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0:14:09

보건경제학


경제학
Econom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d0,#333><colcolor=#000,#fff> 미시경제학 소비자이론 · 생산자이론 · 산업조직론 · 후생경제학 · 공공경제학 · 정보경제학 · 행동경제학 · 금융경제학
거시경제학 국민소득 · 인플레이션 · 노동시장론 · 금융경제학 · 화폐금융론 · 경기변동론 · 경제성장론 · 경제정책론
국제경제학 국제무역론 · 국제금융론
경제방법론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경제정보처리 · 계량경제학(경제통계학)
경제사 경제사 · 경제학사
응용경제학 농업경제학 · 자원경제학 · 환경경제학 · 개발경제학 · 보건경제학 · 노동경제학 · 도시경제학 · 경제지리학 · 법경제학 · 약물경제학 · 정치경제학
비주류경제학 마르크스경제학 · 오스트리아학파 }}}}}}}}}


1. 개요2. 역사3. 주요 연구 분야
3.1. 건강보험3.2. 의료 서비스 수요와 공급 및 의료 기술 평가3.3. 공공 보건
4. 경제 모형과 분석 방법
4.1. Grossman의 건강 생산함수 모형4.2. 수요와 공급의 경제학적 모형4.3. 의료 기술 평가 모형

1. 개요

/ Health Economics

보건경제학은 건강 및 의료의 생산 및 소비에서 효율성, 효과, 가치 및 행동과 관련된 문제와 관련된 경제학의 분야이다. 개인, 의료 제공자 및 임상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건강 결과와 생활 방식 패턴을 개선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보건경제학자들은 건강 관리 시스템의 기능과 흡연, 당뇨병, 비만과 같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연구한다.

2. 역사

보건경제학은 20세기 중반부터 경제학과 보건의료 분야의 학제간 연구가 이뤄지며 등장했다. 특히, 케네스 애로우가 1963년에 발표한 논문 “Uncertainty and the Welfare Economics of Medical Care”은 학문으로서 보건경제학의 초석을 놓았다. 애로우는 의료 서비스 시장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정보 비대칭성과 불확실성, 외부효과 등을 분석했다. 이후 Grossman의 건강 생산함수 이론(1972)은 건강을 일종의 자본(Stock)으로 보고, 개인의 건강 투자를 통해 건강 자본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제시했다. 이러한 연구들은 보건경제학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보건의료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정책 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보건경제학의 초기 연구는 주로 건강보험과 의료비용에 집중되었다. 애로우의 논문을 시작으로, 건강보험의 경제적 영향과 의료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후 1990년대에는 의료 기술 평가와 공공 보건 정책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의 혁신, 글로벌 보건 문제 해결, 건강 격차 해소 등의 주제가 주요 연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보건경제학은 건강보험 설계, 의료 서비스 제공, 공공 보건 정책 등의 의사 결정을 돕는다. 이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사회적 형평성을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의료 서비스의 비용-효과 분석을 통해 제한된 자원을 최적의 방식으로 배분할 수 있으며, 건강보험의 설계를 통해 국민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예방의료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공공 보건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3. 주요 연구 분야

3.1. 건강보험

건강보험의 설계와 경제적 영향, 보험의 효율성과 형평성 분석.

조셉 p. 뉴하우스의 1993년 논문 "Free for All? Lessons from the RAND Health Insurance Experiment"에서 수행된 RAND 건강보험 실험은 다양한 건강보험 플랜이 의료 서비스 이용과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이 의료 서비스 이용을 증가시키고, 의료비 지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보험 설계에 따라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과 비용 부담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3.2. 의료 서비스 수요와 공급 및 의료 기술 평가

의료 서비스의 가격 결정, 수요와 공급의 경제학적 분석, 시장 실패와 규제 필요성, 새로운 의료 기술의 비용-효과 분석, 기술 채택에 따른 경제적 영향, 의료 기술의 가치 평가.

기술한 애로우의 "Uncertainty and the Welfare Economics of Medical Care" 논문은 의료 서비스 시장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정보 비대칭성과 불확실성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의료 서비스는 소비자가 의사의 정보를 신뢰해야 하는 정보 비대칭성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마이클 드러먼드 외 연구진이 2005년에 게재한 "Methods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Health Care Programmes" 논문은 보건의료 프로그램의 경제적 평가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연구이다. 비용-효과 분석, 비용-유용성 분석 등을 통해 의료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며, 이러한 평가 결과는 의료 기술 채택 및 보건의료 정책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초가 되었다.

3.3. 공공 보건

공공 보건 정책의 경제적 평가, 예방의료의 경제학, 공중 보건 프로그램의 비용-효과 분석.

빅터 푹스가 1986년 발표한 논문 "The Health Economy"는 공공 보건 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예방의료와 공공 보건 서비스가 건강 증진과 비용 절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공공 보건 정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했다.

4. 경제 모형과 분석 방법

보건경제학은 다양한 경제 모형과 계량경제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미시경제학적 접근을 통해 의료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시장 구조를 분석하고, 거시경제학적 접근을 통해 보건의료 지출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그리고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 이용 패턴, 건강 결과, 정책 효과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패널 데이터 분석, 이중차이 분석, 무작위 대조 실험(RCT) 등의 방법론이 사용된다. 주로 사용되는 모형은 다음과 같다.

4.1. Grossman의 건강 생산함수 모형

Grossman의 모형은 건강을 자본재로 보고, 개인의 건강 투자를 통해 건강 자본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다음과 같은 생산함수로 표현된다:

\[ H_t = f(I_t, H_{t-1}, E_t) \]

여기서 \(H_t\)는 t시점의 건강 수준, \(I_t\)는 건강 투자, \(H_{t-1}\)는 이전 시점의 건강 수준, \(E_t\)는 환경적 요인이다.

4.2. 수요와 공급의 경제학적 모형

의료 서비스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은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수요 곡선은 의료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반대로 공급 곡선은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진다.

\[ Q_d = f(P, Y, E) \]
\[ Q_s = g(P, W, T) \]

여기서 \(Q_d\)는 수요량, \(Q_s\)는 공급량, \(P\)는 가격, \(Y\)는 소득, \(E\)는 기타 수요 요인, \(W\)는 임금, \(T\)는 기술이다.

4.3. 의료 기술 평가 모형

비용-효과 분석(CEA)과 비용-유용성 분석(CUA)을 통해 의료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다. 비용-효과 분석은 특정 건강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비용을 평가하는 반면, 비용-유용성 분석은 건강 결과의 질을 평가하여 자원을 최적화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ICER = \frac{\Delta C}{\Delta E} \]

여기서 \(ICER\)는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추가 비용-효과 비율), \(\Delta C\)는 비용의 변화, \(\Delta E\)는 효과의 변화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