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10500><tablebgcolor=#E10500> | 포뮬러 1 [[틀:포뮬러 원/경기 일람|{{{#fff {{{+1 경기 일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1950년대] |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1960년대] |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1970년대]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1980년대]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1990년대]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2000년대]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2010년대]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5; min-width: 25%" {{{#!folding [2020년대]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
→ | 2015 | → |
1. 시즌 시작 전 이적 시장
2015 시즌 이적 드라이버 | ||||
원 소속 팀 | 국적 | 드라이버 | → | 이적한 팀 |
다닐 크비얏 | → | |||
세바스티안 베텔 | → | |||
페르난도 알론소 | → | |||
마르쿠스 에릭손 | → | |||
2015 시즌 신인·복귀 드라이버 영입 | ||||
국적 | 드라이버 | → | 소속 팀 | |
막스 베르스타펜 | → | |||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 | |||
윌 스티븐스 | → | |||
로베르토 메르히 | → | |||
펠리페 나스르 | → | |||
계약 만료·해지 드라이버 | ||||
기존 소속 팀 | 국적 | 드라이버 | ||
케빈 마그누센 | ||||
장에릭 베르뉴 | ||||
쥘 비앙키 | ||||
맥스 칠튼 | ||||
아드리안 수틸 | ||||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 ||||
고바야시 카무이 |
이적 시장은 말 그대로 대격변이 일어났다. 우선 4번의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쥔 그리드 위의 스타 중 한 명인 세바스티안 베텔이 레드불을 떠나 페라리로 이적한다는 소식이 발표된 것이었다. 베텔에게 페라리 이적은 자신이 이전부터 바라던 꿈 중 하나였으며, 과거에 자신의 선배인 미하엘 슈마허가 밟은 전철을 따라가고자 이적한 것으로 보인다. 베텔의 이적으로 레드불은 한 자리가 비었고, 자연스럽게 그 한 자리는 팀의 프로그램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 눈이 쏠리게 되었다. 지난 시즌 자매 팀인 토로 로쏘에서 좋은 활약을 보인 다닐 크비얏이 결국 레드불로 승격되며 2015 시즌 레드불 라인업은 리카도-크비얏 조합으로 가게 되었다.
한편 페르난도 알론소의 경우, 알론소 본인이 2014 시즌까지의 페라리에서의 생활이 행복하지 않다는 뜻을 인터뷰에서 자주 내비치기도 하였고, 실제로 페라리의 행보에 불만을 표출해내기도 하며 이적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 갔다. 동시에, 맥라렌은 루키인 케빈 마그누센이 다소 부진하며 드라이버 쪽에 아쉬움을 드러내었고, 마침 2015 시즌을 앞두고 과거에 F1을 지배하였던 파트너인 혼다와 재결합하며 최상위권으로의 복귀를 꿈꾸고 있었다. 이에 맥라렌은 마그누센을 팀의 리저브 드라이버직으로 내려 버리고, 알론소를 영입함으로써 알론소의 8년 만에 맥라렌 복귀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맥라렌은 드라이버 라인업에서는 그리드 최고 수준으로 올라서게 되었다.
한편, 레드불 쪽에선 3시즌을 뛴 장에릭 베르뉴의 퍼포먼스에 만족하지 않았고, 결국 그와의 행보를 더 이상 이어가지 않게 되었다. 두 자리가 비게 된 토로 로쏘 쪽에는 루키들로 라인업을 꾸리게 되었는데, 지난 시즌 16세라는 매우 어린 나이에 F3에서 화려한 성적을 보이며 토로 로쏘 소속으로 연습 세션까지 나선 막스 베르스타펜을 정식 드라이버로 앉히게 되었다. 그의 팀메이트로는 지난 시즌 포뮬러 르노 3.5 시리즈에서 챔피언을 달성한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1]를 앉혔다.
지난 시즌 쥘 비앙키 덕분에 귀중한 2점을 얻고 이번 시즌에 참가할 수 있게 된 마러시아는 영국의 스티븐 피츠패트릭이 팀을 인수함으로써 이번 시즌 '매노어 마러시아 F1 팀'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우선 맥스 칠튼은 성적 부진으로 재계약에 실패했고, 비앙키는 심각한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고, 그들의 대체 드라이버로 지난 시즌 포뮬러 르노 3.5 시리즈에서 각각 종합 6위와 3위를 차지한 윌 스티븐스와 로베르토 메르히를 영입하였다.
자우버 역시 드라이버 물갈이를 하였다. 성적 부진을 이유로 수틸과 구티에레즈를 방출하고, 대체 드라이버로 케이터햄에서 데뷔했던 마르쿠스 에릭손과 지난 시즌 GP2 종합 3위를 거둔 펠리페 나스르를 영입하였다. 지난 시즌 최하위를 기록한 케이터햄 F1 팀은 재정난에 팀을 매각하며 4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 시즌 시작 전 규정 변화
2015 시즌 규정 변경 사항으로 마지막 그랑프리에 부여되었던 2배 포인트 제도와 스탠딩 리스타트가 폐지되었다. 그리고 가상 세이프티카 상황(VSC)을 도입하고, 파워 유닛 교체로 인한 페널티를 강화하고, 10초 타임 페널티를 신설하였다. 핏레인 스타트의 드라이버가 레이스 시작 후 15초 이후에 출발시 핏레인에 장비나 인원이 남아있다면 10초의 페널티가 부과된다. 차량수에 따라 퀄리파잉 탈락 차수가 달라지게 된다. 24대가 포함되면 Q1에서 7대가 탈락하며 22대가 출발한다면 Q1에서 6대가 탈락된다. 그리고, 레이스 컨트롤 판단에 따라 세이프티카 신호를 기다리지 않고도 그냥 추월이 가능하도록 변경하였다.3. 타이어
피렐리가 독점 공급한다.종류 | 색상 |
웻(Wet) | 파랑 |
인터미디어트(Intermediate) | 초록 |
하드(Hard) | 주황 |
미디엄(Medium) | 흰색 |
소프트(Soft) | 노랑 |
슈퍼 소프트(Super Soft) | 빨강 |
4. 2015 시즌 라인업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혹은 데뷔하는 드라이버, 대체 드라이버.
2014 순위 | 팀 로고 | 팀 국적 | 섀시 (파워유닛) | 드라이버 | |||
번호 | 국적 | 이름 | 출전 라운드 | ||||
1 |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F1 팀 | 독일 | F1 W06 Hybrid (Mercedes PU106B Hybrid) | 44 | 루이스 해밀턴 MBE | All | |
6 | 니코 로즈버그 | ||||||
2 | 인피니티 레드불 레이싱 | 오스트리아 | RB11 (Renault Energy F1-2015) | 3 | 다니엘 리카도 | All | |
26 | 다닐 크비얏 | ||||||
3 | 윌리엄스 마티니 레이싱 | 영국 | FW37 (Mercedes PU106B Hybrid) | 19 | 펠리페 마싸 | All | |
77 | 발테리 보타스 | ||||||
4 | 스쿠데리아 페라리 | 이탈리아 | SF15-T (Ferrari 060) | 5 | 세바스티안 베텔 | All | |
7 | 키미 라이코넨 | ||||||
5 | 맥라렌 혼다 | 영국 | MP4-30 (Honda RA615H) | 14 | 페르난도 알론소 | 2~19 | |
22 | 젠슨 버튼 MBE | All | |||||
20 | 케빈 마그누센 | 1[2] | |||||
6 | 사하라 포스 인디아 F1 팀 | 인도 | VJM08 VJM08B[3] (Mercedes PU106B Hybrid) | 27 | 니코 휠켄베르크 | All | |
11 | 세르히오 페레스 | ||||||
7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이탈리아 | STR10 (Renault Energy F1-2015) | 33 | 막스 베르스타펜 | All | |
55 |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
8 | 로터스 F1 팀 | 영국 | E23 Hybrid (Mercedes PU106B Hybrid) | 8 | 로맹 그로장 | All | |
13 | 파스토르 말도나도 | ||||||
9 | 매노어 마러시아 F1 팀 | 영국 | MR03B (Ferrari 059/3[4]) | 98 | 윌 스티븐스 | All | |
28 | 로베르토 메르히 | 1~12, 15, 19 | |||||
53 | 알렉산더 로시 | 13~14, 16~18 | |||||
10 | 자우버 F1 팀 | 스위스 | C34 (Ferrari 060) | 9 | 마르쿠스 에릭손 | All | |
12 | 펠리페 나스르 |
5. 세이프티 카
이번 시즌부터는 지난 시즌까지 쓰였던 SLS AMG GT에서 지난 2014년 9월에 출시된 AMG GT로 세이프티 카가 변경되었다.
6. 메디컬 카
메디컬 카 역시 지난 시즌까지 쓰였던 W204 후기형 C63 AMG 에스테이트에서 W205 C63 S 에스테이트로 변경되었다.
7. 2015 시즌 캘린더
2015년 캘린더는 2014년과 마찬가지로 19개 대회가 개최되게 된다. 멕시코가 추가되었으나, 원안대로라면 개최했어야 할 독일 그랑프리(뉘르부르크)와 한국 그랑프리(영암)가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취소되었다.8. 시즌 상세
8.1. 1R ~ 5R (호주, 말레이시아, 중국, 바레인, 스페인)
자세한 내용은 포뮬러 1/2015시즌/1R~5R 문서 참고하십시오.8.2. 6R ~ 10R (모나코, 캐나다, 오스트리아, 영국, 헝가리)
자세한 내용은 포뮬러 1/2015시즌/6R~10R 문서 참고하십시오.8.3. 11R ~ 15R (벨기에, 이탈리아, 싱가포르, 일본, 러시아)
자세한 내용은 포뮬러 1/2015시즌/11R~15R 문서 참고하십시오.8.4. 16R ~ 19R (미국, 멕시코, 브라질, 아부다비)
자세한 내용은 포뮬러 1/2015시즌/16R~19R 문서 참고하십시오.9. 시즌 요약
<rowcolor=#fff> 라운드 | 레이스 날짜[5] | 그랑프리 | 폴 포지션 | 그랑프리 우승 | 컨스트럭터 우승 |
1 | 3/15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호주 멜버른 그랑프리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2 | 3/29 | [[말레이시아| ]][[틀:국기| ]][[틀:국기| ]] 말레이시아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안 베텔 | |
3 | 4/12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중국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4 | 4/20 | [[바레인| ]][[틀:국기| ]][[틀:국기| ]] 바레인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5 | 5/10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스페인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
6 | 5/24 | 모나코 모나코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
7 | 6/8 | 캐나다 질 빌르너브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8 | 6/21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오스트리아 레드불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
9 | 7/5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영국 실버스톤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10 | 7/26 |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헝가리 헝가로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안 베텔 | |
11 | 8/23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12 | 9/6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13 | 9/20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안 베텔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안 베텔 | |
14 | 9/27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일본 스즈카 서킷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15 | 10/11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러시아 소치 오토드롬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16 | 10/26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미국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
17 | 11/2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멕시코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자동차 경주장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
18 | 11/16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브라질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
19 | 11/29 |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틀:국기| ]] 아부다비 야스 마리나 서킷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10. 시즌 종료
올해도 작년처럼 메르세데스의 세상이였지만, 페라리가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다음시즌을 기대하게 만든 반면, 오랜만에 혼다와 손을 잡은 맥라렌은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며 두명의 월드 챔피언 드라이버를 두고도 시즌 내내 테스트나 하고 있냐는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는 팀의 재정에도 막대한 문제가 생겼고 맥라렌의 오랜 스폰서였던 태그호이어마저 레드불과 스폰서을 맺기로 결정하면서 리버리가 갈수록 텅텅비고 있다11.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11.1. 드라이버 포인트
2015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루이스 해밀턴 |
WORLD DRIVERS CHAMPIONSHIP | |||||
1 | 44.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385 | WDC - V3 | |
2 | 6.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로즈버그 | 메르세데스 | 322 | ||
3 | 5.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안 베텔 | 페라리 | 278 | ||
<colbgcolor=#d0d0d0> 4 | 7.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키미 라이코넨 | 페라리 | 150 | ||
5 | 77.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발테리 보타스 | 윌리엄스 | 136 | ||
6 | 19.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펠리페 마싸 | 윌리엄스 | 121 | ||
7 | 26.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다닐 크비얏 | 레드불 | 95 | ||
8 | 3. [[호주| ]][[틀:국기| ]][[틀:국기| ]] 다니엘 리카도 | 레드불 | 92 | ||
9 | 11.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세르히오 페레스 | 포스 인디아 | 78 | ||
10 | 27.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니코 휠켄베르크 | 포스 인디아 | 58 | ||
11 | 8.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로맹 그로장 | 로터스 | 51 | ||
12 | 33.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막스 베르스타펜 | 토로 로쏘 | 49 | ||
13 | 12.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펠리페 나스르 | 자우버 | 27 | ||
14 | 13.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파스토르 말도나도 | 로터스 | 27 | ||
15 | 55.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토로 로쏘 | 18 | ||
16 | 22.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젠슨 버튼 | 맥라렌 | 16 | ||
17 | 14.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페르난도 알론소 | 맥라렌 | 11 | 개막전 부상으로 결장 | |
18 | 9.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마르쿠스 에릭손 | 자우버 | 9 | ||
19 | 98.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로베르토 메르히 | 마러시아 | 0 | 1R~12R, 15R, 19R 출전 | |
20 | 53.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알렉산더 로시 | 마러시아 | 0 | 13R~14R, 16R~18R 출전 | |
21 | 28.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윌 스티븐스 | 마러시아 | 0 |
루이스 해밀턴은 2년 연속 챔피언이자 3번째 월드 챔피언이 되었고 영국인 재키 스튜어트(3회)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다.
11.2. 컨스트럭터 포인트
2015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 |
WORLD CONSTRUCTOR CHAMPIONSHIP | ||||
1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메르세데스 | 703 | WCC - V2 | |
2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페라리 | 428 | ||
3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57 | ||
<colbgcolor=#d0d0d0> 4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레드불 레이싱 - 르노 | 187 | ||
5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포스 인디아 - 메르세데스 | 136 | ||
6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로터스 - 메르세데스 | 78 | ||
7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토로 로쏘 - 르노 | 67 | ||
8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자우버 - 페라리 | 36 | ||
9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맥라렌 - 혼다 | 27 | ||
10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마러시아 - 페라리 | 0 |
메르세데스가 2년연속 챔피언을 확정하고 챔피언십 최다 포인트를 또 다시 갱신했다. 페라리는 작년보다 2계단 상승한 컨스트럭터 2위를 기록했다.
메르세데스 엔진 대신, 팀의 리즈시절을 함께 했던 혼다로 갈아탄 맥라렌은 총 27포인트 두 챔피언의 자존심을 구김과 동시에 컨스트럭터 9위로 최악의 성적을 기록해버렸다.
12. 인명 사고
2014시즌 15라운드 일본 그랑프리 경기 중에 사고를 당한 쥘 비앙키가 2015년 7월 17일 향년 2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FIA는 2015년 7월 20일, 비앙키의 차량번호 17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하였다.영구결번 No.17 Jules Bianchi[1] WRC의 레전드인 카를로스 사인츠의 아들.[2] 호주 GP에서 알론소 대신 참가했지만 DNS.[3] 영국 GP부터 변경[4] 2014 시즌 페라리 구형 엔진[5] 한국 시간 기준[6] 더 안습인 것은 조니 워커마저도 포스 인디아가 애스턴 마틴으로 리브랜딩이 완료된다는 전제 하에 옮길수도 있다는 발언까지 나와버려서 더더욱 팀이 안습하게 되었다.[7] 이 파행의 결과는 결국 르노 이름 대신 태그호이어로 리브랜딩 된 엔진으로 2016년 시즌에 출전하는 걸로 마무리지어 진다. 그리고 엔진 문제는 르노가 일모 엔지니어링의 자문을 받게 된다. 사실 이런 파행이 벌어진 이유는 레드불이 엔진 성능에 불만을 느껴 1년 일찍 계약을 파기하기로 한 결정과 타 팀에 비해 낮은 출력의 르노 엔진에 있다. 이전에는 바디 패키지 문제로 보였으나 시즌 중,후반에 자신들이 유리한 서킷에서 압도적인 에어로 퍼포먼스로 우승을 노리는 모습을 보여줘서 사실상 르노 엔진으로 시선이 돌려진 셈. 후에 르노 스포트 F1이 엔진 피스톤과 전자장비 계통 문제 외에도 부서 내부 문제도 있어서 제대로 된 스펙이 안나왔다고 털어놓았다.[8] 르노 엔진에 실망한 레드불이 메르세데스 엔진으로 갈아탈려고 계약을 시도했으나 시즌 후반의 레드불의 에어로 퍼포먼스를 보고 메르세데스,정확히는 다임러 AG 이사회에서 공급 거부 의사를 보여서 실패, 다음으로 페라리와 계약을 시도했지만 페라리측은 작년 엔진을 주겠다고 대응함으로써 사실상 퇴짜를 맞아버린 셈. 심지어 혼다에도 협상을 시도했으나 맥라렌이 거부권을 행사해서 실패, 이 덕에 2016년에 레드불,토로 로쏘의 철수설 내지 강제 안식일을 점치는 반응이 많았었다. 결국 이런 상황은 예기치 못한 것도 있었긴 했지만 경솔하게 움직인 레드불의 책임도 만만치 않다.[9] 참고로 말하자면 저 엔진은 인디카에 쓰이는 엔진과 동일한 스펙이다.[10]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현행 엔진의 가격. 커스터머 팀들의 재정난을 덜기 위함이긴 하나 그것보다 더 복잡한 이유가 내포되어 있다. 근본적인 원인인 레드불의 엔진 공급 계약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 중 하나가 재정난에 시달리는 커스터머 팀 까지 엮여버려서 일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11] 현 포뮬러 1의 노골적인 정치싸움의 핵심은 엔진에 있는데, 현상유지를 위한, 메르세데스를 위시한 상위권 팩토리 3팀과 개혁을 요구하는 FIA의 신경전이라 할 정도로 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