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레저 · 스포츠 계열 | <colbgcolor=#fff,#1c1d1f>축구(축빠 · 해축빠) · 야구(야빠) · 농구(농빠) · 배구(배빠) · 골프 · 테니스 · 배드민턴 · 당구 · 볼링 · 탁구 · 등산 · 낚시 · 에어소프트 게임 · 비디오 게임(게이머) · 보드게임(보드게이머) · 오락실 · 종합격투기(격빠) · 권투(복빠) · 보디빌딩(헬창) · 자동차(자동차 애호가) · 자전거(자전거 동호인) · 오토바이 · 여행 |
사교 · 친목 계열 | 수다 · 전화 · 메신저 · SNS · 음주 · 잡담 | |
공예 · 공작 계열 | 바느질 · 뜨개질 · 목공 · 꽃꽂이 · 종이접기 · 인형(인형덕후) · 레고 · 프라모델(건프라) · 다꾸 · 탑꾸 | |
문화 · 예술 계열 | 독서(책벌레) · 소설 · 시 · 수필 · 미스터리(괴담/도시전설) · 추리물 · 희곡 · 클래식 음악(클래식 애호가) · 국악 · 오디오(오디오파일) · 춤 · 미술(그림쟁이)· 사진(사진덕) · 박물관 · 연극 · 뮤지컬(연뮤덕) | |
대중문화 계열 | 방송(방송 동호인) {드라마 · 예능 · 사극(고증덕후)} · 영화(시네필) · 대중음악(음덕){일본 음악(일음덕후) · 록 음악(록덕후) · 메탈(메탈헤드)} · 아이돌(아이돌 팬덤) | |
서브컬쳐 계열 | 만화/애니메이션(일본 애니메이션(오타쿠)) · 성우(성우 덕후) · 작화(작화 덕후) · 특촬물(특덕후) · 코스프레(코스어) · TRPG · 괴수(괴수덕후) · 오컬트 · 설정(설정덕후) · 용/드래곤(용덕후) | |
수집 계열 | 의류 · 수석 · 분재 · 보석 · 원소 · 병뚜껑 · 문구 · 샤프펜슬(샤덕) · 모형 · 자동차 모형 · 무선 모형 · 버스 모형 · 철도 모형 · 우표(우표 수집) · 시계(시덕후) · 술 · 장난감(키덜트) · 화폐(화폐 수집) · 팬시문구(포장용품계) | |
교통 계열 | 철도(철덕) · 승합차/버스(버덕) · 항공기(항덕) · 선박(선박 덕후) · 화물차(트럭덕후) · 도로(도로덕후) | |
사회 · 인문 계열 | 역사(한국사/세계사 · 역덕후) · 지리(지리덕후 · 폐허덕후) · 법(법덕) · 정치인 · 언어(언어덕후) | |
기초과학 계열 | 물리학(물리 덕후) · 화학 · 생명과학 · 지질학 · 고생물학(공룡덕후) · 천문학(우주덕후) · 기상학(기상덕후) | |
정보통신 · 소프트웨어 계열 | 테크덕후 · 컴퓨터(컴덕후) · 코딩(코딩덕후) · 휴대폰(폰덕후) · 아마추어 무선 · 홈브루 컴퓨터 | |
생물 계열 | 개(애견인) · 고양이(애묘인, 집사, 캣맘) · 애완동물 · 새(새덕) · 파충류(파충류덕) · 양서류 · 공룡(공룡덕후) · 관상어 · 어류 · 갑각류 · 절지동물(절지류 애호가) · 곤충(곤충덕후) · 원예 · 난초 · 식물 | |
자기계발 · 수련 계열 | 자격증 · 외국어 · 요리 · 제과제빵 · 명상 · 외모 관리 · 화장품(코덕) | |
군사 계열 | 군사(밀덕 · 군덕후) · 총기(총덕후) · 도검 및 나이프(칼덕후) · 군가(군가·행진곡 동호인) | |
기타 | 승강기(엘베덕) · 미식 · 쇼핑 · 위키질 | |
관련 용어 | 덕력 · 덕질 · 덕업일치 · 능덕 · 성공한 덕후 · 양덕후 · 장비병 · 출사 · 직캠 · 최애 · 친목 · 동호회/정모 · 동인 · 덕계못 | |
비하 용어 | 빠 · 빠돌이 · 빠순이 · 사생팬 · 악성 개인팬 · 메이저부심과 마이너부심 · 철싸대 · 버싸대 · 개빠 · 애니멀 호더 · 키모오타 · 설정놀음 · 스노비즘 · 딜레탕티슴 | }}}}}}}}} |
1. 개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다. 보통 줄여서 엘덕, 엘베덕이라고 한다.최하층부터 최상층까지 올라갔다 내려오는 모습을 담은 영상, 일명 탑사기[1]를 촬영 후 업로드하며, 엘리베이터 제조사, 중량, 속도, 제한 인원 수 등을 조사한다. 버튼의 모양이나, 누를 때 나는 소리, 표시기의 표시 방식 등에 관심을 갖는 동호인들도 있다.
미국,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한국에도 분포하고 있다.
2. 대한민국에서
유튜브와 네이버에서 엘리베이터 탑사기를 검색하면 한국의 다양한 엘리베이터 탑사기를 볼 수 있다.지상파에서도 2015년 10월 21일[2]과 2019년 7월 31일[3] 영재 발굴단에 소개되기도 했다.
3. 세계의 엘리베이터 동호인
외국의 경우는 엄청 많고 연령층도 다양한 편이다.- 미국: 엘리베이터 부품이나 옛 부품들을 수집하기도 한다.[4] 심지어 방송용 대형 캠코더를 이용해서 탑사하는 사람도 있으며, 친구나 가족들과 같이 탑사하는 경우도 있다. 1993년부터 활동중인 dieselducy가 대표적이다.[5]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도 운영중인데 유튜브 같은 경우는 2024년 3월 기준 구독자 수가 약 11.2만명으로, 미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동호인 유튜브 채널 중 구독자 수가 가장 높다. 그가 살고 있는 집으로 추정되는 건물에 엘리베이터 박물관을 만들었으며, 미국 내 엘리베이터 동호인들이 방문하고 인증을 하고 있다.
- 일본: 2008년에 일부 동호인들이 엘리베이터 해설서 '일렉트로닉 베스트'란 책을 발간했다. 여기서 소개된 엘리베이터는 총 50대이다.
- 일본은 승강기에 안전 시스템이 많아 경고 스티커를 촬영하는 동호인이나 손 끼임 방지 센서를 작동시켜보는 동호인이 있다.
- 유럽: 코네엘리베이터의 본고장인 유럽 쪽에도 엘리베이터 동호인들이 분포하고 있다. 덴마크를 기반으로 활동을 하고 있는 Heritage Elevators가 대표적.
4. 각종 문제점
4.1. 용도에 맞지 않은 승강기 촬영
일부 동호인들은 승객용 엘리베이터 외의 타 용도 엘리베이터를 찍고 다닌다. 이러한 특수 용도의 승강기를 찍는 것은 사고가 났을 시 매우 위험하다. 엘리베이터 하나 찍으려고 했다가 사고나면 전부 자신의 책임이다.[6]4.2. 부적절한 탑사 행위
- 기물 훼손: 닫힘 버튼을 망가질 정도로 계속 세게 누르거나[7], 새 엘리베이터에 붙어 있는 포장 비닐이나 구형 엘리베이터의 회사 스티커를 뜯어버리는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 기능 작동 시험: 경고음을 촬영하기 위해 문을 계속 여닫거나, 지속적으로 센서를 시험하거나, 장시간 열림버튼을 누르는 행위를 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엘리베이터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며, 버튼과 마찬가지로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비상호출/소방운전 및 피난 스위치 무단 취급
4.2.1. 건물주, 경비와의 갈등 및 위법 행위
경비원이 존재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거주자의 허락을 받지 않은 외부인을 침입자로 간주하여 제재하기 위함이다. 엘리베이터 동호인은 거주민도 방문객도 아니며, 심지어 건물 내부를 촬영하기까지 하는 수상한 사람이므로[8] 당연히 경비의 제재 대상이다.이미 촬영을 마친 경우 관리인들이 보안 문제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삭제하라고 요구하는 상황도 많은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요구에 불응하고 도주하거나 외려 경비에게 화를 내는 이들도 있다.
4.2.1.1. 건물 보안 문제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고 공개된 장소에 들어가서 엘리베이터를 촬영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9] 그러나 대부분의 아파트와 일부 건물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막기 위해서 로비폰과 자동문 혹은 스피드게이트 등 보안 시설들이 설치되어 있어서, 내부에 있는 사람의 허락 없이는 출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경우도 해당 학교에 재학하는 학생과 교직원 그리고 학부모 외에는 출입이 불가능하다. 대학교의 경우 학교마다 다르지만 외부인의 출입이 가능한 건물이 있고, 불가능한 건물이 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곳이 사유지라면 엘리베이터 또한 사유재산이 된다. 로비폰과 자동문 등 보안시설이 설치된 곳을 촬영하려는 이들은 대부분 입주민을 몰래 따라들어가는 방법을 쓴다. 회사의 경우로 따지면, 보안문이 있는 곳에 직원을 뒤따라 들어가는 것과 같다.이렇게 사유재산인 구역에 무단 침입 및 [10] 관리원의 통제에 불응하는 것은 각각 주거침입죄와 퇴거불응죄에 해당한다.
4.2.2. 탑승객과의 갈등
촬영할 때 사람들이 많으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탑승객들이 이상한 시선으로 쳐다보거나 왜 찍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있는데, 촬영 도중 그런 질문을 받으면 짜증을 내곤 한다.탑승객이 촬영을 방해한다고는 하지만 엘리베이터의 본연의 목적은 촬영 장소가 아닌 이동수단이다. 즉, 이 경우 불청객은 동승자가 아닌 촬영인 본인이 된다.4.2.2.1. 초상권 문제
엘리베이터를 탑사할 때는 당연히 엘리베이터를 같이 타는 사람들의 얼굴이 찍힐 가능성이 있으므로 동승자들은 카메라를 들이대는 행위에 대해 불쾌해할 수밖에 없다.헌데 이에 대해 양해를 구하거나 자제하기는 커녕, 남의 얼굴이 찍히건 말건 카메라를 이리저리 돌리고는 그 영상을 편집 없이 그대로 인터넷에 게시하는 경우도 종종 목격된다.
5. 엘리베이터 탑사영상의 촬영
철도나 버스처럼 엘리베이터도 여러 촬영방법이 존재한다.5.1. 다양한 촬영 방법
아랫층에서 꼭대기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도착을 할 때마다 내려서 외부 층표시기를 보여 준다거나, 또 엘리베이터를 멈춰서 곳곳을 찍는 동호인, 승강기 고유번호를 찍어주는 동호인이 늘어났다.5.2. 촬영기기
- 스마트폰: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촬영기기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대부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이다.
-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엘베덕 문화 초기에는 스마트폰이 보급되지 않은 시절이라 대부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했다.
- 폴더폰 등 구형 피처폰: 일반적이진 않지만, 가끔씩 피처폰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화질이 좋지 않고 16:9 비율이 아닌 4:3 비율의 영상이 많다.
2020년 이후로 카메라가 예전보다 많이 발달되어 4K나 60fps 혹은 4K 60fps, HDR, ProRes 등으로 촬영하는 동호인이 늘어났다.
6. 엘리베이터 부품 수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베이터 동호인/부품 수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베이터 동호인/부품 수집#|]][[엘리베이터 동호인/부품 수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기타
해외 유튜브 채널 "Be Amazed" 는 인터넷 상의 이상한(weird) 서브컬처 Top 10 중에서 엘리베이터 동호인(elevator enthusiasts)을 10위에 선정했다.8. 관련 문서
[1] 탑승 + 답사[2] 관련 기사[3] 클립 영상[4] 한국에서도 승강기 교체현장에서 많은 폐자재들을 수집하는 동호인이 늘어나고 있다.[5] 유튜브 가입일은 2006년 8월 23일이다.[6] 화물용, 자동차용 등[7] 버튼을 필요 이상으로 세게 누르면 내구도가 빨리 닳으며, 심하면 파손될 수도 있다[8] 비단 영화 뿐 아니라, 실제 범죄에서도 범죄자가 현장을 미리 답사하는 일은 많다.[9] 예를 들어 영업소가 들어간 상가 건물이나, 쇼핑몰 등. 아파트의 경우에는 입주 기간에 자동문이 개방되어 있다. 구경하는 집들이 있어서 해당 아파트에 입주하지 않는 외부인도 자주 들어오기 때문이다.[10] 무단 전단지 부착 처럼 처벌이 강하진 않더라도 경범죄처벌법상 무단출입으로 범칙금을 물거나 쫓겨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