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7 12:01:11

2009 로스트 메모리즈/세계관



1. 개요2. 역사
2.1. 실제 역사와의 차이
3. 국제정세4. 문화5. 추측

1. 개요

2009 로스트 메모리즈안중근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지 못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가정하에 만들어진 대체역사물이다. 이 문서에서는 영화 속 세계관을 정리했다.

그리고 2009 로스트 메모리즈 내 설정을 우선시한다.[1]

2. 역사




파일:CC-white.svg 이 2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2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 실제 역사와의 차이

여기서 말하는 실제 역사는 2009 로스트 메모리즈의 설정을 우선시한다.

3. 국제정세

파일:09loseme.jpg

4. 문화

5. 추측

작중에서는 나오지 않는 2009 로스트 메모리즈의 세계관을 추측했다.그렇기 때문에 러시아와의 쿠릴 열도 분쟁은 당연히 없다.
[1] 대표적으로 2008년에 남북통일을 했다는 설정을 말하는 것이다.[2] 파고다공원은 탑골공원의 영어식 표현이다.[3] 이노우에는 안중근으로부터 이토 히로부미를 구한 군인이다.[4] 참전의 오타. 영화 자막 표기는 참정이라 뜬다.[5]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은 1992년 발사된 우리별 1호,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은 1970년 발사된 오오스미다. 한일합병의 여파로 실제 역사보다 인공위성 발사 시점이 앞당겨졌다는 사실을 표현한 듯. 한편 실제 사쿠라라는 인공위성이 1977년 발사되기도 했다.[6] 이때 IOC 위원장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의 나고야라고 부르는 음성이 나온다(원래는 당연히 서울(쎄울), 코리아라고 외쳤다). 이 세계관에서는 한국이 일본의 일부이기 때문에, 같은 일본의 도시끼리 올림픽 개최를 하기 위해 경쟁하여 나고야시가 개최에 성공한 것. 아래 유니폼과 마찬가지로 케이조라고 하는 방법도 있었겠지만 직관성 문제도 있고, 한일합병으로 서울 자체가 후보지로 오르지 않은 상황을 상정한 듯.[7] 이때 등장한 이동국이 입은 유니폼에 일장기가 있다. 이동국과 그의 가족들에게 허락을 받고 합성한 장면. 실제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일장기 대신 일본축구협회의 심볼이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상징인 야타가라스가 그려져 있었지만, 아무래도 더 직접적으로 와닿게 하기 위해 일장기로 정한 듯하다.[8] 실제로는 신주쿠를 촬영한 것이다.[9] 실제로는 이순신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10] 초반에 김준환이 인질극을 할 때 조선어를 쓰자 JBI요원들이 언어가 달라 김준환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장면에서 알 수 있다. JBI요원이면 당연히 일본에 충성하는 사람들이고 그러면 이 요원들은 조선어를 할 줄 모르는, 일본 본토에서 건너온 일본인이거나 그의 자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11] 실제 역사에서는 마오쩌둥중화인민공화국국공내전에서 승리한 후인 1950년에 티베트를 침공해 완전히 합병시켰으며, 위구르는 1949년에 중국 공산당에 사실상 항복 선언을 해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가 되었고, 1955년부터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불리게 된 것이다.[12] 유관순의 평가 문서에 들어가면 알 수 있다. 유관순은 3.1운동 당시에는 무명의 참가자로 광복을 한 1945년까지 그 어떠한 신문기사에서도 유관순의 이름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어떻게 해서 유관순이 독립운동의 아이콘이 되었는지는 해당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