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전반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fff> R | 날짜 | 대회 | 레이아웃 |
1 | 3/14~16 |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 | |
2 | 3/21~23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 |
3 | 4/4~6 | 스즈카 서킷 | | |
4 | 4/11~14 |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 | |
5 | 4/18~21 | 제다 코니쉬 서킷 | | |
1~5라운드 진행・결과 | ||||
6 | 5/3~5 |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 | |
7 | 5/16~18 |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 | |
8 | 5/23~25 | 서킷 드 모나코 | | |
9 | 5/30~6/1 |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 | |
10 | 6/14~16 | 서킷 질 빌뇌브 | | |
6~10라운드 진행・결과 | ||||
11 | 6/27~29 | 레드불링 | | |
12 | 7/4~6 | 실버스톤 서킷 | | |
13 | 7/25~27 |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 | |
14 | 8/1~3 | 헝가로링 | | |
11~14라운드 진행・결과 |
- [ 후반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E10600><rowcolor=#fff><width=8%> R ||<width=15%> 날짜 || 대회 ||<width=15%> 레이아웃 ||
15 8/29~31 네덜란드 (잔드보르트)
서킷 잔드보르트16 9/5~7 이탈리아 (몬차)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17 9/19~21 아제르바이잔 (바쿠)
바쿠 시티 서킷18 10/3~5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15~18라운드 진행・결과 19 10/18~20 미국 (오스틴)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20 10/25~27 멕시코(멕시코 시티)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21 11/7~10 브라질(상파울루)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22 11/21~23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23 11/28~12/1 카타르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24 12/5~7 아부다비 (야스섬)
야스 마리나 서킷19~24라운드 진행・결과
호주 그랑프리 Australian Grand Prix | ||
| ||
대회 정보 | ||
<colbgcolor=#012169><colcolor=#FFFFFF> 첫 개최 | <colbgcolor=#FFFFFF,#191919> 1928년[1] 1985년[2] | |
개최 서킷 | 애들레이드 서킷[3] 앨버트 파크 서킷[4] | |
개최 횟수 | 39회[5] | |
총 주행 거리 | 306.124 km (190.216 miles, 58랩) | |
최다 우승 드라이버 |
미하엘 슈마허 (4회) | |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 |
맥라렌 포뮬러 1 팀 (12회) | |
최근 레이스 결과 | ||
2025년 폴 포지션 |
랜도 노리스(맥라렌 포뮬러 1 팀) 1:15.096 | |
2025년 순위 | 1위 ‐
랜도 노리스(맥라렌) 1:42:06.304 2위 -
막스 베르스타펜(레드불 레이싱) + 0.895s 3위 -
조지 러셀(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 8.481s | |
랩 레코드[6] | 1:19.813
샤를 르클레르(페라리 SF-24) |
1. 개요
<nopad> |
2025 호주 그랑프리 |
2. 역사
2.1. 포뮬러 1 이전
2.2. 포뮬러 1
2.2.1. 1980년대
2.2.2. 1990년대
2.2.3. 1990년대
2.2.4. 2000년대
2.2.5. 2010년대
2.2.6. 2020년대
2023 시즌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레이스가 펼쳐졌다.평소처럼 막스 베르스타펜의 우승이 점쳐졌다. 시작 직후 막스 베르스타펜과 카를로스 사인스 주니어의 배틀이 펼쳐졌다. 사인스가 베르스타펜을 추월하기 직전에 오른쪽 리어 브레이크에서 연기가 나면서 속도를 잃었고, 결국 리타이어한다. 그리고 루이스 해밀턴과 발테리 보타스가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면서 리버스 햄보막을 이루기도 했으며, 마지막 랩에서는 페르난도 알론소의 브레이킹의 영향으로 조지 러셀이 차가 옆으로 누운 채 길 한복판으로 튕겨나오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추가적인 사고는 없었다.[7] 결과는 카를로스 사인스의 우승.
다시 개막전을 개최하게 된다. 2년 전 레이스만큼 사건사고가 많은 난장판 레이스였다.
3. 역대 기록
- 다승 드라이버
<rowcolor=#FFFFFF> 우승 횟수 | 드라이버 | 우승 연도 |
- | - | - |
- 다승 컨스트럭터
<rowcolor=#FFFFFF> 우승 횟수 | 컨스트럭터 | 우승 연도 |
- | - | - |
- 역대 우승 기록
<rowcolor=#FFFFFF><colcolor=#FFFFFF><colbgcolor=#012169> 시즌 | 드라이버 | 컨스트럭터 |
2026 | - | - |
2027 | - | - |
4. 여담
- 1985년부터 F1 그랑프리를 개최하였으나, 호주인 F1 드라이버가 홈에서 포디움에 오른 적은 단 한번도 없다. 2014년 다니엘 리카도가 2위로 완주하며 시상대 자체에는 올랐으나, 경기 종료 이후 연료 공급량 문제[8]와 관련해 실격 처리를 받으며 사상 첫 호주인의 홈 그랑프리 포디움 등극에는 실패했다. 2024년에는 오스카 피아스트리가 레이스 초중반까지는 3위로 달렸으나, 앞서가는 페라리 듀오를 잡기 위한 명목으로 랜도 노리스와 자리를 스왑하라는 팀 오더를 받으며 포디움 등극에 실패했다. 2025년에도 잭 두한은 초반에 리타이어, 피아스트리는 후반에 스핀하며 최하위로 떨어지면서 이 징크스는 유지됐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1967~1985, 1992~1993[2] 1962~1963, 1965[3] 1952~1953, 1955, 1958~1971, 1973~1985, 2021~2026[4] 1951~1958, 1961~1976[5] 1960[6] 1959[7] 1970, 1977~1984, 1986~2006, 2008~2014짝수해, 2016, 2018~2019[8] 1985, 2009~2013홀수해[9] 2020[10] 1997~1998[11] 1984, 1995~1996, 1999~2007[12] 1982[13] 1950~1954[14] 1973~1978[15] 2014~2021[16] 1999~2017[17] 2021~[18] 1986~1992, 2015~2019[A]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개최 취소[20] 1950~[A] [22] 2023~[23] 2022~[24] 2012~[A] [26] 2000~2007[27] 1989~1991[28] 1961~1980[29] 1960[30] 1959[31] 1982~1988[32] 1984[33] 1976~1983[34] 1981~1982[35] 1950~1960[36] 1950~1970, 1983~[37] 1973, 1975~1982[38] 1972, 1974[39] 2021~[40] 1972~2019[A] [42] 1978, 1981~1989[43] 2021~[44] 2004~[45] 2011년 제외[46] 2020[47] 2026예정~[48] 2026예정~[49] 1991~2025[50] 1968~1975짝수해, 1976~1979, 1981[51] 1968~1975홀수해[52] 1951, 1954[53] 1986~1990[54] 1994, 1997[55] 2008~2012[56] 2008~2019, 2022~[A] [58] 2009~[59] 1953~1958, 1960, 1972~1975, 1977~1981, 1995~1998[60] 2017~[A] [62] 2016[63] 2020[64] 1950~1954, 1955~1960짝수해, 1963~1985짝수해, 1987~[65] 1955~1960홀수해, 1961~1962[66] 1964~1986짝수해[67] 1983, 1985[68] 1993[69] 1996~2019, 2022~[A] [71] 1985~1995[72] 1970~1987, 1997~2003, 2014~[73] 1964[74] 2020~2021[75] 1950~1979, 1981~[76] 1980[77] 2020~2022, 2024~2025[78] 1981~2006[79] 2020[80] 1957[81] 1962~1963, 1987~2006, 2009~[A] [83] 1964~1977, 2007~2008[84] 1994~1995[85] 2004~2019, 2024~[A] [87] 2011~2013[88] 1958[89] 2021, 2023~[90] 1978~1986, 1988~2008, 2010~2019, 2022~[A] [92] 1967~1970홀수해, 1971~1977[93] 1967~1970짝수해[94] 2010~2013[95] 2005~2011, 2020~2021[96] 2020~2021[97] 1984~1996[98] 1958, 1960[99] 1959[100] 1971~1975홀수해, 1976~1982짝수해, 1983, 1985~1990, 2018~2019, 2021~2022[A] [102] 1991~2008[103] 1974, 1977~1981짝수해, 1984[104] 1965, 1969~1970, 1972[105] 1952, 1957, 1962, 1964, 1968[106] 1967[107] 1950~1951, 1953~1954, 1956, 1958~1961, 1963, 1966[108] 198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4년 레이스별 관중 수 | ||||
레이스 | 서킷 | 소속 | 관중 수 | ||
인디애나폴리스 500 | |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 인디카 | 34.5만 명(당일)[1] | |
르망 24시 | | 르망 24시 서킷 | WEC | 32.9만 명(당일)[2] 43.2만 명(당일/ 무료 입장 관중 포함)[3] | |
영국 그랑프리 | | 실버스톤 서킷 | F1 | 16.4만 명(당일)[a] 48만 명(누적)[a] | |
멕시코시티 그랑프리 | |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 F1 | 15.4만 명(당일)[b] 40.5만 명(누적)[b] | |
데이토나 500 | |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 | 나스카 | 15만 명(당일)[8] | |
미국 그랑프리 | |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 F1 | 14만 명(당일)[9] 43만 명(누적)[10] | |
호주 그랑프리 | | 앨버트 파크 서킷 | F1 | 13.2만 명(당일)[c] 45.2만 명(누적)[c] | |
스페인 그랑프리 | |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 | F1 | 12.5만 명(당일)[d] 28.8만 명(누적)[d] | |
프랑스 모토 그랑프리 | | 부가티 서킷 | 모토GP | 11.9만 명(당일)[e] 29.7만 명(누적)[e] | |
벨기에 그랑프리 | | 스파-프랑코샹 서킷 | F1 | 11만 명(당일)[f] 38만 명(누적)[f] | |
주의: 누적 관중 수는 진행되는 기간 동안 하루씩 누적으로 집계되는 총 관중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여기서 집계되는 관중 수는 중복된 인원이 포함되며, 비과학적인 접근법으로 집계되는 수치이다. {{{#!folding [ 출처 보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