것에서 유래한 후식으로[1] 과즙이나 과일 등을 졸여 굳힌 것이다. 즉 영국 요리. 단순히 설탕과 지방을 엉기게 한 설탕과자인 캐러멜과는 다르며 주성분 및 만드는 방법을 보면 오히려 한천 넣은 양갱과 도플갱어라고 할 수 있다. 요즘은 합성착향료를 넣는다. 물론 하리보처럼 천연착향료를 넣는 젤리도 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젤리는 숟가락으로 떠먹거나 마실 수 있게 플라스틱 용기 안에 넣어둔 컵 젤리가 대표적이며 취향에 따라서 얼려 먹는 사람도 있다. 상온에 있는 젤리가 부드럽게 부서지는 것과는 달리 입안에서 사르르 녹으면서 되돌아오는 젤리 본연의 식감을 즐기는 듯. 물론 언 젤리는 강도가 매우 강해지니[2] 이빨이 약한 사람은 주의. 너무 꽝꽝 얼리지는 말고, 만져봐서 상온의 젤리보다 살짝 단단하면서도 차갑게 느껴질 때 먹는게 좋다.[3] 크기가 클수록 늦게 어니 알아둘 것.
이 외에 환타 쉐이커처럼 흔들면 탄산을 품은 젤리가 부서져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젤리도 있다.[4]
외국에서는 꽤 대중화된 간식이다 보니 플레인 젤리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젤로(Jell-o) 가루가 따로 나오기도 한다. 국내에서도 그렇게 흔히 접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슈퍼마켓이나 대형마트에서 푸딩이나 젤리를 만드는 믹스를 판매하며 인터넷에서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도토리묵, 메밀묵 등 묵도 영어로 jelly인데, 재료와 제조법이 완전히 달라서 물컹하다는 것 외에는 공통점이 없다시피하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는 한국어 그대로 Muk이라고 불러 구별한다.
한국에도 달콤한 젤리 계열의 전통 후식이 존재한다. 과편이 그것. 과편(果-) 또는 과실편(果實-)으로 불렸으며, 한과의 일종이었다. 과일과 녹말(전분)[5], 설탕을 이용해 만들었는데, 재료만 보면 과일로 만든 묵이지만, 생김새나 맛은 영락없는 젤리다.
2.1. 젤리? 구미?
사실 진짜 젤리는 젤라틴 또는 한천을 넣은 스푼으로 떠 먹는 정도의 무르고 수분이 많은 것, 구미는 젤라틴이나 녹말을 넣은 손으로 집어 먹을 수 있는 단단하고 마른 것을 칭한다. 구미베어 같은 것은 구미에 속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로.한국에서 '젤리' 라고 하면 흔히 쁘띠첼 등 컵 안에 든 형태의 숟가락으로 떠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찰랑찰랑한 간식[6] 외에도, 마이구미나 하리보 구미 베어 등 손으로 집어먹을 수 있는 고형의 쫄깃쫄깃한 간식을 떠올릴텐데, 사실 이들은 엄밀히 따지면 구미(Gummy)라고 불려야 맞다. 왜인지 한국에서만 구미류들까지 포괄적으로 젤리라고 불리는데, 외국에서는 젤리와 구미를 따로 분류한다.
젤리와 구미의 주재료는 거의 비슷하지만, 수분 함량에 따라 질감이 변하며 젤리와 구미로 나뉜다. 주스 등 음료에 설탕 및 젤라틴을 첨가해 굳히면 찰랑찰랑한 젤리가 되고, 물을 적게 넣고 설탕과 물엿을 많이 넣어 녹인 점도가 높은 끈적한 시럽 상태일때 젤라틴을 첨가해 굳혀 만들면[7] 손으로 집을 수 있는 구미가 된다.
2010년대 중반에 유행한 '마이구미 푸딩 만들기' 처럼 구미와 젤리는 주재료가 거의 같기 때문에, 구미에 뜨거운 물을 넣고 녹여서 수분 함량을 더해 젤리나 푸딩처럼 만들 수 있다.[8]
여하튼 색이 들어간 말랑하거나 투명한 식품을 죄다 묶어서 젤리를 붙이기 때문에 같이 젤리 취급을 받는 때가 있다.[9]
2.2. 건더기 없는 잼의 북미식 표현
미국과 캐나다에서 건더기없이 과일이나 채소의 즙만을 넣어 만든 반투명한 잼을 젤리라고 한다. 과일을 얼마나 통째로 쓰냐에 따라 마멀레이드(오렌지류 한정 껍질 포함 하는 경우)-잼-젤리 순으로 구분 된다. 건더기가 적을 수록 제조단가가 낮은지 가격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문에서 설명하는 젤리는 미국에서는 Jell-O(젤로)라고 부른다. 이는 스카치테이프나 호치키스처럼 젤로가 아예 젤리를 밀어내고 대명사화 되었기 때문으로,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다른 모든 영어권 국가에서의 젤리는 위에 나온 그 젤리가 맞다. 풀 메탈 자켓에서 언급된 '젤리 도넛' 같은 경우가 미국식 표현에 해당한다. 던킨도너츠 등지에서 파는 슈가파우더 뿌린 잼 들어간 도넛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아마도 저 차이로 인한 괴리의 제일 대표적인 예는 스폰지밥일 것이다. 작중 스폰지밥이 허구한 날 취미로 잡고 다니는 해파리에게서 뭔가를 짜내곤 하는데 그게 바로 해파리가 영어로 'Jelly fish'라서 나온 말장난. 하지만 한국판에선 저 말장난을 살릴 방법이 마땅치 않으니 그냥 '해파리 잼' 정도로 말하고, 이걸 보는 아이들은 '아 스폰지밥 세계관에서는 해파리에서 잼이 나오는구나' 정도로 생각하고 넘어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설령 해파리가 영어로 'Jelly fish'인 걸 아는 아이들이라도 Jelly가 잼인 걸 모르니 말장난이 아닌 줄 아는 경우가 많았다. EBS판에서는 해파리가 꿀벌의 역할이라는 점에서 착안해 해파리꿀로 번역했다.
2.3. 젤리와 비슷한 다른 음식
- 구미 - 문서 참조.
- 로쿰(터키쉬 딜라이트)
- 양갱[B]
- 행인두부
- 와라비모찌[A](わらび餅, 고사리떡)
- 민트 젤리: 말 그대로 민트로 만든 젤리인데, 다른 젤리와는 다르게 간식이 아니라, 고기 요리를 먹을 때 잡내 제거용으로 같이 먹는 일종의 향신료로 쓰인다. 사실 여기서 말하는 젤리는 바로 위 문단에서 설명한 건더기 없는 잼의 미국식 표현이므로, 민트 잼에 더 가깝다.
- 과편[A] - 한과의 일종. 과즙과 녹말 등으로 만드는 동양식 젤리로 차갑게 식혀서 먹는다.
- 타피오카 펄[A] - 버블티에 들어가는 젤리. 타피오카 전분으로 만들며, 주성분이 녹말이기 때문에 만드는 과정을 보면 젤리보다는 떡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자세한 건 카사바 문서로. 펄의 크기가 아주 작은 '사고 펄' 이라는 변종도 있다. 자세한 건 사고(음식) 문서로. 사고 펄을 활용한 대표적인 디저트가 망고 사고이다.
- 나타 데 코코(Nata de coco) - 코코팜에 들어있는 젤리 비슷한 것. 코코넛 발효 식품으로 단백질인 젤라틴을 굳혀서 만드는 젤리와 달리 세균성 섬유소(bacterial cellulose)로 이루어진 식재료이다. 쫀득하게 씹히는 맛이 있어서 잘게 썰어 과일젤리 안에 넣기도 한다.
- 귀령고
- 꿀젤리 - 사실 젤리가 아니고 꿀을 차갑게 굳혀 만들었으므로 이름만 젤리인 사탕이나 물엿에 더 가깝다. 비슷한 식품으로는 일본의 네리아메가 있다.
- 카놈름끌른(ขนมลืมกลืน)[A] - 태국의 전통과자. 여기서 카놈(ขนม)은 과자라는 뜻으로 한국어로 ○○과(菓)에 대응한다.
3. 기타
- 과거 외국산 망고젤리[19]를 먹던 어린이가 질식사한 적이 있다. 이는 외국산 젤리의 젤라틴 함량이 높아서 비교적 단단했기 때문.[20] 이에 국내의 컵형 젤리는 수분 함량을 높여 목에 걸리더라도 곧 부서질 수 있을 정도로 무르게 만들고 있으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잘게 썰어서 먹어라'는 경고문도 붙어있다. 행정법 판례에서는 유명한 판례이다.
- 과학적으로 고체인지 액체인지 굉장히 헷갈린다. 일반적으로 그 중간인 겔(or 젤)상태라고 본다. 큰 부류로서는 콜로이드에 해당한다. 숟가락으로 떠 먹을 수 있는 탱글탱글한 상태이다.
- 주스와 젤라틴으로 집에서도 해먹을 수 있다. 판 젤라틴 또는 가루 젤라틴을 불려서 전자레인지에 녹여서 데운 쥬스와 섞거나 같이 냄비에 담아 데운 뒤 냉장고에서 굳히면 된다. 젤라틴이 들어가면 당도가 음료일 때에 비해 감소하기 때문에 설탕이나 대체당을 한스푼정도 넣는 게 좋다.
- 수도권에서는 '젤리'의 발음을 '젤'리가 아닌 쩰리 라고 하는 경우가 흔하다. 반면 지방에서는 특별히 표준어를 자주 사용하는 지역이거나 젊은 세대가 아니고서 '젤'이 된소리화하는 경우가 드물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 수도권과 서울에서 '젤리'로 발음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 젤리와 구미의 원료가 되는 젤라틴 성분이 돼지고기에서 얻는 성분이라 돼지고기를 금하는 무슬림을 위해 소가죽(우피) 성분의 젤라틴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소가죽 성분 젤라틴은 상대적으로 질긴 느낌을 주는데, 주로 소가죽 젤라틴을 사용하는 하리보는 할랄 푸드 인증을 받은 것도 꽤 있다. 다만 모든 제품이 소가죽 젤라틴으로 만드는 것은 아니기에 주의할 것.
분자요리에서 많이 다루는 재료이다. 정확히는 알긴산+염화칼슘. 그래서 최현석이 젤리성애자라고 디스당하기도 했다.
- 사람이 아닌 애완곤충에게 먹이는 곤충젤리라는 물건도 있다. 작은 플라스틱 컵에 담긴 형태로 뚜껑에 새겨진 곤충 로고만 빼면 사람이 먹는 젤리와 닮았다. 물론 맛은 없다.
이걸 먹었다고?
- '발리스틱 젤라틴(Ballistic gelatin)'[21]이라는 무기의 위력을 시험하기 위한 특수 젤리가 있다.[22] 내셔널 지오그래픽 '파이트 사이언스'같은 프로그램에 나오는 인체모형이 이것으로 추측된다. FBI에서 제시하는 공식적 비율도 있다. #
4. 대중매체에서
[1] 이러한 원시적인 형태의 젤리는 지금도 크리스마스 푸딩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영국 요리/종류의 푸딩 항목으로.[2] 겔의 구조를 생각해보면 얼린 젤리는 철근 콘크리트와 비슷한 구조가 된다.[3] 투명~반투명한 젤리라면 얼 때 어느 정도 하얗게 변한다.[4] 현재 단종되었다가 재출시되었다가 또 단종된 역사를 보유하고 있다.[5] 주로 찰기가 있고 무향인 칡 전분으로 만든다. 일본에서도 쿠즈모찌(葛餅, くずもち)라는 비슷한 간식이 있다. 와라비모찌와 비슷하다.[6] 오히려 이것이 본문에서 설명하는 젤리의 의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이걸 푸딩이라고 불리고 있다. 정확히는 과일 푸딩. 일본식 커스터드 푸딩이 짱구는 못말려 등 일본 만화를 통해 들어온 이후에도 여전히 푸딩이라 불린다.[7] 이때의 상태는 매우 끈적끈적하기 때문에 굳히고 난 뒤 기름이나 전분 등으로 코팅을 한다. 구미 표면을 자세히 보면 가루가 묻어있거나 기름기로 인해 번들거리는 것이 그 예.[8] 미국식 젤로(Jell-o)와 거의 같다.[9] 이와 비슷하게 말랑말랑하고 투명한 슬리퍼 종류의 신발도 젤리슈즈라고 부른다.[A] 녹말(전분) 젤리.[B] 한천 젤리.[B] [A] [A] [B] [A] [A] [A] [19] 안에 나타 드 코코가 들어간 조그만 망고젤리.[20] 이 때문에 일본의 곤약젤리 중 컵에 담긴 형태인 "蒟蒻畑"(콘냐쿠바타케)라는 제품은 2007년부터 수입 통관 금지물품에 등록되어 있다.[21] 직역하면 탄도 젤리.[22] 인간의 근육과 강도, 탄성이 거의 흡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