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직계 남성 | 배우자 | 직계 여성 | 기타 |
퇴위한 명예군주 | 태상황/태상왕 | 태상황후/태상왕비 | - | 태황태후/대왕대비 | |
퇴위한 군주 | 상황/상왕 | 상황후/상왕비 | - | - | |
군주 | 황제/왕 | 황후/왕비 | 여제/여왕 | 황태후/왕대비 (국장/국구),국태부인 국서 | |
군주의 궁인 | 환관/내시 | 후궁 | 상궁 | 남총 | |
군주의 후계자(자녀) | 황태자/왕세자 | 황태자비/왕세자빈 | 황태녀/왕세녀 | 부마 | |
군주의 자녀 | 황자/왕자 | 황자비/왕자비 | (공주,황녀)/(공주,옹주) | 부마/의빈 | |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군주의 숙부모 | 황태제/왕세제 황태손/왕세손 황제(皇弟)/왕제(王弟) 원자,원손 대원왕/대원군 황숙(皇叔)/왕숙(王叔) | 대원비/부대부인 | 장공주 대장공주 | - | |
● 중국(-3C ~ 20C 초) | 황제 황태자 친왕,군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군왕비 | 공주,군주,현주 | 황태후 부마 | |
왕->국왕 태자->세자 공(公),군(君) | 왕후->왕비 태자비->세자비 공비(公妃),군비(君妃) | 왕녀->공주 | 태후 부마 | ||
● 조선 | 임금 세자 대군,군(君) | 왕비 세자비 부부인,군부인 | 공주,옹주 | 왕대비 부원군,부부인 부마->의빈 | |
● 일본 | 천황 황태자 친왕,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왕비 | 천황 내친왕,여왕 | 황태후 | |
● 영국 | 왕 웨일스 공 HRH Prince,Prince | 왕비 웨일스 공비 공작부인 | 여왕 HRH Princess,Princess | Queen+이름 Prince+이름 | |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 |||||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 |||||
별칭이나 그 외 나라의 용어는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를 참고. |
1. 개요
황제(皇弟)는 황제의 친동생을 지칭하며, 동아시아 제국(특히 중국과 한국)과 같은 황실 체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황제는 황족의 일원으로서 권력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제국 통치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2. 하는 일
황제(皇弟)는 황제(皇帝)의 친동생으로, 황실 내에서 높은 서열과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황제(皇帝)의 직계 후계자가 없는 경우 왕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있는 서열에 포함된다. 황실 내에서 특정 명칭이나 작위를 부여받아 별도의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지방 통치를 위임받거나 황실 군대를 지휘하는 경우가 많다.가끔 황제(皇帝)의 신임을 받는 경우에 한하여 황제(皇弟)는 제국의 군대를 지휘하거나, 국경 지역의 방어를 책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국가 간 동맹을 강화하거나 외교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외국에 파견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반란의 중심에 서는 경우도 있다.
3. 역사적 예시
- 명나라 주체(朱棣)
명나라 영락제는 그의 형인 주표(朱標)의 왕제였으며, 형의 아들인 건문제를 몰아내고 황제 자리에 올랐다. 그는 군사적 역량과 정치적 수완으로 명나라를 강력한 제국으로 이끌었다.
- 청나라 공친왕(恭親王) 혁흔(奕訢)
청나라 말기의 황제 혁흔은 황제 함풍제의 동생으로 서태후와 협력하여 정치, 외교와 국정 운영에 깊이 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