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21:43:15

능엄신주경

한자 大佛頂楞嚴神呪
IAST[1] Śūraṅgama mantra

1. 개요2. 구조3. 원문 (범어 발음)4. 기타

1. 개요




본래 정식명칭은 대불정능엄신주(大佛頂楞嚴神呪). '대불정다라니', '능엄신주', 혹은 짧게 '능엄주'라고도 불리운다. 출처는 능엄경이다.

천수경이나 아미타경 등 흔히 독송되는 다른 경전들에 비해서 발음하기가 어려우며, 심지어 번역본을 읽어보아도 내용을 이해하기가 난해[2]하다.

초심자들은 느리게 독송한 음원#을 들어보자.

2. 구조

번호 회상명 (會上名)
1 비로진법회 (毘盧眞法會)
2 석존응화회 (釋尊應化會)
3 관음합동회 (觀音合同會)
4 강장절섭회 (剛藏折攝會)
5 문수홍전회 (文殊弘傳會)

총 5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원문 (범어 발음)


사따따-따타가따 우슈니샤 시따따빠뜨라 아빠라지따 쁘라띠앙기라 다라니


1. 비로진법회 (毘盧眞法會)

나마스 따타수가타야 아르하트 삼먁삼붇다샤 사띠야따 붇다 꼬띠슈니샴

나무 삿뜨바 붇디 볻디삿따바야

나무 삽따남 삼먁 삼붓다 꼬띠남 사 슈라바까상가남

나무 로께 아르하따남

나무 스로따빤나남

나무 사끄리다가미남

나무 로께 삼먁가따남 삼먁쁘라띠판나남

나무 데바르시남

나무 싣디 비디야 다라르시남 사빠남 그라흐사마르따남

나무 브라흐마네

나무 인드라야

나무 바가바띠 루드라야 우마빠띠사히따야

나무 바가바띠 나라야나야 빤짜마하삼무드라 나마스끄르띠야

나무 바가바띠 마하깔라야 뜨리뿌라나가라 비드라바나 까라야 아디무끄띠까 슈마샤나 니바사네 마뜨리가남 나마스끄리띠야

나무 바가바띠 따타가타꿀라야

나무 빠드마꿀라야

나무 바즈라꿀라야

나무 마니꿀라야

나무 가자꿀라야

나무 바가바띠 드르다수라세나 쁘라하라나라자야 따타가타야

나무 바가바띠 아미따바야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나무 바가바띠 악쇼뱌야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나무 바가바띠 바이샤즈야구루바이두리야 쁘라바라자야 따타가타야

나무 바가바띠 삼뿌슈피따 샬렌드라라자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나무 바가바띠 사꺄무니예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나무 바가바띠 라뜨나께뚜라자 따타가타야 아르하띠 삼먁삼붇다야

떼뵤 나마스끄리띠야 에따드 바가바띠 사따타가또슈니샴 시따따빠뜨라 나무아빠라지따 쁘라띠앙기라

사르바부따그라하 니그라하까라니

빠리비디야체다니 아깔라므루띠유 빠리뜨라야나까리 사르바 반다나목샤니

사르바두슈따 두슈따스바쁘나 바라니

짜뚜라쉬띠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드밤사나까리

아슈따빔샤띠남 낙샤뜨라남 쁘라사다나까리

아슈따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까리 사르바샤뜨루니바라니

고라두슈따 스바쁘나남 짜나샤니

비샤샤스뜨라 아그니우다까웃따라니

아빠라지따 고라 마하발라짠다 마하디빠따 마하떼자

마하슈베따즈발라 마하발라빤다라바시니

아리야따라 브리꾸띠

짜이바비자야 바즈라말라띠

비슈루따 빠드마까 바즈라지흐바짜

말라짜이바아빠라지따 바즈라단디

비샬라짜 샨따비데하뿌지따 수마야루빠 마하슈베따

아리야따라 마하발라 아마라 바즈라삼깔라짜이바

바즈라꾸마리 꿀라다리 바즈라하스따짜 비디야 깐짜나 말리까

꾸숨바라뜨나

바이로짜나끄리야 야라뚜슈니샴

비즈림바마나짜

바즈라 까나까 쁘라바 로짜나 바즈라뚠디짜

슈베따 짜 까말라 악샤샤시쁘라바

이띠에떼 무드라까나하 사르베 락샴 꾸르반뚜 이땀마마스야 ○○○[3]


2. 석존응화회 (釋尊應化會)

옴 리시가나 쁘라샤스따 사따타가또슈니샤

훔 뜨룸 잠바나

훔 뜨룸 스땀바나

훔 뜨룸 빠라비댜삼바끄샤나까라

훔 뜨룸 사르바락샤락샤샤 그라하남 비드밤사나까라

훔 뜨룸 짜투라쉬띠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드밤사나까라

훔 뜨룸 락샤 바가반 마 따타가토슈니샤 쁘라띠앙기라 마하사하스라 부자사하스라쉬르샤 꼬띠 사하스라네뜨레 아비댜 즈발리따 나따께 마하바즈라다레 뜨리바바나 만달레슈바라

옴 스바스띠르 바바뚜 마마 이땀마마스야 ○○○


3. 관음합동회 (觀音合同會)

라자바야뜨 짜우라바야뜨 아그니바야뜨 우다까바야뜨

비샤바야뜨 샤스뜨라바야뜨 빠라짜끄라바야뜨 두르빅샤바야뜨

아샤니바야뜨 아깔라므루띠유바야뜨 다라니부미깜빠 까빠따바야뜨 울까빠따바야뜨

라자단다 나가바야뜨 비디유뜨바야뜨 수빠르나바야뜨

약샤그라핱 락샤그라핱 쁘레따그라핱 삐샤차그라핱

부따그라핱 꿈반다그라핱 뿌따나그라핱 까따뿌따나그라핱

스깐다그라핱 아빠스마라그라핱 운마다그라핱 차야그라핱

레바띠그라핱 자따하리냐 가르바하리냐 루디라하리냐

맘샤하리냐 메다하리냐 마짜하리뇨 오조하리냐

지비따하리냐 바따하리냐 반따하리냐 아슈쨔하리냐 찥따하리냐

떼샴사르바샴 사르바그라하남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쁘라브라자까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다끼니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마하빠슈빠띠 루드라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나라야나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따트바가루다사하야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마하깔라 마뜨리가나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까빨리까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자야까라마두까라 사르바르타 사다나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짜투르바기니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브링기리띠 난다께슈바라가나빠띠 사하야 끄리땀 비디얌체다얌 낄라야미

나그나슈라바나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아르하트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비따라가 끄리땀 비디얌체다얌 낄라야미

바즈라빠니 구흐야까구흐야까 아디빠띠 끄리땀 비디얌 체다야미 낄라야미

락샤맘 바가반 이땀 마마스야 ○○○


4. 강장절섭회 (剛藏折攝會)

바가반 시따따빠뜨레 나무 아스뚜떼 아시따날라루까 쁘라바스바따 비까시따따 빠뜨레

즈발라 즈발라 다라 다라 비다라 비다라 체다 체다 훔 훔 파트[4] 파트 파트 파트 파트 스와하[5]

헤 헤 파트 아모가야 파트 아쁘라띠하따야 파트 바라쁘라다야 파트

아수라비드라바까야 파트 사르바데베브야흐 파트 사르바나게브야흐 파트 사르바약슈브야흐 파트

사르바간다르베브야흐 파트 사르바부떼브야흐 파트 사르바까따뿌따네브야흐 파트 사르바두르랑기에브야흐 파트

사르바두슈프렉쉬떼브야흐 파트 사르바즈발레브야흐 파트 사르바빠스마레브야흐 파트 사르바슈라바네브야흐 파트

사르바띠르띠께브야흐 파트 사르바운마데브야흐 파트 사르바비디야다레브야흐 파트 자야까라마두까라 사르바르타 사다께브야흐 파트

비디야짜레브야흐 파트 짜투르바기니브야흐 파트 바즈라꾸마리 비디야라즈니브야흐 파트 마하 쁘라띠앙기라브야흐 파트

바즈라삼까리야 쁘라띠앙기라자야 파트 마하깔라야 마하마뜨리가나 나마스끄리따야 파트

비쉬나베 파트 브라흐마네 파트 아그나예 파트 마하깔라야 파트

깔라단다야 파트 마뜨레 파트 루드라야 파트 짜문다야이 파트

깔라라뜨리야이 파트 까빨리네 파트 아디묵띠까 슈마샤나 바시네 파트

이예 까치트 삿뜨바스 마마 이땀 마마스야 ○○○


5. 문수홍전회 (文殊弘傳會)

두슈찥따 아미뜨라찥따

오자하라 가르브하라 루디라하라 바사하라

맘사하라 자따하라 지비따하라 발리야하라

간다하라 뿌슈빠하라 빠라하라 사샤하라

빠빠찥따 두슈따찥따 루드라찥따

약샤그라하 락샤그라하 쁘레따그라하 삐샤차그라하

부따그라하 꿈반다그라하 스깐다그라하 운마다그라하

차야그라하 아빠스마라그라하 다카다끼니그라하 레바띠그라하

자미까그라하 샤꾸니그라하 마뜨리난다까그라하 아람바까그라하 간따빠니그라하

즈바라에까니까 드비띠야까 뜨리띠야까 짜뚜르따까 니띠야즈바라비스마라

바띠까 빠이띠까 슐라이슈미까 삼니빠띠까

사르바즈발라 시로루자 아르다바베다까 악쉬로가

무카로가 깐타로가 갈라로가 까르나슐람

단따슐람 흐리다야슐람 마르마슐람 빠르슈바슐람

쁘리슈타슐람 우다라슐람 까띠슐람 바스띠슐람

우루슐람 장가슐람 하스따슐람 빠다슐람 사르바앙가쁘라띠앙가슐람

부따 베딸라 다끼니즈발라

다드루 간다 끼띠발루따 비사르빨로하 링가하 슈샤뜨라사나 까라 비샤요가

아그니우다까

마라비라 깐다라 아깔라므루띠유뜨리얌부까

뜨라일라따 브리슈찌까하 사르빠나꿀라 심하비야그리약샤따레수

마라지바스 떼샴사르베샴

시따따빠트라 마하바즈라우슈니샴 마하쁘라띠앙기람

야바트드바다샤요자나 아브얀따레나 비디야반담까로미

데샤반담까로미 빠라비디야반담까로미

따디야타

옴 아날레 비샤디 비라바즈라다레[6] 반다 반다네 바즈라빠네[7] 파트 훔 뜨룸 파트 스와하[8]

4. 기타


본래 출처인 능엄경이 대승경전에 속하기 때문에 이 능엄주도 분류상 대승불교의 다라니에 속한다. 그러면서도 수행적인 면에서는 밀교선종 양쪽에서도 두루 환영받는 편.

능엄주 전체를 염송할 수 없는 경우 능엄신주의 마지막 부분인 비밀수능엄주[9]를 대신 염송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으로 불교를 전파한 중국의 승려 선화상인(宣化上人)은 능엄신주 전체를 염송할 수 없는 경우 '츠토니 아쟈라 미리주 보리다라예 닝제리'[10] (叱陀你 阿迦羅 密唎柱 般唎怛囉耶 儜揭唎)의 오대심주(五大心呪)를 대신 염송하라고 하였다.


[1] International Alphabet of Sanskrit Transliteration[2] 이런 점에서는 반야심경과 비슷하다[3] ○○○에는 독송하는 자신의 이름을 넣을 수 있다.[4] '파트'를 빠르게 발음[5] 혹은 '스봐하'[6] 비라-바즈라-다레[7] 바즈라-빠네[8] '옴 아날레' 부터 '스와하' 까지의 이 마지막 부분을 능엄심주(楞嚴心咒) 혹은 비밀수능엄주(秘密首楞嚴呪)라고 한다.[9] oṁ anale viśadī vīravajradhare Bandha bandhane vajrapāṇe phaṭ hūm trūṁ phaṭ svāha 옴 아날레 비샤디 비라-바즈라-다레 반다 반다네 바즈라-빠네 파트 훔 뜨룸 파트 스와하[10] 범어로는 chedanī akāla-mṛtyu paritrāṇa-kārī (체다니 아깔라-므루띠유 빠리뜨라나-까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