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삼보 | |
경전 | 불경(경장 · 율장 · 논장)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번 · 마니륜 · 금강령 · 죽비 · 정병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사십구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감로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불교 용어 | }}}}}}}}} |
한자 | 大佛頂楞嚴神呪 |
IAST[1] | Śūraṅgama mantra |
1. 개요
본래 정식명칭은 대불정능엄신주(大佛頂楞嚴神呪). '대불정다라니', '능엄신주', 혹은 짧게 '능엄주'라고도 불리운다. 출처는 능엄경이다.
천수경이나 아미타경 등 흔히 독송되는 다른 경전들에 비해서 발음하기가 어려우며, 심지어 번역본을 읽어보아도 내용을 이해하기가 난해[2]하다.
초심자들은 느리게 독송한 음원#을 들어보자.
2. 구조
단락 | 회상명 (會上名) | 내용 | 참고[3] |
1 | 비로진법회 (毘盧眞法會) | 부처님과 보살들 및 여러 신들과 보살 성취자들에게 귀의하며, 모든 악령과 재앙을 물리치고 보호를 청함 | 자비로서 중생을 덮어줌 |
2 | 석존응화회 (釋尊應化會) | 세존의 위신력과 명주로 제악을 조복하고, 모든 천신과 신령의 도움으로 길상을 기원함 | 지혜로서 번뇌를 끊어냄 |
3 | 관음합동회 (觀音合同會) | 온갖 재앙, 악귀, 마귀, 외도들의 주문을 절단 및 금지하며, 수호를 청함 | 가장 수승한 가르침을 설함 |
4 | 강장절섭회 (剛藏折攝會) | 다양한 악신 및 외도 주술을 파패하고, 모든 재앙을 무력화시키며 수호를 요청함 | 광명으로 중생을 모음 |
5 | 문수홍전회 (文殊弘傳會) | 각종 병과 악귀, 재난, 귀신들로 인한 피해를 퇴산시키고 타주의 주술을 결박하여 제거함 | 모든 장애를 제거함 |
본래 진언이나 다라니는 발음과 소리에 집중하는 것이므로 의미의 차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4][5]
3. 전문
국내에는 전통적인 한자 음역본[6]과 범어 음역본[7]이 있다.
3.1. 범어 음역본
스타타 가토스니삼 시타타파트람 아파라지탐 프라튱기람 다라니
나맣 사르바 붇다 보디 사트베뱧
나모 샆타남 사먁삼붇다 코티남 사스라바카삼가남
나모 로케 아르한타남
나모 스로타판나남
나모 스크르타가미남
나모 아나가미남
나모 로케 사먘가타남 사먘프라티 판나남
나모 라트나 트라야야
나모 바가바테 드르다수라세나 프라하라나라자야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사먘삼 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아미타바야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앜소뱌야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바이사이쟈구루 바이투랴 프라바라자야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바가바테 삼푸스피타사 렌드라라자야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사캬무나예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라트나쿠수마 케투라자야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사먘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타타가타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파드마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바즈라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마니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가르자쿠라야
나모 데바르시남
나모 싣다 비댜 다라남
나모 싣다 비댜 다라 르시남 사파누그라하 사마르타남
나모 브라흐마네
나모 인드라야
나모 바가바테 루드라야 우마파티사헤야야
나모 나라야나야 랔삼미사헤야야 팜차마하무드라 나마 스크르타야
나모 마하카라야 트리푸라나가라 비드라파나카라야 아디뭌토카 스마사나바시니 마트르가나
나맣스크르타야 에뵤 나맣 스크르트바 이맘
바가바타 스타타가토스니삼 시타타파트람 나마파라지타 프라튱기람
사르바 데바 나마 스크르탐
사르바 데베뱧 푸지탐
사르바 데베스차 파리파리탐
사르바 부타그라하 니그라하카림 파라비댜 체다나카림 두남 타남 사트바남 다마캄 두스타남 니바라님 아카라므르튜 프라사마나카림
사르바 반다 나뫀사나카림
사르바 두스타 두스바프나니바라님 차투라시티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드밤 사나카림 아스타빔사티남 낰사트라남 프라사다나카림 아스타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림
사르바 사트루니라님 구람 두스바프 나남차나사님 비사 사스트라 아그니 우다카우트라님 아파라지타구라
마하 찬남 마하 디프탐 마하 테잠
마하 스베탐 즈바라
마하 바라 스리야판다라바시님 아랴타라 브르쿠팀 체바잠
바즈라 마레티 비스루탐 파드마크맘
바즈라 지흐바차 마라체바파라지타
바즈라 단디 비사라차 산타바이데하푸지타 사이미루파 마하스베타 아랴타라 마하바라 아파라
바즈라 상카라체바
바즈라 코마리 쿠란다리
바즈라 하스타차 마하비댜 타타캄차나마리카 쿠숨바라타나체바 바이로차나 쿠다르토스니사 비즈름 바마나차
바즈라 카나카 프라바로차나
바즈라 툰디차 스베타차카마랔사 사시프라바 이톄테 무드라가나 사르베랔삼 쿠르반투 마마샤
옴 리시가나 프라사스타 타타가토스니사
훔브룸 잠바나
훔브룸 스탐바나
훔브룸 보하나
훔브룸 마타나
훔브룸 파라비댜 삼랔사나카라
훔브룸 사르바두스타남 스탐바나카라
훔브룸 사르바얔사 랔사사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라
훔브룸 차투라시티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나사나카라
훔브룸 아스타빔사티남 낰사트라남 프라사다나카라
훔브룸 아스타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라
랔사랔사 맘 바가밤 스타타가 토스니사
마하프라 튱기레 마하사하스라부제 사하스라시르사이 코티사타사하스라네트레 아벰댜 즈바리타나타나카 마하 바즈로다라 트르부바나 만다라 옴 스바스티르바바투 마마
라자 바야
초라 바야
아그니 바야
우다카 바야
비사 바야
사스트라 바야
파라차크라 바야
두르빜사 바야
아사니 바야
아카라므르튜 바야
다라니부미캄파 바야
우르카파타 바야
라자단다 바야
나가 바야
비듀 바야
수프라니 바야
얔사 그라하
랔사사 그라하
프레타 그라하
피사차 그라하
부타 그라하
쿰반다 그라하
푸타나 그라하
카타푸타나 그라하
스칸다 그라하
아파스마라 그라하
운마다 그라하
차야 그라하
레바티 그라하
우자 하리냐
가르바 하리냐
자타 하리냐
지비타 하리냐
루디라 하리냐
바사 하리냐
맘사 하리냐
메다 하리냐
마자 하리냐
반타 하리냐
아수챠 하리냐
치차 하리냐
테삼사르베삼 사르바그라하남 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파리브라자카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다카다키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마하파수파티 루드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타트바가루다사헤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마하카라 마트르가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카파리카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자야카라마두카라 사르바르타 사다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차투르바기니 크르탐 비댬 친다야미 카라야미
브름기리티카 난디케스바라 가나파티사헤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나그나스라마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아르한타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비타라가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바즈라파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브라흐마크르탐 루드라크르탐 나라야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바즈라파니 구햐카디파티 크르탐 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랔사 랔사 맘
바가밤 시타타파트라 나모 스투테
아시타 나라르카 프라바스푸타 비카시타타파트레
즈바라즈바라 다카다카 비다카비다카 다라다라
비다라비다라 친다친다 빈다빈다
훔훔 파트 파트 스바하
헤헤 파트 아모가야 파트 아프라티하타야 파트
바라프라다야 파트 아수라 비드라파카야 파트
사르바 데베뱧 파트
사르바 나게뱧 파트
사르바 약세뱧 파트
사르바 랔사세뱧 파트
사르바 가루데뱧 파트
사르바 간다르베뱧 파트
사르바 아수레뱧 파트
사르바 킨다레뱧 파트
사르바 마호라게뱧 파트
사르바 부테뱧 파트
사르바 피사체뱧 파트
사르바 쿰반데뱧 파트
사르바 푸타네뱧 파트
사르바 카타푸타네뱧 파트
사르바 두르람기테뱧 파트
사르바 두스프렠시테뱧 파트
사르바 즈바레뱧 파트
사르바 아파스마레뱧 파트
사르바 스라마네뱧 파트
사르바 티르티케뱧 파트
사르바 운맘데뱧 파트
사르바 비댜차례뱧 파트
자야카라마두카라 사르바르타 사다케뵤 비댜차례뱧 파트
차투르바기니뱧 파트
바즈라 코마리 쿠란다리 비댜라제뱧 파트
마하프라 튱기레밯 파트
바즈라상카라야 프라튱기라라자야 파트
마하카라야 마트르가나 나마스크르타야 파트
인드라야 파트
브라흐미니예 파트
루드라야 파트
비스나비예 파트
비스네비예 파트
브라흐미예 파트
아그니예 파트
마하카리예 파트
로드리예 파트
카라단디예 파트
아인드리예 파트
마트리예 파트
차문디예 파트
카라라트리예 파트
카파리예 파트
아디뭌토카스마사나 바시니예 파트
예케칱타 사트바 마마
두스타칱타 파파칱타 로드라칱타 비드바이사칱타
아마이트라칱타
우트파다얀티 키라얀티 만트라얀티 자판티 조한티
우자 하라 가르바 하라 루디라 하라
맘사 하라 메다 하라 마자 하라 바사 하라
자타 하라 지비타 하라 마랴 하라 바랴 하라
간다 하라 푸스파 하라 파라 하라 사샤 하라
파파 칱타 두스타 칱타
데바 그라하
나가 그라하
얔사그라하
랔사사 그라하
아수라그라하
가루나그라하
킨다라그라하
마호라가 그라하
프레타 그라하
피사차 그라하
부타 그라하
푸타나 그라하
카타푸타나 그라하
쿰반다 그라하
스칸다 그라하
운마다 그라하
차야 그라하
아파스마라 그라하
다카다키니 그라하
레바티 그라하
자미카 그라하
사쿠니 그라하
난디카 그라하
람비카 그라하
칸타파니 그라하
즈바라 에카히카 드바이티야카 트레티야카 차투르타카
니탸즈바라 비사마즈바라 바티카 파이티카 스레스미카 산디파티카
사르바 즈바라 시로르티 아르다바베다카 아로차카
앜시 로감 무카 로감 흐르드 로감
카르나 수람
단다 수람
흐르다야 수람
마르마 수람
파라스바 수람
프르스타 수람
우다라 수람
카티 수람
바스티 수람
우루 수람
잠가 수람
하스타 수람
파다 수람
사르방가프라튱가 수람
부타베타다 다카다키니
즈바라 다드루칸듀키티 바로타바이 사르파로하링가 소사트라사가라
비사요가 아그니 우다카 마라베라 칸타라
아카라므르튜 트라이무카 트라이라타카 브르스치카 사르파나쿠라
심하 뱌그라맄사 타라맄사 차마라지비베
테삼사르베삼 시타타파트라 마하바즈로오스니삼 마하프라튱기람
야바드바 다사요자나 뱐타레나
사마 반담 카로미
디사 반담 카로미
파라비댜 반담 카로미
테조 반담 카로미
하스타 반담 카로미
파다 반담 카로미
사르방가프라튱가 반담 카로미
타댜타 옴 아나레 아나레 비사다비사다
반다반다 반다니반다니
바이라바즈라파니 파트 훔 브룸 파트 스바하
나모 스타타가타야 수가타야르하테 사먘삼붇다야 시댬투 반트라파다 스바하
3.2. 범어 원문[8] 및 발음
sata-thātagatā uṣṇiṣa sitātapatra aparājita pratiaṅgirā dhāranī
사따따-따타가따 우슈니샤 시따따빠뜨라 아빠라지따 쁘라띠앙기라 다라니
1. 비로진법회 (毘盧眞法會)
namas tathāsugatāya arhat samyaksaṃbuddhasya satyatā buddha koṭīṣṇisaṃ
나마스 따타수가타야 아르하트 삼먁삼붇다샤 사띠야따 붇다 꼬띠슈니샴
namu sattva buddhi boddhisattavaya
나무 삿뜨바 붇디 볻디삿따바야
namu saptānāṃ samyak sambudda koṭīnāṃ sa śrāvakasaṃghānāṃ
나무 삽따남 삼먁 삼붓다 꼬띠남 사 슈라바까상가남
namu loke arhatānāṃ
나무 로께 아르하따남
namu srotāpannānāṃ
나무 스로따빤나남
namu sakṛdāgāminaṃ
나무 사끄리다가미남
namu loke samyakgātānāṃ samyakpratipannānāṃ
나무 로께 삼먁가따남 삼먁쁘라띠판나남
namu devaṛṣināṃ
나무 데바르시남
namu siddhi vidyā dharaṛṣināṃ sāpānām grahsamartānāṃ
나무 싣디 비디야 다라르시남 사빠남 그라흐사마르따남
namu brahmane
나무 브라흐마네
namu indrāya
나무 인드라야
namu bhagavatī rudrāya umāpatisahitāya
나무 바가바띠 루드라야 우마빠띠사히따야
namu bhagavatī nārāyanāya pañcamahāsammudra namaskṛtya
나무 바가바띠 나라야나야 빤짜마하삼무드라 나마스끄르띠야
namu bhagavatī mahākālaya
나무 바가바띠 마하깔라야
tripuranagara vidrāvaṇa karaya adhimuktika śmāśāna nivāsane
뜨리뿌라나가라 비드라바나 까라야 아디무끄띠까 슈마샤나 니바사네
mātṛgaṇāṃ namaskritya
마뜨리가남 나마스끄리띠야
namu bhagavatī tathāgatakulāya
나무 바가바띠 따타가타꿀라야
namu padmakulāya
나무 빠드마꿀라야
namu vajrakulāya
나무 바즈라꿀라야
namu manikulāya
나무 마니꿀라야
namu gajakulāya
나무 가자꿀라야
namu bhagavatī dṛḍhasūrasena praharaṇarājaya tathāgatāya
나무 바가바띠 드르다수라세나 쁘라하라나라자야 따타가타야
namu bhagavatī amitābhaya tathāgataya arhatī samyaksambuddhāya
나무 바가바띠 아미따바야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namu bhagavatī akṣobhyāya tathāgatāya arhatī samyaksambuddhāya
나무 바가바띠 악쇼뱌야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namu bhagavatī bhaiṣajyaguruvaidūrya prabhārājāya tathāgatāya
나무 바가바띠 바이샤즈야구루바이두리야 쁘라바라자야 따타가타야
namu bhagavatī saṃpuṣpita śalendra-rāja tathāgatāya arhatī samyaksaṃbuddhāya
나무 바가바띠 삼뿌슈피따 샬렌드라-라자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namu bhagavatī sākhyamuniye tathāgatāya arhatī saṃyaksambuddhāya
나무 바가바띠 사꺄무니예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namu bhagavatī ratnaketurāja tathāgatāya arhatī saṃyaksaṃbuddhāya
나무 바가바띠 라뜨나께뚜라자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tebhyo namaskritya etad bhagavatī satathāgatoṣṇisaṃ sitātapatra namuaparājita pratiaṅgirā
떼뵤 나마스끄리띠야 에따드 바가바띠 사따타가또슈니샴 시따따빠뜨라 나무아빠라지따 쁘라띠앙기라
sarvabhūtagraha nigrahakaranī
사르바부따그라하 니그라하까라니
parividyachedanī akālamṛtyu paritrāyaṇakarī sarvabandhanamokṣanī
빠리비디야체다니 아깔라므루띠유 빠리뜨라야나까리 사르바반다나목샤니
sarvaduṣṭa duṣṭasvapna vāraṇī
사르바두슈따 두슈따스바쁘나 바라니
caturaśītinām grāhasahasrānām vidhvaṃsanakarī
짜뚜라쉬띠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드밤사나까리
aṣṭāviṃśatīnām nakṣatranām prasādanakarī
아슈따빔샤띠남 낙샤뜨라남 쁘라사다나까리
aṣṭānām mahāgrahānām vidhvaṃsanakarī sarvaśatrunivāranī
아슈따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까리 사르바샤뜨루니바라니
ghoraduṣṭa svapnānaṃ canāśanī
고라두슈따 스바쁘나남 짜나샤니
viṣaśastra agniudakauttaraṇī
비샤샤스뜨라 아그니우다까웃따라니
aparājita gorā mahābalacandā mahādhipatā mahātejā
아빠라지따 고라 마하발라짠다 마하디빠따 마하떼자
mahāśvetajvāla mahābalapāṇḍaravāsinī
마하슈베따즈발라 마하발라빤다라바시니
āryatārā bhṛkutī
아리야따라 브리꾸띠
caivavijaya vajramālatī
짜이바비자야 바즈라말라띠
viśruta padmakā vajrajihvaca
비슈루따 빠드마까 바즈라지흐바짜
mālacaivaaparājitā vajradaṇḍī
말라짜이바아빠라지따 바즈라단디
viśālaca śāntavidehapūjitā sumāyarūpa mahāśvetā
비샬라짜 샨따비데하뿌지따 수마야루빠 마하슈베따
āryatārā mahābalā amara vajrasaṃkalacaiva
아리야따라 마하발라 아마라 바즈라삼깔라짜이바
vajrakumārī Kuladārī vajrahastāca vidya kāñcana mālikā
바즈라꾸마리 꿀라다리 바즈라하스따짜 비디야 깐짜나 말리까
kusumbharatnā
꾸숨바라뜨나
vairocanakriya yaratuṣṇīṣāṃ
바이로짜나끄리야 야라뚜슈니샴
vijṛmbhamanaca
비즈림바마나짜
vajra kanaka prabhā locana vajratuṇḍica
바즈라 까나까 쁘라바 로짜나 바즈라뚠디짜
śveta ca kamala akṣāśaśiprabhā
슈베따 짜 까말라 악샤샤시쁘라바
itiete mudrakanāḥ sarve rakṣām kurvantu ittāṃmamāsya
이띠에떼 무드라까나하 사르베 락샴 꾸르반뚜 이땀마마스야[9]
2. 석존응화회 (釋尊應化會)
oṃ ṛsigaṇa praśasta satathāgatoṣṇiṣa
옴 리시가나 쁘라샤스따 사따타가또슈니샤
hūṃ trūṃ jambhana
훔 뜨룸 잠바나
hūṃ trūṃ stambhana
훔 뜨룸 스땀바나
hūṃ trūṃ paravidyasambhakṣaṇakara
훔 뜨룸 빠라비댜삼바끄샤나까라
hūṃ trūṃ sarvarakṣarakṣasya grāhanāṃ vidhvaṃsanakara
훔 뜨룸 사르바락샤락샤샤 그라하남 비드밤사나까라
hūṃ trūṃ caturaśītināṃ grāhasahasrānāṃ vidhvaṃsanakara
훔 뜨룸 짜투라쉬띠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드밤사나까라
hūṃ trūṃ rakṣa bhagavan ma tathāgatoṣṇiṣa pratiaṅgirā
훔 뜨룸 락샤 바가반 마 따타가토슈니샤 쁘라띠앙기라
mahāsahasra bhujasahasraśīrṣa koṭi sahasranetre avidya jvālita naṭake
마하사하스라 부자사하스라쉬르샤 꼬띠 사하스라네뜨레 아비댜 즈발리따 나따께
mahāvajradhare tribhavana maṇḍaleśvarā
마하바즈라다레 뜨리바바나 만달레슈바라
oṃ svastir bhavatu mama ittāṃmamāsya
옴 스바스띠르 바바뚜 마마 이땀마마스야
3. 관음합동회 (觀音合同會)
rāja bhayāt caurabhayāt agnibhayāt udakabhayāt
라자바야뜨 짜우라바야뜨 아그니바야뜨 우다까바야뜨
viśabhayāt śastra bhayāt paracakrabhayāt durbhikṣa bhayāt
비샤바야뜨 샤스뜨라바야뜨 빠라짜끄라바야뜨 두르빅샤바야뜨
aśani bhayāt akālamṛtyubhayāt dharaṇībhūmikampa kapātabhayāt ulkapātabhayāt
아샤니바야뜨 아깔라므루띠유바야뜨 다라니부미깜빠 까빠따바야뜨 울까빠따바야뜨
rājadaṇḍa nāgabhayāt vidyutbhayāt suparṇa bhayāt
라자단다 나가바야뜨 비디유뜨바야뜨 수빠르나바야뜨
yakṣagrahāt rakṣagrahāt pretagrahāt piśācagrahāt
약샤그라핱 락샤그라핱 쁘레따그라핱 삐샤차그라핱
bhūtagrahāt kumbhāṇḍagrahāt pūtaṇāgrahāt kaṭapūtaṇagrahāt
부따그라핱 꿈반다그라핱 뿌따나그라핱 까따뿌따나그라핱
skandagrahāt apasmāragrahāt unmādagrahāt chāyāgrahāt
스깐다그라핱 아빠스마라그라핱 운마다그라핱 차야그라핱
revatīgrahāt jātāhārinyaḥ garbhāhārinyaḥ rudhirāhārinyaḥ
레바띠그라핱 자따하리냐 가르바하리냐 루디라하리냐
māṃsāharinyaḥ medāharinyaḥ majjāharinyaḥ ojoharinyaḥ
맘샤하리냐 메다하리냐 마짜하리냐 오조하리냐
jīvitāharinyaḥ vātāharinyaḥ vāntāharinyaḥ aśucyāharinyaḥ cittāharinyaḥ
지비따하리냐 바따하리냐 반따하리냐 아슈쨔하리냐 찥따하리냐
teṣāṃsarvaṣām sarvagrahānām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떼샴사르바샴 사르바그라하남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pravrājaka 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쁘라브라자까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dākinī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다끼니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mahāpaśupati rudra 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마하빠슈빠띠 루드라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mahāpaśupati rudra 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나라야나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tattvagaruḍasahaya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따트바가루다사하야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mahākāla matṛgaṇa kriy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마하깔라 마뜨리가나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kāpālika 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까빨리까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jayakaramadhukara sarvārthasādhana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자야까라마두까라 사르바르타사다나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caturbhāginī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짜투르바기니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bhṛṅgiriti nandakeśvaragaṇapati sahāyakritāṃ vidyāṃ chedayāṃi kīlayāmi
브링기리띠 난다께슈바라가나빠띠 사하야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nagnaśravaṇakritām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나그나슈라바나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arhatkritāṃ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아르하트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vītarāgakritāṃ vidyāṃchedayāṃi kīlayāmi
비따라가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vajrapāṇi guhyakaguhyaka adhipatikritām vidyāṃ chedayāmi kīlayāmi
바즈라빠니 구흐야까구흐야까 아디빠띠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rakṣamāṃ bhagavan ittāṃmamāsya
락샤맘 바가반 이땀마마스야
4. 강장절섭회 (剛藏折攝會)
bhagavan sitātapatre namu astute asitānalāruka prabhāsvata vikasitāta pattre
바가반 시따따빠뜨레 나무 아스뚜떼 아시따날라루까 쁘라바스바따 비까시따따 빠뜨레
jvāla jvāla dara dara vidara vidara cheda cheda hūṃ hūm phaṭ[10] phaṭ phaṭ phaṭ phaṭ svāhā
즈발라 즈발라 다라 다라 비다라 비다라 체다 체다 훔 훔 파트 파트 파트 파트 파트 스와하[11]
he he phaṭ amoghaya phaṭ apratihataya phaṭ varapradaya phaṭ
헤 헤 파트 아모가야 파트 아쁘라띠하따야 파트 바라쁘라다야 파트
asuravidrāvakaya phaṭ sarvadevebhyaḥ phaṭ sarvanāgebhyaḥ phaṭ sarvayakṣbhyaḥ phaṭ
아수라비드라바까야 파트 사르바데베브야흐 파트 사르바나게브야흐 파트 사르바약슈브야흐 파트
sarvagandharvebhyaḥ phaṭ sarvabhūtebhyaḥ phaṭ kaṭapūtanebhyaḥ phaṭ sarvadurlaṅghiebhyaḥ phaṭ
사르바간다르베브야흐 파트 사르바부떼브야흐 파트 사르바까따뿌따네브야흐 파트 사르바두르랑기에브야흐 파트
sarvaduṣprekṣitebhyaḥ phaṭ sarvajvalebhyaḥ phaṭ sarvāpasmārebhyaḥ phaṭ sarvaśravaṇebhyaḥ phaṭ
사르바두슈프렉쉬떼브야흐 파트 사르바즈발레브야흐 파트 사르바빠스마레브야흐 파트 사르바슈라바네브야흐 파트
sarvatīrthikebhyaḥ phaṭ sarvaunmādebhyaḥ phaṭ sarvavidyadharebhyaḥ phaṭ jayakaramadhukara sarvārthasādhakebhyaḥ phaṭ
사르바띠르띠께브야흐 파트 사르바운마데브야흐 파트 사르바비디야다레브야흐 파트 자야까라마두까라 사르바르타사다께브야흐 파트
vidyācarebhyaḥ phaṭ caturbhāginībhyaḥ phaṭ vajrakumāri vidyarājn̄ibhyaḥ phaṭ mahāpratiaṅgirābhyaḥ phaṭ
비디야짜레브야흐 파트 짜투르바기니브야흐 파트 바즈라꾸마리 비디야라즈니브야흐 파트 마하쁘라띠앙기라브야흐 파트
vajrasaṃkarya pratiaṅgirājāya phaṭ mahākālāya mahāmātṛgana namaskritaya phaṭ
바즈라삼까리야 쁘라띠앙기라자야 파트 마하깔라야 마하마뜨리가나 나마스끄리따야 파트
viṣṇave phaṭ brahmane phaṭ agnaye phaṭ mahākālāya phaṭ
비쉬나베 파트 브라흐마네 파트 아그나예 파트 마하깔라야 파트
kāladaṇḍaya phaṭ mātre phaṭ rudrāya phaṭ cāmuṇḍāyai phaṭ
깔라단다야 파트 마뜨레 파트 루드라야 파트 짜문다야이 파트
kālarātryai phaṭ kapāline phaṭ adhimuktika śmāśāna vāsine phaṭ
깔라라뜨리야이 파트 까빨리네 파트 아디묵띠까 슈마샤나 바시네 파트
iye kācit sattvās mama itthaṃmamāsya
이예 까치트 삿뜨바스 마마 이땀마마스야
5. 문수홍전회 (文殊弘傳會)
duścittāḥ amitracittāḥ
두슈찥따 아미뜨라찥따
ojāhārāḥ garbhārāḥ rudhirāhārāḥ vasāhārāḥ
오자하라 가르브하라 루디라하라 바사하라
māṃsāhārāḥ jatāhārāḥ jīvitāhārāḥ baliyāhārāḥ
맘사하라 자따하라 지비따하라 발리야하라
gandhāharāḥ puṣpāhārāh parāhārāḥ sasyāhārāḥ
간다하라 뿌슈빠하라 빠라하라 사샤하라
pāpacittāḥ duṣṭacittāḥ rudracittāḥ
빠빠찥따 두슈따찥따 루드라찥따
yakṣagrahāḥ rakṣagrahāḥ pretagrahāḥ piśācagrahāḥ
약샤그라하 락샤그라하 쁘레따그라하 삐샤차그라하
bhūtagrahāḥ kumbhāṇḍagrahāḥ skandagrahāḥ unmadagrahāḥ
부따그라하 꿈반다그라하 스깐다그라하 운마다그라하
chāyāgrahāḥ apasmāragrahāḥ dākhadākinīgrahāḥ revatīgrahāḥ
차야그라하 아빠스마라그라하 다카다끼니그라하 레바띠그라하
jāmikagrahāḥ śakunigrahāḥ mātṛnandakagrahāḥ ārambhakagrahāḥ ghaṇṭāpānigrahāḥ
자미까그라하 샤꾸니그라하 마뜨리난다까그라하 아람바까그라하 간따빠니그라하
jvaraekāhnikā dvitīyakā tritīyakā caturtakā nityajvaravismarā
즈바라에까니까 드비띠야까 뜨리띠야까 짜뚜르따까 니띠야즈바라비스마라
vātikā paittika ślaiṣmikā sāṃnipātikā
바띠까 빠이띠까 슐라이슈미까 삼니빠띠까
sarvajvāla sirorujā ardhāvabhedakā akṣirogaḥ
사르바즈발라 시로루자 아르다바베다까 악쉬로가
mukharogaḥ kaṇṭharogaḥ galarogaḥ karṇaśūlam
무카로가 깐타로가 갈라로가 까르나슐람
dantaśūlam hṛdayaśūlam marmaśūlam pārśvaśūlam
단따슐람 흐리다야슐람 마르마슐람 빠르슈바슐람
pṛṣṭhaśūlam udaraśūlam kaṭiśūlam vastiśūlam
쁘리슈타슐람 우다라슐람 까띠슐람 바스띠슐람
ūruśūlam jaṅghāśūlam hastaśūlam padaśūlam sarvaaṅgapratiaṅgasūlam
우루슐람 장가슐람 하스따슐람 빠다슐람 사르바앙가쁘라띠앙가슐람
bhūta vetāla dākinījvalā
부따 베딸라 다끼니즈발라
dadrū gaṇḍa kiṭibhalūtā visarpaloha liṅgaḥ śūṣatrāsanā kara viṣayoga
다드루 간다 끼띠발루따 비사르빨로하 링가하 슈샤뜨라사나 까라 비샤요가
agniudaka
아그니우다까
māravīra kāṇḍāra akālamṛtyutryambuka
마라비라 깐다라 아깔라므루띠유뜨리얌부까
trailāṭa vṛścikaḥ sarpanakula siṃhavyāghrīyakṣatāreṣu
뜨라일라따 브리슈찌까하 사르빠나꿀라 심하비야그리약샤따레수
mārajīvas teṣāṃsarveṣāṃ
마라지바스 떼샴사르베샴
sitātapatra mahāvajrauṣṇīṣāṃ mahāpratiaṅgirāṃ
시따따빠트라 마하바즈라우슈니샴 마하쁘라띠앙기람
yāvatdvādaṣayojana abhyantarena vidyābandhaṃkaromi
야바트드바다샤요자나 아브얀따레나 비디야반담까로미
deśābandhaṃkaromi paravidyabandhaṃkaromi
데샤반담까로미 빠라비디야반담까로미
tadyatā
따디야타
oṃ anale viśadī[12] vīravajradhare bandha bandhane vajrapāṇe phaṭ hūm trūṃ phaṭ svāha
옴 아날레 비샤디 비라바즈라다레[13] 반다 반다네 바즈라빠네[14] 파트 훔 뜨룸 파트 스와하[15][16]
4. 기타
본래 출처인 능엄경이 대승경전에 속하기 때문에 이 능엄주도 분류상 대승불교의 다라니에 속한다. 그러면서도 수행적인 면에서는 밀교와 선종 양쪽에서도 두루 환영받는 편.
능엄주 전체를 염송할 수 없을 때 능엄신주의 마지막 부분인 비밀수능엄주를 대신 염송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으로 불교를 전파한 중국의 승려 선화상인(宣化上人)은 능엄신주 전체를 염송할 수 없는 경우 '츠토니 아쟈라 미리주 보리다라예 닝제리[17] (츠퉈니 어쟈라 미리쥬 보리단라예 닝제리 叱陀你 阿迦羅 密唎柱 般唎怛囉耶 儜揭唎)'의 오대심주(五大心呪)를 대신 염송하라고 하였다.
과거 ‘능엄신주경’이라는 제목으로 문서가 존재했으나, 실제로는 정식 명칭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는 이 문서로 통합됨.
[1] International Alphabet of Sanskrit Transliteration[2] 이런 점에서는 반야심경과 비슷하다[3] 능엄주의 기원을 대백산개(大白傘蓋) 다라니로 보는 경우다.[4] 이와 달리 본래부터 해설의 목적으로 쓰인 경전은 당연히 그 의미가 중요하다.[5] 다라니 혹은 진언이 쓰여진 본래 언어(가령 산스크리트어 등)의 의미를 대입해서 그 내용을 문장으로 풀어내거나 이해할 수 있으나, 그것은 특정 다라니나 진언의 본래 의미 그 자체가 아니다. 신앙과 수행의 관점에서는 인간의 능력으로 헤아릴 수 없는 고차원적인 의미를 인간의 언어와 소리 안에 담아서 전한 것이므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기 전까지 중생은 그 의미를 알 수 없다고 본다.[6] 능엄경 제 7권에 수록[7] 성철스님이 범어를 참고하여 기존의 한자 음역본을 개선한 판본[8] IAST 표기를 준수함[9] '이땀마마스야' 로 끝내고, 그 이 후에 이어서 "제자 ○○○ 이 다라니를 수지하옵니다." 라고 ○○○에 독송자의 이름을 넣은 문장을 첨가하기도 한다. 이후 2, 3, 4의 마지막도 마찬가지.[10] '파트'를 빠르게 발음[11] 혹은 '스봐하'[12] 혹은 anale anale viśadē viśadē[13] 비라-바즈라-다레[14] 바즈라-빠네[15] '옴 아날레' 부터 '스와하' 까지의 이 마지막 부분을 비밀수능엄주(秘密首楞嚴呪) 혹은 능엄신주(楞嚴心呪)라고 한다.[16] (한역본의 발음을 복원한 경우) oṃ anale anale, viśada viśada, bandha bandha, bandhanī bandhanī, vīra vajrapāṇi phaṭ, hūṃ bhrūṃ phaṭ svāhā[17] 범어로는 chedanī akāla-mṛtyu paritrāṇa-kārī (체다니 아깔라-므루띠유 빠리뜨라나-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