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5:02:33

현주(縣主)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직계 남성 배우자 직계 여성 기타
퇴위한 명예군주
태상황/태상왕 태상황후/태상왕비 - 태황태후/대왕대비
퇴위한 군주
상황/상왕 상황후/상왕비 - -
군주 황제/ 황후/왕비 여제/여왕 황태후/왕대비
(국장/국구),국태부인
국서
군주의 궁인
환관/내시 후궁 상궁 남총
군주의 후계자(자녀)
황태자/왕세자 황태자비/왕세자빈 황태녀/왕세녀 부마
군주의 자녀
황자/왕자 황자비/왕자비 (공주,황녀)/(공주,옹주) 부마/의빈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군주의 숙부모
황태제/왕세제
황태손/왕세손
황제(皇弟)/왕제(王弟)
원자,원손
대원왕/대원군
황숙(皇叔)/왕숙(王叔)

 
 
 
대원비/부대부인
 

 
장공주
 
 
대장공주
-
중국(-3C ~ 20C 초)
황제
황태자
친왕,군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군왕비

 
공주,군주,현주
황태후
 
부마
고려(원 간섭기 전->후)
->국왕
태자->세자
공(公),군(君)
왕후->왕비
태자비->세자비
공비(公妃),군비(君妃)

 
왕녀->공주
태후
 
부마
조선
임금
세자
대군,군(君)
왕비
세자비
부부인,군부인

 
공주,옹주
왕대비
부원군,부부인
부마->의빈
일본
천황
황태자
친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왕비
천황
 
내친왕,여왕
황태후
 
 
영국

웨일스 공
HRH Prince,Prince
왕비
웨일스 공비
공작부인
여왕
 
HRH Princess,Princess
Queen+이름
 
Prince+이름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별칭이나 그 외 나라의 용어는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를 참고.
}}}}}}}}} ||


1. 개요2. 주요 특징3. 역할4. 예시5. 참고

1. 개요

현주(縣主)는 고대 중국과 동아시아 여러 왕조에서 황제의 딸이나 황족 여성을 특정 계급으로 봉작할 때 사용된 칭호이다. 이는 보통 황제의 딸 중에서 황장공주나 공주보다 낮은 지위로 설정되며, 황실 내부의 서열과 위계질서를 반영한다.

2. 주요 특징

황제의 딸 중에서 공주보다 낮은 작위를 받는 경우 사용되었다. 이는 종종 황후가 아닌 후궁의 딸들에게 부여되거나, 특정 상황에서 지위가 제한된 경우에 해당한다.

3. 역할

현주라는 작위는 단순히 명예적인 칭호로, 실제 정치적 권력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종종 봉토(封土)를 받기도 했지만, 이는 상징적인 성격이 강했다. 봉작된 현주는 결혼을 통해 황실 외의 귀족 가문과 연계를 형성하는 데 활용되었다.

4. 예시

5. 참고

칭호 의미 사용된 국가 신분/특징 비고
황녀 황제의 딸 중국, 일본 황실의 직계 공주 한국에서는 황제가 없으므로 사용되지 않음
공주 왕의 적출 딸 한국, 중국, 일본 정비(왕비) 소생, 신분이 가장 높음 왕의 직계딸, 정치적 상징성 강함
옹주 왕의 서출 딸 한국 (조선) 후궁 소생, 공주보다 신분이 낮음 조선 왕조에서 주로 사용됨
군주 왕의 서녀 또는 공신의 딸 한국, 중국 옹주보다 낮은 신분 드물게 사용됨
현주 왕의 서녀 한국 군주보다 신분이 낮음 조선 초기 문헌에서 발견됨
장공주 황제의 누나 또는 맏딸 중국, 몽골 황실 내 위계가 높은 여성 "장"은 나이 순서에서 유래
화친공주 외교적 결혼을 위한 황제의 딸 중국, 몽골 정치적 동맹을 위해 타국에 시집감 예: 몽골 제국과의 혼인 동맹
적공주 정비 소생임을 강조한 공주 한국 적출 공주를 명확히 구분할 때 사용 비공식적 표현
왕녀 왕의 모든 딸을 포괄하는 일반적 표현 한국, 중국 공주(적출)와 옹주(서출)를 모두 포함 보편적인 의미로 사용
궁주 왕실 여성을 지칭하는 특별 칭호 (공주와 유사) 한국 주로 고려 시대 공주를 지칭 고려 시대에만 사용됨


[1] 명나라의 부흥세력으로 제후를 자처한 대만동녕국남명 정부로부터 연평군왕의 칭호를 받아 군왕의 작위에 걸맞게 왕의 딸들을 현주라고 칭했다.[2]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증되어 옹주가 되었다. 같은 이유로 원래 수칙이었던 생모 박씨도 경빈으로 품계가 올라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