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4:01:06

중위 투표자 정리

정치학
Political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63248> 기반 학문 윤리학 · 정치철학 · 사회철학 · 통계학
정치사상 및 이론 사회계약론 · 공리주의 · 공화주의 · 자유주의 · 사회주의 · 민주주의 · 진보주의 · 보수주의 · 공동체주의 · 전체주의 · 내셔널리즘
비교정치 국가 · 정부형태(대통령제 · 이원집정부제 · 의원내각제 · 군주제) · 정부(입법부 · 행정부 · 사법부 · 지방자치단체) · 정치과정(선거 · 정당 · 이익집단 · 시민단체 · 언론)
정치 행태 투표 · 정치적 스펙트럼 · 합리적 선택이론
법과 정치 헌법 · 삼권분립 · 기본권
정치경제 조세 · 시장실패 · 정부실패 · 공공재 · 공유지의 비극 · 공공선택론 · 불가능성 정리 · 중위 투표자 정리
공공행정 거버넌스 · 인사조직관리(행정조직론 · 인사행정론) · 재무행정론 · 공공정책 · 지방자치론
국제관계 전쟁 · 국제기구 · 국제법 · 현실주의 · 자유주의
정치학 방법론 질적 방법론 · 양적 방법론 · 형식 이론 }}}}}}}}}

경제학
Econom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d0,#333><colcolor=#000,#fff> 미시경제학 소비자이론 · 생산자이론 · 산업조직론 · 후생경제학 · 공공경제학 · 정보경제학 · 행동경제학 · 금융경제학
거시경제학 국민소득 · 인플레이션 · 노동시장론 · 금융경제학 · 화폐금융론 · 경기변동론 · 경제성장론 · 경제정책론
국제경제학 국제무역론 · 국제금융론
경제방법론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경제정보처리 · 계량경제학(경제통계학)
경제사 경제사 · 경제학사
응용경제학 농업경제학 · 자원경제학 · 환경경제학 · 개발경제학 · 보건경제학 · 노동경제학 · 도시경제학 · 경제지리학 · 법경제학 · 약물경제학 · 정치경제학문화경제학
비주류경제학 마르크스경제학 · 오스트리아학파 }}}}}}}}}


1. 개요2. 가정3. 실증연구4. 함의5. 관련 문서

1. 개요

/ median voter theorem

1929년 Stability in Competition이라는 논문에서 통계학자이자 경제학자인 해롤드 호텔링이 처음 제안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다수결 방식의 투표에서, 중위 투표자(median voter)들이 원하는 결과가 투표의 결과를 결정한다고 한다. 현재는 공공선택론 분야에서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가정

이 이론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가지의 중요한 가정이 만족되어야 한다.

3. 실증연구

현실에서 중위 투표자 정리의 예측이 잘 들어맞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가 존재하며 특히 양당제가 오래 지속된 국가일수록 비교적 잘 들어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위 투표자 정리를 지지하는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위투표자 정리를 지지하지 않는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 외에도 중위투표자 정리와 관련하여 긍정과 부정이 섞인 결과를 낸 연구들이 일부 있다.
요약하면, 이론의 가정이 잘 들어맞는 상황에서는 쓸만하지만 주요 가정이 충족되지 못하면 잘 들어맞지 않는다.

4. 함의

중위 투표자 정리는 여러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복지 지출이 늘어나는 이유 중 하나로도 꼽힌다. 거의 모든 경우 중위투표자는 평균소득자에 비해 소득이 낮다. 어느 나라든지 소득은 불균등하게 분배되어 있고 부유층이 소수이고 평균 이하의 소득자가 더 많아 우측으로 치우쳐진 분포(right-skewed distribution) 이기 때이다. 따라서 중위투표자의 복지선호는 약간 높은 편이고, 중위투표자의 선택이 정부구성, 나아가 정책을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면 복지지출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정책이 시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중위 투표자들이 자신의 위치를 이용해서 자신들에게 혜택이 되는 정책을 선택하는데, 그 중에는 더 부자인 사람들의 부를 복지로 돌리면서 자신들도 혜택을 입는 행동이 포함된다는 것이다.[4]

다만 로널드 레이건, 데이비드 캐머런, 에마뉘엘 마크롱, 하비에르 밀레이 등의 일부 정치인들은 경제를 살린다는 명목으로 복지를 줄이고 민간부문을 활성화시키는 신자유주의적인 정책을 추진해서 보수층과 중도층의 지지를 더 받는 방식을 쓰기도 한다.

참고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보수정당과 자유정당 양당이 왜 어느 정도 공통적인 정책을 내는지, 그리고 종교 정당, 극좌, 극우 등 극단주의 성향 정당이 왜 소수정당으로 전락하는지를 여기서 알 수 있다. 양당제가 공고한 미국, 대한민국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현상이다.

한편 중위투표자 정리는 일반적인 해석과 반대로 극단화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중위투표자 정리를 적용하기에 전 국민을 기준으로 한 중위투표자가 정책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특정 정당 내에서 중위투표자 정리를 적용해보면 그 정당 내에서의 중위투표자가 해당 정당의 정책을 결정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보와 보수로 정당을 나눠보자. 진보정당의 정책을 지지하고 보수정당의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은 진보로, 반대로 보수의 정책을 지지하고 진보의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은 보수로 가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 투표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직 정당 내부 투표 결과만으로 특정 위원회가 선출된다 하자. 그러면 그 위원회의 방향성은 점점 극단적으로 치닫게 될 수 있다. 보수/진보정당의 방향성은 항상 반진보/반보수쪽이기 때문이다. 중위투표자 정리로 인한 극단화 가능성에 대한 더 자세한 논의는 Polarization, abstention, and the median voter theorem (Jones, Sirianni, and Fu 2022) 등을 참고해볼 것.

5. 관련 문서



[1] 자신과 가장 가까운 후보에 표를 던지기 때문이다.[2] 특정 이익집단의 정치행위에 의해 정책이 결정된다는 이론[3] 이는 곧 중위투표자 정리가 잘 성립하지 않음을 의미한다[4] An Examination of the Median Voter Hypothesis, Rice(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