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5:17:33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호주 그랑프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4002b>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JUSCANZ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교육(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복지 · 마일 트레인
국방 호주군 · 호주 육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호주 크리켓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빅 배시 리그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포르투갈계 호주인 · 위구르계 호주인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 3/14~1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멜버른)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파일:호주서킷ㅇ.png
2 3/21~2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상하이서킷ㅇ.png
3 4/4~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즈카)
스즈카 서킷
파일:스즈카서킷ㅇ.png
4 4/11~14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사키르)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바레인서킷ㅇ.png
5 4/18~2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제다 코니쉬 서킷
파일:제다서킷ㅇ.png
6 5/3~5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마이애미 가든스)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파일:마이애미서킷ㅇ.png
7 5/16~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밀리아로마냐 (이몰라)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파일:이몰라서킷ㅇ.png
8 5/23~25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서킷 드 모나코
파일:모나코서킷ㅇ.png
9 5/30~6/1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몬트리올)
서킷 질 빌뇌브
파일:캐나다서킷ㅇ.png
10 6/14~16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바르셀로나)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파일:카탈루냐서킷ㅇ.png
11 6/27~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슈필베르크)
레드불링
파일:레드불링ㅇ.png
12 7/4~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실버스톤)
실버스톤 서킷
파일:실버스톤서킷ㅇ.png
13 7/25~27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파일:스파프랑코샹ㅇ.png
14 8/1~3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헝가로링
파일:헝가로링ㅇ.png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5 8/29~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잔드보르트)
서킷 잔드보르트
파일:잔드보르트ㅇ.png
16 9/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몬차)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파일:몬차서킷ㅇ.png
17 9/19~2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바쿠)
바쿠 시티 서킷
파일:바쿠서킷ㅇ.png
18 10/3~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파일:싱가포르서킷ㅇ.png
19 10/18~2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오스틴)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
파일:코타ㅇ.png
20 10/25~2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파일:멕시코서킷ㅇ.png
21 11/7~10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
파일:브라질서킷ㅇ.png
22 11/21~23 파일:미국 국기.svg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파일:라스베이거스ㅇ.png
23 11/28~12/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카타르서킷ㅇ.png
24 12/5~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야스 섬)
야스 마리나 서킷
파일:아부다비ㅇ.png
}}}}}}}}} ||
호주 그랑프리
Australian Grand Prix
파일:2025호주GP.png
대회 정보
F1 첫 개최 년도<colbgcolor=#ffffff,#191919> 1985년
개최 서킷 애들레이드 서킷[1]
앨버트 파크 서킷[2]
개최 횟수 38회[3]
총 주행 거리 306.124 km
(190.216 miles, 58랩)
최다 우승
드라이버

[[독일|]][[틀:국기|]][[틀:국기|]] 미하엘 슈마허 (4회)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스쿠데리아 페라리 (11회)
2024년 폴 포지션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1:15.915
2024년 순위 1위 ‐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스 주니어
(스쿠데리아 페라리)
1:20:26.843

2위 -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스쿠데리아 페라리)
+ 2.366s
3위 -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포뮬러 1 팀)
+ 5.904s
랩 레코드[4] 1:19.813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SF-24)

1. 개요2. 역사
2.1. 포뮬러 1 이전2.2. 포뮬러 1
2.2.1. 1980년대2.2.2. 1990년대2.2.3. 1990년대2.2.4. 2000년대2.2.5. 2010년대2.2.6. 2020년대
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2024 호주 그랑프리 레이스 스타트.jpg
2024 호주 그랑프리
호주 맬버른앨버트 파크 서킷에서 개최되는 그랑프리이다. F1을 개최하기 시작한 이후로 개막전을 열었지만 2020~2021에는 코로나 19로 개최 무산, 2022년부터는 바레인에서 개막전이 열리고 있다.

2. 역사

2.1. 포뮬러 1 이전

2.2. 포뮬러 1

2.2.1. 1980년대

2.2.2. 1990년대

2.2.3. 1990년대

2.2.4. 2000년대

2.2.5. 2010년대

2.2.6. 2020년대

평소처럼 막스 베르스타펜의 우승이 점쳐졌다. 시작 직후 막스 베르스타펜카를로스 사인스 주니어의 배틀이 펼쳐졌다. 사인스가 베르스타펜을 추월하기 직전에 오른쪽 리어 브레이크에서 연기가 나면서 속도를 잃었고, 결국 리타이어한다. 그리고 루이스 해밀턴발테리 보타스가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면서 리버스 햄보막을 이루기도 했으며, 마지막 랩에서는 페르난도 알론소의 브레이킹의 영향으로 조지 러셀이 차가 옆으로 누운 채 길 한복판으로 튕겨나오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추가적인 사고는 없었다.[5] 결과는 카를로스 사인스의 우승.
다시 개막전을 개최하게 된다.

3. 여담

4. 관련 문서


[1] 1985~1995 개최[2] 1996~2019, 2022~ 개최[3] 2024년 기준[4] 레이스 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5] 이로 인해 알론소가 페널티를 받았는데 정당성 논란이 있다.[6] 연습 세션에서 기록된 연료 공급량과 레이스 세션에서 기록된 연료 공급량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 발견되어 실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