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대한민국 대통령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5ba6> 명단 | 명단 | |
권한 | 법률안 거부권 | 긴급명령권 | 계엄 선포 | 불소추 특권 | ||
관련 자격 | 국군통수권자 |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 ||
이동수단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 헬기 | 대한민국 대통령 의전차량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 열차 | ||
기타 | 대한민국 대통령 초상화 | 청와대 | 대한민국 대통령실 |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대통령실) |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당선인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 해외 순방 | 퇴임 후 | 관련 기록 | 인기 순위 | 기념시계 | 각종 분류 | ||
<colcolor=#ffc224><colbgcolor=#005ba6> 대통령 의전차량 Republic of Korea Presidential Mortor | |
| |
<rowcolor=#ffc224>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50 가드 | |
국가 |
|
소유 | 대한민국 정부 |
운용 | 대통령경호처 |
1. 개요
대한민국 대통령이 탑승하는 의전차량이다.국가원수인 대통령이 탑승하는 만큼 방탄은 기본으로 탑승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마개조가 되어 있다.
2. 역사
대한민국 대통령 의전차량 일대기[1] |
2.1. 이승만 정부
|
이승만 대통령은 캐딜락에서 1956년에 제작한 캐딜락 플리트우드 62 세단을 사용하였다.[2]
미국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선물한 것으로서 대통령 의전차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방탄차량이다.
2.2. 박정희 정부
| |
<rowcolor=#ffc224> 1960 캐딜락 플리트우드 75 | 1968 캐딜락 플리트우드 75 |
| |
<rowcolor=#ffc224> 쉐보레 비스케인 | 카이저 지프 |
|
박정희 대통령은 캐딜락 플리트우드 62와 캐딜락 플리트우드 75를 주로 이용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지방시찰이나 업무용 혹은 비공개 일정에는 쉐보레 비스케인, 카이저 지프,메르세데스 벤츠 450 SEL도 사용하였다.
2.3. 최규하 정부
|
<nopad> | |
푸조 604 | 1974 캐딜락 플리트우드 75 |
최규하 대통령은 10.26 사건으로 대통령직에 오르면서 국무총리 시절 사용하던 푸조 604와 현대 그라나다를 주로 사용하였다. 박정희 대통령이 타던 캐딜락 플리트우드 75도 경호상황에 따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였다.
2.4. 전두환 정부
<nopad> | |
1974 캐딜락 플리트우드 75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리무진 |
|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리무진 코치도어 |
|
2.5. 노태우 정부
<nopad> |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리무진 코치도어 |
|
2.6. 문민정부(김영삼 정부)
<nopad> |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 메르데세스-벤츠 W140 S600 가드 |
김영삼 대통령은 기존에 사용하던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이외에 메르세데스-벤츠 W140 S600 가드를 최초로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2.7.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부)
<nopad> |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 메르데세스-벤츠 W140 S600 가드 |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1세대, 2세대)
-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W140
2.8.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
캐딜락 드 빌 |
|
청와대 관저 앞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
|
BMW 7시리즈 시큐리티 |
- 캐딜락 드 빌(8세대)
-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W220)
- BMW 7시리즈 시큐리티(4세대)
노무현 대통령은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와 새로 구매한 4세대 BMW 7시리즈 시큐리티를 번갈아 가며 사용했다. 추가적으로 국민의 정부 시절 도입한 캐딜락 드빌도 임기 초반 일부 일정에서 병행해 사용했다.
2.9. 이명박 정부
|
BMW 7시리즈 시큐리티 |
|
첫 국산 대통령 의전차량인 현대 에쿠스 리무진 |
이명박 대통령은 기존 메르세데스-벤츠 W220 S600 가드와 4세대 BMW 7시리즈 시큐리티를 의전차량으로 사용하였다. 2009년엔 현대 에쿠스 리무진 2세대를 기반으로 독일 방탄차량 제조업체 스투프(Stoof)[3]에서 방탄기능 등을 추가한 전용차를 도입했다. 이는 최초의 국산 대통령 의전차량으로 세계 5위권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세계 10위권 자동차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로서 자부심을 보여줬다는 평을 들었다. [4]
2.10. 박근혜 정부
|
박근혜 전 대통령을 태우고 현충원으로 이동하는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
|
박근혜 전 대통령을 태우고 국회에 도착한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
|
박근혜 전 대통령이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에서 하차하고 있다. |
|
첫 국산 대통령 의전차량인 현대 에쿠스 리무진 |
-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W220, W221, W222)
- 현대 에쿠스 리무진 2세대
박근혜 대통령은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와 현대 에쿠스 리무진 방탄차량을 함께 사용하였다. 그리고 브라질 순방 당시 현대 에쿠스 2세대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대통령이 해외 순방에서 국내기업의 차량을 이용한 유일한 사례이다.[5] 해당 차량은 현대자동차 브라질법인에서 제공한 것으로, 국내에서 사용하는 현대 에쿠스 2세대 방탄차량과는 다른 일반버전이다.
2.11. 문재인 정부
|
광화문 앞을 지나가는 BMW 7시리즈 시큐리티 |
|
백화원초대소에 주차된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00 가드 |
|
쉐보레 서버번에서 하차하는 문재인 전 대통령 |
|
통일각에 도착한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
|
제100주년 3.1절 기념식 이후 이동하는 제네시스 EQ900L 방탄차량 |
|
현대 넥쏘에서 하차하는 문재인 전 대통령 |
문재인 대통령은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00 가드와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를 사용하였다. 임기 중반에 제네시스 EQ900L[6] 방탄차량을 추가로 구입하였다. 심지어 휴가를 갈 때에는 현대 카운티 미니버스를 이용하였다. 또한 수소연료전지차인 현대 넥쏘를 대통령 전용차량으로 도입하여 일부 외부행사와 청와대 경내이동 시에 사용했는데, 이는 역대 대통령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친환경차를 대통령 전용차량으로 도입한 사례이다.
2.12. 윤석열 정부
|
사저에서 나오는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
파일:sclassydc3.jpg |
윤석열 전 대통령을 태우고 대구에 도착한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50 가드 |
|
메르세데스-벤츠 S680 가드에서 하차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 |
|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에서 하차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은 기존 메르세데스-마이바흐 W222 S600 가드와 메르세데스-벤츠 W222 S600 가드를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2023년경 메르세데스-마이바흐 W222 S650 가드와 메르세데스-벤츠 W223 S680을 새로 도입해 함께 이용 중이다. 이외에도 비공식 일정에서는 기아 카니발 하이리무진에 탑승한 모습도 보인다. 또한 그동안 수행원 차량으로 쓰여온 캐딜락 에스컬레이드가 대통령이 직접 탑승하는 의전차로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2.13. 이재명 정부
|
국회에서 취임 선서 후 용산 대통령실로 이동하는 이재명 대통령 |
|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에서 하차하는 이재명 대통령 |
3. 카퍼레이드 사용차량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리무진 (전두환 정부 도입) |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리무진 코치도어 (전두환 정부 도입) |
|
캐딜락 플리트우드 브로엄 리무진 후기형 (14대-17대 대통령 취임식) (문민정부 도입) |
|
현대 에쿠스 스트레치드 리무진 (18대-20대 대통령 취임식) (박근혜 정부 도입) |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50 가드 (21대 대통령 취임식) (윤석열 정부 도입) |
이재명 정부는 기존에 사용하던 현대 에쿠스 스트레치드 리무진을 사용하지 않고 평상업무에 사용되던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50 가드 차량을 사용하였다
4. 대통령 권한대행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무총리 또는 장관 시절 사용하던 관용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대통령경호처에서 제공하는 방탄차를 사용한다.5. 전직 대통령
전직 대통령은 퇴임 이후 차량을 국가에서 제공받거나 자신의 개인차량을 사용할 수 있다.6. 관련 문서
[1] 문재인 정부까지.[2] 그 전까진 윤보선이 타던 뷰익 승용차를 가져다 사용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후 링컨 코스모폴리탄도 도입했다.#[3] 이곳은 칼 아우구스트 스투프가 무려 1865년에 세운 곳으로 현재는 창업자의 후손들이 100여명의 직원과 함께 기성제조사의 차량을 방탄차로 개조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4] 자동차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각국 정상들도 자국 생산차를 이용하고 있다. 프랑스는 DS 7 크로스백, 중국은 자국 디이자동차의 홍치 L5를, 독일은 A8L, 영국은 재규어 XJ, 이탈리아는 콰트로포르테, 일본은 센추리 로얄(천황)과 센추리(총리)을 사용한다. 미국은 아예 GM이 에스컬레이드와 CT6를 닮은 대통령 전용의 독자 모델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러시아는 아우루스 세나트라는 차를 자체 개발해서 타고 있다. 모두 자국의 자동차를 선전하는 효과와 자부심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5] 일반적으론 방문국 정부가 제공하는 의전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송기에다 자신의 전용차를 싣고 전세계를 누비는 미국 대통령이 특이한 사례.[6] 위 차량은 독일의 트라스코사에서 방탄기능을 시공하였으며 VR8등급의 방탄성능으로 기존 에쿠스 리무진 방탄차량보다는 방탄성능이 뛰어나다. 여담으로 초기엔 W221 S600 가드의 휠을 돌려쓰다가 나중에 전용 휠을 갖췄다.[7] 노블클라쎄 그릴이 장착된 것으로 보아 노블클라쎄에서 컨버전 한 모델로 보인다.[8] 2020년형[9] 고건 대통령 권한대행은 당시 국무총리 시절 사용하던 차량을 이용하고 싶어했으나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규정이나 사례가 없던 상황에 대통령급으로 예우하는 차원에서 대통령경호실에서 방탄차 이용을 적극 권유해 마지못해 탑승 한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사상 초유의 대통령 권한대행(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상황에서 안전을 위해 대통령경호처가 제공하는 방탄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11] 노블클라쎄 튜닝이 되어 있는 하이리무진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