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삼보 | |
경전 | 불경(경장 · 율장 · 논장)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번 · 마니륜 · 금강령 · 죽비 · 정병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사십구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감로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불교 용어 | }}}}}}}}} |
중국어 | 寶相華文(정체자)·宝相花纹(간체자) |
일본어 | 宝相華紋·宝相華文 |
영어 | Bao Xiang Hua Flower Pattern |
1. 개요
불교 세계에 등장하는 가상의 꽃들을 새긴 무늬장식의 일종.2. 특징
'보상화문(寶相華文)'이라고도 부르며, "보상화"라고 불리는 가상의 식물을 새긴 무늬를 일컫는다. 여러 방향의 꽃잎, 그리고 때때로 꽃잎 사이에 작게 빛, 덩굴이나 풀 등을 새기기도 한다. 주로 모란, 연꽃 등이 모티브가 되는 경우가 많다.3. 역사
보상화무늬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후한이지만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약 7세기 쯤으로, 7세기 이전에도 그리스 및 알렉산드로스 제국 때부터 보화문이라는 문양이 있었고 고대 동아시아권에서도 보상화무늬와 비슷한 문양들이 쓰였다. 7세기 사산 왕조 페르시아 등 서역으로부터 전해진 식물무늬들이 중국에 전해졌고, 수당시대에 더욱 즐겨 쓰거나 발전했다. 처음에는 주로 여섯 잎까지였다가 이후 여덟 잎으로 더 늘어났다. 나중에 열 가지 이상의 잎으로 늘어나기도 했다.한국에서는 삼국시대 말기부터 비슷한 문양이 알려졌다. 백제시대 기와에서도 보상화무늬 비슷한 무늬가 새겨진 기와가 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보상화무늬와 비슷한 무늬가 그려진 벽화가 있었던 걸 볼 때 고구려에도 알려졌다. 한국에서 장식으로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시대, 그리고 발해와 고려 시대에 발전되었다.
4. 관련 문서
- 경주 월지 보상화무늬 전
- 청동 금은평탈 보상화무늬 거울
- 백자 청화 보상화당초문 접시
- 은평탈 보상화무늬 거울
- 청화 보상화당초문 반
- 백자 청화 보상화당초문 항아리
- 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
- 경주 인용사지 봉황무늬 전
-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고려국 금자대장경 대보적경
- 정창원 신라 양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