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gcolor=#e87f8d,#6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일반 |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
인게임 정보 |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목록)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 |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5회차) | 리그 오브 히어로스 | ||
트레이너 기능 시험 | 레이싱 카니발 | 마스터즈 챌린지 | 먼슬리 매치 | 한정 미션 및 이벤트 | 상시 이벤트 | ||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 ||
기타 |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축전 | 라이브 | 중문 표기 | ||
사건 사고 (원화가 트위터 논란・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이병진 의원 망언)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인게임 정보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 color=#212529,#e0e0e0> | | | | | | |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맨하탄 카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
| | | | | | | |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
| | | | | | | |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
| | | | | | | |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에스푸아르 시티/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베르시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빌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로이스 앤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데어링 하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
[[후사이치 판도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어드마이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드림 저니(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파일:사쿠라 치토세 오 0차 아이콘.png | | | | |
[[칼스톤 라이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듀랜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버블검 펠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쿠라 치토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페노메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블래스트 원피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아몬드 아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 | | ||
[[럭키 라일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그란 알레그리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1px"]] | [[러브즈 온리 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크로노 제네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카렌 부케도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스테이 골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친구 카드 ] | |||||||
| | | | | | | |
[[하야카와 타즈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아키카와 야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키류인 아오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안심자와 사사미/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카시모토 리코/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라이트 헬로/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사타케 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
| | ||||||
[[츠루기 료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터커 브라인/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
[ 그룹 카드 ] | |||||||
| | ||||||
}}}}}}}}} |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러브즈 온리 유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2. 육성 우마무스메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114 「러브즈 온리 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 |
시기 | 주니어급 6월 후반 | |
출전 조건 | 없음 | |
비고 | 교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 |
팬을 3000명 모은다 | ||
시기 | 주니어급 12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3000명 이상 | |
비고 | 없음 | |
벚꽃상에서 5착 이내 | ||
시기 | 클래식급 4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4500명 이상 | |
비고 | 한신 / 잔디 / 1600m(마일) / 우, 외측 | |
오크스에서 5착 이내 | ||
시기 | 클래식급 5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6000명 이상 | |
비고 |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 |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3착 이내[1] | ||
시기 | 클래식급 11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10000명 이상 | |
비고 | 교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외측 | |
교토 기념에서 3착 이내 | ||
시기 | 시니어급 2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1900명 이상 | |
비고 | 교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외측 | |
빅토리아 마일에서 3착 이내 | ||
시기 | 시니어급 5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10000명 이상 | |
비고 | 도쿄 / 잔디 / 1600m(마일) / 좌 | |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3착 이내 | ||
시기 | 시니어급 6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20000명 이상 | |
비고 | 한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내측 | |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1착 | ||
시기 | 시니어급 11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10000명 이상 | |
비고 | 교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외측 | |
재팬컵에서 2착 이내 | ||
시기 | 시니어급 11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25000명 이상 | |
비고 |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
- 고유 칭호는 세계에 퍼지는 사랑(世界に広がる愛). 칭호 획득 조건은 "오크스,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우승하고, 카렌 부케도르, 크로노 제네시스, 럭키 라일락에게 각각 1회 이상 승리한다."
오크스(목표4)와 엘리자베스 여왕배(목표6, 9) 모두 목표 레이스로 포함되어 있으며, 오크스에선 카렌 부케도르와 크로노 제네시스가, 클래식/시니어급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선 두 번 모두 럭키 라일락이 고정 라이벌로 출전한다. 따라서 육성 목표만 따라가며 우승해줘도 칭호 조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2] 다만 오크스에 출전하는 고정 라이벌들이 마냥 쉬운 상대는 아니기에, 육성이 애매하면 오크스에서 알람 시계를 여러 번 써야할 수도 있다.
참고로 칭호 조건은 원본마의 행적과는 약간 차이가 있는데, 2019년도 오크스에서 카렌 부케도르와 크로노 제네시스를 꺾고 우승한 것만이 조건과 일치한다. 엘리자베스 여왕배에는 두 차례 출전(2019~2020)했으나 모두 럭키 라일락에게 우승을 뺏겼고, 럭키 라일락을 상대로는 단 한번도 선착(先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3] 원본마의 커리어를 고증한 조건과 그렇지 않은 IF 조건이 반반씩 섞인 셈.
무패 오크스 우마무스메 탄생! 4전 4승으로 티아라 2관째・오크스를 제패했습니다, 러브즈 온리 유!
||약간 까다로워 보이지만 막상 뜯어보면 의외로 어렵지 않은 조건으로, 육성 목표대로만 따라가도 쉽게 고유 아나운스를 들어볼 수 있다. 주니어 시즌의 '팬을 3000명 모은다'(목표2) 목표 달성을 위해 보통 주니어급 G1 레이스 하나를 우승해주는 루트로 육성을 할텐데, 그러면 데뷔전 → 주니어급 G1 → 벚꽃상(또는 물망초상) → 오크스 순서로 진행하며 자연스레 3전 3승(무패) 상태로 오크스에 출전하게 되기 때문.
- 클라이맥스 시나리오에서의 고유 해설은, 이름처럼 사랑(러브)의 힘으로 달리는 러브즈 온리 유의 캐릭터성을 반영한 것이다.
러브즈 온리 유! 자신이 받은 사랑을 힘으로 바꾼 그 달리기로 온 세상을 사로잡는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2.1. ★★★ - [9927 Wishes]
| ★★★★★ |
[9927 Wishes] 러브즈 온리 유 |
私たちで満たそうよ! 世界中を、無限の愛で♡ 우리들이 채우는 거야! 온 세상을 무한한 사랑으로♡ |
<nopad> | [9927 Wishes] 스킬 모션 |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 |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 |
[ruby(그것은\ ruby=それは、)] [ruby(마음을 채우는 보물., ruby=心を満たす宝物。)] [ruby(그것은\ ruby=それは、)] [ruby(세상을 밝히는\ ruby=世界を照らす、)] [ruby(따스함., ruby=温もり。)] [ruby(우리들의\ ruby=私たちの、)] [ruby(러브!, ruby=ラヴ!)] | |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 |
[ruby(세상을 밝히는\,, ruby=世界を照らす、)] [ruby(빅 러브!!, ruby=ビッグラヴ!!)] |
<colbgcolor=#424840,#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
2025년 5월 21일 🔗 |
2026년 9월 9일 (예상) |
<rowcolor=#ffffff,#e0e0e0> | | | | | ||||||
| | | | | ||||||
+ 10% | + 10% | + 0% | + 10% | + 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colbgcolor=#424840,#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 잔디 |
거리 적성 | 단거리 |
각질 적성 | 도주 |
✦ 고유 스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고유] Circulating Love♡종반이 다가오는 어딘가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하고, 중거리 레이스라면 팬에게 받은 러브에 따라 최대 3배까지 효과가 증가한다 <선입・잔디>|| |
✦ 초기 스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사전 준비 (下準備)레이스 중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솔직한 달리기 (真っ直ぐな走り)레이스 중반 직선에서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한동안 속도가 아주 조금 상승한다 <선입・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꿈을 향한 도전 (夢への挑戦)레이스 후반에 약간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 |
✦ 각성 스킬 |
- 각성 Lv.2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중에 스킬을 13회 발동하면 약간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
[노멀]
이그니션 (イグニッション)레이스 중에 스킬을 13회 발동하면 약간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
- 각성 Lv.3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중반 직선에서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한동안 속도가 다소 상승한다 <선입・중거리>||
[레어]
스트레이트 하트 (ストレートハート)레이스 중반 직선에서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한동안 속도가 다소 상승한다 <선입・중거리>||
- 각성 Lv.4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오르막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노멀]
십만 마력 (十万バリキ)오르막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 각성 Lv.5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후반에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
[레어]
유일무이 (唯一無二)레이스 후반에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
||
✦ 진화 스킬 |
- '스트레이트 하트' 스킬 (각성 Lv.3)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중반 직선에서 한동안 속도가 상승한다 <선입・중거리>||
[진화]
스트리밍♡러시 (ストリーミング♡ラッシュ)레이스 중반 직선에서 한동안 속도가 상승한다 <선입・중거리>||
- '유일무이' 스킬 (각성 Lv.5)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후반에 한동안 앞으로 나가고, 지능이 더욱 높으면 효과가 증가한다 <선입・중거리>||
[진화]
응원 채팅 부탁해! (応援コメントよろしく!)레이스 후반에 한동안 앞으로 나가고, 지능이 더욱 높으면 효과가 증가한다 <선입・중거리>||
||
태생 3성의 중거리 선입마. 마일 적성(C)과 선행 적성(A)도 높긴 하지만, 고유 스킬이나 진화 스킬 등의 전반적인 구성이 선입・중거리 포지션에 특화되어 있기에 큰 의미는 없다.
고유 스킬은 잔디 레이스에 선입 각질로 출전할 경우, 중반의 후반 무작위 지점에서 발동하는 스킬로, 순위 조건 등을 요구하지 않으니 경기장과 각질만 맞춰주면 100% 발동하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기본 속도 상승량이 '약간(わずかに)' 수준(0.15)으로 매우 낮은데, 이는 중거리 레이스에서 받은 러브 수에 따라 속도 상승량이 증가하는 추가 효과를 고려한 구성이다. 후술할 러브 획득 메커니즘에 따라 1~3배 사이에서 효과량이 증가하며, 추가 효과를 최대(3배)로 받게 될 경우엔 속도 상승량이 '많이(すごく)' 수준(0.45)으로 세 단계 상승한다. 다만 이 스킬을 계승해주는 경우엔 추가 효과가 사라진다는 점에 유의할 것.
상술했듯 고유 스킬에선 '러브(ラヴ)'가 핵심 메커니즘으로 등장하는데, 레이스가 진행되는 동안 아래 규칙에 따라 러브를 획득할 수 있다.
- 스킬 발동 시에 러브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엔 스타트 대시 때 발동하는 패시브 스킬,[4] 그리고 고유 스킬 그 자체도 포함된다.
- 레이스 중반에 순위가 상승할 때마다 러브를 획득할 수 있다. 순위가 하락하더라도 획득했던 러브를 잃지는 않는다.[5]
- 한 번에 획득하는 러브의 양은 그때까지 획득한 팬 수와 동일하다.[6]
레이스 화면에선 러브즈 온리 유의 초상화 상단에 나오는 별도 UI(하트 모양 아이콘 + 숫자)를 통해 받은 러브 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받은 러브 수가 300만 개 이상이 되면 상술한 최대의 추가 효과(속도 상승량 3배)가 적용되는데, 이때는 하트 모양 아이콘의 색상이 흰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되니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육성 중에는 획득한 팬 수가 적어서 스킬 발동이나 중반 순위 상승을 많이 해도 300만 개를 채우기가 어려울 수 있으나, 육성이 완료된 전당 입성 우마무스메는 팬 수가 충분히 많기 때문에 300만 개 이상의 러브를 받는 것이 어렵지 않다.[7]
2.1.1. 주요 육성 이벤트
- 주니어 시즌 종료 직후의 '팬을 3000명 모은다'(목표2) 달성 이벤트에선 직후의 목표 레이스를 정하게 되는데, 원래의 목표 레이스인 벚꽃상(목표3), 혹은 같은 턴에 치러지는 물망초상(클래식급 4월 전반 / OP, 중거리)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러브즈가 부상을 입은 탓에 로테이션 변경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으로, 무리해서라도 벚꽃상에 출전할지 혹은 오크스에 집중하기 위해 그 전초전인 물망초상에 출전할지 선택하게 된 것.[8] 이때 원래 육성 목표인 벚꽃상에 출전하면 G1 레이스인 만큼 우승 시의 보상이 조금 더 좋으나, 마일 적성이 C인데다 그란 알레그리아가 강력한 고정 라이벌로 출전하기 때문에 마일 적성을 올리지 않았다면 우승을 놓칠 위험성 또한 높다.[9]
- 여름 합숙 종료 직후의 이벤트에선 직후의 목표 레이스(목표5)가 추화상에서 엘리자베스 여왕배(클래식급 11월 전반 / G1, 중거리)로 변경된다. 상술한 벚꽃상 관련 이벤트처럼 이번에도 러브즈가 부상을 입게 되면서 로테이션 변경이 불가피해진 것인데,[10] 이때는 선택지 없이 강제로 변경된다는 차이점이 있다.[11]
- 위 이벤트에선 육성 목표 변경과 함께 '러브의 시련(ラヴの試練)'이라는 전용 상태 이상도 획득하게 되며, 레이스 출전 시 모든 스탯이 -50씩 깎이는 보정이 걸린다. 이 상태 이상은 클래식급 엘리자베스 여왕배 후 이어지는 '고민하는 사랑, 전하는 사랑(悩み愛、伝え愛)' 이벤트에서 자동 치료되는데, 이 때문에 클래식급 엘리자베스 여왕배는 꼼짝없이 페널티를 달고 뛰어야 한다.[12]
- [ 아몬드 아이 스펙 보기 ▼ ]
- ||<table width=100%><width=50%><nopad>
||<nopad>
||
빅토리아 마일의 아몬드 아이 재팬컵의 아몬드 아이
- 빅토리아 마일(목표7)과 시니어급 재팬컵(목표10)에서 아몬드 아이가 고정 라이벌로 등장한다. 그런데 이전에 등장했던 고정 라이벌들의 스펙은 '따위'로 보일 정도로 엄청난 스펙으로 출전하기에,[13] 해당 목표 레이스들은 사실상 강제 패배 레이스 취급을 받는다.[14] 빅토리아 마일은 러브즈 온리 유의 기본 마일 적성이 C기 때문에 적성을 올리지 않으면 아예 이기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시니어급 재팬컵은 마지막 목표 레이스임에도 불구하고 클리어 조건이 '2착 이내'로 되어 있는데, 이는 강력한 아몬드 아이의 스펙을 반영한 것이다.
2.1.2. 기타
- 승부복 명칭인 '9927 Wishes'에 등장하는 숫자 9927은, 원본마의 지분에 투자(출자)한 마주들(소위 '한입마주')의 수를 의미한다.
- 해외 레이스가 거의 구현되어 있지 않은 본작의 특성상, 원본마의 주요 업적인 '해외 G1 3승'(퀸 엘리자베스 2세 컵, 브리더스컵, 홍콩 컵)과 '일본 조교마 최초 브리더스컵 우승' 등은 육성 목표로 반영되지 않았다. 대신 원본마가 실제로 출전하지 않았던 일부 티아라 레이스(벚꽃상, 추화상), 타카라즈카 기념, 재팬컵이 IF 스토리 개념으로 육성 목표에 들어가 있다.
- 시니어급 2월 후반부터는 레이스 결과 화면에서 '라이브로(ライブへ)'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위닝 라이브를 볼 수 없게 막히는데, 이는 원본마의 시니어 시즌이었던 2020년도가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관중 없이 경기를 진행했던 시기임을 고증한 것이다. 라이브만 막힌 것이 아니고 인게임 레이스에서도 관련한 디테일을 엿볼 수 있는데, 시니어 시즌 초반엔 아예 관중석이 텅텅 비어있으며, 관중 입장이 일부 허용된 시니어 시즌 후반에도 관중석 일부만이 채워져 있다.
[1] 육성을 시작할 때의 목표는 '추화상에서 3착 이내'로 되어 있지만, 나중의 육성 이벤트로 인해 강제로 엘리자베스 여왕배로 목표가 변경된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2] 클래식급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선 전용 상태 이상으로 인한 페널티를 낀 채로 뛰어야 하기에 우승하기가 쉽지 않다. 반대로 시니어급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선 그런 페널티도 없는데다 클리어 조건이 '1착'이라서, 어쨌든 육성을 끝까지 완료하면 관련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3] 두 차례의 엘리자베스 여왕배, 그리고 2020년도 아리마 기념까지 더해서 총 3회 맞붙었으나, 선착 전적은 0승 3패로 완패였다. 반대로 카렌 부케도르와 크로노 제네시스를 상대로 한 선착 전적은 각각 1승 1패와 2승 2패로 모두 무승부였다.[4] 러브즈 온리 유의 출시 관련 공지에서 '스타트 대시를 통해서도 러브를 획득할 수 있다'라고 언급한 부분이 있는데, 이게 스타트 시 발동하는 패시브 스킬을 의미하는 것이다. 늦은 출발을 안 했냐, 스타트 시 좋은 순위를 잡았느냐 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5] 예컨대 마군 속에서 엎치락뒤치락하며 순위 상승/하락을 계속 반복하는 경우, 순위 하락 없이 평범하게 순위를 차근차근 올리는 경우보다 더 많은 러브를 획득할 수도 있다.[6] 예컨대 해당 레이스 직전까지 획득한 팬 수가 15만 명일 경우, 스킬 발동이나 중반 순위 상승이 한 번 일어날 때마다 러브가 15만 개씩 증가한다. 스킬 4개를 발동했고 중반 순위 상승을 3번 했다면 총 105만 개의 러브(15만 개 × 7번)를 획득하게 되는 식.[7] 육성 완료 시점이 되면 보통 30만 명 정도의 팬 수를 획득하게 되므로, 고유 스킬의 발동 지점(중반의 후반 무작위)에 도달하기 전에 8~10회 정도의 러브 획득만으로 300만 개 이상의 러브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8] 이는 원본마가 실제로 프레그모네에 걸린 탓에 벚꽃상 출전을 포기했던 에피소드를 고증한 것으로, 해당 이벤트에서도 프레그모네 진단을 받는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벚꽃상을 포기하는 대신 오크스 출전 자격 확보를 위해서 물망초상에 출전했던 것 또한 고증이다.[9] 배경이 되는 2019년도 벚꽃상은 그란 알레그리아가 레코드 우승을 달성하며 '마일의 여왕'이라는 전설을 시작한 레이스이기도 하다.[10] 이는 원본마가 실제로 오른쪽 뒷발굽에 발생한 염증 탓에 추화상 출전을 회피했던 에피소드를 고증한 것으로, 해당 이벤트에선 오른발 발톱에 부상을 입었다는 내용으로 묘사된다.[11] 우마무스메 각각의 육성 목표를 따라가지만 고정 육성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Legends 시나리오의 경우엔 처음부터 목표 레이스가 엘리자베스 여왕배로 표기된다.[12] 참고로 목표 레이스가 추화상에서 엘리자베스 여왕배로 변경된다고 해서 추화상 출전이 막히는 것은 아닌데, 어차피 추화상에서도 이 페널티가 똑같이 적용되기 때문에 좋은 성적을 거두기 어려운 건 마찬가지다.[13] 아몬드 아이는 Legends 시나리오 자체의 히든 보스로 등장하기도 하는데, 러브즈 온리 유를 해당 시나리오에서 육성할 경우에 고정 라이벌로 등장하는 아몬드 아이는 히든 보스일 때보다 더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다.[14] 원본마는 2020년도 빅토리아 마일에서 7착으로 참패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의 우승마가 아몬드 아이였다. 하지만 그 외엔 원본마가 아몬드 아이와 맞붙은 전적이 없는데다 재팬컵은 아예 출전조차 한 적이 없었기에, 재팬컵에서 아몬드 아이와 맞붙는 건 IF 스토리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