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5 16:39:45

로버트 쿠비차

쿠비차에서 넘어옴

파일: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로고.svg
파일:Hypercar_logo.png2025 WEC 하이퍼카 참가 팀/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정규시즌 엔트리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svg
007번
파일:WEC_Aston_Martin_Valkyrie_007.png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svg
009번
파일:WEC_Aston_Martin_Valkyrie_009.png
파일:UEFA GBR.png 해리 팅크넬
파일:UEFA GBR.png 톰 갬블
파일:UEFA GBR.png 로스 건[RG]
파일:UEFA ESP.png 알렉스 리베라스
파일:UEFA DEN.png 마르코 쇠렌센
파일:UEFA CAN.png 로만 드 안젤리스[RA]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5번
파일:2025_WEC_PORSCHE_PENSKE_MOTORSPORT_963_5.png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6번
파일:2025_WEC_PORSCHE_PENSKE_MOTORSPORT_963_6.png
파일:UEFA FRA.png 줄리앙 앙들라우어
파일:UEFA DEN.png 미카엘 크리스텐센
파일:UEFA FRA.png 마티유 자미네[JAM]
파일:UEFA GER.png 니코 뮐러[대체]
파일:UEFA FRA.png 케빈 에스트레
파일:UEFA AUS.png 맷 캠벨[CAM]
파일:UEFA BEL.png 로렌스 반투르
파일:UEFA GER.png 파스칼 베를라인[대체]
파일:토요타 로고.svg
7번
파일:2025_WEC_TOYOTA_GAZOO_RACING_GR010_7.png
파일:토요타 로고.svg
8번
파일:2025_WEC_TOYOTA_GAZOO_RACING_GR010_8.png
파일:UEFA JPN.png 코바야시 카무이
파일:UEFA GBR.png 마이크 콘웨이
파일:UEFA NED.png 닉 더프리스
파일:UEFA JPN.png 히라카와 료
파일:UEFA SUI.png 세바스티앙 부에미
파일:UEFA NZL.png 브렌던 하틀리
파일:캐딜락 로고.svg
12번
파일:2025_WEC_Cadillac_Hertz_Team_Jota_12.png
파일:BMW M 로고.svg
15번
파일:2025_WEC_BMW_M_Team_WRT_M_Hybrid_V8_15.png
파일:UEFA GBR.png 알렉스 린
파일:UEFA FRA.png 노먼 나토
파일:UEFA GBR.png 윌 스티븐스
파일:UEFA BEL.png 드리스 반투르
파일:UEFA DEN.png 케빈 마그누센
파일:UEFA SUI.png 라파엘레 마르치엘로
파일:BMW M 로고.svg
20번
파일:2025_WEC_BMW_M_Team_WRT_M_Hybrid_V8_20.png
파일:알핀 로고.svg
35번
파일:2025_Alpine_A424_35.png
파일:UEFA GER.png 르네 라스트
파일:UEFA RSA.png 셸든 반더린데
파일:UEFA NED.png 로빈 프라인스
파일:UEFA FRA.png 폴루 샤탕
파일:UEFA FRA.png 샤를 밀레시
파일:UEFA AUT.png 페르디난트 합스부르크
파일:알핀 로고.svg
36번
파일:2025_WEC_Alpine_A424_36.png
파일:캐딜락 로고.svg
38번
파일:2025_WEC_Cadillac_Hertz_Team_Jota_38.png
파일:UEFA FRA.png 쥘 구농
파일:UEFA GER.png 믹 슈마허
파일:UEFA FRA.png 프레데릭 마코윅키
파일:UEFA NZL.png 얼 밤버
파일:UEFA GBR.png 젠슨 버튼
파일:UEFA FRA.png 세바스티앙 보르데
파일:페라리 로고.svg
50번
파일:2025_WEC_Ferrari_AF_Corse_499P_50.png
파일:페라리 로고.svg
51번
파일:2025_WEC_Ferrari_AF_Corse_499P_51.png
파일:UEFA ITA.png 안토니오 푸오코
파일:UEFA DEN.png 니클라스 닐센
파일:UEFA ESP.png 미겔 몰리나
파일:UEFA ITA.png 알레산드로 피에르 귀디
파일:UEFA GBR.png 제임스 칼라도
파일:UEFA ITA.png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파일:푸조 로고.svg
93번
파일:2025_WEC_Peugeot_Total_Energies_9X8_93.png
파일:푸조 로고.svg
94번
파일:2025_WEC_Peugeot_Total_Energies_9X8_94.png
파일:UEFA SCO.png 폴 디 레스타
파일:UEFA FRA.png 장에릭 베르뉴
파일:UEFA DEN.png 미켈 옌센
파일:UEFA DEN.png 말테 야콥센
파일:UEFA BEL.png 스토펠 반두른
파일:UEFA FRA.png 로익 뒤발
파일:페라리 로고.svg
83번
파일:2025_AF_Corse_83.png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99번
파일:2025_WEC_Proton_Competition_963_99.png
파일:UEFA POL.png 로버트 쿠비차
파일:UEFA GBR.png 필 핸슨
파일:UEFA CHN.png 예 이페이
파일:UEFA CHI.png 니코 피노
파일:UEFA ARG.png 니콜라스 바로네
파일:UEFA SUI.png 닐 야니
일부경기 엔트리 (르망 24시 포함)
파일:포르쉐 로고(엠블럼, 워드마크).svg
4번
파일:국기.svg
파일:캐딜락 로고.svg
101번
파일: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나스르
파일:영국 국기.svg 닉 탠디
파일:독일 국기.svg 파스칼 베를라인
파일:미국 국기.svg 리키 테일러
파일:미국 국기.svg 조던 테일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필리페 알버커키
파일:캐딜락 로고.svg
311번
파일: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잭 에이킨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드루고비치
파일:덴마크 국기.svg 프레데릭 베스티
* 제조사, 차량 칸 모두가 회색인 차량은 르망 24시 한정 참가 차량이며 어떤 챔피언십 포인트도 획득할 수 없다.
각주 [ 펼치기 · 접기 ]

[RG] 1,4,8라운드만 출전[RA] 1,4,8라운드만 출전[JAM] 1,4,8라운드만 출전[대체] IMSA 라구나 세카전 출전하는 캠벨과 자미네 대체[CAM] 1,4,8 라운드만 출전[대체]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그랑프리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px;"
{{{#!folding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주세페 파리나 1950 영국 그랑프리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마누엘 판지오 1950 모나코 그랑프리
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니 파슨스 1950 인디애나폴리스 500
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리 왈러드 1951 인디애나폴리스 500
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파졸리 1951 프랑스 그랑프리
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프로일란 곤살레스 1951 영국 그랑프리
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1951 독일 그랑프리
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피에로 타루피 1952 스위스 그랑프리
9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트로이 루트만 1952 인디애나폴리스 500
1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빌 부코비치 1953 인디애나폴리스 500
11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호손 1953 프랑스 그랑프리
1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모리스 트랭티냥 1955 모나코 그랑프리
1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밥 스웨이커트 1955 인디애나폴리스 500
14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1955 영국 그랑프리
1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무소 1956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1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팻 플래허티 1956 인디애나폴리스 500
17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콜린스 1956 벨기에 그랑프리
1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샘 행크스 1957 인디애나폴리스 500
19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1957 영국 그랑프리
2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지미 브라이언 1958 인디애나폴리스 500
21 파일:호주 국기.svg 잭 브라밤 1959 모나코 그랑프리
2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로저 워드 1959 인디애나폴리스 500
23 파일:스웨덴 국기.svg 요 보니에르 1959 네덜란드 그랑프리
2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루스 맥라렌 195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25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짐 라스만 1960 인디애나폴리스 500
26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필 힐 1960 이탈리아 그랑프리
27 파일:독일 국기.svg 볼프강 폰 트립스 1961 네덜란드 그랑프리
2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잔카를로 바게티 1961 프랑스 그랑프리
29 파일:영국 국기.svg 이네스 아일랜드 1961 미국 그랑프리
30 파일:영국 국기.svg 그레이엄 힐 1962 네덜란드 그랑프리
31 파일:영국 국기.svg 짐 클락 1962 벨기에 그랑프리
32 파일:미국 국기.svg 댄 거니 1962 프랑스 그랑프리
33 파일:영국 국기.svg 존 서티스 1963 독일 그랑프리
34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로렌초 반디니 1964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5 파일:영국 국기.svg 재키 스튜어트 1965 이탈리아 그랑프리
36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긴서 1965 멕시코 그랑프리
3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도비코 스카피오티 1966 이탈리아 그랑프리
38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페드로 로드리게스 1967 남아공 그랑프리
3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니 흄 1967 모나코 그랑프리
40 파일:벨기에 국기.svg 재키 익스 1968 프랑스 그랑프리
41 파일:스위스 국기.svg 요 지페르트 1968 영국 그랑프리
4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요헨 린트 196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7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43 파일:스위스 국기.svg 클레이 레가조니 1970 이탈리아 그랑프리
4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에머슨 피티팔디 1970 미국 그랑프리
45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안드레티 1971 남아공 그랑프리
46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게딘 1971 이탈리아 그랑프리
4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수아 세베르 1971 미국 그랑프리
4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벨투아즈 1972 모나코 그랑프리
49 파일:스웨덴 국기.svg 로니 피터슨 1973 네덜란드 그랑프리
50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 레브슨 1973 프랑스 그랑프리
5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레우테만 1974 남아공 그랑프리
5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니키 라우다 1974 스페인 그랑프리
53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조디 셱터 1974 스웨덴 그랑프리
5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카를로스 파시 1975 브라질 그랑프리
55 파일:독일 국기.svg 요헨 마스 1975 스페인 그랑프리
56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헌트 1975 네덜란드 그랑프리
5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비토리오 브람빌라 1975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8 파일:영국 국기.svg 존 왓슨 1976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9 파일:스웨덴 국기.svg 군나르 닐손 1977 벨기에 그랑프리
60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라피트 1977 스웨덴 그랑프리
61 파일:호주 국기.svg 앨런 존스 197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6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드파일러 1978 모나코 그랑프리
63 파일:캐나다 국기.svg 질 빌르너브 1978 캐나다 그랑프리
64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피에르 자부이 1979 프랑스 그랑프리 }}}}}}{{{#!folding [ 198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65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네 아르누 1980 브라질 그랑프리
66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넬슨 피케 1980 미국 서부 그랑프리
67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피로니 1980 벨기에 그랑프리
68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프로스트 1981 프랑스 그랑프리
69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리카르도 파트레제 1982 모나코 그랑프리
7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톰베이 1982 독일 그랑프리
7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엘리오 드 안젤리스 1982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72 파일:핀란드 국기.svg 케케 로즈버그 1982 프랑스 그랑프리
73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미켈레 알보레토 1982 시저스 팰리스 그랑프리
7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아일톤 세나 1985 포르투갈 그랑프리
75 파일:영국 국기.svg 나이젤 만셀 1985 유럽 그랑프리
7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게르하르트 베르거 1986 멕시코 그랑프리
77 파일:벨기에 국기.svg 티에리 보우트센 1989 캐나다 그랑프리
7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레산드로 난니니 1989 일본 그랑프리 }}}}}}{{{#!folding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79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1992 벨기에 그랑프리
80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먼 힐 1993 헝가리 그랑프리
81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알레시 1995 캐나다 그랑프리
82 파일:영국 국기.svg 조니 허버트 1995 영국 그랑프리
83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1995 포르투갈 그랑프리
84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1996 유럽 그랑프리
85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리비에 파니스 1996 모나코 그랑프리
86 파일:독일 국기.svg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1997 산마리노 그랑프리
87 파일:핀란드 국기.svg 미카 하키넨 1997 유럽 그랑프리
88 파일:영국 국기.svg 에디 어바인 1999 호주 그랑프리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89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2000 독일 그랑프리
90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2001 산마리노 그랑프리
9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2001 이탈리아 그랑프리
92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라이코넨 2003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93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2003 브라질 그랑프리
94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2003 헝가리 그랑프리
95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야르노 트룰리 2004 모나코 그랑프리
96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2006 헝가리 그랑프리
97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사 2006 터키 그랑프리
98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2007 캐나다 그랑프리
99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2008 캐나다 그랑프리
10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2008 헝가리 그랑프리
101 파일:독일 국기.svg 세바스티안 베텔 2008 이탈리아 그랑프리
10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2009 독일 그랑프리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3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2012 중국 그랑프리
10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2012 스페인 그랑프리
105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2014 캐나다 그랑프리
10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베르스타펜 2016 스페인 그랑프리
10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2017 러시아 그랑프리
108 파일:모나코 국기.svg 샤를 르클레르 2019 벨기에 그랑프리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 가슬리 2020 이탈리아 그랑프리
110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2020 사키르 그랑프리
1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스테반 오콘 2021 헝가리 그랑프리
112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2022 영국 그랑프리
113 파일:영국 국기.svg 조지 러셀 2022 상파울루 그랑프리
114 파일:영국 국기.svg 랜도 노리스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115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카 피아스트리 2024 헝가리 그랑프리 }}}}}}}}}}}}}}}
<nopad> 파일:robert-kubica-wec.png
WEC - AF 코르세 No.83
로베르트 유제프 쿠비차
Robert Józef Kubica
출생 1984년 12월 7일 ([age(1984-12-07)]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폴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팀 WEC AF 코르세 (2024~)
F1 BMW 자우버 F1 팀 (2006~2009)
르노 스포트 F1 팀 (2010)
로킷 윌리엄스 레이싱 (2019)
알파 로메오 레이싱 올렌 (2021)[1]
WRC 아부다비 시트로엥 토탈 월드 랠리 팀 (2013)
RK M-스포트 월드 랠리 팀 (2014)
BRC 레이싱 팀 (2016)
주요 경력 F1 경기 참가 : 99회
우승 : 1회
포디움 : 12회
폴포지션 : 1회
파일:5CFEF2D6-EFFE-44C4-9E84-D318150797E1.jpg
쿠비차의 로고

1. 개요2. 선수 경력
2.1. BMW 자우버 F1 팀
2.1.1. 2006 시즌2.1.2. 2007 시즌2.1.3. 2008 시즌2.1.4. 2009 시즌
2.2. 르노 F1 팀
2.2.1. 2010 시즌
2.3. 사고와 시즌 아웃
2.3.1. 2011년2.3.2. 2012년
2.4. WRC와 2013 시즌
2.4.1. 2014 시즌2.4.2. 2015 시즌2.4.3. 2016 시즌
2.5. 2017년2.6. 윌리엄스 레이싱
2.6.1. 2018 시즌2.6.2. F1 복귀, 그리고 2019 시즌
2.7. 알파 로메오 레이싱
2.7.1. 2020 시즌2.7.2. 2021 시즌
2.8. WEC
2.8.1. 2022 시즌
3. 연도별 성적4. 역대 팀메이트와의 상대 전적5. 여담

1. 개요

폴란드 출신의 F1, WRC 드라이버. 롤러코스터와 같은 F1 경력을 가진 드라이버.

2. 선수 경력

2.1. BMW 자우버 F1 팀

파일:Robert Kubica 2008.jpg 파일:Robert Kubica 2008 Sauber.jpg

2.1.1. 2006 시즌

2006년 8월 자크 빌르너브를 대신해 자우버 소속으로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최초의 폴란드 F1 드라이버로 데뷔. 단 세번째 경기만인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3위로 포디엄에 오르면서 주목을 받게 된다.

2.1.2. 2007 시즌

2년차인 2007년에는 닉 하이트펠트와 호흡을 맞춰 BMW로 인수된 자우버가 컨스트럭터 2위로 도약하는데 크게 도움을 줬다. 단, 본인은 39포인트로 팀메이트에 비해 다소 부진했는데[2] 이는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대형 사고로 부상을 입었기 때문.[3] 이 때문에 다음 경기인 미국 그랑프리에서는 결장해야 했는데, 이는 前 F1 1인자인 제바스티안 페텔이 F1에 데뷔하는 계기가 된다.[4]

2.1.3. 2008 시즌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는 자신이 작년에 중상을 입었던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데뷔 첫 승리를 했고 7 포디움으로 75포인트를 기록했다. 시즌 드라이버 순위는 4위로 당당히 BMW 자우버의 1인자로 떠올랐다. 이렇게 승승장구하는 듯 했으나....

2.1.4. 2009 시즌

2009년에는 BMW 자우버가 급추락하면서 쿠비차의 성적도 저점을 찍었다. 17포인트로 이전시즌 4위에서 무려 14위로 10위나 떨어지면서 한 시즌만에 급추락하였다.

2.2. 르노 F1 팀

파일:Robert Kubica 2010.jpg 파일:Robert Kubica 2010 Renault.jpg

2.2.1. 2010 시즌

2009년 후 BMW까지 자우버에서 손을 떼면서 쿠비차도 팀을 떠나기로 결심하게 되었고, 크래쉬 게이트 이후 팀 재건에 여념이 없던 르노가 그의 새 둥지가 되었다. 빗길이라는 난전을 찍었던 호주 그랑프리에서 당당하게 2위로 포디엄에 입성하면서 기량이 건재함을 보였고, 모나코 그랑프리에서는 퀄리파잉에서 무려 2등, 본 경기에서 3등으로 포디엄에 올랐으며, 벨기에 그랑프리에서도 포디엄에 오른다. 이적 첫해 136포인트로 8위를 기록하면서 르노의 에이스로 자리잡았다. [5] 팀도 지니 캐피탈이라는 새 주인을 찾았고 이제 위로 치고 올라갈 일만 남았는가 했는데...

2.3. 사고와 시즌 아웃

2.3.1. 2011년

다시 한번 부상이 그를 덮쳤다. 2011년 2월 6일 이탈리아 제노바 인근에서 열린 랠리에 참가 도중 가드레일을 들이받는 사고로 인해 손, 오른팔, 다리 등에 골절상을 입고 후송된 것. 운전석 쪽으로 충돌해서 쿠비차 자신의 오른쪽 발 뒤꿈치부터 어깨까지 모든 뼈가 부러졌었다고 한다. 7시간 동안의 수술을 통해 팔을 다시 봉합했고 이후로도 17번이나 추가적으로 수술을 하였다. 다행히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부상이 매우 심해서 팔뚝의 일부분을 절단해야 했고, 회복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진단에 따라 결국 그는 시즌 아웃 처리되고 말았다. 대체 드라이버로는 자신의 옛 동료였던 닉 하이트펠트가 들어왔다.[6] 이 사건 때문에 드라이빙 도중 힘이 부친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했으며, 쿠비차가 차기 시트 확보를 하지 못할것이라는 애기가 돌기도 하였다.

2.3.2. 2012년

이번 시즌 복귀를 목표로 순조롭게 재활중이었으나 2012시즌 로터스의 시트를 두고 경쟁자가 많아[7] 과연 무사히 르노의 시트로 돌아올 수 있을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듯.

결국 2012 시즌 로터스의 시트가 키미 라이코넨로맹 그로장으로 확정되면서 이번 시즌에 F1으로 복귀하지 못했다. 페라리가 2012시즌을 끝으로 계약이 만료되는 펠리페 마사의 대안으로 눈독들이고 있다는 루머가 있었지만 이 역시 루머로 끝이 나버렸다.

2.4. WRC와 2013 시즌

2013년 페라리 시트의 주인도 알론소와 마사로 최종 결정. 포스 인디아의 시트도 1년 쉬었던 아드리안 수틸을 복귀시켰고, 쿠비차는 랠리를 뛰다가 또 사고를 냈다고 한다. 사실 그전부터 몸 상태가 좋지 않아 F1 복귀에 부정적이라는 뉴스도 있긴 했지만 그나마 실낱같은 희망을 가지고 있던 팬들의 억장은 무너져 내렸다.

F1 대신 랠리쪽으로 관심을 돌리는듯 하다. 2013-14 시즌엔 유로피안 랠리와 WRC에 꾸준히 나오는 중이다.

2.4.1. 2014 시즌

결국 2014시즌은 F1이 아닌 WRC에 모습을 드러냈다. WRC2에서 속성으로 챔피언을 해먹더니 WRC에 가볍게 승격했다. 하지만 워크스 팀 소속이 아닌 개인팀으로 풀시즌 출전을 했으나 피에스타의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퍼포먼스와 개인팀이면 어쩔 수 없는 자금 조달 부족 엔지니어의 부족등으로 몇 시즌 내내 이렇다 할 성적은 보여주지 못했다. (이따금씩 가공할 만한 기록으로 스테이지 우승을 했지만 그게 랠리 우승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2.4.2. 2015 시즌

결국 올해부터 WRC 출전이 슬슬 뜸해지더니 참가 포기 선언을 해버렸다. 랠리쪽으로는 이제 슬슬 관심을 접는 것 같다.

2.4.3. 2016 시즌

2016년엔 온로드 레이싱으로 복귀했다! 르노 RS 컵과 같은 GT 레이싱에 주로 출전하며 올해를 보냈다. 그리고 2017년 드디어 WEC 바이콜레스 팀에 워크스 드라이버로 풀 시즌 출전이 확정되었다.

2.5. 2017년

2017년 실로 오랜만에 르노 F1 팀에서 공식 테스트를 받았다. 헝가로링 인시즌 테스트에 참가했으며 랩타임은 매우 고무적이었다고.

르노는 한 때 쿠비차의 복귀를 고민했으나 결국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를 선택하였다. 랩타임은 괜찮았으나 레이스 모드에서 다쳤던 팔 덕분에 조금 무리가 있다고 판단한 모양. 현재는 F1 시트를 알아보고 있는 중인 듯 하다.

다만 안타깝게도 다친 팔 때문에 바이콜레스 레이싱에서의 WEC 풀시즌 참전은 무산되었다.

2.6. 윌리엄스 레이싱

파일:Robert Kubica 2019.jpg 파일:Robert Kubica 2019 Williams.jpg

2.6.1. 2018 시즌

2018시즌 윌리엄스의 리저브 드라이버로 영입되었다. 머니싸움에서 세르게이 시로트킨에게 밀려 결국 리저브 드라이버로 영입된 듯 하다. 이후 랜스 스트롤이 아버지가 인수한 포스 인디아에 중도 영입되는 것이 기정 사실화되며 그의 복귀 여부에도 주목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윌리엄스의 두 시트 중 하나가 메르세데스의 주니어 드라이버인 조지 러셀에게 넘어간 덕분에, 포스 인디아에서 쫓겨나는 게 기정사실화된 에스테반 오콘과의 시트 경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콘의 경우 아직 경력이 짧고, 러셀 또한 신인이기 때문에 쿠비차에게 유리한 상황. 팀에 한 명은 베테랑 드라이버가 있어야 차가 완성되므로 큰 문제가 없지만 오콘은 아직 그 정도 경력은 아니다. 오콘 또한 한 시즌을 결장해야 하지만 자신의 F1 경력이 끝나는 것은 아니라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결국 2019 시즌에 윌리엄스의 정식 드라이버가 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2010 시즌 이후 9년만에 F1에 복귀하게 된 것.

2.6.2. F1 복귀, 그리고 2019 시즌

쿠비차의 복귀 후 첫 시즌이 되는 2019년은 번호를 리오 하리안토가 사용하던 88번으로 선택했다. 처음에는 로맹 그로장의 8번을 선택하려 했으나 이미 사용중이었고 이탈리아인들이 같은 번호 2개를 쓰면 행운이 될거라는 관습을 따라 88번을 골랐다고 밝혔다. 개막전 호주 GP부터 사고에 휘말려 사이드미러와 프론트 윙에 손상을 입어 피트인했고, 결국 3바퀴나 쳐지며 꼴찌로 들어왔다.[8]

이후 바레인 GP, 중국 GP, 아제르바이잔 GP에서도 최하위만을 담당하고 있다. 인간승리의 표본이자 노장의 복귀임에도 본인의 한계에 너무나도 성능이 뒤떨어지는 윌리엄스의 차라는 악재가 겹치는 안타까운 상황.

다행히 독일 GP의 혼돈의 레이스에서 10위를 기록하며 귀중한 1포인트를 선물했다. 다만 이 이후로 시즌 내내 포인트 추가 획득은 없었다. 러셀은 단 1포인트도 얻지 못하면서 윌리엄스의 2019시즌 유일한 포인트가 되었다.

이후에도 최하위권에 계속 머무르는 중. 시즌 최종전인 아부다비 GP에서는 19위로 경기를 마쳤다.

많은 기대를 받았으나 퀄리파잉에서는 러셀을 한번도 이기지 못했고 레이스에서도 인상깊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2.7. 알파 로메오 레이싱

파일:Robert Kubica Alfa Romeo 2020.jpg

2.7.1. 2020 시즌

많은 기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문제로 인해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고, 결국 2020 시즌 윌리엄스 시트 확보에는 실패했다. 대신 알파 로메오 레이싱의 2020시즌 리저브 드라이버 자리를 따냈다고 한다. 물론 쿠비차의 오랜 개인 스폰서인 PKN 올렌도 알파 로메오로 따라가 타이틀 스폰서 자격을 얻었다.

간간이 연습주행 단계에서 랩을 돌며 리저브 드라이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7.2. 2021 시즌

작년과 같이 알파로메오의 리저브로 남았고, 데이토나 24시에서 하이클래스 레이싱 20번 소속[9]으로 LMP2에 참가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안타깝게도 시작한지 얼마 안된 시점에서 차량 이상으로 게러지에서 몇시간을 소비하다가 리타이어했다.

특별한 일 없으면 DTM 대신 LMP2에 계속 도전할 것이라고 한다.
2021년 부터 벨기에 국적의 팀 WRT 소속으로 유로피언 르망 시리즈에 참가한다.
파일:ELMS Barcelona LMP2 WIN.jpg
그리고..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ELMS 4시간 경기에서 팀 WRT 41번 차량으로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다!

오랜만에 F1 헝가리 GP FP1에서 키미 라이코넨을 대신하여 참가하였다.

르망 24시에서는 여러 번의 순위 쟁탈 끝에 LMP2 클래스 1위를 차지하는 듯 싶었으나 5분을 남겨두고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쿠비차와 동료 드라이버였던 루이 델라트라즈와 예 이페이를 포함하여 모두 개러지에서 한참을 좌절한 것은 덤.[10]

이어, 13R 네덜란드 GP에서 소속팀의 키미 라이코넨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그를 대신하여 출전하게 되었다. 퀄리파잉 18위에 레이스는 안정적으로 달리며 15위로 완주하였다. 바로 다음 경기인 몬자에서도 키미를 대신하여 달리게 되었다.

결국 ELMS의 파이널 라운드인 포르티망에서 2위로 피니시하면서 2021 ELMS LMP2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2.8. WEC

2.8.1. 2022 시즌

작년에는 팀 WRT 소속으로 파트 출전을 한 이후, 올해부터는 새롭게 출전하는 프레마 레이싱으로 이적하여, WEC 풀시즌에 참전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세브링에서의 프롤로그 1일차에서는 각각 클래스 3위와 1위를, 2일차에서는 6위와 3위를 하며 좋은 시작을 알렸다.

2022년 르망 24시에서 LMP2 클래스 2위로 피니시하며, 지난해의 설욕을 조금이나마 만회할수 있게 되었다.

3. 연도별 성적

시즌 시리즈 경기 우승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포디움 포인트 순위
2001 포뮬러 르노 2000 유로컵 RC 모터스포츠 10 0 1 0 1 46 14위
이탈리아 포뮬러 르노 2000 5 0 0 1 1 27 13위
2002 포뮬러 르노 2000 유로컵 8 0 1 0 2 80 7위
이탈리아 포뮬러 르노 2000 10 4 3 5 6 188 2위
브라질 포뮬러 르노 2000 RS2 1 1 1 1 1 - -
2003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프레마 파워팀 14 1 0 3 2 31 12위
영국 포뮬러 3 2 0 0 0 0 - -
마스터스 오브
포뮬러 3
1 0 0 0 0 - 33위
마카오 그랑프리 타겟 레이싱 1 0 0 0 0 - -
한국 슈퍼 프릭스 1 0 0 0 0 - 6위
2004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뮈케 모터스포츠 20 0 0 0 3 53 7위
마카오 그랑프리 매노어 모터스포츠 1 0 1 1 1 - 2위
2005 포뮬러 르노 3.5 엡실론 유스카디 17 4 3 1 11 154 1위
마카오 그랑프리 칼린 모터스포츠 1 0 0 0 1 - 2위
2006 포뮬러 1 BMW 자우버 F1 팀 6 0 0 0 1 6 16위
2007 16 0 0 0 0 39 6위
2008 18 1 1 0 7 75 4위
2009 17 0 0 0 1 17 14위
2010 르노 F1 팀 19 0 0 1 3 136 8위
2013 유럽 랠리 챔피언십 PH 스포츠 4 0 - - 0 17 29위
WRC2 개인 참가[11] 7 5 - - 6 143 1위
WRC 8 0 - - 0 18 13위
2014 유럽 랠리 챔피언십 RK M 스포트 WRT 1 1 - - 1 39 13위
WRC 13 0 - - 0 14 16위
2015 개인 참가[12] 11 0 - - 0 11 12위
2016 BRC 레이싱 팀 1 0 - - 0 0 -
르노 스포트 트로피
- 프로 클래스
듀퀸 엔지니어링 1 0 0 0 0 0 -
르노 스포트
인듀어런스 트로피
1 0 0 0 1 0 -
2019 포뮬러 1 로킷 윌리엄스 레이싱 21 0 0 0 0 1 19위
2020 DTM BMW 올렌 팀 ART 18 0 0 0 1 20 15위
2021 유로피언 르망 시리즈 팀 WRT 6 3 0 0 4 118 1위
르망 24시 1 0 0 0 0 - NC[13]
WEC 하이 클래스 레이싱 2 0 0 0 0 10 21위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 LMP2
1 0 0 0 0 0 NC
포뮬러 1 알파 로메오 레이싱 올렌 2 0 0 0 0 0 20위
2022 WEC - LMP2 프레마 올렌 레이싱
르망 24시 - LMP2 1 0 0 0 1 - 2위
2023 WEC - LMP2 팀 WRT 7 3 1 0 6 173 1위
르망 24시 - LMP2 1 0 0 0 1 - 2위
2024 WEC - 하이퍼카 AF 코르세 8 1 0 0 1 57 9위
유러피언 르망 시리즈 - LMP2 올렌 팀 AO by TF 6 1 1 0 4 93 1위
2025 WEC - 하이퍼카 AF 코르세 1 0 0 0 1 27 2위*
* :현재 진행 중

4. 역대 팀메이트와의 상대 전적

5. 여담


[1] 리저브 드라이버로 라이쾨넨을 대신해 13R, 14R 출전[2] 하이트펠트는 61포인트를 획득.[3] 차가 박살나서 쿠비차의 발이 밖에서 보일 정도였다.[4] 당시 BMW-자우버의 리저브 드라이버였다.[5] 당시 르노에서 마지막으로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한 드라이버였다.[6] 여담이지만 쿠비차는 평소에도 비시즌 기간에 랠리를 즐겼는데, 팀에서는 이를 두고 부상을 염려하여 참가를 자제할 것을 요구해왔다. 결국 팀의 요구를 무시한 것이 크나큰 화를 부른 셈. 이게 당시 어느 정도 사고였나면 가드레일이 캐빈룸으로 들어왔다. 다행히도 코드라이버였던 Jakub Gerber는 멀쩡했고 무사히 나와서 사고에 대한 인터뷰까지 했다. 하지만 가드레일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운전석 쪽을 파고든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었다. 약간만 더 운전석 쪽으로 박았으면 그 자리에서 사망했을 정도. 그리고 이 사고를 일반인이 당했다면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한다. F1 드라이버의 체력이 워낙 뛰어나다 보니 이러한 큰 부상에도 견딜 수 있어 다행이라고. 특히 쿠비차의 오른팔은 거의 절단에 가까운 부상을 당했으며, 재활로 어느 정도 극복하긴 했지만 2019년까지도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7] 로맹 그로장, 브루노 세나, 비탈리 페트로프 등등[8] 윌리엄스의 차량 성능을 생각하면 앞으로의 경기도 힘들어보인다. 이는 팀메이트인 조지 러셀도 마찬가지.[9] 케빈 마그누센의 아버지인 얀 마그누센과 같은 차량을 탄다.[10] 결국 우승은 같은 팀 소속의 31번 차량에게 돌아갔다.[11] 시트로엥 차량으로 출전[12] 포드 피에스타 차량으로 출전[13] 리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