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2대 천황에 대한 내용은 메이지 덴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대 | ||||||
{{{#!wiki style="" | }}} | ||||||
{{{#!wiki style="" | |||||||
}}} | |||||||
{{{#!wiki style="" | }}} | ||||||
가마쿠라 시대 | {{{#!wiki style="" | }}} | |||||
무로마치 시대 | {{{#!wiki style="" | ||||||
}}} | |||||||
{{{#!wiki style="" | }}} | ||||||
}}}}}}}}} |
일본의 연호 | |||
고메이 천황 | 메이지 천황 | 다이쇼 천황 | |
← [ruby(慶應, ruby=けいおう)] 게이오 | [ruby(明治, ruby=めいじ)] 메이지 | [ruby(大正, ruby=たいしょう)] → 다이쇼 | |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개막 | 1868년 10월 23일 | ||
종막 | 1912년 7월 29일 (메이지 천황 붕어, 다이쇼 천황 즉위 및 다이쇼 연호 공포) | ||
기간 | 43년 9개월 6일 | ||
천황 | 메이지 천황 | ||
내각총리대신 |
1. 개요2. 메이지 유신3. 출생
3.1. 메이지 원년~9년(1868~1876)3.2. 메이지 10년대(1877~1886)3.3. 메이지 20년대(1887~1896)3.4. 메이지 30년대(1897~1906)3.5. 메이지 40년대(1907~1912)3.6. 창작물
4. 사건4.1. 메이지 원년~메이지 9년(1868년~1876년)4.2. 메이지 10년대(1877년~1886년)4.3. 메이지 20년대(1887년~1896년)4.4. 메이지 30년대(1897년~1906년)4.5. 메이지 40년대(1907년~1912년)
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clearfix]
1. 개요
메이지([ruby(明治, ruby=めいじ)])는 메이지 천황이 재위했던 시기에 사용한 일본의 연호이다. 시대 구분으로 서력으로는 1868년~1912년에 해당한다.유럽의 벨 에포크 시대(1871~1914)와 기간이 거의 일치한다. 한자로는 明治(명치), 전각 문자 한 글자 공간에 넣으면 ㍾.
《주역》<설괘전(說卦傳)>에 나오는 ‘聖人南面而聽天下嚮明而治(성인남면이청천하향명이치: 성인은 남쪽을 향하여 앉아 천하를 듣고, 밝은 곳을 향하여 다스린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이 연호는 1428년부터 후보로 등장했으나[1] 총 10번이나 탈락한 뒤 겨우 선정되었다.
이 시절부터 일세일원제(一世一元制)[2]가 채택되었기 때문에 무쓰히토 천황의 재위기간을 메이지 시대라고 부르며, 무쓰히토 천황을 가리켜 메이지 천황이라고도 부른다.
사실 메이지 천황 즉위 이듬해인 1868년까지 선황인 고메이 천황의 연호인 게이오(慶應)를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의 일세일원제는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본래 동아시아권의 연호는 군주가 사망하더라도 당해년까지는 전황의 재위년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1867년까지 게이오 연호를 쓴 것은 정상적이다. 하지만 메이지라는 연호가 채택된 것은 1868년 9월인데, 사망한 전임 천황의 연호를 1년 넘게 사용했다는 점은 확실히 드문 예라고 할 수 있다. 여하튼 메이지로 개원함과 동시에 연호를 1868년 1월까지 당겨서 소급적용했기 때문에 일세일원제가 확립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즉, 1868년 음력 9월 8일(양력 10월 23일), 연호를 '메이지'로 개원하면서 이를 소급하여 게이오 4년 1월 1일부터 메이지 원년 1월 1일로 고쳤다. 그리고 '일세일원의 조'를 발표해 이제부터는 한 천황에 하나의 연호만을 쓰도록 공포했다.
실질적으로는 1868년 10월 23일에 메이지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메이지 5년 11월 9일(양력 12월 9일)에 태정관포고 337호(개력의 포고)를 공포, 메이지 5년 12월 2일(양력 1872년 12월 31일)까지만 태음력(천보력)을 사용하고, 그 이튿날을 메이지 6년 1월 1일(양력 1873년 1월 1일)로 고치면서 태음력을 폐지하고 태양력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메이지 5년 12월 3일부터 12월 30일까지의 28일간은 존재하지 않는다.[3]
문제는 근대 일본은 연대를 셀 때 서력기원을 병기하지 않고, 연호만을 표기했기 때문에, 메이지 20년대와 30년대는 각각 1887년부터 1896년, 1897년부터 1907년이 되어 우리에게 익숙한 서기연도와 대응시켜 이해하기가 힘들다.
2. 메이지 유신
자세한 내용은 메이지 유신 문서 참고하십시오.3. 출생
3.1. 메이지 원년~9년(1868~1876)
3.2. 메이지 10년대(1877~1886)
3.3. 메이지 20년대(1887~1896)
3.4. 메이지 30년대(1897~1906)
- 마사코 여왕[5]
- 고준 황후 (쇼와 천황의 정실 부인이자 황후이면서 前 아키히토의 친어머니이자 現 나루히토의 할머니)
- 이케다 하야토
- 키무라 지로우에몬[6]
- 다나카 가네[7]
-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
- 오즈 야스지로
- 류 치슈
- 반 준자부로
- 사토 에이사쿠
- 쇼지 타로
- 후쿠다 다케오
-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 쇼와 천황
3.5. 메이지 40년대(1907~1912)
3.6. 창작물
4. 사건
일본 국내외에서 있던 사건 모두 포함한다.연도 표기는 메이지 연호와 서기 병기.
이중에서 몇몇에 해당하는 사건은 아래와 같이 표기.
- 조선, 일본 양국과 연관된 사건(1910년 8월 29일 이전): <朝日>
- 일본 국외에서 있었던 사건 중 일본과 연관된 사건: <日外>
- 일본 제국의 식민지에서 발생한 사건: <植>
- 일본 제국의 전쟁과 관련된 사건: <日帝戰>
4.1. 메이지 원년~메이지 9년(1868년~1876년)
- 메이지 덴노의 '오개조의 어서문' 발표로 메이지 시대가 시작 - 메이지 원년(1868년) 3월 14일
- 에도(江戶)를 도쿄로 개명 - 메이지 원년(1868년) 10월 13일
- 에조 공화국의 항복으로 보신전쟁이 종전 - 메이지 2년(1869년) 5월 18일
- 다이묘들이 자신의 영지를 천황에게 반납하는 판적봉환이 이루어지면서 봉건 정치 체제가 폐지되고 근대적 중앙집권체제가 도입됨 - 메이지 2년(1869년) 7월 25일
- 일본군 창설 - 메이지 4년(1871년) 1월 4일
- 일본 최초의 우표인 용문절수([ruby(竜文切手,ruby=リュウモンキッテ)])가 발행됨 - 메이지 4년(1871년 4월 20일
- 폐번치현 실시 - 메이지 4년(1871년) 8월 29일
-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 - 메이지 4년(1871년) 11월 12일
- 일본의 문신 불법화 - 메이지 5년(1872년)
- 제1번 중학(第一番中学)[12]의 미국인 교사인 호레이스 윌슨(Horace Wilson)이 학생들에게 야구를 가르쳐 주면서 일본에서 처음으로 야구가 시작됨 - 메이지 5년(1872년)
- 도쿄에서 두번째로 대화재가 발생하여 마루노우치, 긴자, 츠키지 일대 등 도쿄의 중심지가 전소됨 - 메이지 5년(1872년) 2월 26일
- 일본의 철도가 최초 개통(시나가와역~요코하마역(現 사쿠라기초역) 구간, 도카이도 본선의 구간 중 하나) - 메이지 5년 (1872년) 6월 12일
-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서 정식으로 온도계를 이용한 일본최초의 공식적인 기상 관측이 시작됨 - 메이지 5년(1872년) 8월 26일
-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이 가라후토-치시마 교환조약을 체결함 - 메이지 8년(1875년) 5월 7일
- 일본 도쿄에서의 첫번째 공식 기상 관측이 시작됨 - 메이지 8년(1875년) 6월 5일
- 일본의 조선에 대한 군사적 압박<朝日> - 메이지 8년(1875년) 9월 20일
- 도시샤대학 개교 - 메이지 8년(1875년)
- 조일수호조규<朝日> - 메이지 9년(1876년) 2월 27일
- 폐도령 포고 - 메이지 9년(1876년) 3월 28일
- 김기수를 중심으로 한 조선의 1차 수신사가 일본에 파견됨<朝日> - 메이지 9년(1876년) 4월 4일
- 일본 최초의 학사학위 수여기관인 삿포로농학교가 설립됨 - 메이지 9년(1876년) 8월 14일
4.2. 메이지 10년대(1877년~1886년)
- 김홍집을 중심으로 한 2차 수신사가 일본에 파견됨<朝日> - 메이지 13년(1880년) 5월 28일
- 강화도 조약의 무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병호를 중심으로 한 3차 수신사가 일본에 파견됨<朝日> - 메이지 14년(1881년)
조사 시찰단이 일본에 파견됨<朝日> - 메이지 14년(1881년) 1월 11일 - 임오군란에 대한 책임 문제로조일강화조약(朝日講和條約)이 체결됨<朝日> - 메이지 15년(1882년) 8월 30일
- 전권대신 겸 수신사로 임명된 박영효를 중심으로 한 4차 수신사가 일본에 파견됨<朝日> - 메이지 15년(1882년)
- 조일통상장정이 체결됨<朝日> - 메이지 16년(1883년) 7월 25일
- 갑신정변이 발발하다가 삼일천하로 끝남<朝日> - 메이지 16년(1883년) 12월 4일 ~11일
- 마츠시마 사건이 발생 - 메이지 17년(1884년) 1월 4일
-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성조약이 체결됨<朝日> - 메이지 18년(1885년) 1월 9일
- 일본 제국에 야마노테선의 전신인 '시나가와선'이 개통되었다 - 메이지 18년(1885년) 3월 1일
- 일본의 내각제 시행, 초대 내각총리대신 임명(이토 히로부미) - 메이지 18년(1885년) 12월 22일
- 나가사키 청국수병 폭동사건 발생 - 메이지 19년(1886년) 8월 13일
4.3. 메이지 20년대(1887년~1896년)
- 대일본제국 헌법 공포 - 메이지 22년(1889년) 2월 11일
- 아시오 광독 사건 발생 - 메이지 23년(1890년)
- 오쓰 사건 발생 - 메이지 24년(1891년) 5월 11일
- 청일전쟁 발발<日帝戰> - 메이지 27년(1894년) 7월 25일
- 청일전쟁 종전<日帝戰> - 메이지 28년(1895년) 4월 17일
- 2차 동학 농민 혁명 진압<日帝戰> - 메이지 28년(1895년)
- 시모노세키 조약, 대만이 일본의 식민지가 됨<植> - 메이지 28년(1895년) 4월 17일
- 명성황후 등 조선왕궁 관계자가 살해당함<朝日> - 메이지 28년(1895년) 10월 8일
- 치하포 사건<朝日> - 메이지 29년(1896년) 3월 9일
4.4. 메이지 30년대(1897년~1906년)
- 의화단 운동 발발<日帝戰> - 메이지 32년(1899년) 11월 2일
- 의화단 운동 종전<日帝戰> - 메이지 34년(1901년) 9월 7일
- 러일전쟁 발발<日帝戰> - 메이지 37년(1904년) 2월 8일
- 가쓰라-태프트 밀약<朝日> - 메이지 38년(1905년) 7월 29일
- 러일전쟁 종전<日帝戰> - 메이지 38년(1905년) 9월 5일
- 히비야 방화 사건 발생 - 메이지 38년(1905년) 9월 5일
- 을사조약 체결<朝日> - 메이지 38년(1905년) 11월 17일
- 통감부 설치<朝日> - 메이지 39년(1906년) 2월 1일
4.5. 메이지 40년대(1907년~1912년)
- 남대문 전투 발발<朝日> - 메이지 40년(1907년) 8월 1일
- 대한제국군 해산<朝日> - 메이지 40년(1907년) 8월 1일부터 9월 3일
- 스티븐스 저격사건 발생<朝日> - 메이지 41년(1908년) 3월 23일
- 남한 대토벌 작전 발발<朝日> - 메이지 42년(1909년) 9월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朝日> - 메이지 42년(1909년) 10월 26일
-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멸망<植> - 메이지 43년(1910년) 8월 29일
- 105인 사건<植> - 메이지44년(1911년)
- 신해혁명 발생<日外> - 메이지44년(1911년) 10월 10일[13]
- 메이지 천황의 붕어로 메이지 시대 종막 - 메이지 45년(1912년) 7월 29일
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
대한제국의 구한말만큼이나 서양 문물이 본격적으로 밀고 들어오던 첫 근대화 시기이자 격동의 시대였던지 창작물에서도 배경으로 종종 쓰인다.- 골든 카무이
- 귀멸의 칼날[14]
- 나는 듯이
- 도련님[15]
- 도련님의 시대
- 대역전재판 시리즈
- 다이쇼 로망(YOASOBI) - 2021년 9월 15일에 낸 YOASOBI의 신곡
- 라스트 사무라이
- 란만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바케바케
- 반딧불이의 혼례
- 언덕 위의 구름 - 드라마판 언덕 위의 구름
- 이즈모零
- 죽은 소녀를 위한 파반
- 택틱스
- 토탈 워: 쇼군2/사무라이의 몰락
팰리스 메이지[16]- 메이지 비색기담
- 요란 THE PRINCESS OF SNOW AND BLOOD - 다만 이쪽은 메이지 64년이라는 평행세계관이다.
- 夜詛YASO curse of soirée
[1] 1428, 1487, 1648, 1652, 1681, 1711, 1748, 1848, 1861, 1864[2] 한 군주가 재위기간 내내 한 연호만을 쓰고, 군주가 바뀌면 연호도 동시에 바꾸는 제도. ex) 요시히토 - 다이쇼, 히로히토 - 쇼와, 아키히토 - 헤이세이, 나루히토 - 레이와 / 군주가 일세일원제 이전처럼 정치적 혹은 주술적인 이유로 연호를 수시로 갈아치우면 해(연도)를 셀 때 여러 가지로 피곤해지기 때문에 한번 연호를 정하면 못 바꾸도록 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앞서 명대부터 시행되었다. 일본에서는 일세일원제 시행 이후 연호를 알파벳 이니셜로 표기하는 관습이 있다. 메이지는 M, 다이쇼는 T, 쇼와는 S, 헤이세이는 H, 레이와는 R 하는 식이다. 그런 이유로 새 연호를 채택할 때 뜻은 물론이거니와 알파벳 이니셜도 이전 것과 겹치지 않도록 정한다.[3] 메이지 5년까지는 태음력을 사용했기 때문에 월의 대소가 고정되지 않고 매해 변경되었기 때문에, 본래의 태음력으로는 메이지 5년 12월은 30일이었다.[4] 일본의 최장수 노인이었던 사람.[5] 방계 황족으로 태어났으나 내선일체를 내세운 일본 정부와 황족에서 영친왕과의 정략적인 결혼을 추진해 결혼하였다.[6] 과거 일본의 최장수 노인. 사망 당시인 2013년 한국 나이로 117세. 19세기에 태어난 전세계 남성 중 최후의 1인. 1920년대 문화통치시기에 조선총독부에서 통역으로 잠깐 일한 경력이 있으며, 이후엔 우체부로 살았다.[7] 1903년~2022년. 122세에 사망한 잔 루이즈 칼망 다음으로 장수한 인물이다.[스포일러] 소녀왕국표류기의 촌장 할멈으로 사실 1854년생으로 18세 때인 1872년에 유럽의 기술을 배우러 갔다가 아이란도에 정착 후로 섬에서 147년 더 산 인간형 요괴.[9] 원작 기준으로, 애니메이션을 기준으로 할 경우 다이쇼 태생이다.[10] 제목대로 주요 캐릭터들은 다이쇼 시대 출신이지만, 이 2명은 7월 30일 이전 출생(타마키 : 2월 7일생, 사치코 : 3월 26일생)이라 시간상으로는 메이지에 해당.[11] 작중 배경이 메이지 말기에서 다이쇼 초기이다.[12] 현 도쿄대학.[13] 당시 중국동맹회에 가입해 봉기에 가담한 외국인들중 일본인들이 가장 많았다고 한다.[14] 이야기 극초반 한정이며 그 이후(2년 뒤)부터는 다이쇼 시대로 진입한다.[15]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이다.[16] 쿠제 반코의 전 7권 분량의 만화. 메이지시대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국가를 배경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