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22:32:02

일당제

정치학
Political Scien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42E59,#333><colcolor=#fff,#fff>분야정치철학 · 비교정치 · 국제관계학 · 정치사 · 정치경제학 · 공공선택론 · 정치지리학 · 정치심리학 · 과학기술과 정치 · 인구학 · 정치통계학 · 수리정치학 · 계산정치학}}}}}}}}}

1. 개요2. 목록
2.1. 현재의 사례2.2. 역사적 사례
2.2.1. 명목상 다당제였던 사례
3. 같이 보기

1. 개요

일당제(, One-party System는 어떤 국가의회에서 하나의 당만이 합법적으로 인정되는 정당제를 말한다. 대표적인 과두주의독재정치로서, 유일한 여당정부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으며 다른 당은 선거에 참여할 수 없다.

일부 전체주의사회주의 국가가 이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여론의 불만을 달래고 민주주의 코스프레를 하기 위해 실권이 없는 거수기 정당, 곧 구색정당(satellite party)을 내세워 형식적 다당제와 같이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에리트레아처럼 구색정당 없이 대놓고 일당제인 국가도 존재한다.

일당제라고 하더라도 그런 거대한 정당에서는 파벌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 그 파벌의 일부가 제한적으로 당 주류 파벌이나 정부를 견제하는 야당 비슷한 역할을 맡기도 한다. 공청단, 상하이방, 태자당으로 나뉘어진 중국공산당의 파벌이 대표적이다.

일당제 국가라 하더라도 당원의 수는 전 국민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소련 공산당 6.84%(1986), 중국 공산당 6.74%(2021), 조선로동당 15.93%(2015), 나치당 12.88%(1945)이 그렇다. 이런 나라에서는 국민이 당원으로 가입하는 것이 이론(異論) 없는 애국상징이 되거나 일종의 명예, 특권처럼 여겨진다. 반면에 구 자이르의 '혁명대중운동(1967-1997)'이나 구 르완다의 '민주발전을위한혁명공화운동(1975-1994)'은 아예 전 국민이 자동으로 당원이 되었다.

2. 목록

2.1. 현재의 사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일당독재
,
,
,
,
,
◎ 위성정당 등 구색정당을 두어 명목상으로는 다당제를 표방하는 국가

2.2. 역사적 사례

2.2.1. 명목상 다당제였던 사례

3. 같이 보기



[1] 서사하라 대부분 지역은 모로코의 점령 하에 있다.[2] 현재 이란도 공식적으로 무당제다.[3] 극초기에는 다당제였으나, 러시아 내전이 일어나면서 정리되고 말았다. 그리고 소련 말엽 다당제가 용인되어 야당인 소련 자유민주당이 탄생했다.[4] 사실 리덩후이는 당적만 국민당이지 성향은 오히려 반대에 가깝다는 평도 있다.[5] 이전에는 (1792~1824년)이라 되어 있었으나 1824년 이전에는 연방당이 존재했고, 민주당은 1828년에 창당되었다.[6] 제임스 먼로 말기와 존 퀸시 애덤스 대부분의 집권기간이 이에 해당된다.[7] 엄밀히는 민주공화당은 야당인 연방당과 함께 동시 해산했으나 실질적으로는 민주공화당 세력에 연방당이 합류한 것에 가까웠다.[8] 이중 퀸시 애덤스와 헨리 클레이는 계파마저 연방당계로 같았다.[9] 심지어 애덤스와 잭슨은 부통령 러닝메이트를 둘 다 존 칼훈을 지목했다. 누가 이기든 부통령이니 개꿀아닌가[10] 이때의 여성은 이견이 생길수 없는 명백한 소수자였다. 또한 여성 선거권은 1920년에 시행됐다. 모든 주에서의 시행은 후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