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bgcolor=#555><color=#fff>🛠️ 공구 및 공작기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수공구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eee,#333>절단 | 톱 · 커터칼 · 볼트 커터 |
파괴 | 망치(슬레지해머 · 장도리) · 도끼 · 정 · 쇠지렛대 · 송곳 · 곡괭이 | |
조각 | 끌 · 줄 · 자귀 · 정 · 오스터 | |
조립 | 스크루드라이버 · 렌치(몽키스패너 · 파이프렌치 · 육각렌치 · 래칫 렌치 · 토크 렌치) · 결속기 | |
고정 | 클램프 · 바이스 | |
접착 · 마감 | 실리콘건 · 순간접착제 · 테이프(절연 테이프 · 청테이프 · 덕트 테이프) · 대패 · 사포 | |
플라이어 | 펜치 · 롱노즈 플라이어 · 락킹 플라이어 · 워터펌프 플라이어 · 니퍼 · 스트리퍼 | |
기타 | 헤라 · 멀티툴 · 스위스 아미 나이프 · 잭 | |
}}}
}}}
- ⠀[ 동력공구 ]⠀
-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ee,#333>톱
전기톱 · 직쏘 · 컷쏘 · 밴드쏘 · 스크롤쏘 · 홀쏘 · 원형톱(마이터쏘, 테이블쏘) · 멀티커터 드릴 해머드릴 · 매거진 드릴 · 드릴링 머신 · 코어 드릴 조립 임팩트 렌치 · 임팩트 드라이버 · 타카 · 네일건 · 리벳 건 절단 그라인더 · 고속절단기 · 유압 절단기 · 초음파 절단기 · 플라즈마 절단기 접착 · 마감 용접기 · 인두기 · 글루건 · 3D 펜 · 샌더 · 세척기 조각 라우터 · 로터리 툴 파괴 착암기 동력원 공기압축기 · 발전기 · 진공 펌프
- ⠀[ 계측기기 ]⠀
-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ee,#333>길이 · 각도
자(줄자 · 직각자 · 삼각자) · 버니어 캘리퍼스 · 마이크로미터(내경 마이크로미터 · 깊이 마이크로미터) · 틈새 게이지 · 레이저 거리 측정기 · 각도기 · 수평기 부피·질량·무게 저울 · 유량계 · 수면계 시간 시계 속도 속도계 · 타코미터 전기 전압계 · 전류계(검류계) · 주파수계 · 저항계(접지 저항계 · 절연 저항계) · 전력계(전력량계 · 역률계) · 멀티미터(후크미터) · 스펙트럼 분석기 · 오실로스코프 · 검전기 · 검상기 · 통전시험기 온도 온도계(수은 온도계 · 적외선 온도계 · 체온계 · 습도계) · 열화상카메라 광학 광도계 · 편광계 힘 토크 게이지 · 압력계(기압계) 형상 삼차원 측정기 조도 조도계 방사능 가이거 계수기 · 서베이미터 기타 IoT 센서류 기준 원기
- ⠀[ 공작기계 ]⠀
🩺 의료기기 및 의료 관련 제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혈압계 · 청진기 · 양압기 · 인공호흡기 · 수액 · 주사기 · MRI · 완전균형영양식 · X-ray · CT · 가운 · 간호사복 · 안경 · 보청기 · 휠체어 · 반창고 · 환자복 · 틀니 · 생리식염수 · 링거 · 인공눈물 · 안약 · 깁스 · 붕대 · 인공자궁 · 초음파 · 영양제 · 건강기능식품 · 환자식 · 목발 · 연고 · 지팡이 · 치약 · 에크모 · 심장충격기 · 심전도 · 내시경 · 메스 · 콘택트 렌즈 · 콘돔 · 페미돔 · 지혈대 · 큐렛 · 스텐트 · 서클렌즈 · 카데터 · 인바디 · 인공장기 · 인큐베이터 · 임신테스트기 · 의족 · 루비 레이저 · 환자감시장치 · 드림렌즈 · 네블라이저 · 습윤밴드 · 치간칫솔 · 칫솔 · 가글 · 의안 · 치실 · 채혈기 · 부목 · 체온계 | }}}}}}}}} |
1. 개요
체온계의 모습 |
2. 종류
옛날에 쓰이던 겨드랑이에 끼우는 막대형 체온계에는 수은과 알코올이 쓰이며, 주로 알코올보다 더 정확도가 높은 수은의 팽창을 이용했다. 이러한 막대형 체온계는 측정 가능한 체온 범위는 대략 34~42℃이며[1], 0.1도 단위로 눈금이 매겨져 있다. 겨드랑이나 혀 밑의 온도를 재는 보통의 체온계 외에 기초 체온계, 항문 체온계 등이 있으며 측정하는 데 걸리는 최소 시간에 따라 1분계, 3분계, 5분계로 나뉘어진다.만약 일반 알코올 온도계로 체온을 쟀다가는 몸에서 떼는 순간 점점 내려가는 눈금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열원인 신체로부터 열 공급이 중단되니 눈금이 내려가는 것인데, 체온계는 수은구와 위쪽 유리관 사이에 좁아지는 부분이 있어서 일단 온도가 올라갔다가 내려와도 유리관 속 수은주는 팽창된 채 최고온도 눈금에 당분간 머물러 있어서 체온을 확인하기 쉬운 것이다. 그래서 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하기 전에는 일단 수은구 쪽으로 털듯이 흔들어서 최고온도를 리셋한 후에 겨드랑이 등 체온 측정 부위에 끼운다. 3분 정도 끼고 있다가 꺼내서 눈금을 읽어 체온을 재고 다시 흔들어서 수은주를 수은구 쪽으로 돌린다.
수은 체온계는 깨질 경우 수은이 유출되므로 위험하다. 특히 체온계를 보고 겁을 먹은 어린아이가 발버둥치다 체온계가 깨져 수은과 유리조각을 삼키는 사고도 발생한다.[2] 겨드랑이에 잰다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구강 등에 잰다면 정말 위험해질 수 있다. 참고로 디지털 체온계에도 수은이 들어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이렇게나 위험하다보니 결국 2015년 이후로는 수은식 체온계의 수입 및 제조가 완전히 금지되었는데, 이마저도 2014년에 금지되려다 1년 유예된 것이다. 요즘은 어딜 가나 귀를 통해 재는 적외선 방식의 체온계를 사용한다. 다른 제조사들도 있지만 브라운 제품의 점유율이 압도적이다.
이 방식은 고막의 혈관 온도를 적외선으로 측정한다. 고막에는 혈관도 많고 체온이 너무 올라갔을 때 말 그대로 익어버릴 수 있는 뇌의 온도와도 밀접하기 때문에, 혀 밑이나 겨드랑이, 직장 등의 온도를 재는 방식을 제치고 대세가 되었다. 무엇보다 몸부림치는 아이들을 3초만 붙잡고 있으면 된다는 게 소아과를 시작으로 가정의 상비용 체온계의 자리를 차지하게 한 강점이다.
특히 이 방식은 신종플루가 확산되자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이 방식은 체온계는 비교적 정확하면서도 측정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강점이다. 신종플루가 한창 유행할 당시 군대에서는 전 장병을 대상으로 하루 1회 체온 측정을 의무화 했었는데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전적으로 전자식 귀 체온계가 널리 보급된 덕분이었다. 정말 잠깐이면 체온을 잴 수 있기 때문에 저녁점호 때마다 매번 전 부대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단점 역시 존재한다. 측정을 잘못 해 적외선이 귀 벽이나 귀지에 막혀 체온계가 정확한 온도를 잴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외이도는 S자로 되어 있기에 고막에 적외선이 닿도록 귓바퀴를 당겨서 고막에 적외선이 닿도록 해야 한다.
보통 쉽게 구할 수 있는 적외선 체온계는 병원에서의 사용을 가정하여 귓속에 삽입할 때 씌우는 위생용 플라스틱 렌즈를 원터치 버튼으로
3. 여담
보통 사람의 체온은 36.0~37.0도를 생각하지만 귀 체온계를 이용하여 체내의 온도를 잴 때는 일반적인 체온의 범위를 36.0℃~37.7℃ 정도로 본다. 귀 체온계를 이용하면 피부로 잰 것보다 0.5도 정도 더 높게 나오는 편이 일반적. 그러므로 적외선 체온계를 처음 사용했을 때는 37도가 나왔다고 열이 있는게 아닌지 놀라지 말고 평소의 체온보다 얼마가 더 올라갔는지 상대적인 차이를 확인하자. 귀체온계로 37.3이 나와도 정상이다. 그러므로 당황하지 말자.아이들을 키울 때 이런 체온의 개인차로 인해 뭔가 병에 걸리거나 감염이 된 것이 아닌지 혼란을 일으키기 쉽다. 이를 피하려면 열이 있을 때만 체온계를 쓰는게 아니라 건강한 상태일 때부터 체온을 주기적으로 재고 평균체온을 파악한 다음 상대적인 변화를 추적해야 한다. 또한 7세 미만의 영유아는 성인보다 체온이 0.5도도가량 높기 때문에 체온이 37.5~37.7도까지도 정상이고, 38도 정도라도 고열이 아닌 미열이고 39도부터 고열이다.
최근에는 귀에다 잠깐 접촉하는 것도 꺼리는 부모가 많아지면서 비접촉식 적외선 체온계 보급이 점차 늘고 있다. 많은 사람을 재빨리 체온을 측정하기는 좋지만 측정할 때마다 측정치가 좀 들쑥날쑥해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같은데서 매일 아침 원아들이 열이 있는지 체크하는 정도에 쓰는 게 좋다.[3] 특히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강력한 감염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공공장소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계는 대부분 비접촉 방식의 적외선 체온계로 다시 한 번 더 교체되었다. 하지만 안면인식 체온측정기를 식약처가 뒤늦게 의료기기로 분류함에 따라 제조·유통업체와 구매자들은 혼란이 있었다.기사
참고로 비접촉식 체온계는 원래 공업용 온도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부품이기 때문에, 일부 고급 모델의 경우는 측정 모드를 바꾸면 요리할 때 튀김용 기름이나 재래식 오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적외선 방식의 귀 체온계는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가 적외선 우주 망원경을 위해 개발한 적외선 센서 기술을 사용한다. [4]
체온계가 아닌 피부 대 피부로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주로 이마에 손을 갖다 대거나 이마 대 이마로 측정하는 방법. 다만 이 방법은 사람마다 체온이 미세하게 다르다 보니 부정확 하고 후자의 경우는 얼굴을 갖다 붙이는 꼴이기에 진짜 감기일 경우 감염될 가능성도 높다.
[1] 참고로 체온계의 최대 측정 온도는 하나같이 모두 42°C다. 체온이 42°C가 되는 순간 인체에 구성된 단백질이 변성되어 굳어버리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 경우에 이르면 100% 사망이다.[2] 다행히 체온계의 수은은 무기수은이라 몸에 흡수되지 않는다. 다만 그게 기화되어 생기는 증기는 몸에 엄청 해로우므로 반드시 주의하자.[3] 모든 사용자가 매번 정확하고 일관된 방법으로 측정하기 어렵기에 생기는 문제로, 매커니즘 자체의 한계는 아니다. 측정법을 포함한 여러 환경적 이유로 인한 편차는 다른 방식의 체온계도 다소 있는 편이다.[4]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