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2:54:06

민주당(1990년)

(창당) 민주당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신설 합당)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개별 합류)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개별 합류)

신정치개혁당
(개별 합류)[1]
파일:민주당(1990년) 로고.svg
민주당
공식명칭<colbgcolor=#FFF,#1F2023>민주당 (民主黨 / Democratic Party)
창당일1990년 6월 15일 (통일민주당에서 분당)
해산일1991년 9월 16일 (민주당으로 신설합당)
총재이기택 / 6선 (7-10·12·13대)
원내총무김정길 / 재선 (12·13대)
사무총장이철 / 재선 (12·13대)
정책위의장김광일 / 초선 (13대)
선행조직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당 합당에 반대해서 분당)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7 (여의도동 44-73, 충무빌딩)
당 색
붉은색 (#DA2C43)
[2]

1. 개요2. 역사3. 역대 당직자
3.1. 총재3.2. 원내총무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민주당_출범.jpg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으로, 1년도 안 되는 독자 정당 시기와 활동 당시 약한 당세 등으로 인해 꼬마민주당으로 불렸다.

2. 역사

이기택, 노무현, 김정길, 김광일, 장석화 의원 등 민주자유당으로의 3당 합당을 반대한 통일민주당 정치인들이 탈당하여 1990년 6월 15일 창당되었다.

이철, 박찬종무소속 의원들[3]이 합류하고 1990년 4월 재보궐선거[4] 진천군-음성군에서 꼬마민주당의 내천으로 당선된 허탁 의원까지 합류하면서 국회 의석 수는 8석이었다.

통일민주당의 직계를 자처하며 민주당으로 불러달라고 강조했다. 1990년 여론조사를 보면 개헌선을 차지한 민주자유당이나 제1야당인 평화민주당과 지지율이 비슷한 수준이었고, 반년 후인 1991년 지방선거에서 14.3%를 득표해, 양당의 세가 강했던 호남, 대구직할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광역의원 21명을 당선시키며 나름대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5] 이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통일민주당 지지도(23.8%)의 절반 이상이었다.[6]

당시 유명 야구선수 출신인 최동원이 해당 선거에서 이 당의 당적으로[7] 부산직할시의원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훗날 보수정당으로 이적하는 김을동도 서울특별시의원으로 출마해서 당선돼 정치인 생활을 시작했다. 또 민주공화당민주정의당에서 당직 생활을 해왔던 김원웅도 3당 합당 후 민자당을 탈당하여 여기에 합류했다. 공화당과 민정당에서만 쭉 당직 생활을 해왔던 김원웅이 민자당을 탈당한 것은 자신의 지역구였던 대전 동구 을에서 전현직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송천영윤성한이 3당 합당으로 동시에 민자당에 입당하게 되면서 완전히 낙동강 오리알이 되었기 때문이다. 3당 합당에 반대한다는 명분으로 창당한 꼬마 민주당이 김원웅을 받아들인 것에서 의외라는 시각이 존재하는데, 이는 김원웅이 당시에는 국회의원이 아닌 지역위원장[8]이었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그러나 민주당이 특정 지역의 득표율에서 선전했다고 해도, 수도권대전 등에서 신민당과 민주당간의 단일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표 분산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선전을 기대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패배를 면치못했고, PK에서도 선전하기는 했지만 민자당의 조직력을 뛰어넘지 못했다. 결국 민자당이 11개 시도의회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야권분열에 따른 한계를 여실히 절감해야 했다. 결국 DJ신민주연합당과 합당, 민주당(1991년)으로 등장했다.

민주당계 정당을 대략적으로 DJ의 동교동계(신민주연합당계)와 꼬마민주계의 두 계파로 분류하기도 하며, 이 민주당을 열린우리당-친노-친문으로 이어지는 더불어민주당 주류계파의 역사적 뿌리로 보는 일도 있다. 물론 30년이 넘는 동안 이합집산을 거듭했기에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분류는 아니지만[9], 노무현이라는 중심인물과 PK라는 공통된 지역적 기반으로 인해 기원으로 여겨지는 일이 많다.

3. 역대 당직자

3.1. 총재

파일:민주당 1990년 심볼.svg 파일:민주당 1990년 글자.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da2c43> 초대
이기택
직무대행
김현규
제2대
이기택
}}}}}}}}}}}}

3.2. 원내총무

파일:민주당 1990년 심볼.svg 파일:민주당 1990년 글자.svg 원내총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da2c43> 초대
김정길
}}}}}}}}}}}}

4. 관련 문서

민주당계 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제5공화국 이전
민권당(관제) 민주한국당(관제)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관제)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신한민주당 신민주당
한겨레민주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정당등록취소 정당 해산
통일민주당
민주당 3당 합당
정당 해산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신정치파일:1px 투명.svg개혁당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신민당으로 합당
개혁신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으로 합당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보수정당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3대 국회
원내 구성
''' 1988.5.30. ~ 1992.5.2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25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파일:통일민주당 심볼(색반전).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석
파일:신민주공화당 심볼.svg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5석
무소속
8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후반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18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파일:민주당 1990년 흰색 로고.svg
8석
무소속
2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4석
야당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64석
파일:통일국민당 심볼.svg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7석
파일:신정치개혁당 축약 로고 백색.svg
5석
무소속
15석
재적
285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1] 박찬종계[2] 다만 1991년 지방의회 선거의 경우 푸른색으로 통일된 색을 사용했다. 신민주연합당의 초록색과 대비되는 색상.[3]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의 통일민주당과 김대중평화민주당이 분열될 당시 야권의 통합을 주장하며 무소속을 택한 이들이었다. 흔히 꼬마민주당 의원 8명을 가리킬 때 허탁 의원 대신 홍사덕 의원을 끼워 넣는 경우가 있는데, 홍사덕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선거구에서 낙선해 현역 의원이 아니었다. 홍사덕, 박찬종리즈 시절.[4] 이 재보궐선거는 대구 서구 갑과 진천-음성에서 치러졌는데 대구 서 갑에서 민자당 문희갑이 당선되었지만 겨우 과반을 넘기는 득표를 거두고 꼬마민주당 창당에 합류한 백승홍이 40% 넘게 득표하면서 3당 합당의 시너지 효과조차 못 누렸고, 진천-음성은 농촌이라 기존 민정당에 우호적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지역임에도 허탁 후보가 당선되는데 성공했다.[5] 이 때 당선된 광역의원 중에 훗날 한나라당 창당에 합류해 장장 3선 국회의원을 지낸 권오을이 있다.[6] 무소속이 22.4%를 득표했고, 김대중의 신민주연합당이 불과 21.9%(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19.3%)를 득표한 것을 감안하면 이는 결코 적은 득표가 아니다. 여당인 민자당은 40.6%로 34.6%에서 불과 6% 증가했다. (이는 전체 정당 득표의 52.3%에 달한다.)[7] 이 당시 민주당 의원이던 김정길의 증언에 의하면 부산에서는 인지도 측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최동원이었기에 정치 입문을 고려하자 부산지역 내 지지 기반이 탄탄했던 민주자유당이 당연하게도 영입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최동원 스스로 3당 합당에 대해 비판적 의견을 내비치면서 민자당 입당을 거부했다고 한다.[8] 정확히는 13대 총선에서 민정당 전국구로 출마했으나 후순위 순번(전체 62명 중 58번)인 탓에 당선되지 못했다. (당시 민정당은 38번까지만 당선.)[9] 당장 이 당의 직계 후신은 국민의힘이다. 실제로 한나라당에 합류한 꼬마민주계 정치인들도 꽤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