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라카와 요시노리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백선엽의 창씨개명 논란에 대한 내용은 백선엽/사건사고 및 논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육군경 (1873년~1885년) | |||||||
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 3대 사이고 주도 | 4대 오야마 이와오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rowcolor=#fff> 육군대신 (1885년~1945년) | ||||
1·3대 오야마 이와오 | 2·4대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 |||||||
1·3대 오야마 이와오 | 2·4대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 5대 가쓰라 다로 | ||||||
5대 가쓰라 다로 | 6대 고다마 겐타로 | 7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
7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8대 이시모토 신로쿠 | 9대 우에하라 유사쿠 | 10대 기고시 야스쓰나 | |||||
11대 구스노세 유키히코 | 12대 오카 이치노스케 | 13대 오시마 겐이치 | 14·16대 다나카 기이치 | 15대 야마나시 한조 | ||||
15대 야마나시 한조 | 14·16대 다나카 기이치 | 17·19대 우가키 가즈시게 | ||||||
18대 시라카와 요시노리 | 17·19대 우가키 가즈시게 | 20대 미나미 지로 | 21대 아라키 사다오 | |||||
22대 하야시 센주로 | 23대 가와시마 요시유키 | 24대 데라우치 히사이치 | 25대 나카무라 고타로 | 26·30대 스기야마 하지메 | ||||
27대 이타가키 세이시로 | 28대 하타 슌로쿠 | 29대 도조 히데키 | ||||||
폐지 | ||||||||
26·30대 스기야마 하지메 | 31대 아나미 고레치카 | 33대 시모무라 사다무 | }}}}}}}}} |
시라카와 요시노리 관련 틀 | ||||||||||||||||||||||||||||||||||||||||||||||||||||||||
|
<colcolor=#ffffff> 일본 제국 제18대 육군대신 시라카와 요시노리 白川義則 | Yoshinori Shirakawa | |||
<colbgcolor=#b0313f> 출생 | 1869년 1월 24일 | ||
일본 제국 이요 국 (현 에히메현 이요시) | |||
사망 | 1932년 5월 26일 (향년 63세) | ||
중화민국 상하이시 | |||
재임기간 | 제18대 육군대신 | ||
1927년 4월 20일 ~ 1929년 7월 2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0313f><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시라카와 마사치카 | |
배우자 | 타마 | ||
자녀 | 3남 시라카와 모토하루 | ||
작위 | 남작 | ||
위계 | 종2위 | ||
학력 | 육군대학교 (12기) | ||
약력 | 육군성 인사국장 일본육군사관학교 교장 육군차관 군사 참의관 제18대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 내각) | ||
서훈 내역 | 훈1등 욱일대수장 ([ruby(勲一等旭日大綬章, ruby=くんいっとう きょくじつだいじゅしょう)]) | ||
군사 경력 | |||
임관 | 일본육군사관학교 (1기) | ||
복무 | 일본제국 육군 | ||
1884년 ~ 1932년 | |||
최종 계급 | 대장 | ||
주요 보직 | 제11사단장 제1사단장 관동군 사령관 | ||
주요 참전 | 러일전쟁 제1차 상하이 사변 | }}}}}}}}} |
[clearfix]
1. 개요
일본 육군의 군인. 관동군 사령관,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 내각), 군사 참의관을 역임했다.2. 설명
제1차 상하이 사변 당시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 등을 역임한 거물이며, 러일전쟁에 참전했던 베테랑 군인이다.동향 선배였던 아키야마 요시후루 장군[1]과 무척 친한 사이였는데, 아키야마는 시라카와가 육군 대장으로 진급한 뒤에도 예전처럼 "시라카와, 열심히 공부하고 있지?" 라고 놀리며 장난을 치곤 했다고 한다.
관동군 사령관을 지냈으며 1925년 11월, 봉천군벌의 궈쑹링이 반봉사건을 일으키자 본국의 명령에 따라 장쭤린을 도와 반봉사건 진압을 도왔다. 이후 1927년 다나카 기이치 내각의 육군대신으로 내각에 입각해 제남 사건의 개입을 제안했다.
제1차 상하이 사변 당시에는 확전되지 않도록 국제 협정을 지키라는 히로히토의 당부를 받고, 국민혁명군 19로군을 격퇴한 뒤 공격을 계속하라는 참모본부의 명령을 무시하고 정전 명령을 내렸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평가가 상당히 좋다.
시라카와가 육군대신으로 재임하던 시절, 관동군 고모토 다이사쿠 대좌와 철도대신 오가와 헤이키치가 결탁해 황고둔 사건을 일으키고 중국인 아편 중독자들을 매수해서 범인인 것처럼 조작했는데, 이를 위해 필요한 자금 3천 엔을 육군의 기밀비에서 조달해 준 공범이 바로 시라카와였다. 결국 시라카와 역시 제국주의와 일본 만주쟁취에 대동아 경영의 획책에 동조한 장군이었던 것이다.
이때 당시 도사교가 주축이던 만주의 독립군들을 토벌하는데 앞장선 친일군벌 장쭤린을 관동군에서 처단하여 독립군[2]이 환호한 사실 기록이 전해지고 있어서 이례적인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제1차 상하이 사변을 틈 탄, 1932년 3월 1일 만주국수립 이후 상하이의 홍커우 공원에서 거행된 천장절 축하 행사에 주빈으로 참석했다가 김구와의 작전으로 윤봉길이 투척한 물통 폭탄에 맞아 무려 108군데나 상처를 입고, 12번이나 수술을 받았다. 시라카와는 폭발 직후에는 의외로 의식도 또렷했고 병상에서 집무도 볼 정도로 상태가 좋아 보였지만, 실제로는 심각한 패혈증이 진행되어서 회생하지 못하고 결국 죽었다. 이것이 훙커우 공원 의거이다. 이때 시라카와가 입었다가 108번 정도의 폭발물 상흔으로 피투성이가 된 군복(예복)이 지금도 야스쿠니 신사 유취관에 전시되어 있다.
당시 군인으로선 그에 이은 차석 장교였던 해군중장 노무라 기치사부로 제독[3]은 한 쪽 눈을 실명했다.
아들인 시라카와 모토하루는 육군항공사관학교를 나와 육군 항공대에서 근무했고 전후에 항공자위대에 입대하여 항공막료장에 올랐다.
3. 기타
백선엽이 시라카와 요시노리로 창씨개명 했다는 전직 일본 헌병대 장교의 증언이 있으나, 공식 문서로 검증된 사실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4. 대중매체에서
1967년작 영화 <일본제국과 폭탄의사>에선 배우 송일건이 연기했다.[1] 그보다 무려 10살이나 많았지만, 아키야마가 사망한 지 불과 2년 만에 그 역시 훙커우 공원 의거로 죽었다.[2] 이이화 (2004). 《한국사 이야기21: 해방 그날이 오면》. 한길사. 133쪽.[3] 훗날 주미대사로 부임하였고,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의 헐 장관에게 일본의 선전포고문을 전달했다가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쫓겨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