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21:10:11

미하엘 슈마허

미하엘 슈마허의 우승 경력
{{{#!foldin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그랑프리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px;"
{{{#!folding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주세페 파리나 1950 영국 그랑프리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마누엘 판지오 1950 모나코 그랑프리
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니 파슨스 1950 인디애나폴리스 500
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리 왈러드 1951 인디애나폴리스 500
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파졸리 1951 프랑스 그랑프리
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프로일란 곤살레스 1951 영국 그랑프리
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1951 독일 그랑프리
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피에로 타루피 1952 스위스 그랑프리
9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트로이 루트만 1952 인디애나폴리스 500
1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빌 부코비치 1953 인디애나폴리스 500
11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호손 1953 프랑스 그랑프리
1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모리스 트랭티냥 1955 모나코 그랑프리
1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밥 스웨이커트 1955 인디애나폴리스 500
14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1955 영국 그랑프리
1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무소 1956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1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팻 플래허티 1956 인디애나폴리스 500
17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콜린스 1956 벨기에 그랑프리
1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샘 행크스 1957 인디애나폴리스 500
19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1957 영국 그랑프리
2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지미 브라이언 1958 인디애나폴리스 500
21 파일:호주 국기.svg 잭 브라밤 1959 모나코 그랑프리
2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로저 워드 1959 인디애나폴리스 500
23 파일:스웨덴 국기.svg 요 보니에르 1959 네덜란드 그랑프리
2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루스 맥라렌 195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25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짐 라스만 1960 인디애나폴리스 500
26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필 힐 1960 이탈리아 그랑프리
27 파일:독일 국기.svg 볼프강 폰 트립스 1961 네덜란드 그랑프리
2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잔카를로 바게티 1961 프랑스 그랑프리
29 파일:영국 국기.svg 이네스 아일랜드 1961 미국 그랑프리
30 파일:영국 국기.svg 그레이엄 힐 1962 네덜란드 그랑프리
31 파일:영국 국기.svg 짐 클락 1962 벨기에 그랑프리
32 파일:미국 국기.svg 댄 거니 1962 프랑스 그랑프리
33 파일:영국 국기.svg 존 서티스 1963 독일 그랑프리
34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로렌초 반디니 1964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5 파일:영국 국기.svg 재키 스튜어트 1965 이탈리아 그랑프리
36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긴서 1965 멕시코 그랑프리
3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도비코 스카피오티 1966 이탈리아 그랑프리
38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페드로 로드리게스 1967 남아공 그랑프리
3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니 흄 1967 모나코 그랑프리
40 파일:벨기에 국기.svg 재키 익스 1968 프랑스 그랑프리
41 파일:스위스 국기.svg 요 지페르트 1968 영국 그랑프리
4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요헨 린트 196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7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43 파일:스위스 국기.svg 클레이 레가조니 1970 이탈리아 그랑프리
4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에머슨 피티팔디 1970 미국 그랑프리
45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안드레티 1971 남아공 그랑프리
46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게딘 1971 이탈리아 그랑프리
4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수아 세베르 1971 미국 그랑프리
4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벨투아즈 1972 모나코 그랑프리
49 파일:스웨덴 국기.svg 로니 피터슨 1973 네덜란드 그랑프리
50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 레브슨 1973 프랑스 그랑프리
5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레우테만 1974 남아공 그랑프리
5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니키 라우다 1974 스페인 그랑프리
53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조디 셱터 1974 스웨덴 그랑프리
5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카를로스 파시 1975 브라질 그랑프리
55 파일:독일 국기.svg 요헨 마스 1975 스페인 그랑프리
56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헌트 1975 네덜란드 그랑프리
5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비토리오 브람빌라 1975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8 파일:영국 국기.svg 존 왓슨 1976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9 파일:스웨덴 국기.svg 군나르 닐손 1977 벨기에 그랑프리
60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라피트 1977 스웨덴 그랑프리
61 파일:호주 국기.svg 앨런 존스 197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6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드파일러 1978 모나코 그랑프리
63 파일:캐나다 국기.svg 질 빌르너브 1978 캐나다 그랑프리
64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피에르 자부이 1979 프랑스 그랑프리 }}}}}}{{{#!folding [ 198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65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네 아르누 1980 브라질 그랑프리
66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넬슨 피케 1980 미국 서부 그랑프리
67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피로니 1980 벨기에 그랑프리
68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프로스트 1981 프랑스 그랑프리
69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리카르도 파트레제 1982 모나코 그랑프리
7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톰베이 1982 독일 그랑프리
7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엘리오 드 안젤리스 1982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72 파일:핀란드 국기.svg 케케 로즈버그 1982 프랑스 그랑프리
73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미켈레 알보레토 1982 시저스 팰리스 그랑프리
7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아일톤 세나 1985 포르투갈 그랑프리
75 파일:영국 국기.svg 나이젤 만셀 1985 유럽 그랑프리
7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게르하르트 베르거 1986 멕시코 그랑프리
77 파일:벨기에 국기.svg 티에리 보우트센 1989 캐나다 그랑프리
7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레산드로 난니니 1989 일본 그랑프리 }}}}}}{{{#!folding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79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1992 벨기에 그랑프리
80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먼 힐 1993 헝가리 그랑프리
81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알레시 1995 캐나다 그랑프리
82 파일:영국 국기.svg 조니 허버트 1995 영국 그랑프리
83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1995 포르투갈 그랑프리
84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1996 유럽 그랑프리
85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리비에 파니스 1996 모나코 그랑프리
86 파일:독일 국기.svg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1997 산마리노 그랑프리
87 파일:핀란드 국기.svg 미카 하키넨 1997 유럽 그랑프리
88 파일:영국 국기.svg 에디 어바인 1999 호주 그랑프리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89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2000 독일 그랑프리
90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2001 산마리노 그랑프리
9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2001 이탈리아 그랑프리
92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라이코넨 2003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93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2003 브라질 그랑프리
94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2003 헝가리 그랑프리
95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야르노 트룰리 2004 모나코 그랑프리
96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2006 헝가리 그랑프리
97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사 2006 터키 그랑프리
98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2007 캐나다 그랑프리
99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2008 캐나다 그랑프리
10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2008 헝가리 그랑프리
101 파일:독일 국기.svg 세바스티안 베텔 2008 이탈리아 그랑프리
10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2009 독일 그랑프리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3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2012 중국 그랑프리
10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2012 스페인 그랑프리
105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2014 캐나다 그랑프리
10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베르스타펜 2016 스페인 그랑프리
10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2017 러시아 그랑프리
108 파일:모나코 국기.svg 샤를 르클레르 2019 벨기에 그랑프리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 가슬리 2020 이탈리아 그랑프리
110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2020 사키르 그랑프리
1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스테반 오콘 2021 헝가리 그랑프리
112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2022 영국 그랑프리
113 파일:영국 국기.svg 조지 러셀 2022 상파울루 그랑프리
114 파일:영국 국기.svg 랜도 노리스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115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카 피아스트리 2024 헝가리 그랑프리 }}}}}}}}}}}}}}}

파일:FIA 로고.svg
[[모나코 그랑프리|{{{#fff '모나코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9 1930 1931 193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르네 드레퓌스
루이 시롱
타치오 누볼라리
<rowcolor=#fff> 1933 1934 1935 1936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아킬레 바르치
기 몰
루이지 파지올리
루돌프 카라치올라
<rowcolor=#fff> 1937 1948 1950 1952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비토리오 마르조토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rowcolor=#fff> 1959 1960 1961 1962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rowcolor=#fff> 1963 1964 1965 1966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7 1968 1969 197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71 1972 1973 197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장피에르 벨트와즈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트리크 디파일러
울프
<rowcolor=#fff> 1979 1980 1981 1982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3 1984 1985 1986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91 1992 1993 1994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베네통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베네통
<rowcolor=#fff> 1999 2000 2001 2002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03 2004 2005 2006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rowcolor=#fff> 2011 2012 2013 201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rowcolor=#fff> 2019 2021 2022 202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rowcolor=#fff> 2024 2025 2026 2027
파일:모나코 국기.svg
}}}}}}}}} ||
파일:FIA 로고.svg
[[프랑스 그랑프리|{{{#fff '프랑스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06 1907 1908 1912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시스 페렌츠
펠리체 나차로
크리스티안 라우텐슐라거
조르주 부알로
<rowcolor=#fff> 1913 1914 1921 192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조르주 부알로
크리스티안 라우텐슐라거
지미 머피
펠리체 나차로
듀센버그
<rowcolor=#fff> 1923 1924 192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헨리 세그레이브
주세페 캄파리
로베르 브누아
알베르 디보
선빔
들라주
들라주
<rowcolor=#fff> 1926 1927 1928 192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쥘 구
로베르 브누아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들라주
<rowcolor=#fff> 1930 1931 193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필리프 에탕슬랭
아킬레 바르치
루이 시롱
타치오 누볼라리
<rowcolor=#fff> 1933 1934 1935 1936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주세페 캄파리
루이 시롱
루돌프 카라치올라
장피에르 위밀
<rowcolor=#fff> 1936 1937 1938 193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루이 시롱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헤르만 뮐러
탈보
<rowcolor=#fff> 1947 1948 1949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이 시롱
장피에르 위밀
루이 시롱
장피에르 포지
탈보
탈보
들라이예
<rowcolor=#fff> 1950 1951 195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이지 파지올리
<rowcolor=#fff> 1953 1954 1956 195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피터 콜린스
<rowcolor=#fff> 1958 1959 1960 196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니 브룩스
잔카를로 바게티
<rowcolor=#fff> 1962 1963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6 1967 1968 1969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rowcolor=#fff> 1974 1975 1976 1977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1978 1979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86 1987 1988 198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94 1995 1996 1997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1998 1999 2000 2001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06 2007 2008 201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19 2021 202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드라이버 챔피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1950 1951 1952 195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54 1955 1956 195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58 1959 1960 196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1962 1963 1964 196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66 1967 1968 1969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70 1971 1972 197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74 1975 1976 1977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78 1979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1982 1983 1984 1985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6 1987 1988 1989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0 1991 1992 1993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4 1995 1996 1997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1998 1999 2000 2001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2002 2003 2004 2005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6 2007 2008 2009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10 2011 2012 2013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2014 2015 2016 201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18 2019 2020 202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22 2023 202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

파일:FIA 로고.svg
[[독일 그랑프리|{{{#fff '독일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6 1927 1928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루돌프 카라치올라
오토 메르츠
루돌프 카라치올라
크리스티안 베르너
<rowcolor=#fff> 1929 1931 1932 1934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루이 시롱
루돌프 카라치올라
루돌프 카라치올라
한스 슈투크
<rowcolor=#fff> 1935 1936 1937 193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타치오 누볼라리
베른드 로제마이어
루돌프 카라치올라
리처드 시어먼
<rowcolor=#fff> 1939 1950 1951 1952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돌프 카라치올라
<rowcolor=#fff> 1953 1954 1956 19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rowcolor=#fff> 1958 1959 1960 196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토니 브룩스
<rowcolor=#fff> 1962 1963 1964 196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6 1967 1968 1969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마트라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74 1975 1976 1977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78 1979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6 1987 1988 1989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94 1995 1996 199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98 1999 2000 2001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06 2008 2009 201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11 2012 2013 201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16 2018 201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
파일:FIA 로고.svg
[[이탈리아 그랑프리|{{{#fff '이탈리아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1 1922 1923 192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쥘 구
피에트로 보르디노
카를로 살라마노
안토니오 아스카리
발로
<rowcolor=#fff> 1925 1926 1927 192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가스토네 브릴리 페리
루이 샤라벨
로베르 브누아
루이 시롱
들라주
<rowcolor=#fff> 1931 1932 193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주세페 캄파리
타치오 누볼라리
타치오 누볼라리
루이지 파지올리
<rowcolor=#fff> 1934 1935 1936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주세페 캄파리
루돌프 카라치올라
한스 슈투크
베른 로제마이어
<rowcolor=#fff> 1937 1938 1947 1948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돌프 카라치올라
타치오 누볼라리
카를로 펠리세 트로시
장피에르 위밀
<rowcolor=#fff> 1949 1950 1951 195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53 1954 1955 195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57 1958 1959 196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rowcolor=#fff> 1961 1962 1963 196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루도비코 스카비오티
<rowcolor=#fff> 1969 1970 1971 197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피터 제신
마트라
<rowcolor=#fff> 1973 1974 1975 1976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치
<rowcolor=#fff> 1977 1978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81 1982 1983 198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9 1990 1991 199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93 1994 1995 1996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1 2002 2003 200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9 2010 2011 20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 2014 2015 201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2021 2022 2023 2024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

파일:FIA 로고.svg
[[영국 그랑프리|{{{#fff '영국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6 1927 194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베르 세네샬
루이 바그네르
로베르 브누아
루이지 빌로레시
들라주
들라주
들라주
<rowcolor=#fff> 1949 1950 1951 195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마뉘엘 드 그라펜리드
호세 곤살레스
<rowcolor=#fff> 1953 1954 1955 195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곤살레스
란치아
<rowcolor=#fff> 1957 1958 195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토니 브룩스
피터 콜린스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4 1965 1966 196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8 1969 1970 1971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조 시페르
마트라
<rowcolor=#fff> 1972 1973 1974 1975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피터 레브슨
<rowcolor=#fff> 1976 1977 1978 197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84 1985 1986 198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88 1989 1990 1991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96 1997 1998 1999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2004 2005 2006 2007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rowcolor=#fff> 2008 2009 2010 201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16 2017 2018 201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rowcolor=#fff> 2024
파일:영국 국기.svg

}}}}}}}}} ||
2007년~2012년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 네이션스 컵 우승팀
파일:Race of Champions logo.jpg
2006 - 생드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헤이키 코발라이넨
마르쿠스 그뢴홀름
2007 - 런던 ~ 2012 - 방콕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미하엘 슈마허
제바스티안 페텔
[1]
[2] 2014 - 부시 파크
파일:덴마크 국기.svg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
톰 크리스텐센
페터 솔베르그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콘라트 아데나워 마르틴 루터 카를 마르크스 한스, 죠피 숄 남매 빌리 브란트
6위 7위 8위 9위 10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돌프 콜핑 루트비히 판 베토벤 헬무트 콜 로베르트 보쉬 다니엘 퀴블뵈크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콘라트 추제 요제프 켄테니히 알베르트 슈바이처 카를하인츠 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헬무트 슈미트 레진 힐데브란트 알리체 슈바르처 토마스 고트샤크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미하엘 슈마허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귄터 야우흐 디터 볼렌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얀 울리히 슈테피 그라프 사무엘 하네만 디트리히 본회퍼 보리스 베커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프란츠 베켄바워 오스카 쉰들러 네나 한스 디트리히 겐셔 하인츠 뤼만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하랄트 슈미트 프리드리히 대왕 임마누엘 칸트 패트릭 린드너 하르트무트 엥겔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힐데가르트 폰 빙엔 하이노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마를레네 디트리히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로베르트 코흐 요슈카 피셔 카를 마이 로리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루디 푈러 하인츠 에르하르트 로이 블랙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볼프강 아펠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알렉산더 폰 훔볼트 피터 크라우스 베르너 폰 브라운 디르크 노비츠키 캄피노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프리드리히 실러 리하르트 바그너 카타리나 비트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프리츠 발터 니콜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오토 릴리엔탈 마리온 돈호프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로미 슈나이더 스벤 하나발트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빌리 밀로위치 게르하르트 슈뢰더 요제프 보이스 프리드리히 니체 루디 두치크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카를 레만 베아테 우제 트뤼머프라우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헬무트 란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알브레히트 뒤러 막스 슈멜링 카를 벤츠 프리드리히 2세 라인하르트 메이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하인리히 하이네 게오르크 엘저 콘라드 두덴 제임스 라스트 우베 젤러
출처
같이 보기 :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독일의 前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Schumacher.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미하엘 슈마허
Michael Schumacher
출생 1969년 1월 3일 ([age(1969-01-03)]세)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쾰른 현 라인에르프트크라이스 군 휘르트[3]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4cm[4]
가족 아내 코리나 슈마허[5]
딸 지나 마리아 슈마허
아들 믹 슈마허
동생 랄프 슈마허
정보 더 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eeeeee,#191919> F1
출전 횟수 308경기
월드 챔피언 7회
그랑프리 우승 91회[6]
포디움 155회
폴 포지션 68회[7]
패스티스트 랩 77회[]역대 1위]
첫 경기 1991 벨기에 그랑프리
마지막 경기 2012 브라질 그랑프리
소속 팀 7up 조던 (1991)
베네통 포뮬러 1 레이싱 팀 (1991~1995)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1996~2006, 2007어드바이저)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2010~2012)
WSPC/WSC
출전 횟수 17경기
팀 최고 순위 1위
드라이버 최고 순위 5위
우승 2회
첫 경기 1990 스즈카
마지막 경기 1991 오토폴리스
소속 팀 자우버 메르세데스 (1990~1991)
전일본 F3000 선수권
출전 횟수 11경기
우승 0회
포디움 1회
첫 경기 1991 스즈카
마지막 경기 1991 후지 스피드웨이
소속 팀 르망 (1991) }}}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
3.1. 그의 사기 캐릭터 전설
4. 은퇴 후5. 가족6. 여담7. 다큐멘터리8. 연도별 성적9. 논란 및 사건사고

1. 개요

파일:DYbR1YeWAAIw2FQ.jpg
7 VOLTE CAMPIONE DEL MONDO[9]
SIMPLY THE BEST

독일 출신의 前 레이싱 드라이버. 별명은 붉은 남작. (The Red Baron)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하엘 슈마허/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하엘 슈마허/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하엘 슈마허/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현세에 실존했던 먼치킨 인물을 꼽자면 꼭 한 번씩은 들어간다. 한때 수많은 드라이버들이 아일톤 세나를 보며 드라이버의 꿈을 키웠듯이 현재 활동 중인 포뮬러 1 드라이버들은 슈마허를 보고 자란 드라이버들이다. 따라서 많은 드라이버들이 올 타임 레전드를 뽑으라면 세나, 루이스 해밀턴과 함께 3강을 이루는 드라이버다.

단순히 레이스 카만 잘 모는 것이 아니라 전략을 이해하는 높은 스포츠 지능[10]을 가졌으며, 피드백에 굉장히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이고 관찰력도 매우 뛰어나며[11] 메카니컬한 부분에도 조예가 깊어 레이스 카 개발에도 직접적인 관여를 했다. 특히 사람들이 입모아 말하는 슈마허의 숨겨진 강점은 바로 팀 메이킹과 리더십. 자신을 중심으로 팀을 빌드업하는 것으로 크루들을 단결하며 사기를 높이고 결국 이것이 성공을 좌우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슈마허는 1994, 1995시즌에 드라이버 챔피언을 연속으로 차지한 후 1990년대 초반부터 중위권으로 전락해버린 페라리에 자의로 입단해 레이스 카 개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며 페라리를 다시 상위권 팀으로 도약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12]

3.1. 그의 사기 캐릭터 전설

4. 은퇴 후

2012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뒤인 2013년 4월,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의 앰버서더로 임명되었다.

2013년 12월 29일, 알프스에서 스키를 타다가 충돌 사고로 혼수 상태에 빠졌다. 자세한 내용은 스키 사고 문단 참조.

2014년경 가족들과 스위스로 이사를 갔다는 소식을 마지막으로 사고 이후로는 대외 활동은 물론 근황 사진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2024년 2월, 올해 예정된 딸 지나 슈마허의 결혼식에 참가할 수도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리고 9월, 슈마허가 실제로 결혼식에 참석하면서 약 11년만에 외부에 얼굴을 비쳤다고 한다. 그러나 결혼식 참석자 전원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대외적으로 공개될 수 있을만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안타깝게도 결국 더 이상 말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고 하며, 눈을 이용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한다고 알려져 있다.

2025년 4월, 아내의 도움으로 F1 헬멧에 사인했으며, 20명의 F1 챔피언 전원이 사인한 이 헬멧은 2025시즌 4R 바레인 그랑프리에서 재키 스튜어트가 착용하고 이후 치매를 위한 자선 경매에 올라갈 것이라고 한다. 아직 도움이 있으면 글씨 정도는 쓸 수 있는 듯.

5. 가족

6. 여담

이런 스타일이 더욱 다듬어지고 현대화된 결과물이 막스 베르스타펜이라는 전문가들의 평가가 있는데, 역대 세컨드 드라이버들이 매우 강한 프런트 그립과 그와 상반된 리어의 불안정성을 레드불 차량의 특징으로 지목하고, 이에 적응하지 못했던 반면, 베르스타펜만이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하지만, 베르스타펜의 드라이빙은 훨씬 섬세하고 부드럽다.
2013년에는 스키 사고를 당해 혼수 상태에 빠져 의식을 잃자 슈마허의 마지막 소속 팀이였던 메르세데스 F1 팀이 그를 응원하기 위해 2014년 W05부터 2016년 W07까지 #KeepFightingMichael 문구를 부착하였다. 2017년부터는 메르세데스에서 앞으로의 자유로운 메시지 사용을 위해 부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7. 다큐멘터리

파일:슈마허(영화).jpg
영화 포스터
50세 생일을 맞아 그의 전기 영화인 '슈마허'가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제작 과정에서 개봉이 연기되었다.

이후 2021년 9월 15일에 넷플릭스 독점 공개로 스트리밍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아들이 열심히 자기 인스타에 홍보하였다.

8. 연도별 성적

시즌 시리즈 경기 우승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포디움 포인트 순위
1988 유로피언 포뮬러 포드 1600 유프라 레이싱 4 1 1 0 3 50 2위
독일 포뮬러 포드 1600 7 3 0 0 5 124 6위
포뮬러 쾨닉 회커 스포트웨건서비스 10 9 1 1 10 192 1위
1989 독일 포뮬러 3 WTS 레이싱 12 2 2 0 7 163 3위
유로피언 포뮬러 3 컵 1 0 0 0 0 - NC
마카오 그랑프리 1 0 0 0 0 - NC
1990 월드 스포츠카 챔피언십 팀 자우버 메르세데스 3 1 0 1 3 21 5위
독일 포뮬러 3 WTS 레이싱 11 5 6 4 7 148 1위
유로피언 포뮬러 3 컵 1 0 1 1 0 - NC
마카오 그랑프리 1 1 0 0 1 - 1위
DTM HWA AG 1 0 0 0 0 0 NC
1991 월드 스포츠카 챔피언십 팀 자우버 메르세데스 8 1 0 2 2 43 9위
DTM 작스피드 레이싱 4 0 0 0 0 0 NC
일본 포뮬러 3000 팀 르망 1 0 0 0 1 6 12위
포뮬러 1 팀 7UP 조던 1 0 0 0 0 4 14위
베네통 포뮬러 1 레이싱 팀 5 0 0 0 0
1992 16 1 0 2 8 53 3위
1993 16 1 0 5 9 52 4위
1994 14 8 6 8 10 92 1위
1995 17 9 4 8 11 102 1위
1996 스쿠데리아 페라리 16 3 4 2 8 59 3위
1997 17 5 3 3 8 78 실격
1998 16 6 3 6 11 86 2위
1999 10 2 3 5 6 44 5위
2000 17 9 9 2 12 108 1위
2001 17 9 11 3 14 123 1위
2002 17 11 7 7 17 144 1위
2003 16 6 5 5 8 93 1위
2004 18 13 8 10 15 148 1위
2005 19 1 1 3 5 62 3위
2006 18 7 4 7 12 121 2위
2010 메르세데스 GP 19 0 0 0 0 72 9위
2011 19 0 0 0 0 76 8위
2012 20 0 0 1 1 49 13위

9. 논란 및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하엘 슈마허/논란 및 사건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하엘 슈마허/논란 및 사건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하엘 슈마허/논란 및 사건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역대급 멘토와 멘티 관계인데 이 당시 둘이서 팀을 이뤘으니 말 안해도 다 알 만큼 무려 6년동안 우승을 독차지했다. 각각 F1 레이스 우승 횟수 기록 2위, 3위로 도합 144승의 그랑프리 우승과 11번의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보유중이다.[2] 개최 장소인 방콕의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2013년 경기 미개최[3] 쾰른으로부터 남서쪽으로 6km 정도 떨어져 있는 마을이다.[4] 이 정보가 확실하지는 않다. 174cm로 알려진 루이스 해밀턴보다 큰 모습을 보였고, 176cm로 알려졌던 베텔, 세나와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아무래도 오래전에 측정한 기록에, 그 이후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모양이다.[5] 결혼 전 이름은 코리나 베슈. 독일의 유명 승마 선수였다.[6] 역대 2위.[7] 역대 2위[] [9] 이탈리아어로 "7회 세계 챔피언". 개인 통산 7번째 월드 챔피언을 확정지은 2004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촬영되었다.[10] 이게 굉장히 중요한 것이, 당시 전략 책임자인 로스 브런이 내놓은 작전 중 많은 것이 모 아니면 도인 경우가 많았다.[11] 한 그랑프리에서 서킷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흠잡을 데 없는 기록을 보였지만 마지막 섹터에서 팀메이트인 에디 어바인보다 느린 기록이 나오자 해결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혼자 머리를 싸매며 끙끙거렸다고 한다. 결국 어느샌가 어바인의 주행을 정확히 카피해 완벽한 주행을 선보였다고 한다.[12] 그러나 철저하게 슈마허를 위주로 팀이 운영되었다 보니 당시 페라리의 세컨드 드라이버였던 루벤스 바리첼로는 이래저래 고생을 많이 했었다.[13] 참고로 1991시즌 브라질 그랑프리 당시 아일톤 세나는 6단 기어만 작동하고 나머지는 문제가 생긴 상황에서 순전히 6단 기어만으로 남은 구간을 완주했다. 그나마 당시 세나는 6~7바퀴 남았으니 망정이지 슈마허는 정말 최악이었다.[14] 당시 슈마허는 개막전인 브라질 그랑프리 레이스 우승을 시작으로 파죽지세의 4연승을 기록하고 있었다. 만약 이 스페인 그랑프리 레이스에서 기어박스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슈마허는 F1 역사상 전무후무한 개막전부터의 7연승을 기록했을지도 모른다.(뒤이은 캐나다, 프랑스 그랑프리 레이스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15] 랩당 1.3초. 페라리의 작전을 본 맥라렌은 당시 2위로 달리고 있던 데이빗 쿨싸드를 불러들였지만 결국 순위를 빼았겼다.[16] F1에서 랩당 1초 정도가 차이가 난다는 것은 거의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만큼이나 절망스러운 간격이다.[17] 이런 패턴으로 슈마허가 우승한 레이스는 베네통 포뮬러 1 레이싱 팀 시절부터 있었는데, 1994년 프랑스 GP-유럽 GP, 95년 태평양 GP, 99년 산마리노 GP 등이 있다. 과거 재급유가 허용되던 시절에 루이스 해밀턴이 이를 따라한 적이 있었으나 한 번도 우승에 성공한 적은 없었다. 오로지 슈마허만이 가능했던 일이다.[18] 그는 완주를 누구보다 중요하게 생각했던 드라이버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다르게 모터스포츠에서는 완주라는 것이 쉽지 않다. 아무리 드라이버가 뛰어나도 차가 말썽을 부릴 수도 있고, 차가 좋아도 피트스탑에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여기까지 극복을 하더라도 오버페이스로 주행하는 다른 드라이버와 충돌을 할 수도 있다.[19] 르노는 이 프랑스 그랑프리 외에도 폭발적인 스타트 장면을 자주 보여준 바 있다.[20] 퀄리파잉에서는 탑3 팀의 기록이 1초 내로 모인다. 15초 차이면 이미 우승은 물 건너갔다고 봐도 무방한데 시간을 씹어먹었다고 밖에는 설명이 불가능하다.[21] 이는 바로 전 라운드였던 일본 그랑프리에서 슈마허가 엔진 블로우로 인해 시즌의 판도가 해당 경기에서 우승한 알론소에게 매우 유리하게 뒤바뀌었기 때문이다.[22] 이때 경기 끝까지 주행할 수 있을 양의 연료를 주입했다.[23] 연료통이 가득 찬 상태에선 차량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패스티스트 랩을 찍기 어렵다.[24] F1을 지망하는 어린 드라이버들을 위한 레이스 카테고리이다. 이 시리즈에는 후견인 제도가 있어서 멘토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올해 독일 시리즈에는 슈마허의 멘티였던 제바스티안 페텔이 지정되어 있다. 페텔은 이와 관련한 인터뷰를 하며 믹과 미하엘을 언급했다고 한다.[25] 하지만 믹은 아버지의 후광으로 인한 시선이 워낙 부담스러웠는지, 자신의 레이싱 커리어 초반엔 어머니의 성인 Bestch를 쓴 적이 있다.[26] F2에서의 소속 팀은 프레마 레이싱. 중요한 건 프레마 레이싱은 페라리 소속 팀이다.[27] 1994~2009년. 슈마허는 2006년까지 활약.[28] 대표적으로 1994년 프랑스-유럽 GP, 1995년 태평양 GP, 1998년 헝가리 GP, 1999년 산 마리노 GP, 2004년 프랑스 GP[29] 슈마허의 우승 경기 중 절반 정도가 이에 해당할 정도인데 대표적인 예로 00년 산 마리노 GP, 06년 중국 GP 등이 있다[30] 실제로 노화로 인한 집중력 저하는 노장 드라이버들에게 꽤나 흔한일이다. 최근의 사례로는 키미 라이코넨이 페라리 2기때 가장 지적받았던 부분으로 롱런 페이스에서 팀메이트 제바스티안 페텔에게 현저히 밀린다는 점이 있었을 정도다.[31] 나이트 슈마허는 Knight Shoemach로 표기해서 실제 미하엘 슈마허와는 스펠링이 약간 다르다.[32] 이를 리스펙트 하는 차원에서 TVA 극후반 나이트 슈마허가 속한 팀을 당시 진짜 슈마허처럼 베네통으로 설정했으며, 카멜 컬러의 베네통 레이싱 슈트를 착용한 모습도 나온다.[33] 로브는 9년 연속으로 우승하다가 이젠 의욕이 떨어졌는지 2013년부턴 스팟 참전했다. 우승 횟수로나 연속 우승 기록으로나 슈마허 그 이상. 슈마허가 서킷의 제왕이라면 이쪽은 서킷을 제외한 모든 도로의 제왕이라고 불릴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