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0:47:23

민주한국당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제1야당
신민당
(1967.2.~1980.10.27.)
민주한국당[1]
(1981.1.1.~1985.5.12.)
신한민주당
(1985.5.13.~1987.4.30.)
(창당) 민주한국당 (해산)


[[신민당(1967년)|
신민당
]]
(개별 합류)
(개별 합류)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개별 합류)

[[제3세대당|
제3세대당
]]
(개별 합류)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한국당
<colcolor=#ED2939> 영문 명칭 <colbgcolor=#fff,#010101>Democratic Korea Party
한문 명칭 民主韓國黨
약칭 민한당 (民韓黨)
등록번호 제25호
등록일 1981년 1월 21일
해산일 1988년 4월 29일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해산)
선행 조직

[[신민당(1967년)|
신민당
]]
정당 성격 구색정당 (관제야당)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7 (여의도동) 기계회관
해산 전 총재 유치송
국회의원
2석 / 270석 (0.74%) (해산 직전)
당 색
빨간색 (#ED2939)
당원 수 390,847명
(1988년 4월 29일 기준)[2]
당기 파일:민주한국당 당기.svg
1. 개요2. 역사3. 역대 당직자4. 총재5. 원내총무6. 역대 선거 결과
6.1. 대통령 선거6.2. 국회의원 선거
7. 기타8. 둘러보기

1. 개요

1981년 창당하여 1988년까지 7년 3개월 동안 존재한 관제야당. 약칭은 민한당이다. 신군부에 의해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은 신민당 출신 정치인들이 참여하였으며 유치송총재를 맡았으며 신상우가 사무총장을 맡았다.

2. 역사

1980년 11월 정치활동금지조치가 해제된 뒤 유치송신상우를 중심으로 신민당 출신 정치인들이 주축이 되어 과거 정치에 참여하지 않았던 신인들을 많이 포섭하여 1981년 1월 창당되었다. 창당대회에서 채택한 강령과 기본정책에 나타난 당의 이념은 의회민주주의에 입각한 평화적 정권교체, 기업의 자율과 공정한 분배, 언론자유창달, 평화적 민주통일 등이다.

제5공화국 시절에는 여당인 민주정의당2중대라는 조롱을 당했으며 실제로도 국군보안사령부국가안전기획부가 창당자금을 제공하고 공천자 명단, 당직 임명까지 관여한 관제야당이다.[3]
파일:민주한국당 창당식.png
▲ 민주한국당 창당식 모습

유치송이 바지 총재이고 신상우 사무총장이 실세로 알려졌으나, 그 역시 안기부의 꼭두각시이자 관제야당 인원 채우기를 위한 허수아비였다. 이러다 보니 민주한심당이라는 멸칭도 존재했다. 하지만 전두환 정부의 탄압으로 양김이 정계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렇게라도 야당을 지키겠다는 심정으로 뛰어든 인물들도 있었다. 민주정의당에 가담한 구 신민당 의원들에 비하면 이들의 처지는 변명의 여지가 있으나, 결국 실질적 이미지는 힘없는 어용 야당내지 군사정권의 부역자 격이었다.

창당대회에서 유치송을 총재 및 대통령후보로 선출하였고, 신상우가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민주한국당은 1981년 2월 제12대 대통령선거에 유치송을 후보자로 내세워 참여하였으나, 7.7%를 얻는데 그쳤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전체 유효투표의 21.6%를 획득하여 81석을 얻어 제1야당이 되었지만, 제11대 국회 개원 이후 한편으로는 집권 세력에 협조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민주화를 위하여 노력하는 타협노선에 따라 활동하여 대중들로부터 구색정당이라는 평가를 듣고 1984년 4월과 11월에 정치활동이 금지되었던 많은 수의 야당계 구정치인들의 정치활동이 허용되자,1985년 신한민주당이 창당되고 치러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지역구 26명과 전국구 9명으로 35명이 당선되는 데 그치며 제2야당으로 전락하였다. 특히 서울특별시 같은 대도시 지역에서 3위로 낙선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 타격이 컸다. 이후 소속 의원들의 탈당[4][5]이 뒤를 이어 신한민주당이 148석의 민정당과 맞서는 103석의 거대 야당이 되는 반면 민한당은 3석[6]의 군소 야당으로 전락했다. 그리하여 그 해 3월 유치송은 민주한국당 총재직을 사퇴하고 조윤형[7]이 잠시 총재가 되어 신민당과 합당을 추진하였으나 선명야당을 표방한 신민당이 2중대 소리 듣던 민한당을 받아줄 리가 만무했다. 결국 조윤형을 비롯한 일부 인사들은 탈당하여 신민당에 입당했고, 그 해 9월 유치송이 다시 총재가 되었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치러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총재 유치송을 비롯해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여 정당등록이 취소되었다.[8] 이후 남은 인사들은 통일민주당에 합류하였다.

중앙당사는 창당 초기 서울특별시 종로구 공평동 5-1 공평빌딩[9]에 터를 잡다가, 1981년 5월 1일부터 영등포구 여의도동 13-31 기계회관으로 옮겼다.

3. 역대 당직자

4. 총재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ED2939> 제1·2대
유치송
제3대
조윤형
권한대행
김준섭
제4대
유치송
}}}}}}}}}}}}

5. 원내총무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총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ED2939> 초대
고재청
제2대
임종기
}}}}}}}}}}}}

6. 역대 선거 결과

6.1. 대통령 선거

연도 선거명 후보 득표율 득표 / 전체표 결과
1981년 12대 유치송 7.7% 404표 / 5270표[10] 낙선(2위)

6.2. 국회의원 선거

연도 선거명 지역구 (비율) 전국구 (득표율) 총 의석 (비율)
1981 11대 57 / 184 (31.0%) 24 / 92 (21.6%) 81 / 276 (29.3%)
1985 12대 26 / 184 (14.1%) 9 / 92 (19.7%) 35 / 276 (12.7%)
1988 13대 0 / 224 (0%) 0 / 75 (0.2%) 0 / 299 (0%)

7. 기타

8. 둘러보기

민주당계 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제5공화국 이전
민권당(관제) 민주한국당(관제)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관제)
등록취소 통일민주당 신한민주당
한겨레민주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등록취소
통일민주당
민주당 3당 합당
등록취소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신정치개혁당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신민당으로 합당
개혁신당
통합민주당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한나라당으로 합당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보수정당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복 ~ 한국민주당 창당
고려민주당 조선민족당 한국국민당
한국민주당 창당 ~ 4당 코뮤니케
민족민주파 한국국민파
4당 코뮤니케 ~ 민주국민당 창당
흥사단 송진우계 김성수계 장덕수계
민주국민당 창당 ~ 민주당 창당
탈당파 흥사단 국민당계 대청계 한민당계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구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 노장파 합작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 중도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5.16 군사정변 ~ 5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5대 대선 ~ 민중당 창당
민주당 국민의당 민정당 자민당
민중당 창당 ~ 한일기본조약 비준
박순천계 유진산계 윤보선계 김준연계
한일기본조약 비준 ~ 신민당 창당
박순천계 신파계 유진산계 김준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71년 전당대회
신파계[1] 이재형계 소장파 유진오계 유진산계 신한계
71년 전당대회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2] 범진산계[3] 유진산계 국민당
2차 진산 파동 ~ 76년 전당대회
신파계 구파계 이철승계 유진산계 민주통일당
76년 전당대회 ~ 5.17 내란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이철승계 신도환계
5.17 내란 ~ 12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12대 대선 ~ 12대 총선
<nopad> 민권당 <nopad> 민주한국당
김의택계 유치송계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nopad> 신한민주당 <nopad> 민주한국당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철승계 유치송계
이민우 구상 ~ 평화민주당 창당
<nopad> 통일민주당 <nopad> 신한민주당 <nopad> 민한당
동교동계 이기택계 상도동계 이철승계 유치송계
평화민주당 창당 ~ 13대 총선
<nopad> 평화민주당 <nopad> 통일민주당 <nopad> 신한민주당 <nopad> 민한당
동교동계 이기택계 상도동계 이철승계 유치송계
13대 총선 ~ 3당 합당
<nopad> 평화민주당 <nopad> 한겨레 <nopad> 통일민주당
동교동계 재야 이기택계 상도동계
3당 합당 ~ 1991 지선
<nopad> 신민주연합당 <nopad> 민주당
동교동계 재야 이기택계 박찬종계
1991 지선 ~ 14대 총선
<nopad> 민주당 <nopad> 신정당
동교동계 이기택계 박찬종계
14대 총선 ~ 1회 지선
<nopad> 민주당
동교동계 이기택계
1회 지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nopad> 민주당
동교동계 이종찬계 이기택계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총선
<nopad> 새정치국민회의 <nopad> 통합민주당
동교동계 신당계 잔류파
15대 총선 ~ 신한국당-민주당 합당
<nopad> 새정치국민회의 <nopad> 통합민주당
동교동계 통추 잔류파
신한국당-민주당 합당 ~ 제16대 총선
<nopad> 새정치국민회의
동교동계 민주계 이인제계
제16대 총선 ~ 16대 대선
<nopad> 새천년민주당
친노 동교동계 후단협 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nopad> 개혁 <nopad> 새천년민주당
친노 동교동 신파 동교동 구파 후단협 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nopad> 열린우리당 <nopad> 새천년민주당
친노 천신정 민평련 독수리 민주계
17대 총선 ~ 4회 지선
<nopad> 열린우리당 <nopad> 민주당
친노 천신정 김한길계 민평련 비노 민주계
4회 지선 ~ 열린우리당 분당
<nopad> 열린우리당 <nopad> 중도통합민주당
친노 정동영계 민평련 비노 김한길계 민주계
열린우리당 분당 ~ 17대 대선
<nopad> 대통합민주신당 <nopad> 민주
친노 정동영계 민평련 손학규계 김한길계 민주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nopad> 통합민주당
친노 정동영계 민평련 손학규계 김한길계 구민주계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nopad> 민주당
정세균계 친노 정동영계 민평련 손학규계 구민주계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nopad> 참여 <nopad> 민주당 <nopad> 평민
참여계 정세균계 친노 정동영계 민평련 손학규계 구민주계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nopad> 민주통합당 <nopad> 정통 <nopad> 행복
정동영계 혁통계 친노 정세균계 민평련 손학규계 구민주계
19대 총선 ~ 18대 대선
<nopad> 민주통합당
정동영계 친문 정세균계 민평련 손학규계 김한길계 구민주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nopad> 민주당
정동영계 친문 정세균계 민평련 손학규계 구민주계 김한길계 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nopad> 민주 <nopad> 새정치민주연합
김민석계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천정배계 구민주계 김한길계 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국민의당 창당
<nopad> 민주 <nopad> 새정치민주연합 <nopad> 회의 <nopad> 국민의당
김민석계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천정배계 호남계 친안
국민의당 창당 ~ 20대 총선
<nopad> 민주 <nopad> 더불어민주당 <nopad> 국민의당
김민석계 박원순계 친문 정세균계 호남계 친안
20대 총선 ~ 19대 대선
<nopad> 더불어민주당 <nopad> 국민의당
박원순계 친문 정세균계 안희정계 양승조계 호남계 친안
19대 대선 ~ 국민의당 분당
<nopad> 더불어민주당 <nopad> 국민의당
친명 박원순계 친문 안희정계 양승조계 호남계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주평화당 분당
<nopad> 더불어민주당 <nopad> 민주평화당
친명 박원순계 친문 양승조계 비문 호남계
민주평화당 분당 ~ 민생당 창당
<nopad> 더불어민주당 <nopad> 민평 <nopad> 대안
친명 박원순계 친문 양승조계 비문 정동영계 박지원계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nopad> 열린 <nopad> 더불어민주당 · 더불어시민당 <nopad> 민생당
열린 친명 친문 비문 민평계 대안계 바미계
21대 총선 ~ 20대 대선
<nopad> 열린 <nopad> 더불어민주당 <nopad> 민생
열린 친명 친문 친낙 소장파 호남계
20대 대선 ~ 22대 총선
<nopad> 조국혁신당 <nopad> 더불어민주당 · 더불어민주연합 <nopad> 새로운미래
조국계 친명 친문 비명 친낙
22대 총선 ~ 현재
<nopad> 조국혁신당 <nopad> 더불어민주당
조국계 친명 비명

현재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 · 정의 · 진보 · 기본소득 · 사민 · 혁신 · 민주 · 새민주 · 개혁 · 국민의힘)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1대 국회
원내 구성
''' 1981.4.11. ~ 1985.5.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51석
관제야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82석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로고.svg
25석
파일:민권당 로고+상징(흰색).png
2석
파일:신정당(1981년) 금색 로고타입.svg
2석
파일:민주사회당(1981년) 선거벽보 글씨.png
2석
파일:민주농민당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1석
파일:안민당 선거벽보 글씨.png
1석
무소속
10석
재적
276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49석
야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59석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svg
32석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로고.svg
24석
파일:신정사회당 선거벽보 글씨.png
1석
무소속
6석
재적
271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2대 국회
원내 구성
''' 1985.5.13. ~ 1988.5.2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48석
야당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svg
103석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로고.svg
21석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석
무소속
1석
재적
276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60석
야당
파일:통일민주당 심볼(색반전).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석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22석
파일:신민주공화당 심볼.svg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9석
무소속
29석
재적
270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1] 관제야당.[2] '등록 당시 당원 수는 514,825명이었다.[3] 사실 1981~1985년 극초기 한국이 북한과 판박이의 일당제 체제이긴 했다.[4] 민주정의당, 신한민주당, 한국국민당.[5] 김일윤, 황대봉한국국민당 출신 의원들은 국민당으로 복당.[6] 지역구 유치송, 전국구 손태곤, 신동준.[7] 조병옥의 아들이자 조순형의 형이다.[8] 2014년 헌법재판소가 득표율 미만 정당 해산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9] 현 공평도시유적전시관 터.[10] 당시 대통령 선거는 자격 있는 선거인단이 투표를 하는 간선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