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7:56

소련/국호

소련 국호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련-일본 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과학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기초 소련의 기초과학 · 토카막 · 러더포듐 · 더브늄 · 시보귬 · 보륨
표트르 카피차 · 레프 란다우 · 이고르 탐 ·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안드레이 사하로프 · 파벨 체렌코프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원 · 쿠르차토프 연구원 ·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 ·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 ||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 소련 구성국 언어
러시아어 <colbgcolor=#ffffff,#1f2023>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СССР, Сове́тский Сою́з)[1]
라트비아어 Padomju Sociālistisko Republiku Savienība (PSRS, Padomju Savienība)
루마니아어 Униуня Републичилор советиче Сочиалисте (УРСС, Униуня Совиетикэ)
Uniunea Republicilor sovietice Socialiste (URSS, Uniunea Sovietică)
리투아니아어 Tarybų Socialistinių Respublikų Sąjunga (TSRS, Tarybų Sąjunga)
벨라루스어 Саюз Савецкіх Сацыялістычных Рэспублік (СССР, Савецкі Саюз)
Sajuz Savieckich Sacyjalistyčnych Respublik (SSSR, Saviecki Sajuz)
아르메니아어 Խորհրդային Սոցիալիստական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ի Միություն (ԽՍՀՄ, Խորհրդային Միություն)
Xorhrdayin Socʿialistakan Hanrapetutʿyunneri Miutʿyun (XSHM, Xorhrdayin Miutʿyun)
아제르바이잔어 Совет Сосиалист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Иттифагы (ССРИ, Совет Иттифагы)
Sovet Sosialist Respublikaları İttifaqı (SSRİ, Sovet İttifaqı)
에스토니아어 Nõukogude Sotsialistlike Vabariikide Liit (NSVL, Nõukogude Liit)
우즈베크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и Иттифоқи (ССРИ, Совет Иттифоқи)
Sovet Sotsialistik Respublikalari Ittifoqi (SSRI, Sovet Ittifoqi)
우크라이나어 Союз Радянських Соціалістичних Республік (СРСР, Радянський Союз)
조지아어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ების კავშირი (სსრკ, საბჭოთა კავშირი)
sabch’ota sotsialist’uri resp’ublik’ebis k’avshiri (ssrk', sabch’ota k’avshiri)
카자흐어 Кеңестік Социалисті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Одағы (КСРО, Кеңес Одағы)
Keńestik Sotsıalıstik Respýblıkalar Odaǵy (KSRO, Keńes Odaǵy)
키르기스어 Советтик Социалист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Союзу (ССРС, Советтер Союзу)
타지크어 Иттиҳоди Ҷумҳуриҳои Шӯравии Сосиалистӣ (ИҶШС, Иттиҳоди Шӯравӣ)
투르크멘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Союзы (ССРС, Совет Союзы)
Sowet Sotsialistik Respublikalary Soýuzy (SSRS, Sowet Soýuzy)
소련 위성국(바르샤바 조약 기구) 언어
폴란드어 Związek Socjalistycznych Republik Radzieckich (ZSRR, Związek Radziecki)
독일어 Union der Sozialistischen Sowjetrepubliken (UdSSR, Sowjetunion)
체코어 Svaz sovětských socialistických republik (SSSR, Sovětský svaz)
슬로바키아어 Zväz sovietskych socialistických republík (ZSSR, Sovietsky zväz)
헝가리어 Szovjet Szocialista Köztársaságok Uniója (SSKU, Szovjet Únió)
불가리아어 Съюз на Съветските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 Републики (СССР, Съветски Съюз)
NATO (북대서양 조약기구) 언어
그리스어 Ένωση Σοβιετικών Σοσιαλιστικών Δημοκρατιών (ΕΣΣΔ, Σοβιετική Ένωση)
Énosi Sovietikón Sosialistikón Dimokratión (ESSD, Sovietikí Énosi)
네덜란드어 Unie van Socialistische Sovjetrepublieken (USSR, Sovjet Unie)
노르웨이어 Unionen av Sovjetiske Sosialistiske Republikker (USSR, Sovjetunionen)
덴마크어 Unionen af ​​Socialistiske Sovjetrepublikker (USSR, Sovjetunionen)
룩셈부르크어 Unioun vun Sowjetesch Sozialistesche Republiken (USSR, Sowjetunioun)
스페인어 Unión de Repúblicas Socialistas Soviéticas (URSS, Unión Soviética)
아이슬란드어 Samband Sósíalískra Lýðvelda Sovétríkjanna (SSLS, Sovétríkin)
영어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 Soviet Union)
이탈리아어 Unione delle Repubbliche Socialiste Sovietiche (URSS, Unione Sovietica)
튀르키예어 Sovyet Sosyalist Cumhuriyetleri Birliği (SSCB, Sovyetler Birliği)
포르투갈어 União das Repúblicas Socialistas Soviéticas (URSS, União Soviética)
프랑스어 Union des Républiques Socialistes Soviétiques (URSS, Union soviétique)[2]
중립국 언어
마케도니아어 Сојуз на Советските Социјалистички Републики (СССР, Советски Сојуз)
세르보크로아트어 Savez Sovjetskih Socijalističkih Republika (SSSR, Sovjetski savez)
Савез Совјетских Социјалистичких Република (СССР, Совјетски Савез)
스웨덴어 Unionen av Socialistiska Sovjetrepubliker (USSR, Sovjetunionen)
슬로베니아어 Zveza Sovjetskih Socialističnih Republik (ZSSR, Sovjetska zveza)
아일랜드어 Aontas na bPoblachtaí Sóisialacha Sóivéadacha (APSS, Aontas Sóivéadach)
알바니아어 Bashkimi i Republikave Socialiste Sovjetike (BRSS, Bashkimi Sovjetik)
핀란드어 Sosialististen Neuvostotasavaltojen Liitto (SNTL, Neuvostoliitto)
이외 언어
한국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3] (표준어)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 (쏘련)[4] (문화어)
중국어 苏维埃社会主义共和国联盟 (苏联) (간체자)
蘇維埃社會主義共和國聯盟 (蘇聯) (정체자)
일본어 ソビエト社会主義共和国連邦 (ソビエト連邦 또는 ソ連)
아랍어 اتحاد الجمهوريات الاشتراكية السوفياتية (الاتحاد السوفياتي)
베트남어 Liên bang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Xô viết (Liên Xô)
라오어 ສະຫະພັນ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ສັງຄົມນິຍົມໂຊວຽດ (ສະ​ຫະ​ພາບ​ໂຊ​ຫວຽດ)
sahaphan sathalanalad sangkhomninyom osuaiad (sa ha phab os viad)
크메르어 សហភាពនៃសាធារណរដ្ឋសង្គមនិយមសូវៀត (សហភាព​សូវៀត)
sahpheap nei satharonarodth sangkomniym sauviet (sahpheap​ sauviet)
인도네시아어 Uni Republik Sosialis Soviet (URSS, Uni Soviet)
말레이어 Kesatuan Republik Sosialis Soviet (KRSS, Kesatuan Soviet)
버마어 ပြည်ထောင်စု ဆိုဗီယက်ဆိုရှယ်လစ်သမ္မတနိုင်ငံ (ဆိုဗီယက်ယူနီယံ)
pyihtaunghcu sobeyaat soshallait sammataninengan (sobeyaatyuuneyan)
힌디어 सोवियत संघ समाजवादी गणराज्य (सोवियत संघ)
soviyat sangh samaajavaadee ganaraajy (soviyat sangh)
우르두어 سوویت سوشلسٹ جمہوریہ کی یونین (سوویت یونین)
태국어 สหภาพสาธารณรัฐสังคมนิยมโซเวียต (สหภาพโซเวียต)
S̄h̄p̣hāph s̄āṭhārṇrạṭ̄h s̄ạngkhmniym soweīyt (S̄h̄p̣hāph soweīyt)
}}}}}}}}} ||
1. 개요2. 소비에트3. 연방 / 연맹4. 같이 보기

1. 개요

소련국제주의사회주의를 표방한 국가답게[5] 국호에 민족, 지명 같은 고유명사가 없다. 즉 이론적으로는 사회주의적 이상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련을 조국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이른바 "이념의 조국". 실제로 일제강점기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이나 그 이전과 이후의 미국을 포함한 세계 곳곳의 사회주의자들이 소련에 대한 자부심, 소속감을 표출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리하르트 조르게 항목에 나오는 그의 유언도 이러한 소련의 국제주의적 이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2. 소비에트

흔히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란 국호의 '소비에트'를 고유명사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러시아어에서 소비에트(Совет)는 한국어로 번역하면 회의[6]를 의미하며 보다 옛 표현으로는 평의회에 해당하는 단어다. 따라서 소련을 가리키는 러시아어 표현을 직역한다면 평의회 사회주의 공화국 연맹으로 번역할 수 있다. 실제로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크, 몰도바, 키르기스, 투르크멘 공화국을 제외한 나머지 공화국에서는 러시아어 표현인 소비에트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평의회를 자국어로 번역한 단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로 소련을 라댠스키 소유즈(Радянський Союз, 라다 연맹)이라고 부르는데 오늘날 우크라이나 의회인 베르호우나 라다도 사실 소련 시절 입법기관이었던 최고회의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즉, 소련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하면 회의연합인 셈이다. 마찬가지로 에스토니아어 표현인 Nõukogude Liit에서 Nõukogu는 자문회의, 이사회를 뜻한다.[7] 타지크어 표현인 Иттиҳоди Шӯравӣ에서 슈라비(Шӯравӣ / شوروی)의 어원 슈로(шӯро / شورا)는 아랍어로 '자문' 또는 '자문회의'를 뜻하는 슈라(شُورَى / šūrā)를 차용한 것이다.[8]

한자 표기의 '소련(蘇聯)'에서 蘇는 '소비에트'를 음차한 '소유애(蘇維埃)'의 약칭이다. 그러니까 소련은 소유애연방(維埃邦)의 줄임말이다. 옛 신문 등을 볼 때 정치면 등에 그냥 '蘇' 만 적혀 있어도 그냥 소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소련 붕괴 후에는 '구(舊)소련'이라고 하기도 한다. 접두사 '구(舊)-'는 일부 명사성 어근 앞에 붙어 '묵은, 낡은'이라는 의미를 더해 준다. 그런데 蘇聯이라고는 해도 蘇(蘇維埃)가 본래 외래어인 소비에트(ㅅ이 들어간 많은 외래어가 그렇듯[9] [쏘비에트]가 관용 발음이다.)를 음차한 것이다 보니 실제 발음은 [쏘련]으로 하는 사람이 많다. 마찬가지로 소 연방은 [쏘연방]으로 읽고 소련을 의미하는 약칭 '소'가 들어간 단어마다 [쏘]로 읽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표준 발음대로라면 '소련'은 蘇聯이라는 한자로 이미 변조된 상태이므로 한국 한자음대로 그냥 평음으로 [소련]이라고 읽는 게 맞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무시한 채 외래어 발음을 염두에 두어 [쏘련]이라고 부르는 것이다.[10] 그리고 북한의 문화어로는 그냥 소유애(蘇維埃)라는 한자 음차와 무관하게 바로 쏘베트(소비에트)를 줄여 '쏘'로 기재한 것으로 취급해 대놓고 '쏘련'으로 표기한다.

소련이 이렇게 국호에 고유명사 사용을 배제한 이유는 소련 건국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초창기 소련은 이론상으로 소련이라는 국가 안에서 노동자, 농민, 군인들이 정치적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결성한 회의들이 모여 이끌어가는 국가였다. 실제로 스탈린이 독재를 강화하기 전 소련은 소련 회의대회(Съезд Советов СССР)를 통해 전국 각지에 있는 회의들이 모여 국가 현안을 논의하고 의결하면 행정을 담당하는 중앙행정위원회(Центральны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Комитет)가 소비에트대회가 의결한 내용을 집행했다. 이는 러시아 혁명에서 비롯되어 소련 초창기까지 어느 정도 남아 있었던 민주주의 요소였다. 그러나 이렇게 형식상으로나마 남아 있었던 민주주의적 요소들은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과 함께 사실상 유명무실화되었다.

3. 연방 / 연맹

대한민국 표준어로는 소련도 연방, 러시아도 연방이라고 부르지만 영어로는 소련은 union, 러시아는 federation으로 그 차이를 명확히 하고 있다. 'Союз'는 영어로 Union인데 'Union'는 연방이라는 뜻과 연맹, 조합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나 전자보다는 후자의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소련이 자국의 러시아어 국호에 명확히 연방을 뜻하는 표현인 'Федерация'를 쓰지 않고 중의적 표현 'Союз'(연맹, 연합, 연방)를 사용하며 소련이 형식적으로는 국가연합의 형태를 띄는 국가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일부 매체나 1991년 주한소련대사관에서는 자국을 이 국호로 표기한 적이 있었고 북한에서는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이 공식 국명이다. 고려인 신문 《고려일보》[11]의 1991년 3월 논설에서도 Союз를 "련맹"이라고 하였다. 내용은 "련맹을 보존하자!", "련맹보존 찬성"에서 볼 수 있듯 신연방 관련 국민투표에 대한 찬성 논조였다.##

한편 서적이나 언론 등을 가리지 않고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라고 연방과 공화국의 단어 순서를 바꿔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잘못된 명칭이니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 헷갈리지 않으려면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소련은 '(무슨무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이 뭉친 나라이므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의) 연방'인 것이다. 즉, 연방제란 자치권을 가진 각 단위들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국가인데 소련의 경우 이 각각의 단위들이 주(州)나 도(道)가 아니라 '공화국'이었다는 것. 따라서 공화국의 연방체이므로 공화국 연방이다. 무엇보다도 소련의 구성국 중 하나였던 러시아의 정식 명칭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었음을 기억하면 착각할 일은 없을 것이다. 물론 따지고 보면 소련이라는 나라 자체도 하나의 연방제 공화국이긴 한데 국호는 자신의 구성국들의 연합체임을 명시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었으니 혼동하면 안 될 것이다. 이러한 오류는 비단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에서도 간간이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일상 생활에서 소련을 "소련 연방"이라고 호칭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것도 잘못된 표현이다. 소련을 하나의 고유명사로 여기고 연방이 해체됐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할 때도 이런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소련은 소비에트 연방의 줄인 말로 해당 명칭 자체에 연방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있다. 따라서 연방이라고 쓰고 싶으면 소비에트 연방 혹은 소연방이라고 호칭하는 게 옳은 표현이다.

4. 같이 보기



[1] [sɐˈjus sɐˈvʲet͡skʲɪx sət͡sɨəlʲɪˈsʲtʲit͡ɕɪskʲɪx rʲɪˈspublʲɪk\]. 약자는 'СССР'인데 키릴 문자이기 때문에 '시시시피'가 아니라 '에스에스에스에르'라고 읽는다. (생활 속에서는 '에스에스에스에르'가 너무 길어 불편하기 때문에 '에스에스에르'로 줄여서 읽기도 한다.) 한편 러시아어를 라틴 문자로 쓴 'Sojúz Sovétskix Socialistíčeskix Respúblik'의 약자인 SSSR도 가끔 쓰인다.[2] 1970~1980년대의 스포츠 대항전에서 소련을 'URS'라고 표기한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3] 줄여서 소비에트 연방이라고 부르며 통상적으로는 소련(蘇聯)이라고 부른다. 두음법칙에 의해 바뀐 소리는 준말이 되어 맨 앞글자만 중간이나 뒤로 들어가면 원래 소리가 되살아난다. 그래서 '연방'이라는 단어가 '련(聯)'으로 줄어든다. '연합'도 마찬가지다. 자민련, 한총련 등의 약어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4] 북한에서는 국가의 정식 명칭을 표기할 때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모두 붙여 쓴다. 당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부터 한 단어로 붙여 쓰며 다른 나라들도 '체스꼬공화국', '로씨야련방', '도이췰란드련방공화국' 등으로 모두 붙여 쓴다.[5] 소련이 초창기 국가로 인터내셔널가를 채택한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였다.[6] 실제 오늘날 러시아 상원의 정식 명칭인 연방회의(Совет Федерации)도 소비에트란 단어를 사용하며 회사의 중요정책을 결정하는 이사회도 Совет директоров, 직역하면 감독자 회의란 표현으로 사용한다.[7] 소련 시절 에스토니아 최고회의의 명칭이 Ülemnõukogu((최고(Ülem) + 자문(nõu) + 회의(kogu)))였으며 오늘날 에스토니아 의회의 명칭도 Riigikogu(국가(Riigi) + 회의(kogu))다.[8]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아프가니스탄인들이 소련군 병사를 일컬을 때 많이 사용한 슈라비(شوروی‎)라는 표현 역시 문자 그대로 회의인 소련인이라는 뜻이었다.[9] 그리고 한국(남한)에서 나중에 외래어 표기가 정비되면서 '소비에트'라는 철자로 정착된 것이지 과거엔 첫 음절을 표기상으로도 '쏘'로 적는 경우가 많았다.[10] 그리고 어차피 비표준 발음에서는 외래어 음차가 아닌 다른 한자어고유어도 표준 발음과 다르게 경음화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소주가 [쏘주\]로 읽히는 게 한 예.[11] 카자흐 SSR 알마아타에 본사를 두고 1990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되었던 《레닌기치》를 이어 1991년 1월 1일부터 발행된 고려인 신문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72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