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3:53:44

빌리 홀리데이

빌리 할러데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미국의 2021년 영화에 대한 내용은 빌리 홀리데이(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fff><colcolor=#000> 빌리 홀리데이
Billie Holiday
파일:빌리홀리데이.jpg
본명 엘러노러 고프 해리스
Eleanora Gough Harris
[1]
출생 1915년 4월 7일
미국 펜실베이니아필라델피아
사망 1959년 7월 17일 (향년 44세)
미국 뉴욕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직업 가수
서명
파일:빌리 홀리데이 싸인.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 #fff 20%, #191919 80%, #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00> 묘소 미국 뉴욕주 뉴욕시
St Raymond New Cemetery
부모님 클래런스 홀리데이 (1898-1937)
세이디 페이건 (1896-1945)
배우자 지미 먼로 (1941–1947, 이혼)
조 가이 (1951–1957, 이혼)
루이스 먹케이 (1957 결혼)
거주지 미국 뉴욕주
26 West 87th Street
학력 St Frances Academy
신체 165cm, 58kg
혈통 아프리카계 미국인
별명 Lady Day[2]
로고
파일:Signature_TM_Black-store-logo-600.png
종교 가톨릭 (세례명: 테레사)
활동 1930년1959년
사용 악기 보컬
장르 재즈, 스윙, 트레디셔널 팝, 블루스
레이블 파일:brunswick records.png·파일:Vocalion Records.jpg·파일:Okehlogo.jpg·파일:Bluebirdrecords.jpg·파일:Commodore Records.jpg·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
파일:데카레코드.png
·파일:Aladdin Records.jpg·파일:버브 레코드.jpg·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
파일:MGM_Records.pn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생애3. 음악 성향4. 평가 및 영향력5. 영상6. 기타7. 매체에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빌리 홀리데이 노래 부르실 때.jpg
미국재즈 가수.

새러 본, 엘라 피츠제럴드와 함께 재즈 3대 디바로 불린다.

2. 생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Billie_Holiday_1917.jpg

태어날 당시 아버지는 17세, 어머니는 19세였다. 어머니는 슬럼가 거리의 창녀였으며, 그녀 역시 그러한 어린 나이에 창부의 삶을 살았다. 슬럼가에서 태어난 그녀는 무책임한 아버지에게 버림 받았고 어머니는 그녀를 키울 능력이 없어 사촌의 집에 맡겨졌으나 그곳에서 학대받으며 자랐으며, 1929년 클럽에서 인정받는 가수가 되기전까지 2번의 성폭행과 2번의 감옥 생활을 겪었다. 최종학력은 초등학교 5학년.

그녀가 처음 성폭행을 당했을때, 상대는 40대의 백인이었고 그녀는 10살이었다. 그러나 경찰은 백인을 처벌하지 않고 오히려 흑인인 그녀를 불량소녀로 몰아서 감호소에 집어넣었다.[3] 감호소에서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고 풀려나온 그녀는 나온지 얼마되지 않아서 다른 흑인 남자에게 또 다시 성폭행을 당했다. 결국 살던 곳에서 나온 그녀는 어머니와 함께 뉴욕할렘 가로 갔지만, 그녀가 할 수 있는 일은 창부의 일뿐이었다. 15살까지 할렘가에서 창부로 일하던 그녀는 성행위를 강요하던 흑인의 말을 듣지 않다가 매춘 행위로 고발되어 다시 감옥으로 들어가게 된다.

감옥에서 나온 이후, 창부의 생활을 접은 채 백인의 집에서 하녀 생활을 하던 그녀와 그녀의 어머니는 곧 찾아온 미국의 대공황 속에 다시 일자리를 잃었다. 결국 방세를 갚지 못해서 길거리에 내쫓길뻔한 그녀는 거리의 파즈 앤 제리즈라는 나이트클럽의 댄서 오디션을 보러 갔지만, 춤을 한 번도 춰본 적이 없는 그녀는 오디션에 붙지 못했다. 그걸 가엾게 여긴 클럽의 피아노 연주자가 노래를 한번 불러보라고 했고, 빌리 홀리데이는 노래를 시작했다.

그 당시 그 자리에 있던 사람은 그 광경을 회상하며 이렇게 말했다.
"나는 뒤늦게 그같은 분위기를 감지했다. 홀 전체가 숨을 죽이고 있었다. 만약 누가 핀이라도 하나 떨어뜨렸다면 그것은 마치 폭탄이 터지는 소리 같았을 것이다."

그때 얻은 '빌리 홀리데이'라는 이름은 좋아하던 배우 빌리 더브의 빌리와 아버지 클래런스 홀리데이의 성 홀리데이에서 따온 이름이다. 아버지 클래런스 홀리데이는 당시 빅 밴드 플레처 헨더슨 악단의 벤조 연주자로 알려져 있었는데, 처음엔 빌리 홀리데이를 딸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빌리 홀리데이가 명성을 얻고 돈을 벌기 시작하자 아버지임을 자처하며 돈을 뜯어가기 시작했다.

그 처참한 인생의 역경 속에서 뉴욕의 클럽에서 노래를 인정 받기 시작했으며, 1933년 당시 스윙의 왕이라 불리던 베니 굿먼, 평론가 존 해먼드와의 만남으로 18세의 나이에 음반을 내고 본격적으로 재즈 가수로서의 성공가도를 달리기 시작한다. 팬들이 그녀의 음색에서 가장 먼저 얻을 수 있는 것은 말기 감성을 쥐어짜는 그녀의 우울한 감성이지만, 초기에는 듀크 엘링턴, 카운트 베이시와 같은 스윙밴드의 보컬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

그런 그녀의 음악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곡은, 1939년 폐렴에 걸렸음에도 흑인이라는 이유로 병원치료도 제대로 받지 못한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부른 기이한 열매(이상한 열매, Strange Fruit)# 영상 # 영상2 # 가사[4]이다. 에이블 미러폴이 가명인 루이스 앨런으로 발표한 이 곡은, 흑인들이 백인에게 폭력을 당한 다음 나무 위에 목이 매달린 풍경을 묘사한 곡이다.[5] 이후 이 노래는 여성 작가 릴리언 스미스에 의해 소설로 발표, 1944년 미국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으며, 홀리데이 역시 이 곡으로 1944년 에스콰이어 재즈보컬상을 수상한다. 이 시기 마약하던 시절의 맬컴 엑스와 친했다는 말이 있다.

이러한 활동에도 그녀의 삶은 순탄치 못했다. 1941년 첫 번째 남편 제임스 먼로와 결혼했지만 심한 마약 중독자라서 이혼했으나 오히려 그녀가 마약 중독자의 굴레에 빠져들었다. 두 번째 남편 조 가이는 사랑보다는 그녀의 돈만 갈취하는 쓰레기라서 이혼하고 만다. 세 번째 남편 역시 마약과 무기혐의 소지로 여러 번 옥살이를 거듭한 범죄자로, 홀리데이를 괴롭혔다. 그 외에도 베니 굿먼, 오슨 웰스 등과 연애를 했지만 그다지 오래가지 못했다. 양성애자였다.

재즈 가수로서 성공은 했지만 인종 차별이 워낙 극심했던 시절이라 알게 모르게 차별을 많이 당했으며[6] 극심한 알코올과 마약 중독 때문에 가난에 시달렸고 나중엔 듀크 엘링턴이나 마일스 데이비스에게 약값을 빌리는 지경에 이르기도 했다. 그래서 보다못한 마일스는 마약 중독 치료를 권할 정도였다.

1950년에 들어서는 이러한 마약과 알코올 중독이 그녀의 삶을 완전히 갉아먹기 시작했다. 덕분에 그녀는 이 이후 금단과 중독을 계속해서 왔다갔다 하며 스스로를 괴롭혔다. 삶의 마지막까지 녹음을 했으며 1959년 5월 맨해튼에 위치한 자신의 아파트에서 쓰러진 이후 10주간 입원하다 44세의 나이에 삶을 마감했다. 마약와 알코올로 인해 어찌나 몸이 망가졌는지 뉴욕의 메트러팔러턴 병원에 입원했을 때 아무도 그녀를 알아보지 못하였다. 진료 기록에도 ‘병명 : 마약 중독 말기, 치료 방법 없음’이라고 적힐 정도였다.

게다가 마약 중독 이후로 목소리가 천천히 망가졌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수많은 팬들 가운데는 마약에 중독돼서 갈라진 목소리로 부르는 노래를 오히려 더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한층 더 호소력이 있는 목소리로 느껴지게 된 것이다.

이처럼 그녀는 흑인으로 태어나 사창가를 전전하며 밑바닥 인생을 살았고, 남편들도 전부 막장이였으며, 말년엔 약물 중독으로 고생했기에 평생 행복한 삶을 살지 못했다. 그래서 지인들은 장례식 때 슬퍼하며 홀리데이는 죽어서야 진짜 행복해졌다고 말했을 정도다. 근데 역설적으로 별명은 "Lady day". 그 별명은 무대 위에서만큼은 언제나 머리에 하얀 치자꽃을 꽂고 정갈하고 품위 있게 노래했던 그녀에게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별명이 되었다.

3. 음악 성향

초기 음색은 팬들이 기억하는 말년, 즉 그녀가 삶을 마감하면서 부른 음반 Lady in Satin에 비하면 감성을 극으로 쥐어짜는 그 정도는 아니었지만 확실히 특이한 보컬임에는 분명했다. 그런 그녀에게 훗날 기자들이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에게 묻자, 블루스 싱어인 베시 스미스와 루이 암스트롱 외에 별다른 영향을 받은 사람은 없다고 말한 것은, 그녀의 특이한 목소리는 다분히 천성적인 것이라는 것의 방증이다.

음악적으로는 카운트 베이시 악단에서 만난 레스터 영과 상성이 잘 맞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홀리데이는 그를 향해 "프레지던트 레스터"의 약자인 "Pres"라 부르고, 레스터 영은 그녀를 "Lady day"라 부르며 서로를 존중했다. 실제로 영이 피아니스트 테디 윌슨 쿼텟과 함께한 1956년에 발매한 음반명은 Pres and Teddy다.

그녀의 가창력과 정교함은 엘라 피츠제럴드에 비교할 수가 없었으며, 새러 본의 아름답고도 풍부한 음색에도 비교할 수 없었다.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3대 여성 재즈 보컬로 꼽히는 이유는 그녀의 노래에서는 가창력과 음색 같은 것을 떠나 마음을 울리는 무언가가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있으며 혹자는 블루스에 가장 어울리는 목소리라고도 평했다.
Fine And Mellow

1957년 CBS의 재즈 프로그램 '재즈 소리 The Sound of Jazz'에 출연해 자작곡인 Fine and Mellow를 부르는 영상이다. 말년의 연주라 목소리 톤도 많이 노쇠해지고 음역도 좁아졌지만, 얼핏 냉소적으로 들리면서도 뭔가 울컥하는 감정을 전해주는 특유의 클래스는 여전한 모습이다. 반주를 맡은 밴드 멤버들도 대부분이 재즈 계에서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였다는 점에서 말년까지도 홀리데이가 얼마나 거물급이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대중에게 많이 각인된 노래 I'm A Fool to Want You가 있다.

혼 섹션은 홀리데이의 노래에 이어지는 솔로 순서대로 벤 웹스터(테너색소폰)-레스터 영(테너색소폰)-빅 디컨슨(트롬본)-게리 멀리건(바리톤색소폰)-콜먼 호킨즈(테너색소폰)-로이 엘드리지(트럼펫). 이외에도 노래가 나오는 동안 닥 치덤이 약음기 끼운 트럼펫으로 솔로 오블리가토를 곁들이고, 리듬 섹션에서는 대니 바커(기타), 밀트 힌튼(베이스), 맬 월드런(피아노), 오시 잔슨(드럼)이 연주한다.

4. 평가 및 영향력

대체적으로 그녀의 삶이 워낙에 비극으로 점철되어 있다보니, 재즈 보컬 가운데 가장 감성을 극대화 시키는 보컬리스트로 알려져 있다. 물론 엘라 피츠제럴드새러 본, 카먼 머크레이, 애비 링컨과 같은 동시대의 여성 재즈 보컬리스트들 역시 그다지 순탄한 삶을 산건 아니지만[7] 홀리데이는 그중에서도 가장 굴곡 많은 삶을 산 것은 확실하다. 20세기 초 흑인+미혼모+창부+이혼녀+약물 크리가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아픔을 공유할 수 있는 지점이 있어서 인듯.

5. 영상

I'm A Fool to Want You
Strange Fruit

6. 기타

7. 매체에서

8. 둘러보기

빌리 홀리데이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빌리 홀리데이
BILLIE HOLIDAY
헌액 부문 개척자 (Early Influences)
멤버 (개인 자격)
입성 연도 2000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890~1949년대 최고 아티스트
<rowcolor=#000,#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듀크 엘링턴루이 암스트롱빌리 홀리데이로버트 존슨베니 굿맨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찰리 파커행크 윌리엄스빙 크로스비베시 스미스냇 킹 콜
11위 ~ 276위: 공식 사이트
''
''
''''
''''
}}}}}}}}} ||

파일:AllMusic_Text_Logo.svg.png
ALLMUSIC 선정 올타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장르 중복 제외)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올뮤직의 2017년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세계 최대의 음악 데이터베이스 사이트 및 웹진으로, '모든 음악'이라는 사이트 이름에 걸맞게 장르와 국적을 불문한 전 세계 온갖 음반, 뮤지션과 그에 관한 정보와 리뷰를 찾아볼 수 있다. 세계의 300만 장 이상의 온갖 음반, 100만 명 이상의 뮤지션의 데이터, 3,000만 이상 트랙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른 아티스트들에게 가장 많이 영향을 준 아티스트의 순위를 매겼다. 장르 별로 구분한 "장르 중복 제외" 리스트다.
<rowcolor=#fff>1위(Pop/Rock)2위(Jazz)3위(Electronic)4위(R&B)5위(Country)
비틀즈마일스 데이비스크라프트베르크제임스 브라운행크 윌리엄스
<rowcolor=#fff>6위(Rap)7위(Blues)8위(Vocal)9위(Reggae)10위(Classical)
N.W.A머디 워터스빌리 홀리데이밥 말리존 케이지
공식 사이트 : 링크, 기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0 Voices of the Century
※ 2001년 영국 BBC 방송이 약 44,756명의 대중들과, 현직 가수들, 음악 전문가를 상대로 조사한 투표를 바탕으로 '20세기의 목소리'를 선정
1위2위3위4위5위
프랭크 시나트라 엘비스 프레슬리 냇 킹 콜 엘라 피츠제럴드 빙 크로스비
6위7위8위9위10위
존 레논 아레사 프랭클린 빌리 홀리데이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프레디 머큐리
출처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23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000,#ddd ※ 롤링 스톤2023년 새해를 맞아 2008년에 발표됐던 위대한 가수 리스트를 리뉴얼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아레사 프랭클린 휘트니 휴스턴 샘 쿡 빌리 홀리데이 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레이 찰스 스티비 원더 비욘세 오티스 레딩 알 그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 - 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리틀 리처드 존 레논 팻시 클라인 프레디 머큐리 밥 딜런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프린스 엘비스 프레슬리 셀리아 크루즈 프랭크 시나트라 마빈 게이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니나 시몬 아델 스모키 로빈슨 조지 존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 매카트니 돌리 파튼 마할리아 잭슨 샤카 칸 행크 윌리엄스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루서 밴드로스 데이비드 보위 베시 스미스 톰 요크 더스티 스프링필드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커트 코베인 밴 모리슨 커티스 메이필드 루이 암스트롱 알리야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에타 제임스 테디 펜더그래스 아리아나 그란데 제임스 브라운 엘라 피츠제럴드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마비스 스테이플스 린다 론스태드 토니 브랙스턴 로드 스튜어트 조니 미첼
5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1/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파일:cos 로고.jpg파일:cos_로고_다크.png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6년 영화/음악/TV를 주제로 다루는 컨시퀀스 잡지 스태프들이 '가장 위대한 가수 Top 100'을 선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이클 잭슨 빌리 홀리데이 프레디 머큐리 아레사 프랭클린 제임스 브라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휘트니 휴스턴 로이 오비슨 에이미 와인하우스 로버트 플랜트 비요크
11위부터는 문서 참조.
같이보기: 사운드트랙, 힙합, 이모, 인더스트리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Greatest jazz artist of all time
※ 2015년 BBC 라디오와 재즈 FM 청취자들이 투표 후 BBC 뮤직 재즈가 편찬했다.
1위2위3위4위5위
마일스 데이비스 루이 암스트롱 듀크 엘링턴 존 콜트레인 엘라 피츠제럴드
6위7위8위9위10위
찰리 파커 빌리 홀리데이 델로니어스 몽크 빌 에반스 오스카 피터슨
출처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



[1] 태어날 당시 아버지가 누군지 몰랐기에 어머니인 세이디 페이건의 성을 따라 엘러노러 페이건이라 불렸다.[2] 동료인 레스터 영이 지어준 별명이며 후에 고유명사격으로 불린 애칭이 된다.[3] 이 당시는 백인이 흑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를 저질러도 경찰이 제대로 된 처벌을 하지 않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4] 잔인하게 살해된 흑인들의 사진이 가사와 함께 실려 있으니 주의바람.[5] 허나 모 백인 여성은 클럽에서 노래하는 홀리데이에게 이 곡을 신청하면서 "그 왜 검둥이가 나무에 매달려 죽는 섹시한 노래."라고 평했다. 당시 흑인들의 대우가 어땠는지 잘 알려주는 대목. 꽤 충격이 컸는지 빌리는 이후 자서전에 비판적인 논조로 그 일화를 수록한다.[6] 연주자 아티 쇼의 부름에 클럽에 갔다가 흑인이라는 이유로 뒷문으로 쫓겨난 일화는 유명하다. 백인 악단원들은 아무도 그녀와 식사하지 않았고 흑인이라는 이유로 동료들과 같은 호텔을 못 들어가 그녀만 다른 호텔을 잡아야 했다.[7] 사실 새러 본은 큰 문제에 휘말리지 않고 평범한 삶을 살았다. 피츠제럴드는 결혼 생활이 굴곡이 있고 말년에 병으로 고생했지만, 본처럼 자기관리가 확실해서 비교적 깔끔했던 편이다. 반면 홀리데이는 이 둘에 비해 상당히 불행했고, 자기관리도 잘 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