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13:33:40

안철수/정치 경력/국민의당(2020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안철수/정치 경력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e61e2b><tablebgcolor=#e61e2b,#e61e2b> 파일:안철수투명-_1_.svg안철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e61e2b> 일생 일생 · 정치 경력 (새정치민주연합 · 舊 국민의당 · 바른미래당 · 新 국민의당 · 국민의힘)
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가족 아버지 안영모 · 어머니 박귀남 · 배우자 김미경 · 딸 안설희
20대 대선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 도전 선거대책위원회 · 대선 공약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말바꾸기 · 정책관 · 정치 활동 · 발언 · 가족)
관련 단체 안랩 (V3) · 안사모 · 동그라미재단 · 싱크탱크 미래 · 새정치연합 · 국민캠프 · 국민의당 · 170V 캠프 · 안철수 캠프
기타 별명 · 평가 · 새정치 · 친안 · 안빠 · 홍안유 · MINIFY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안철수x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 · 안철수의 힘 마이너 갤러리 }}}}}}}}}

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_가로.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A5504><colcolor=#FFF> 역사 2020년 · 2021년 · 2022년
선거 지지 기반 · 선거
21대 총선 후보자 · 결과
20대 대선 국민의 도전 선대위 · 유세버스 사망사고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 결과
관련 단체 국민미래연구원
바른미래당 · 국민의당(2016년) · 국민의힘
기타 문서 철가방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국민의당 마이너 갤러리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역대 사무총장 · 지도부 · 20대 국회의원 · 21대 국회의원 }}}}}}}}}


1. 개요2. 국민의당 대표
2.1. 2020년
2.1.1. 2월2.1.2. 3월2.1.3. 4월2.1.4. 6월2.1.5. 7월2.1.6. 8월2.1.7. 9월2.1.8. 10월2.1.9. 11월2.1.10. 12월
2.2. 2021년
2.2.1. 1월2.2.2. 2월2.2.3. 3월2.2.4. 4월2.2.5. 5월2.2.6. 6월2.2.7. 7월2.2.8. 8월2.2.9. 9월
3. 제20대 대통령 선거
3.1. 2021년
3.1.1. 10월3.1.2. 11월3.1.3. 12월
3.2. 2022년
3.2.1. 1월3.2.2. 2월
4. 윤석열과의 단일화 및 국민의당의 끝
4.1. 2022년
4.1.1. 2월4.1.2. 3월4.1.3. 4월
5. 둘러보기


1. 개요

안철수의

[[국민의당(2020년)|
국민의당
]] 시절 행적을 서술하는 문서.

2. 국민의당 대표

2020년 2월 25일 자신이 창당한 국민의당의 대표 자리에 취임했다.
파일:2032132_443257_3813.jpg
파일:2032132_443259_3814.jpg
파일:2032132_443260_3814.jpg
파일:0000985027_002_20200301190407397.jpg
2020년 3월 1일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대유행 중인 대구광역시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을 찾아가 선별진료소에서 의심 환자를 진료하는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기사 부인인 김미경 서울대학교 교수도 같이 참가하였다. 기사 안철수는 당분간 자원봉사 형식으로 대구광역시에서 의료 활동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안철수의 개인 정치 일정은 모두 취소하였다. 링크

안철수에 대해 일부 인사들이 의사 면허를 제대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 맞냐, 의사 면허 갱신은 제대로 했느냐 하면서 의혹을 제기하였다. 기사 그러나 대한의사협회에서 안철수, 김미경 부부는 대한의사협회의사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매년 30평점 이상 이수하는 모범 의사라며, 의사 면허에 문제가 없다고 발표하였다. 기사

의료봉사를 마치고 돌아간 후에는 규정에 따라 아내와 2주간 자가격리를 실시했고 바이러스 검사 역시 음성으로 나왔다.

4월 27일 아내와 다시 무기한 의료봉사를 위해 대구로 내려갔다.

7월 9일 박원순서울시장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면서 벌어질 2021년 재보궐선거에 서울시장 야권 주자로 유력하게 꼽히고 있다. 안철수 전 대표 입장에서도 지난 지선에서 서울시장에 출마했었고 서울시장이라는 자리가 대한민국 선출직 No.2인만큼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 대신에 이번 재보궐선거를 선택할 수도 있다.

7월 23일, 내년 4월 열리는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서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설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본 적도 없고 앞으로 생각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기사 다만 친안계 최측근인 권은희 의원이 “안철수 서울시장 출마, 진지하게 생각 중“이라고 밝히며 여전히 서울시장 출마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출범 이후 주호영원내대표의 러브콜을 받고 있지만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 탈당 이후 국민의당에 합류한 바 있는데, 당시 안철수가 보여준 정치적 역량을 보고 부정적인 입장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2020년 9월 24일 한 포럼에선 "국민의힘이 국민의당과 통합을 한다고 해서 무엇을 달성할 수 있겠느냐. 별로 큰 효과가 없을 것" 이라고 선을 그었다. #

2.1. 2020년

2.1.1. 2월

2.1.2. 3월

2.1.3. 4월

2.1.4. 6월

2.1.5. 7월

2.1.6. 8월

2.1.7. 9월

2.1.8. 10월

2.1.9. 11월

2.1.10. 12월

2.2. 2021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철수/정치 경력/2021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철수/정치 경력/2021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철수/정치 경력/2021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0년 12월 20일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하였다. 범야권 단일경선을 치르며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사실상 범야권 통합플랫폼 형태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마침내 국민의힘의 재보궐선거 초압승과 부활의 특등공신이 되면서 킹메이커로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2.2.1. 1월

2.2.2. 2월


==== 3월 =====

2.2.3. 3월


2.2.4. 4월

2.2.5. 5월

2.2.6. 6월

2.2.7. 7월

2.2.8. 8월

2.2.9. 9월


3. 제20대 대통령 선거

파일:안철수 6월 보궐.jpg
2022년 대통령 선거 및 보궐선거 당시
2021년 11월 1일,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천명했다. 2021년 12월 중순까지는 지지율이 높지 않았으나 12월 말부터 지지율이 점점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14] 이로 인해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제18대 대통령 선거, 2021년 재보궐선거의 전례로 보아 주요 후보와 단일화를 하지 않겠느냐는 우려섞인 말도 나왔으나 일단은 단일화 없이 대선을 완주하겠다고 선언하였다.

다만 2022년 1월 말부터 지지율이 빠지기 시작하며 다시 10% 아래로 집계되고 있다. 그리고 대망의 2022년 3월 3일,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를 하며 4번째로(...) 사퇴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신승한 후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되었으니 결과적으로는 재기를 노릴 수 있게 됐다. 2021년 재보궐선거 이후로 국민의힘의 연속적인 선거 승리에 큰 역할을 하며[15] 유력한 중도보수 정치인으로 다시금 재기를 노리고 있다.

대선 이후 국민의힘과 공식적으로 합당 절차를 밟았으며 4월 18일에 완료되었다. 이로써는 안철수는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이후 7년여의 제3지대 정치 생활을 끝내고 완전히 보수진영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3.1. 2021년

3.1.1. 10월

3.1.2. 11월

3.1.3. 12월

3.2. 2022년

3.2.1. 1월

3.2.2. 2월

4. 윤석열과의 단일화 및 국민의당의 끝

4.1. 2022년

4.1.1. 2월

4.1.2. 3월

4.1.3. 4월

5.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복 ~ 제헌 총선
총동원위 독립촉성위 조선민주당
제헌 총선 ~ 대한국민당 창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일민
대한국민당 창당 ~ 제2대 총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국민당
제2대 총선 ~ 자유당 창당
대한국민당 공화구락부 신정동지회 원외자유당
자유당 창당 ~ 개헌안 파동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개헌안 파동 ~ 잔류파 탈당
잔류파 합동파 원외자유당
부산정치파동 ~ 족청계 숙청
장택상계 장면계 조경규계 전진한계 이승만계 족청계
족청계 숙청 ~ 사사오입 개헌
장택상계 조경규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사사오입 개헌 ~ 4대 총선
조경규계 이재학계 장경근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4대 총선 ~ 4.19 혁명
이재학계 장경근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4.19 혁명 ~ 5.16 군사정변
전진한계 헌정동지회 자유당
5.16 군사정변 ~ 민주공화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주공화당 창당 ~ 민정이양
한독당 자유당 박정희계 김종필계
민정이양 ~ 3선 개헌
한독당 자유당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3선 개헌 ~ 7대 대선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7대 대선 ~ 10월 유신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10월 유신 ~ 10.26 사건
공화 유정회 김종필계 민정회
10.26 사건 ~ 5.17 내란
정풍회 김종필계
5.17 내란 ~ 12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12대 대선 ~ 6월 민주 항쟁
<nopad> 한국국민당 <nopad> 민주정의당
박정희계 노태우계 전두환계
6월 민주 항쟁 ~ 3당 합당
<nopad> 신민주공화당 <nopad> 민주정의당
공화계 노태우계 전두환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nopad> 민주자유당
상도동계 청구동계 민정계
14대 총선 ~ 자민련 창당
<nopad> 통일국민당 <nopad> 신정당 <nopad> 새한국 <nopad> 민주자유당
정주영계 새한계 박찬종계 이종찬계 청구동계 상도동계 민정계
자민련 창당 ~ 신한국당 당명변경
<nopad> 신민당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민주자유당
김동길계 박찬종계 청구동계 상도동계 민정계
신한국당 당명변경 ~ 15대 총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신한국당
청구동계 상도동계 민정계
15대 총선 ~ 한나라당 창당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신한국당
청구동계 상도동계 이회창계 민정계
한나라당 창당 ~ 15대 대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국민 <nopad> 한나라당
청구동계 이인제계 민주계 상도동계 이회창계 민정계
15대 대선 ~ 3회 지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민국당 <nopad> 한국 <nopad> 한나라당
청구동계 조순계 김용환계 민주계 이회창계 민정계
3회 지선 ~ 16대 대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민국당 <nopad> 한나라당 <nopad> 한미연
청구동계 김윤환계 민주계 이회창계 민정계 박근혜계
16대 대선 ~ 17대 총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하나로 <nopad> 통합21 <nopad> 한나라당
청구동계 이한동계 정몽준계 민주계 이회창계 민정계 박근혜계
17대 총선 ~ 4회 지선
<nopad> 중심당 <nopad> 자민련 <nopad> 한나라당
심대평계 청구동계 남원정 민주계 친이명박 이회창계 친박근혜
4회 지선 ~ 17대 대선
<nopad> 국민중심당 <nopad> 한나라당
심대평계 청구동계 친이명박 이회창계 친박근혜
17대 대선 ~ 18대 총선
<nopad> 중심당 <nopad> 선진당 <nopad> 한나라당 <nopad> 한국당
심대평계 이회창계 친이명박 친박근혜
18대 총선 ~ 5회 지선
<nopad> 자유선진당 <nopad> 한나라당 <nopad> 친박연
심대평계 이회창계 친이명박 친박근혜
5회 지선 ~ 새누리당 당명변경
<nopad> 국민련 <nopad> 선진당 <nopad> 한나라당 <nopad> 미래연
심대평계 이회창계 친이명박 친박근혜
새누리당 당명변경 ~ 19대 총선
<nopad> 생각 <nopad> 선진당 <nopad> 새누리당
탈당파 선진계 친이 친박
19대 총선 ~ 새누리-선진 흡수
<nopad> 선진통일당 <nopad> 새누리당
선진계 친김 비박 친박
새누리-선진 흡수 ~ 18대 대선
<nopad> 새누리당
친김 비박 선진계 친박
18대 대선 ~ 새누리당 분당
<nopad> 새누리당
친김 비박 친무 친박
새누리당 분당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nopad> 늘푸른 <nopad> 바른정당 <nopad> 새누리당
구친이 친유 친무 비박 친홍 친박 진박 신박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nopad> 늘푸른 <nopad> 바른정당 <nopad> 새누리당
구친이 친유 친무 비박 소장파 친홍 친박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 바른미래당 창당
<nopad> 늘푸른 <nopad> 바른정당 <nopad> 자유한국당
구친이 친유 비박 친무 소장파 친홍 친박
바른미래당 창당 ~ 바른미래당 분당
<nopad> 바른미래당 <nopad> 자유한국당
호남계 손학규계 친안 친유 친무 친홍 친황 친박
바른미래당 분당 ~ 미래통합당 창당
<nopad> 바른미래당 <nopad> 새보당 <nopad> 전진당 <nopad> 자유한국당
손학규계 친안 친유 이언주계 친무 친홍 친황 친박
미래통합당 창당 ~ 국민의힘 당명변경
<nopad> 국민 <nopad> 미래통합당 · 미래한국당
친안 친홍 친무 새보계 민주계 친황 친박
국민의힘 당명변경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nopad> 국민 <nopad> 국민의힘
친안 친홍 친최 친준 친유 친원 친황 친윤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8회 지선
<nopad> 국민의힘
친홍 친최 친준 친유 친오 친안 친윤
8회 지선 ~ 22대 총선
<nopad> 개혁 <nopad> 국민의힘
친준 비윤 친오 친홍 친한 윤핵관 친윤
22대 총선 ~ 12.3 비상계엄
<nopad> 개혁 <nopad> 국민의힘 · 국민의미래
친준 비윤 친한 친홍 윤핵관 친윤
12.3 비상계엄 ~ 21대 대선
<nopad> 개혁 <nopad> 국민의힘
친준 찬탄파 친한 친홍 친김 친덕 반탄파
21대 대선 ~ 현재
<nopad> 개혁신당 <nopad> 국민의힘
친준 찬탄파 친한 친김 친길 반탄파
현재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 · 정의 · 진보 · 기본소득 · 사민 · 혁신 · 민주 · 새민주 · 개혁 · 국민의힘)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1] 병원 일중에는 확진자 환자들과도 접촉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그런듯.[2] 2017년 2월 안철수 대표의 대선 후보 캠프에 참여하면서 회계를 맡았고 안 대표의 대선 캠프 참여를 위해 임원직에서 사임했다가 1년만인 2018년 3월에 안랩에 복귀하였으며, 안랩 내에서의 직책은 상무인 것으로 알려졌다.[3] 근무 형태는 자택근무로 주로 장애인 관련 이슈 청취와 모니터링(시각장애인 전용 랩탑 사용)을 담당해왔다고 한다.[4] 당초 2년으로 근무가 계약되어 있었다.[5] 원래 이곳은 창신숭인뉴타운 사업지였는데, 박원순 서울시장이 뉴타운을 해제시키고 도시재생을 추진했다. 당시 SH 사장이었던 변창흠 현 국토교통부장관이 창신동의 도시재생을 지휘했으나, 주민들은 효과를 체감하지 못했다. 도시재생의 실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창신숭인뉴타운 문서와 변창흠/비판 및 논란 문서 참조.[6] 국민의힘 당헌당규상으로도 불가하게 돼 있고 선거법상으로도 어려움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당규에서는 당 경선에 참여하려면 국민의힘 책임 당원이어야 하고, 입당을 통해 당적을 보유해야 한다고 규정했다.[7] 검찰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들의 불법 투기를 문재인 정부더불어민주당이 적극적으로 근절시켜야 한다는 것이 청원의 요지다.[8] 안철수의 2016년 국민의당도 호남과 수도권에서 선전했을 뿐 부산에서는 이렇다 할 활약을 하지 못했다.[9]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관할[10] 이중당적이면 출마를 할 수 없다[11] 최연숙, 사공정규 후보자는 코로나-19 사태 극복 전사란 이름으로 발탁되었다. #[12] 같은 의석일 경우 직전선거 참여여부와 득표율을 따지나 우리공화당은 직전선거에 참여하지 않았다[13] 다만 안철수 대표는 "매우 간절히 기다리던 번호"라며 만족하는 반응을 보였다. 애초 애매모한 번호라면 차라리 활용하기 쉬운 10번이 나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보인다.[14] 심지어 한국갤럽이 직접 2022년 1월 2주에 조사한 4자 구도 여론조사에서는 지지율이 17%를 기록했다. 해당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37%를,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31%를,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3%를 기록했다. 해당 여론조사에 대한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15] 단, 단일화 자체가 당과의 협의 없이 독단적으로 진행한 일이고 안철수 지지자 전체에게 통수를 치는 행위라서 안철수 지지층 중 안철수의 단일화에 분노하여 안철수의 적대 세력으로 돌아서 기권을 하거나, 이재명 후보를 찍은 유권자들도 일부 있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안철수 지지층 약 80%가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것이 확인되어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었고, 인수위원장이 되었으며 여권의 지지를 얻게 되었고 21대 대선 여권 가장 유력한 후보로 점쳐지니 안철수 개인 입장에서는 성공한 선거가 맞다. 실망하여 돌아선 유권자 중에서도 일부는 단일화의 결과에 납득하여 추후 안철수에게 표를 다시 줄 수 있다. 만약 단일화를 하지 않았다면, 이재명이 승리했을 확률이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