溫 따뜻할/뜨거울 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温 | |||||||
일본어 음독 | オン,ウン | ||||||
일본어 훈독 | あたた-か, あたた-かい, あたた-まる, あたた-める, ぬく-い, ぬく-まる, ぬる-い, たず-ねる, つつ-む | ||||||
温 | |||||||
표준 중국어 | wē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溫은 '따뜻한 온'이라는 한자로, '따뜻하다', '뜨겁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따뜻하다, 뜨겁다 |
음 | 온 | |
중국어 | 표준어 | wēn |
광동어 | wan1 | |
객가어 | vûn | |
민동어 | ŭng | |
민남어 | un | |
오어 | un (T1) | |
일본어 | 음독 | オン |
훈독 | あたた-か, あたたか-い, あたた-まる, あたた-める, ぬく-い, ぬくとい, ぬく-まる, ぬく-もり, ぬる-い | |
베트남어 | ôn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𥁕(온화할 온)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𥁕은 囚(가둘 수)와 皿(그릇 명)이 합쳐진 회의자인데, 전서 이전의 형태가 발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례가 없다시피 하여 자원(字源)을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 설문해자에서는 이 글자를 '어질다는 뜻이다. 皿과 囚의 뜻을 취하여, 접시에 먹을 것을 담아 죄수를 먹인다는 뜻이다.'라고 풀이하고 있다. 설문해자 이외의 자전(字典)에서도 이 글자를 '온화하다'(和), '따뜻하다'(㬉)라고 풀이하고 있는 것을 보아, 이 글자를 溫의 본자(本字)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설문해자에선 溫 자체는 온수(溫水)라는 강 이름으로 풀이하며, 이 온수는 지금의 난판 강으로 추정된다.
𥁕 자는 오래 전부터 囚+皿의 형태와 日+皿의 형태가 모두 관찰되어[1], 이 글자를 성부로 갖는 溫도 溫과 温이라는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홍콩에선 温을 본자로 보고, 溫을 이체자로 한다. 이는 揾,腽,鎾 등에 모두 해당된다.
3. 자형
갑골문 |
소전 |
4. 용례
4.1. 단어
- 고온(高溫)
- 기온(氣溫)
- 냉온(冷溫)
- 등온(等溫)
- 미온(微溫)
- 변온동물(變溫動物)
- 보온(保溫)
- 사온(四溫)
- 상온(常溫)
- 수온(水溫)
- 온각(溫覺)
- 온기(溫氣)
- 온난(溫暖)
- 온대(溫帶)
- 온도(溫度)
- 온돌(溫突)
- 온랭(溫冷)
- 온면(溫麵)
- 온산병(溫山病)
- 온상(溫床)
- 온수(溫水)
- 온순(溫純/溫順)
- 온실(溫室)
- 온아(溫雅)
- 온점(溫點)
- 온정(溫情)
- 온천(溫泉)
- 온탕(溫湯)
- 온풍(溫風)
- 온혈(溫血)
- 온화(溫和)
- 저온(低溫)
- 정온(定溫)
- 체온(體溫)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 공온굴왜(孔溫窟哇): 무칼리의 아버지
- 김약온(金若溫)
- 김온아(金溫兒)
- 남효온(南孝溫)
- 누쿠미즈 치요(温水 ちよ)
- 덕온공주(德溫公主)[A]
- 명안공주 이온희(李溫姬)
- 명온공주(明溫公主)[A]
- 복온공주(福溫公主)[A]
- 신온유(辛溫柔)
- 심온(沈溫)
- 영온옹주(永溫翁主)[A]
- 오오미치 하루키(大道 温貴)
- 옥사온(玉斯溫)
- 온달(溫達)
- 온대아(溫大雅)
- 온사문(溫沙門)
- 온조왕(溫祚王)
- 윤지온(尹池溫)
- 정극온(鄭克溫)
- 조사온(趙思溫)
4.4. 지명
4.4.1. 국내
- 한국
4.4.2. 해외
4.5. 창작물
5. 유의자
- 따뜻하다
- 烴(따뜻할 경)
- 昫(따뜻할 구)
- 暖(따뜻할 난)
- 㬮(따뜻할 난/날)
- 炆(따뜻할 문)
- 㸎(따뜻할 섭/녑)
- 㬈(따뜻할 온)
- 𤆏[⿰火亐](따뜻할 와)
- 奧/燠(따뜻할 욱)
- 燸(따뜻할 유)
- 暄/煖(따뜻할 훤)
- 뜨겁다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䯠(뼈감출 오)
- 韞(감출 온)
- 榲(기둥 온, 올발 올)
- 𪍝[⿰麥𥁕](누룩 온)
- 鎾(데우는그릇 온)
- 豱(돼지이름 온)
- 㬈(따뜻할 온)
- 塭(땅이름 온)
- 褞(무명핫옷 온)
- 縕(묵은솜 온)
- 鰮(물고기이름 온)
- 饂(밀국수 온)
- 殟(병들 온, 심란할 올)
- 瑥(사람이름 온)
- 慍(성낼 온)
- 𥠺(성한모양 온)[6]
- 𪉸[⿰鹵𥁕](소금 온)
- 轀(수레 온)
- 醞(술빚을 온)
- 熅(숯불 온)
- 鞰(쌓을 온)
- 搵(잠길 온)
- 𩥈(좋은말 온)
- 媼(할미 온)
- 馧(향기로울 온)
- 嗢(목멜 올)
- 膃(살질 올)
- 蝹(굼틀거릴 운, 괴물이름 오)
- 𪝑[⿰亻𥁕]
- 𫧩[⿰𠦝𥁕]
- 𱮋[⿰犭𥁕]
- 𤛁[⿰牛𥁕]
- 𣌃[⿰⿳五二本𥁕]
- 𥔋[⿰石𥁕]
- 𫀚[⿰示𥁕]
- 𦤨[⿰臭𥁕]
- 𥫊[⿰章𥁕]
- 𧪍[⿰言𥁕]
- 𮛴[⿰𧾷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