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 → | 신민주공화당 | →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신설 합당)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개별 합류) | ||||
(개별 합류) | ||||
(개별 합류) | ||||
[[제3세대당| 제3세대당 ]](개별 합류) | → |
<nopad> | |
신민주공화당 | |
<colcolor=#59955E> 영문 명칭 | <colbgcolor=#fff>New Democratic Republican Party |
한문 명칭 | 新民主共和黨 |
약칭 | 공화당 |
등록번호 | 제46호 |
등록연월일 | 1987년 11월 11일 (신민주공화당) |
말소연월일 | 1990년 2월 15일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 신설) |
선행 조직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 |
중앙당사 | |
서울특별시 마포구 큰우물로 75 (도화동) | |
총재 | 김종필 / 6선 (6-10·13대) |
원내총무 | 김용채 / 4선 (7·9·12·13대) |
사무총장 | 최각규 / 초선 (13대) |
정책위의장 | 김용환 / 초선 (13대) |
국회의원 | 34석 / 297석 |
당 색 | 녹색 (#59955E) |
이념 | 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반공주의 자유민주주의 충청 지역주의 |
스펙트럼 | 우익 빅 텐트 |
당원 수 | 639,888명[1] |
1990년 2월 15일 기준 |
1. 개요
|
|
전두환 정부에 의해 발이 묶여있던 구 민주공화당 세력이 6월 항쟁과 6.29 선언 이후 만든 정당. 충청권 보수정당의 시초로 분류된다.
민주공화당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1980년 11월 공포된 '정치풍토쇄신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묶여 정치 활동이 규제되다가 해금된 유신정권의 정치인과 관료들이 중심이 되어 민족중흥동지회를 결성하였고 이후 1987년 회칙을 개정, 당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약칭은 역시 '공화당'.
2. 역사
김종필이 정계 복귀를 선언하고 신당 창당을 준비하자, 박정희 정부 시절 민주공화당과 유신정우회 출신들이 조직했던 한국국민당 소속 국회의원 8명과 지역조직 대부분이 합류하여 세를 불렸다. 1987년 10월 30일에 창당대회 겸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를 개최하여, 김종필을 당총재 및 대통령후보로 선출하였다. 대통령 후보로 나선 김종필은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8.1%의 득표율을 획득하여 4위를 기록하며 예상대로 부진했다. 구 한국국민당 지지층의 상당수가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의 여파로 노태우로 쏠리는 바람에 기대했던 만큼의 득표율을 올리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김종필의 대선 출마의 진정한 목적은 안정적인 지지세력을 규합하여 성공적으로 정치에 복귀하는 것이었고 이런 측면에서는 성공한다.[2] 대전·충남 지역에서만큼은 압도적 1위를 기록하여 충청권 지역정당의 시조가 되었다.1988년 4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주공화당은 충남 18개 지역구 중 13석을 휩쓸었고, 서울 3석, 경기 6석, 충북 2석, 강원 1석, 경북 2석을 얻고 전국구에서는 8석을 얻었다. 총 35석을 획득하였고 민정당의 전횡과 통민당-평민당 간의 여전한 분열에 실망한 충청권 유권자들을 흡수하면서 득표율도 15%를 기록, 크게 선전했다는 평을 받았다.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한 신민주공화당은 제4당으로서 여소야대 국회의 캐스팅보트를 쥐게 되었다. 원내 재적 299석 중 민주정의당 125석, 평화민주당 70석, 통일민주당 59석을 가져간 상황에서 공화당은 캐스팅보트를 쥐게 되었다.
진행 순서 | 1990년: 민주자유당 창당에 참여한 정당과 과정 | |||
1 | 민주정의당(1981년) | 통일민주당(1987년) | 신민주공화당(1987년) | |
2 | 민주자유당(1990년) |
이후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과 함께 야당으로써 민주정의당과 노태우 정부를 견제했다. 그러나 평민당, 민주당이 민주당계 정당인 것과는 달리, 공화당은 박정희 정부 출신이 대부분인 보수 정당이라서 그런지,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었기는 했으나 때때로 여당과 공조하거나 어중간한 입장을 취했고, 여러모로 박쥐같다는 평을 많이 받았다. 또한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삼김 분열로 인해 민정당의 노태우가 이기기는 했으나, 어쨌든 평민당과 민주당의 경우 김대중과 김영삼이라는 강력한 차기 대권주자가 건재했던 반면, 민정당은 뚜렷한 차기 대권주자를 두지 못하였고, 공화당의 김종필의 경우 유력 차기 대권주자로 보기에는 지지율이 낮아 잠룡 정도의 평가를 받았다.
신민주공화당은 위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지지층 확장에 어려움을 겪었고, 1989년 재보궐선거에서 패배하였다. 그러던 와중에 민주정의당이 의원내각제 개헌을 무기로 김종필과 산하 의원들을 끌어들였고, 합당을 위한 물밑작업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민주정의당과 통일민주당 모두에게 부정적이던 공화당원들의 반발이 있었다. 그렇지만 결국 합당을 밀여붙였고, 1990년 1월 22일에 민정당, 민주당과 3당 합당을 선언하였다. 2월 5일에 임시전당대회로 당의 해체를 결의하였으며, 2월 15일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민주자유당이 등록됨으로써 공화당의 등록은 말소되었다.
중앙당사는 창당준비위원회 시절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 1가 24 고려빌딩 313호, 정식 등록시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 1가 58-18이었고, 1988년 12월에 서울특별시 마포구 큰우물로 75 (도화동)로 옮겼다.
3. 정당 이미지
정당의 상징색은 김종필이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색깔로 알려진 초록색이었다. 당기 바탕도 초록색이었으며 녹색 수레바퀴 형태의 무늬가 있다.신민주공화당은 1990년에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과의 3당 합당으로 사라졌으나, 1995년 김종필이 민주자유당을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면서 다시 초록색 이미지의 정당으로 부활하였다.
4. 강령 및 정책
5. 역대 당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59955e> 초대 김종필 |
◀ 한국국민당 총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김용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59955E,#ff193e> 초대 장영순 | 제2대 김용채 | 제3대 최각규 | |
}}}}}}}}}}}} |
5.1. 창당발기인대회
1987년 10월 5일
-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 김종필
- 창당준비위원회 부위원장: 이영근, 신윤창, 설송웅, 주수도, 김영자
- 상임위원: 길전식, 오치성, 이병희, 구자춘, 최재구, 김효영, 신철균
- 사무총장: 장영순
- 회계책임자: 장영순
- 사무처기획차장: 김용호
- 조직차장: 김한선
- 여성차장: 김옥자
- 기획분과위원장: 김용채
- 조직분과위원장: 박숙현
- 선전분과위원장: 강경식
- 정책분과위원장: 최각규
- 운영분과위원장: 김재식
- 청년분과위원장: 이승홍
- 여성분과위원장: 김련신
5.1.1. 창당대회
1987년 10월 30일
- 당 총재겸 대통령 후보: 김종필(추대)
- 부총재: 이병희, 장영순, 최재구, 오치성, 구자춘, 최정기, 김영자
- 사무총장: 김용채
- 정책위원회 의장: 김용환
- 대변인: 조용직
- 전당대회 의장: 김효영
- 중앙훈련원장: 강경식
- 당무위원(임명직):길전식, 이영근, 양찬우, 김유탁, 신윤창, 이희일, 최각규, 이성수, 이인근, 오용운, 설송웅, 이승홍
- 중앙당기위원장: 조일제
- 인권옹호위원장: 신오철
- 국토통일위원장: 강즉모
- 재해대책위원장: 유기수
- 총재특별보좌역
- 당 고문: 이효상, 백두진, 전예용, 김용태, 이석제, 태완선, 배의환
5.2.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 11월 2일
1987년 11월 10일
5.3. 정당등록
1987년 11월 11일
- 대표자(총재): 김종필
- 회계책임자: 김용채
- 부총재: 이병희, 장영순(사퇴), 최재구, 최정기(사퇴), 구자춘, 김영자, 오치성
- 전당대회 의장: 김효영
- 사무총장: 김용채
- 정책위원회 의장: 김용환
- 중앙위원회 의장: 신철균
- 대변인: 조용직
- 시·도별 지구당 대표자
- [ 펼치기 · 접기 ]
- ||지구당명|| 관할구역 || 대표자 ||
서울 제4지구당 동대문구 이인근 서울 제6지구당 도봉구 신오철 서울 제8지구당 강서구 고병현 서울 제9지구당 구로구 유기수 서울 제11지구당 동작구 윤용구 부산 제3지구당 부산진구 강경식 대구 제1지구당 중구·서구 백승홍 경기 제1지구당 수원시·화성군 이병희 강원 제1지구당 춘천시·춘성군·철원군·화천군 신철균 강원 제4지구당 강릉시·양양군·명주군 최각규 강원 제6지구당 영월군·평창군·정선군 김규남[3] 충북 제1지구당 청주시·청원군 오용운 충북 제2지구당 충주시·제천시·증원군·제원군·단양군 이종근 충남 제3지구당 천안시·아산군·천원군 정일영 전북 제3지구당 이리시·익산군 이승홍 전남 제11지구당 함평군·영광군·장성군 김재식 경북 제1지구당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이성수 경북 제7지구당 달성군·고령군·성주군 구자춘 경북 제8지구당 청송군·영덕군·울진군 오준석 경북 제10지구당 문경군·예천군 고목훈 경남 제3지구당 진주시·삼천포시·진양군·사천군 조병규 경남 제6지구당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조일제 경남 제8지구당 김해시·양산군·김해군 신원식
5.4. 당직개편
1989년 5월 10일
- 부총재: 이병희, 최재구, 구자춘, 김영자, 이종근
- 원내총무: 김용채
- 사무총장: 최각규
- 정책위원회 의장: 김용환(유임)
- 중앙위원회 의장: 신철균
- 전당대회 의장: 김효영(유임)
- 대변인: 김문원
- 중앙훈련원장: 오용운
- 종합기획실장: 이희일
- 총재비서실장: 김동근
- 당기위원장: 박병선
- 인권옹호위원장: 신오철
- 국토통일위원장: 이재연
- 재해대책위원장: 김종식
- 재정위원장: 권오석
5.5. 합당수임기구 위원
김종필, 이병희, 구자춘, 이종근, 최재구, 김영자, 김효영, 신철균, 김용환, 최각규, 김용채, 박형규, 조의일, 오용운, 오치성, 이대협, 이인근, 정시봉, 연제원, 박병선, 김문원, 신진수, 김인권, 옥만호, 이인구, 김두윤, 이승홍, 조용직, 이성수, 조일제6. 역대 선거 결과
6.1. 대통령 선거
<rowcolor=#fff> 연도 | 선거명 | 후보자 | 득표수 (득표율) | 결과 |
1987년 | 13대 | 김종필 | 1,823,067 (8.06%) | 낙선 (4위) |
6.2. 국회의원 선거
<rowcolor=#fff>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전국구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1988년 | 13대 | 27/224 (12.05%) | 8/75 (15.6%) | 35/299 (11.71%) | 원내4당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구자춘 | 김두윤 | 김문원 | 김병용 | 김용채 |
김용환 | 김인곤 | 김제태 | 김종식 | 김종필 | |
김현 | 김홍만 | 박병선 | 박충순 | 신오철 | |
신진수 | 신철균 | 연제원 | 오용운 | 옥만호 | |
유기수 | 윤성한 | 윤재기 | 이대엽 | 이병희 | |
이인구 | 이재연 | 이종근 | 이택석 | 이희일 | |
정시봉 | 정일영 | 조부영 | 최각규 | 최무룡 |
7. 당가
1987년부터 1990년 3당 합당 이전까지 쓰인 당가로,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유세에서 로고송으로 사용되었다.
그 누가 해냈던가 그 누가 해냈던가 어려운 보릿고개 사단을 몰아내고 세계로 피어오른 민족의 도약 눈부신 번영 그 누가 해냈던가 그 누가 해냈던가 라라라라라라 큰 대접 받드는 우렁찬 노래하리 새로운 깃발이여 |
8. 기타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새한국당 | ||||
민주당에 합당 | |||||||
신민당 | |||||||
민주당-개혁신당 합당 | 신민당 | 자유민주연합 | |||||
통합민주당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무정파전국연합 | 무당파국민연합 | ||||||
민주당 | 정당등록취소 | 정당해산 | |||||
신한국당과 합당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국민신당 | |||||||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 |||||||
자유민주연합 | |||||||
한나라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민주국민당 | 희망의한국신당 | 자유민주연합 | |||||
정당해산 | |||||||
한국미래연합 | |||||||
정당해산 | |||||||
국민통합21 | 하나로국민연합 | 자유민주연합 | |||||
▼ 국민의 정부 이후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 제5공화국 이전 | ||||||
민주정의당 | 한국국민당 | ||||||
신민주공화당 | 정당등록취소 | 통일민주당* | |||||
민주자유당 | 민주당에서 분당 | ||||||
민주자유당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
민주자유당 | 새한국당 | 신정치개혁당 | |||||
신민당 | |||||||
민주당에 합당 | 신민당 | ||||||
민주자유당 | 자유민주연합 | ||||||
자유민주연합 | |||||||
민주당※ | 신한국당 | 자유민주연합 | |||||
신한국당 | 국민신당 | ||||||
한나라당 | |||||||
* 3당 합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 한나라당 창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 |||||||
▼ 문민정부 이후 | |||||||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민주당계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1b5b40><tablebgcolor=#1b5b40> | 김종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1b5b40,#ddd> 일생 | <colbgcolor=#fff,#1f2023>일생 · 평가 | |
가족 | 아내 박영옥 · 형 김종락 · 형 김종익 | ||
역대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
사건사고 | 사건사고 및 논란 · 5.16 군사정변 · 4대 의혹 사건 | ||
기타 | 중앙정보부 · 3당 합당 · DJP연합 · 삼김시대 · 신민주공화당 · 자유민주연합 · 청구동계 · 몽니 | }}}}}}}}} |
''' 1985.5.13. ~ 1988.5.29.'''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48석 | ||||||
야당 | ||||||
103석 | ||||||
21석 | 3석 | |||||
무소속 1석 | ||||||
재적 276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60석 | ||||||
야당 | ||||||
50석 | ||||||
22석 | 9석 | |||||
무소속 29석 | ||||||
재적 270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1988.5.30. ~ 1992.5.29.'''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25석 | ||||||
야당 | ||||||
71석 | ||||||
60석 | 35석 | |||||
무소속 8석 | ||||||
재적 299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후반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218석 | ||||||
야당 | ||||||
71석 | 8석 | |||||
무소속 2석 | ||||||
재적 299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94석 | ||||||
야당 | ||||||
7석 | 5석 | |||||
무소속 15석 | ||||||
재적 285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