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R | 날짜 | 대회 | 레이아웃 |
1 | 3/14~16 |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 | |
2 | 3/21~23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 |
3 | 4/4~6 | 스즈카 서킷 | | |
4 | 4/11~14 |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 | |
5 | 4/18~21 | 제다 코니쉬 서킷 | | |
6 | 5/3~5 |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 | |
7 | 5/16~18 |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 | |
8 | 5/23~25 | 서킷 드 모나코 | | |
9 | 5/30~6/1 | 서킷 질 빌뇌브 | | |
10 | 6/14~16 |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 | |
11 | 6/27~29 | 레드불링 | | |
12 | 7/4~6 | 실버스톤 서킷 | | |
13 | 7/25~27 |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 | |
14 | 8/1~3 | 헝가로링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R | 날짜 | 대회 | 레이아웃 |
15 | 8/29~31 | 서킷 잔드보르트 | | |
16 | 9/5~7 |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 | |
17 | 9/19~21 | 바쿠 시티 서킷 | | |
18 | 10/3~5 |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 | |
19 | 10/18~20 |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 | | |
20 | 10/25~27 |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 | |
21 | 11/7~10 |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 | | |
22 | 11/21~23 |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 | |
23 | 11/28~12/1 |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 | |
24 | 12/5~7 | 야스 마리나 서킷 | |
호주 그랑프리 Australian Grand Prix | ||
파일:2025호주GP.png | ||
대회 정보 | ||
F1 첫 개최 년도 | <colbgcolor=#ffffff,#191919> 1985년 | |
개최 서킷 | 애들레이드 서킷[1] 앨버트 파크 서킷[2] | |
개최 횟수 | 38회[3] | |
총 주행 거리 | 306.124 km (190.216 miles, 58랩) | |
최다 우승 드라이버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미하엘 슈마허 (4회) | |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스쿠데리아 페라리 (11회) | |
2024년 폴 포지션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막스 베르스타펜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1:15.915 | |
2024년 순위 | 1위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카를로스 사인스 주니어 (스쿠데리아 페라리) 1:20:26.843 2위 - [[모나코| ]][[틀:국기| ]][[틀:국기| ]] 샤를 르클레르 (스쿠데리아 페라리) + 2.366s 3위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랜도 노리스 (맥라렌 포뮬러 1 팀) + 5.904s | |
랩 레코드[4] | 1:19.813 [[모나코| ]][[틀:국기| ]][[틀:국기| ]]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SF-24) |
[Clearfix]
1. 개요
|
2024 호주 그랑프리 |
2. 역사
2.1. 포뮬러 1 이전
2.2. 포뮬러 1
2.2.1. 1980년대
2.2.2. 1990년대
2.2.3. 1990년대
2.2.4. 2000년대
2.2.5. 2010년대
2.2.6. 2020년대
평소처럼 막스 베르스타펜의 우승이 점쳐졌다. 시작 직후 막스 베르스타펜과 카를로스 사인스 주니어의 배틀이 펼쳐졌다. 사인스가 베르스타펜을 추월하기 직전에 오른쪽 리어 브레이크에서 연기가 나면서 속도를 잃었고, 결국 리타이어한다. 그리고 루이스 해밀턴과 발테리 보타스가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면서 리버스 햄보막을 이루기도 했으며, 마지막 랩에서는 페르난도 알론소의 브레이킹의 영향으로 조지 러셀이 차가 옆으로 누운 채 길 한복판으로 튕겨나오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추가적인 사고는 없었다.[5] 결과는 카를로스 사인스의 우승.다시 개막전을 개최하게 된다.
3. 여담
- 1985년부터 F1 그랑프리를 개최하였으나, 호주인 F1 드라이버가 홈에서 포디움에 오른 적은 단 한번도 없다. 2014년 다니엘 리카도가 2위로 완주하며 시상대 자체에는 올랐으나, 경기 종료 이후 연료 공급량 문제[6]와 관련해 실격 처리를 받으며 사상 첫 호주인의 홈 그랑프리 포디움 등극에는 실패했다. 2024년에는 오스카 피아스트리가 레이스 초중반까지는 3위로 달렸으나, 앞서가는 페라리 듀오를 잡기 위한 명목으로 랜도 노리스와 자리를 스왑하라는 팀 오더를 받으며 포디움 등극에 실패했다.
- 유튜버 박가네가 관람한 2024년 대회. 현지 분위기를 잘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