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실로프그라드 작전 «스카쵸크»[1] 러시아어: Ворошиловградская операция «Скачок» 독일어: Woroschilowgrader Operation 영어: Operation Gallop | ||
제2차 세계 대전중 동부전선의 일부 | ||
▲ 남쪽에서 보로실로프그라드와 스탈리노 방면으로 공세를 펼치는 남서 전선군 | ||
날짜 | ||
1943년 1월 29일 ~ 2월 18일 | ||
장소 | ||
소련 우크라이나 SSR 하리코프주와 보로실로프그라드주 일대 | ||
교전국 | [[틀:깃발| | ]][[틀:깃발| ]][[소련| ]]|
지휘관 | [[틀:깃발| (남서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바실리 쿠즈네초프| ]] (제1근위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드미트리 렐류셴코| ]] (제3근위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마르키안 포포프| ]] (포포프 기동집단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스테판 크라솝스키| ]] (제17항공군 사령관) | ]][[틀:깃발| ]][[니콜라이 바투틴| ]][[틀:깃발| (돈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 (제4항공함대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제1기갑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헤르만 호트| ]] (제4기갑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디트리히 폰 콜티츠| ]] (제17군단 사령관) | ]][[틀:깃발| ]][[에리히 폰 만슈타인| ]]
결과 | ||
소련의 승리 이지움과 보로실로프그라드 탈환 | ||
영향 | ||
남부 집단군과 A 집단군 분리 돈바스 북부 탈환 남부 집단군의 반격 시작 | ||
전력 | ||
피해 규모 |
[clearfix]
1. 개요
2. 1943년 2월의 도네츠 전선
3. 전투 서열
3.1. 소련군[2]
- 남서 전선군 ( 사령관 : 니콜라이 바투틴 상장[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근위전차군단
- 제15근위전차여단
- 제16근위전차여단
- 제17근위전차여단
- 제1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3전차군단
- 제50전차여단
- 제51전차여단
- 제103전차여단
- 제57차량화소총여단
- 제25전차군단
- 제111전차여단
- 제162전차여단
- 제175전차여단
- 제16차량화소총여단
- 제229소총여단
- 제126전차연대
- 제141전차연대
}}} - 제1근위군 ( 사령관 : 바실리 쿠즈네초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57근위소총사단
- 제68소총사단
- 제78소총사단
- 제244소총사단
- 제4대공포사단
- 제9포병사단
- 제115근위박격포사단
- 제62공병여단
- 제127전차연대
- 제4근위소총군단
- 제35근위소총사단
- 제41근위소총사단
- 제195소총사단
- 제6근위소총군단
- 제38근위소총사단
- 제44근위소총사단
- 제58근위소총사단
- 제3근위군 ( 사령관 : 드미트리 렐류셴코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59근위소총사단
- 제60근위소총사단
- 제203소총사단
- 제243소총사단
- 제266소총사단
- 제279소총사단
- 제7포병사단
- 제5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243전차연대
- 제14소총군단
- 제14근위소총사단
- 제50근위소총사단
- 제61근위소총사단
- 제1근위기계화군단
- 제1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2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3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6근위전차연대
- 제17근위전차부대
- 제52근위대전차사단
- 제407근위박격포사단
- 제2근위전차군단
- 제4근위전차여단
- 제25근위전차여단
- 제26근위전차여단
- 제4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2전차군단
- 제26전차여단
- 제99전차여단
- 제169전차여단
- 제58차량화소총여단
- 제23전차군단
- 제442근위박격포사단
- 제3전차여단
- 제39전차여단
- 제135전차여단
- 제56차량화소총여단
- 제5전차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47근위소총사단
- 제54근위소총사단
- 제321소총사단
- 제333소총사단
- 제346소총사단
- 제3대공포사단
- 제307근위박격포사단
- 제44특수공병여단
- 제5기계화군단
- 제406근위박격포사단
- 제45기계화소총여단
- 제49기계화소총여단
- 제50기계화소총여단
- 제168전차연대
- 제188전차연대
- 제8기병군단
- 제21기병사단
- 제35기병사단
- 제112기병사단
- 제263기마포병사단
- 제8대전차사단
- 제6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6소총사단
- 제267소총사단
- 제106소총여단
- 제115전차여단
- 제212전차연대
- 제15소총군단
- 제172소총사단
- 제350소총사단
- 포포프 기동집단 ( 사령관 : 마르키안 포포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근위전차군단
- 제12근위전차여단
- 제13근위전차여단
- 제14근위전차여단
- 제3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10전차군단
- 제178전차여단
- 제183전차여단
- 제186전차여단
- 제11차량화소총여단
- 제18전차군단
- 제110전차여단
- 제170전차여단
- 제181전차여단
- 제32차량화소총여단
- 제15공병여단
}}} - 제17항공군 ( 사령관 :스테판 크라솝스키 항공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21폭격항공사단
- 제262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82전투항공사단
- 제208돌격항공연대
- 제637돌격항공연대
- 제282혼성항공연대
- 제1혼성항공군단
- 제267돌격항공사단
- 제288전투항공사단
- 제3혼성항공군단
- 제202폭격항공사단
- 제207전투항공사단
- 제290돌격항공사단
}}}
}}}
}}}
}}}
}}}
}}}
3.2. 독일군[4]
- 돈 집단군[5] ( 사령관 : 에리히 폰 만슈타인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란츠 분견군
- 제1기갑군 ( 사령관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기병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기갑군단
- 제27기갑사단
- 제19기갑사단
- 제7기갑사단
- 제30군단[6]
- 제335보병사단
- 제40기갑군단[7]
}}} - 훌리트 분견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8기갑군단
- 제304보병사단
- 제302보병사단
- 제17군단 ( 사령관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소장 )
- 제294보병사단
- 제8공군야전사단
- 제306보병사단
- 제62보병사단
- Mieth 집단[8]
- 제336보병사단
- 제384보병사단
- 제29군단
- 제79보병사단
- 제4기갑군 ( 사령관 : 헤르만 호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444보안사단
- 제454보안사단
- 제3기갑사단
- 제16차량화보병사단
- 제11기갑사단
- 제57기갑군단
- 제17기갑사단
- 제5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
- 제23기갑사단
- 제15공군야전사단
- 제111보병사단
- 제4항공함대 ( 사령관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돈 공군사령부[9][10]
- 코카서스 공군사령부[11][12]
- 제9대공포사단
- 제11대공포사단
- 제17대공포사단
- 제4항공군단[13]
- 제8항공군단[14]
- 루마니아 항공군단
- 제1대공포군단[15]
- 제5대공포사단
- 흑해 항공여단
- 하리코프 항공관구
- 로스토프 항공관구
}}}
}}}
}}}
}}}
4. 전개
5. 결과
[1] 도약[2] 2월 1일 기준[3] 2월 12일에 대장으로 진급[4] 2월 3일 기준[5] 2월 12일에 남부 집단군으로 개칭[6] 5주 정도 프레터-피코 분견군 사령부를 구성하다가 2월 3일에 다시 30군단 사령부가 되었다.[7] 야전군 예비[8] 제4군단[9] 42년 8월 26일에 1항공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17일에 다시 1항공군단으로 개칭[10] 돈강 중류의 B 집단군 지원[11] 42년 11월 25일에 1대공포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6일에 다시 1대공포군단으로 개칭[12] 코카서스의 A 집단군 지원[13] 돈강 하류의 돈 집단군 지원[14] 스탈린그라드의 6군 지원[15] 2월 6일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