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7:29:58

피로스 전쟁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로마의 대외전쟁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로마 공화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공화국
<rowcolor=#FAE572> 전쟁·전투 교전국
알리아 전투 파일:faction_emblem_senones_256.png 갈리아족(세노네스족)
삼니움 전쟁 파일:Samnites_league_mon_256.png 삼니움족
피로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에페이로스 왕국
제1차 포에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png 카르타고 공화국
제2차 포에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png 카르타고 공화국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로마-셀레우코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2.png 셀레우코스 제국
마그네시아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2.png 셀레우코스 제국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피드나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루시타니아 전쟁 파일:external/a352ddf511b96cba04fbaa172c0df140c9cb8c8ae188ad8ddda8a5c3a3eae004.png 루시타니 부족연합
누만티아 전쟁 파일:external/b66a81d7e3c5440cfef450e3309a2b4b425f1dcd788e510bd84b747e2e2573be.png 아레바키족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제3차 포에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png 카르타고 공화국
아카이아 전쟁 파일:akaian_league_mon_256.png 아카이아 동맹
킴브리 전쟁 파일:cimbri_mon_256.png 게르만족(킴브리족 · 테우토네스족 · 암브로네스족)
유구르타 전쟁 파일:masaesyli_emblem_256.png 누미디아 왕국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8.png 폰토스 왕국
제2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8.png 폰토스 왕국
제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8.png 폰토스 왕국 · 파일:SoundCloud82837371853.jpg 아르메니아 왕국
갈리아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
아라르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헬베티족)
보주 전투 파일:cimbri_mon_256.png 게르만족(수에비족)
악소나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벨가이 부족연합)
사비스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네르비족)
아바리쿰 공방전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비투리게스족)
알레시아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11.png 갈리아족
카이사르의 1차 브리타니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10.png 브리튼족
카이사르의 2차 브리타니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10.png 브리튼족
카르헤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기원전 40년 파르티아의 시리아 침공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옥타비아누스의 일리리아 원정 파일:external/dxzx499bp2l73.cloudfront.net/mon_256.png 일리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로마 제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제국
<rowcolor=#FAE572> 전쟁·전투 교전국
칸타브리아 전쟁 칸타브리아족
갈루스의 아라비아 원정 아라비아 펠릭스
쿠시-로마 전쟁 파일:faction_emblem_kush_256.png 쿠시 왕국
게르마니아 전쟁 파일:cherusci_mon_256.png 게르만족
일리리아 대반란 파일:external/dxzx499bp2l73.cloudfront.net/mon_256.png 일리리아
토이토부르크 전투 파일:cherusci_mon_256.png 게르만족(체루스키족)
클라우디우스의 브리타니아 침공 브리튼족
58~63년 파르티아-로마 전쟁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부디카의 난 파일:attachment/mon_256_10.png 브리튼족(이케니족)
제1차 유대-로마 전쟁 파일:external/www.monuments.com/menorah.png 유대 반란군
바타비아 반란 게르만족(바타비족)
아그리콜라의 칼레도니아 침공 파일:faction_emblem_caledonii_256.png 칼레도니아
다키아 전쟁 파일:external/fd15abaec08ab5409f08c461582b21f1ce6d6e2258ae9a42432e4e47e0469e8a.png 다키아 왕국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제2차 유대-로마 전쟁 파일:external/www.monuments.com/menorah.png 유대 반란군
제3차 유대-로마 전쟁 파일:external/www.monuments.com/menorah.png 유대 반란군
베루스의 파르티아 원정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마르코만니 전쟁 게르만족 · 사르마티아족
세베루스의 칼레도니아 침공 파일:faction_emblem_caledonii_256.png 칼레도니아
니시비스 전투 파일:attachment/mon_256_9.png 파르티아 제국
아브리투스 전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고트족)
에데사 전투 파일:faction_emblem_sassanid_256.png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
아우렐리아누스 원정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고트족 · 파일:faction_emblem_gallicrome_256.png 갈리아 제국 · 파일:faction_emblem_palmyrene_256.png 팔미라 제국 ·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족 · 파일:faction_emblem_sassanid_256.png 사산 왕조 · 알레만니족 · 유퉁기족 등
콘스탄티누스의 고트족과 사르마티아 원정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고트족) · 사르마티아족
아르겐토라툼 전투 게르만족(알레만니족)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 파일:faction_emblem_sassanid_256.png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고트족)
로마 약탈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게르만족(서고트족)
카탈라우눔 전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Hun_flag.png 훈족
본 곶 해전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 왕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동로마 제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라바룸.svg
동로마 제국
<rowcolor=#FAE572> 전쟁·전투 교전국
다라 전투
530년
파일:faction_emblem_sassanid_256.png 사산 왕조
반달·고트 전쟁
535년~554년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Ostrogoths_flag.png 동고트 왕국 ·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andal_flag.png 반달 왕국 · 파일:faction_emblem_sassanid_256.png 사산 왕조 ·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Burgundians_flag.png 부르군트
동로마-아바르 전쟁
568년~626년
아바르 칸국
동로마-페르시아 전쟁
603년~628년
파일:faction_emblem_sassanid_256.png 사산 왕조
무슬림의 시리아 정복 전쟁
629년~646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이슬람 제국
야르무크 전투
636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이슬람 제국
무슬림의 이집트 정복 전쟁
639년~646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이슬람 제국
무슬림의 마그레브 정복 전쟁
647년~709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이슬람 제국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마스트 해전
655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이슬람 제국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674년~678년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717년~718년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아크로이논 전투
740년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콘스탄티노스 5세의 불가리아 원정
756년~775년
파일:First_bulgarian_empire_flag.png 불가리아 제1제국
크룸 전쟁
807년~816년
파일:First_bulgarian_empire_flag.png 불가리아 제1제국
무슬림의 시칠리아 정복 전쟁
827년~902년
아글라브 왕조
테오필로스의 아바스 전쟁
830년~841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아바스 왕조
시메온 전쟁
894년~896년
913년~927년
파일:First_bulgarian_empire_flag.png 불가리아 제1제국
쿠르쿠아스의 아랍 원정
926년~944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아바스 왕조
함단 전쟁
945년~967년
함단 왕조
한닥스 공방전
960년~961년
크레타 토후국
스뱌토슬라프 전쟁
968년~971년
파일:키예프 루스 국장.svg 키예프 루스
바실리오스 2세의 불가리아 전쟁
976년~1018년
파일:First_bulgarian_empire_flag.png 불가리아 제1제국
트라야누스 관문 전투
986년
파일:First_bulgarian_empire_flag.png 불가리아 제1제국
클레이디온 전투
1014년
파일:First_bulgarian_empire_flag.png 불가리아 제1제국
칸나이 전투
1018년
랑고바르드족
마니아케스의 시칠리아 원정
1038년~1042년
시칠리아 토후국
로베르 기스카르 전쟁
1057년~1085년
파일:로베르 기스카르.png 노르만족
제2차 만지케르트 전투
1071년
파일:Seljuk Turks Flag.jpg 셀주크 제국
레부니온 전투
1091년
페체네그
제1차 십자군 원정
1096년~1099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 파일:Seljuk Turks Flag.jpg 셀주크 제국
필로밀리온 전투
1116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베로이아 전투
1122년
페체네그
하람 전투
1128년
파일:Flag_of_Hungary_(13th_century).svg.png 헝가리 왕국
샤이자르 공방전
1138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장기 왕조
마누일 1세의 남이탈리아 원정
1155년~1158년
파일:로베르 기스카르.png 시칠리아 왕국
시르미온 전투
1167년
파일:Flag_of_Hungary_(13th_century).svg.png 헝가리 왕국
베네치아-동로마 무역 전쟁
1171년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미리오케팔론 전투
1176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히엘리온-리모키르 전투
1177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1185년 시칠리아 왕국의 발칸 침공
1185년
파일:로베르 기스카르.png 시칠리아 왕국
아센과 페터르의 난
1185년~1201년
파일:불가리아 제2제국 국기.svg 불가리아 제2제국
제4차 십자군 원정
1202년~1204년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 파일:1200px-Argent_a_chief_gules.svg.png 몬페라토 변경백국 · 파일:800px-Arms_of_Flanders.svg.png 플란데런 백국 · 파일:800px-Arms_of_the_Kings_of_France_(France_Ancien).svg.png 프랑스 왕국
메안데르의 안티오키아 전투
1211년
파일:룸 술탄국 국기.svg 룸 술탄국
클로코트니차 전투
1230년
파일:불가리아 제2제국 국기.svg 불가리아 제2제국
펠라고니아 전투
1259년
파일:640px-Flag_of_the_Despotate_of_Epirusunder_the_House_of_Komnenos_Doukas.png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파일:931px-Armoiries_Achaïe.svg.png 아카이아 공국 · 파일:Arms_of_the_House_of_de_la_Roche.svg.png 아테네 공국 · 파일:800px-Flag_of_the_Kingdom_of_Sicily_(Hohenstaufen).svg.png 시칠리아 왕국
제1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260~1261년
파일:Latin Empire 1280.png 라틴 제국
바페오스 전투
1302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부르사 공방전
1317~1326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펠레카논 전투
1329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376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390년~1402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11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제19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22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제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53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베이국 }}}}}}}}}}}}

피로스 전쟁
그리스어: Πόλεμοι του Πύρρου στην Ιταλία
영어: Pyrrhic War
파일:Pyrrhic_War_Italy_en.svg.png
시기 기원전 280년 ~ 275년
장소 이탈리아, 시칠리아
교전국 파일:attachment/mon_256.png 로마 공화정
파일:attachment/mon_256_1.png 카르타고 공화국
파일:Paeligni_mon_256.png 파일리그니
파일:Marrucini_mon_256.png 마루키니
파일:frentani_mon_256.png 프렌타니
파일:dauni_mon_256.png 다우니
파일:umbri_mon_256.png 움브리아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에페이로스 왕국
파일:attachment/mon_256_2.png 마케도니아 왕국
파일:aitolian_league_mon_256.png 아이톨리아 동맹
파일:thessaly_mon_256.png 테살리아
파일:external/92d427a920cd1e7d61ba5978617b8514c354d8e7eba84637d62fea6d5b1ff9d4.png 시라쿠사
파일:faction_emblem_taras_256.png 타라스
파일:Samnites_league_mon_256.png 삼니움
파일:lucani_mon_256.png 루카니아
파일:bruttii_mon_256.png 브루티
지휘관 파일:attachment/mon_256.png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라이비누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티베리우스 코룬카니우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
파일:attachment/mon_256.png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사베리오
파일:attachment/mon_256.png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스키누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루피누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구르게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가이우스 게누키우스 클렙시나
파일:attachment/mon_256.png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카우디누스
파일:attachment/mon_256.png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피로스 1세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키네아스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프톨레마이오스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알렉산드로스 2세
파일:attachment/mon_256_7.png 밀로
파일:external/92d427a920cd1e7d61ba5978617b8514c354d8e7eba84637d62fea6d5b1ff9d4.png 티니온
파일:external/92d427a920cd1e7d61ba5978617b8514c354d8e7eba84637d62fea6d5b1ff9d4.png 소시트라토스
파일:external/92d427a920cd1e7d61ba5978617b8514c354d8e7eba84637d62fea6d5b1ff9d4.png 히에로 2세
파일:faction_emblem_taras_256.png 아기스
병력 불명약 40,000명
기병 3,000기
코끼리 20마리
피해 사상자: 23,800 ~ 31,800사상자: 18,585 ~ 27,585
결과피로스 1세의 이탈리아 원정 실패.
이탈리아 남부와 그리스계 도시국가들의 항복으로 인한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 통일
1. 개요2. 배경3. 헤라클레아 전투
3.1. 양군의 움직임3.2. 전투3.3. 전투 후
4. 아스쿨룸 전투
4.1. 배경4.2. 전투
5. 로마와 카르타고의 동맹6. 피로스 1세의 시칠리아 원정7. 베네벤툼 전투8. 그 후9. 의미

[clearfix]

1. 개요

BC.280 ~ BC.275년까지 로마 공화국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계 도시국가들(마그나 그라이키아)과 그 동맹인 에페이로스 왕국과 벌인 전쟁이다. 명칭은 한니발 전쟁과 마찬가지로 피로스 1세의 이름에서 따왔다.

피로스 전쟁은 로마와 타라스(타렌툼)의 작은 분쟁에서 시작되었다. 로마의 해군이 타라스의 영해를 침범한 것에 대하여 두 국가 간의 분쟁이 일어났고, 스스로 로마에 맞설 군사력이 없었던 타라스는 에페이로스의 왕이자 당대의 명장인 피로스 1세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피로스 1세는 군대를 이끌고 로마, 에트루리아, 투리이, 루카니아, 삼니움족이 얽히고 설킨 이탈리아 반도에 상륙했으며 또한 시칠리아 섬의 분쟁에도 개입하여 시칠리아에 대한 카르타고의 영향력을 일시적으로 상실하도록 했다. 그러나 지속적인 병력 공급이 가능했던 로마의 조직력 앞에 피로스 1세는 무의미한 승리만을 거듭하다가 결국 손을 떼게 되었다.

변방의 야만인에 불과했던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 공화국이 지중해 세계에 본격적으로 존재감을 드러낸 사건이었다. 로마 공화국은 이후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하면서 국제적인 위상을 확보했고, 118년에 걸친 포에니 전쟁을 거치며 지중해 세계의 최강대국으로 도약했다.

2. 배경

타라스(Ταρας)[1]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라고 불렸던 이탈리아 반도 남부에 위치한 그리스계 대도시였다. 타라스의 강력한 파벌 중 하나였던 민주정파는 필로카리스 또는 아이네시아스가 당수였는데 이들은 로마에 적대적이었다. 로마인들이 타라스에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하면 그들의 독립성을 잃을 것이라고 봤기 때문이었다. 타라스의 시민들은 로마인들이 제3차 삼니움 전쟁 이후에 타라스에 세력을 뻗칠 것을 두려워했다. 기원전 290년에 삼니움족이 로마에 항복하자 로마인들은 아풀리아와 루카니아에 많은 식민지를 건설했고 기원전 282년, 삼니움, 루카니아, 브루티움, 투리이[2]인들과의 전투를 마무리지었으며 로마군은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계 도시들인 크로톤, 루크로이, 레기움에 진입했다. 타라스의 민주정파는 로마인들이 갈리아, 루카니아, 에트루리아, 삼니움, 브루티움을 꺾는다면 다음 차례는 바로 타라스라고 생각했다. 타라스의 또 다른 걱정은 투리이의 귀족정파들이 권력을 잡자 로마인과 손을 잡기로 하고 로마의 군영을 도시내에 건설하게 했다는 것이었다. 투리이는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멤버였으므로 로마의 침략이 임박했다고 걱정했다.

또 다른 타라스의 파벌로 아기스가 이끄는 귀족정파가 있었다. 그는 로마에 항복하면 귀족정파가 권력을 되찾을 수 있다고 생각해 항복을 반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시민들이 지지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니 이런 속셈을 드러낼 수는 없었다.

그러던 기원전 282년, 타라스인들이 디오니소스 축제를 열어 바다에서 연극을 하고 있었을 때, 로마 선박 10여 척이 갑자기 바다위에 모습을 드러냈다. 로마 선박은 무장한 병사들과 식량을 잔뜩 싣고, 투리이에 설치된 군영으로 이동하는 중이었다. 타라스인들은 로마인들이 타라스의 영해에 침입하지 않겠다는 조항을 위반하고, 영해를 침범하자 해군을 출동시켜 로마 선박을 공격했다. 그 결과 로마 선박 수 척이 침몰했고 한 척은 나포되었다. 이런 일을 벌인 뒤 타라스인들은 로마가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고 둘이 싸울 경우, 로마에게 패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에페이로스 왕국의 왕 피로스 1세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병사와 선박을 투리이에 보내 민주정파를 도와 귀족정파를 내쫓았다. 이렇게 되자 투리이에 설치된 로마 군영에 주둔한 로마군은 철수했고, 로마인들은 사자를 보내 생포된 병사들을 구출하려 했으나 협상이 결렬되면서 타라스에 선전포고를 했다.

기원전 281년, 집정관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가 이끄는 로마 군단이 타라스로 진격했다. 타라스는 삼니움족과 사렌티니아인의 지원군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패배했다. 타라스인들은 귀족정파인 아기스를 보내 로마인들과 휴전조약을 체결하도록 하고 곧 협상에 들어갔다. 그러나 협상은 피로스 1세가 보낸 3,000명의 에페이로스 호플리테스가 밀로의 지휘하에 타라스에 상륙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결렬되었다. 집정관 바르불라는 곧장 철수했으나 철수 도중 그리스인들의 공격을 받아 병력의 일부를 잃었다.

피로스 1세가 타라스를 돕기로 결정한 이유 중 하나는 그가 과거 코르키라 섬을 정복할 때 타라스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또한 로마의 적인 삼니움, 루카니아, 브루티움, 그리고 일리리아인들의 원조를 받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 피로스 1세의 최종적인 목표는 리시마코스에게 빼앗긴 마케도니아 왕국를 되찾는 것이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군자금이 필요했다. 그가 타라스를 도와 로마인들을 격파하고, 시칠리아 섬을 카르타고인들로부터 보호한다면 그는 사실상 이탈리아 반도 남부와 시칠리아 섬의 지배자가 될 것이며, 마케도니아 재정복에 필요한 풍부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었다.

3. 헤라클레아 전투

3.1. 양군의 움직임

에페이로스를 떠나기 전, 피로스 1세는 우선 마케도니아의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3]와 동맹을 맺고 9,000명의 병력과 50마리의 전투 코끼리 부대를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얻는 데 성공했다. 또한 테살리아의 기병, 로도스 섬의 투석병을 모집해 기원전 280년 봄, 25,000명에 달하는 병사들과 함께 이탈리아 반도에 상륙했다.

피로스 1세가 이탈리아에 상륙했다는 소식을 들은 로마인들은 8개 군단과 같은 수의 보조병(Auxilia)을 편성한 80,000명의 병력을 4개 부대로 나뉘어 각지에 배치했다.

2개 군단은 전직 집정관 바르불라의 지휘하에 베누시아에 주둔하며 삼니움족과 루카니아족을 견제하여 피로스 1세의 에페이로스 군대에 합류하는 것을 막기로 하고, 2개 군단은 로마에 남아 방어를 맡았다. 그리고 남은 4개 군단은 그해의 집정관인 티베리우스 코룬카니우스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라이비누스가 각각 2개 군단을 지휘하여 티베리우스 코룬카니우스는 에트루리아를 압박하여 피로스 1세와 동맹을 맺는 것을 저지하고, 라이비누스는 타라스로 가면서 루카니아인들의 영토를 약탈하고 헤라클레아를 향해 진군했다. 그는 이곳을 점령해 피로스 1세와 그리스의 식민지인 칼라브리아의 연결을 끊어 칼라브리아가 로마에 반기를 드는 것을 막고자 했다.

3.2. 전투

에페이로스군은 20,000명의 팔랑기타이, 6,000명의 호플리타이, 3,000명의 히파스피스타이, 2,000명의 궁병, 투석병 500명, 기병 4,000명에 피로스 1세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로부터 지원받은 20마리의 코끼리 부대가 편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약 35,000여 명이었다.

이에 맞서는 집정관 라이비누스의 로마군은 20,000명의 로마 군단병과 19,000여 명의 동맹시 보병, 2,000 ~ 6,000여 명 정도의 기병대로 구성된 40,000여 명의 병력을 동원했다.

피로스 1세는 로마군이 도착했음에도 움직이지 않으며 동맹군의 도착을 기다렸다. 나중에서야 동맹군이 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피로스 1세는 시리스 강 옆에 펼쳐진 벌판에서 로마군과 싸우기로 결정했다. 피로스 1세는 평원에 병력을 배치한 뒤 로마군을 기다렸고 싸우기 전, 집정관 라이비누스에게 사절을 보내 자신은 로마와 이탈리아 남부 사이의 분쟁을 중재할 용의가 있다고 말하며 이미 이탈리아 남부가 자신에게 심판관 역할을 기대하니 로마 측에서도 이를 받아들여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라이비누스는 피로스 1세의 제안을 거부하고, 강을 건너 피로스군의 맞은 편에 막사를 차렸다.

피로스 1세는 시리스 강 왼쪽에 포진하고, 로마군이 강을 건너서 먼저 공격해오길 기대했다. 피로스 1세는 로마군이 강을 건널 때 기병과 코끼리로 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경보병을 강변에 포진시킨 뒤 로마군이 강을 건너거든 즉각 자신에게 알리라고 명령했다. 새벽이 되자 로마군이 강을 건너기 시작했고 드디어 역사상 최초로 로마 군단병과 마케도니아 팔랑크스라는, 서로 다른 강력한 두 중보병이 자웅을 겨루게 되었다.

로마 기병이 먼저 재빨리 강을 건너 감시중인 경보병을 공격하여 퇴치시켰고 피로스 1세는 로마군이 강을 건너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자 마케도니아와 테살리아 기병을 이끌고 로마 기병을 공격했다. 그의 경보병과 중보병도 로마 군단병을 항해 진군하기 시작했고 에페이로스 기병은 로마 기병의 대열을 흐트러놓은 뒤 후퇴했다. 피로스 1세의 투창병과 궁병이 원거리 공격을 시작하고 그의 팔랑크스가 로마 군단병을 공격했다. 강을 건넌 로마 군단병과 팔랑크스의 전열은 거의 비슷했다.

팔랑크스는 7번에 걸쳐 로마 군단병을 공격했으나 군단병은 전열을 유지하며 공세를 버텨냈다. 팔랑크스는 그들이 여지껏 만난 중보병 중 가장 강력한 상대를 만난 것이었다. 그리고 로마 군단병 역시 7번을 공격했으나 팔랑크스 진형을 뚫는 데 실패했다. 두 중보병의 혈전은 오랫동안 계속되었고, 어느 시점에서 전투의 격렬함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피로스 1세가 전투 중 전사했다는 오보가 퍼졌다. 이렇게 된 이유는 피로스 1세가 그의 경호원 중 한 명에게 그의 갑옷을 입혔는데 그가 죽었기 때문이었다. 로마 군단병들은 큰 소리로 함성을 질러 기쁨을 나타냈다.

파일:Pydna_Battel.jpg

피로스 1세가 전사했다는 소식에 두려워하기 시작한 에페이로스군이 동요하자 멀쩡히 살아있던 피로스 1세는 말을 타고 병사들 앞에 나아가 투구를 벗고, 자신의 얼굴을 보여주면서 보병 라인을 지나갔다. 이러한 대담한 행위에 병사들은 용기를 되찾았고, 두 세력은 다시 전투에 임했다.

로마군에 대하여 어떠한 우위도 갖지 못한 피로스 1세는 결국 자신의 전투 코끼리를 투입하기로 했다. 로마 기병대는 에페이로스군의 측면을 매우 위협하는 상황이었는데, 로마 기병의 말들이 피로스군의 코끼리들을 보고 크게 놀라게 되었다. 이로 인해 로마 기병대가 흩어지자 그때까지 버티던 로마 군단병도 패주했다. 피로스 1세는 자신의 테살리아 기병을 내보내 군단병을 공격했으며 이것으로 승부는 결정되었다. 로마인들은 강을 건너 달아났고 피로스 1세는 전장을 장악했다.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로마군의 손실은 15,000여 명에 달했다고 했으며 히에로니무스는 7,000명이라고 언급했다. 디오니시우스가 기록한 피로스 1세의 전사자는 11,000명, 그리고 히에로니우스는 3,000명이라고 기록했다. 어느 역사가의 기록을 참고하더라도 피로스 1세는 그야말로 피로스의 승리를 한 셈이었다.

3.3. 전투 후

전투가 끝나자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원군이 피로스 1세에게 합류했다. 그러나 레기움의 병사들은 피로스 1세에게 합류하러 가다가 로마 군단병을 만나 섬멸당했다. 피로스 1세는 에트루리아에 진입하고자 했으며 진군 도중 캄파니아와 라티움을 약탈했다. 하지만 아나그니라는 도시에서 그의 진군은 멈추었는데 여기서 코루키아투스가 이끄는 로마 군단을 만났기 때문이었다. 피로스 1세는 그의 병력중에 전사자가 워낙 많았으므로 싸우기가 여의치 않다고 봤는데 아마도 라이비누스와 바르불라가 이끄는 로마 군단이 피로스 1세의 뒤를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결국 그는 후퇴하기로 결정했으며 로마군은 그를 뒤쫒지 않았다.

4. 아스쿨룸 전투

4.1. 배경

겨울 동안 피로스 1세는 로마의 패배로 인해 로마에게 정복당한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키기를 기다렸다. 하지만 놀랍게도 로마에 정복당한 도시들 대부분이 그대로 로마편에 남았으며, 오직 소수의 부족들만이 피로스 편에 붙기로 했다.[4]

다음해인 기원전 279년, 북상한 피로스 1세는 이탈리아 남동부의 아스쿨룸(Asculum)에서 집정관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사베리오가 이끄는 로마 군단과 조우했다. 두 병력은 거의 비슷한 수였다.

로마의 4개 군단은 대략 40,000여 명의 병력이었고, 300개의 대 코끼리용 투석기를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로마인들이 헤라클레아 전투에서 코끼리로 인해 패배한 것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군단병들은 불에 타오르는 무기를 지급받았으며, 또한 소가 끄는 전차가 동원되었는데 전차에 탑승한 병사들이 가진 긴 창은 코끼리에게 상처를 입힐 것이었다. 게다가 불에 달구어진 아궁이들도 가지고 왔는데 이것을 던짐으로써 코끼리를 도망가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피로스 1세에겐 19마리의 코끼리와 기병대가 있었는데 이것은 로마군을 능가했다. 피로스 1세는 로마군의 기동이 팔랑크스보다 유연함을 파악했고, 따라서 테스프로티아와 카오니아 보병대를 중앙에, 좌익에는 그리스 용병들을 배치하고 우익에는 팔랑크스와 타라스를 비롯한 루카니아, 브루티 보병대를 배치했다. 그리고 경보병과 코끼리를 두 부대로 나누어 후방에 예비대로 배치했으며, 피로스 1세는 직접 중앙 뒤편에 예비대로 배치된 2,000명의 기병대를 지휘했다.

4.2. 전투

첫째 날, 피로스 1세의 코끼리들과 기병대는 숲과 언덕 지형에 방해를 받아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으나 팔랑크스가 눈에 띄는 활약을 했다. 팔랑크스는 로마의 1번 군단과 동맹시 군단으로 이루어진 좌익을 격파했던 것이다. 그러나 로마의 3번, 4번 군단은 타라스와 그들의 연합으로 구성된 중앙을 격파했다. 이렇게 싸우는 동안 다우니족으로 구성된 로마 측 병사들이 피로스군의 캠프를 공격했다. 피로스 1세는 즉시 자신의 예비 기병대를 보냈고 뒤이어 코끼리들이 투입되어 다우니족을 격파했다.

다우니족은 구릉지 꼭대기로 후퇴했고 피로스 1세는 코끼리들을 3번, 4번 군단병들에게 보내 공격했다. 피로스 1세는 불화살과 투석으로 코끼리들을 지원했다. 로마인들은 코끼리의 공격을 피해 나무로 지은 진지에 머물고 있었다. 피로스 1세는 자신의 아타마니아, 아카르니아, 그리고 삼니움족으로 구성된 보병을 보내 로마군을 진지에서 끌어내려고 했으나 도중에 로마 기병의 공격을 받았다. 이렇게 한참을 싸우다가 마침내 해가 질 무렵이 되어 양군은 서로 물러났다. 어느 쪽도 확고한 승기를 잡는 데 실패했다.

새벽이 되자 피로스 1세는 자신의 경보병을 보내 전날 로마인들이 점거했던 험한 지형을 차지했다. 그 뒤 이어진 전투에서 로마인들은 탁 트인 평야에서 피로스군을 상대해야했다. 팔랑크스와 로마 군단병은 다시 전투를 벌였는데 이때 코끼리 부대가 로마군을 상대로 돌진했다. 로마인들은 즉시 소가 이끄는 4륜 전차를 동원해 맞섰는데 피로스 1세가 코끼리에 동행시킨 투창병이 전차대에 투창을 퍼부어 무력화시켰다. 코끼리들은 로마 군단병의 전열을 흔들어놓았으며, 피로스 1세는 때를 놓치지 않고 자신의 기병을 내보내 로마군을 향해 돌격시켰다. 로마군은 패주했고 그들의 주둔지로 퇴각했다.

전투 결과 로마군은 8,000명의 전사자를 냈고, 피로스 1세는 3,000명의 전사자를 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장교들이었다. 피로스 1세는 자신의 승리를 축하하러온 장교에게
"이런 승리를 한 번만 더 한다면 우린 모두 끝장이다."
라고 말했다.

5. 로마와 카르타고의 동맹

아스쿨룸 전투 이후 피로스 1세는 로마인들에게 사절을 보내 강화조약을 맺자고 했다. 그러나 로마인들은 피로스 1세가 이탈리아 반도에 있는 한 강화는 없다라며 강경하게 답변했다. 특히 이들 중 아피아 가도를 건설한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크라수스가 나이가 들어 눈이 먼 상태에도 불구하고, 로마인들에게 강화를 거부할 것을 촉구했다. 피로스 1세는 단지 그의 동맹국가들의 자유를 보장해달라는 요청을 했을 뿐이었지만 로마인들은 이를 거부했다.

피로스 1세는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어 로마에 대항할 것을 생각했는데 카르타고는 피로스 1세가 로마보다 더 위험하다고 보고카르타고 역사상 최대의 실수[5] 이를 거부한 뒤 로마와 동맹을 맺었다. 이때 세 번째로 갱신된 로마와 카르타고와의 조약으로 인해 로마와 카르타고는 피로스 1세에 대항하는 효과적인 동맹을 맺게 된다. 이로써 피로스 1세는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 섬에 있는 그리스 동맹까지 보호해야하는 입장에 처했다.

6. 피로스 1세의 시칠리아 원정

시라쿠사를 지배하던 참주 티니온소시트라토스는 피로스 1세에게 도움을 주겠다고 했다. 하지만 캄파니아와 남부의 로마 동맹시들은 동요하지 않았다. 에트루리아인들은 로마가 불리하다고 생각했으나 이것이 실수임을 파악했다.

두 번에 걸친 전투에서 연이은 승리를 했으나 그때마다 피로스 1세는 전사자가 많았으므로 전쟁을 계속할 의지가 꺾였다. 그래서 그는 시칠리아 섬으로 가서 그곳의 그리스인들을 카르타고인들로부터 지키기로 했다.

기원전 278년, 카르타고인들은 피로스 1세가 온다는 소식을 듣자 군대를 보내 시라쿠사를 포위하는 한편, 피로스 1세가 항해할 선박을 찾아 감시했다. 피로스 1세는 카르타고와 마메르티니 용병대의 감시를 뚫고 시칠리아 섬에 상륙했으며 그곳에서 파노르무스[6]와 에릭스[7]를 점령했다. 이에 카르타고인들은 피로스 1세에게 릴리바이움[8]을 제외한 시칠리아 섬 전역에서 철수하겠다고 제안했으나 피로스 1세는 이를 거부했다.

그동안 이어진 싸움에서 그는 계속 병력의 손실을 입었으나 손실을 보충할 병력은 적었다. 타라스는 피로스 1세가 떠난 뒤 로마인들에 의해 계속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카르타고는 그들의 해군을 통해 피로스 1세에게 주어지는 보급을 끊으려고 했다. 결국 이런 상황을 견디다 못한 피로스 1세는 다시 이탈리아로 돌아가 로마인들과 또다른 싸움을 벌이기로 결정했다.

7. 베네벤툼 전투

기원전 275년, 피로스 1세는 이탈리아에 상륙했는데, 계속된 병력 소모로 인해 전력이 감소된 상태였다. 이 베네벤툼 전투 이후 피로스 1세는 에페이로스로 귀국했고, 그 결과 삼니움족과 '마그나 그라이키아'라 불리는 이탈리아 남부는 로마 공화국에 정복당하는 결말을 맞이했다.

피로스 1세가 이탈리아에 돌아왔다는 소식을 들은 로마는 군대를 보내 남하하도록 했다. 이들 중 2개 군단은 집정관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의 지휘를 받아 말벤툼이라는 도시에 숙영지를 차렸다. 피로스 1세는 말벤툼에 접근했는데 그때 그의 군대는 보병 20,000명, 기병 3,000명, 그리고 20여 마리의 코끼리를 동행하고 있었다. 로마군은 보병 17,000명, 기병 1,200명으로 구성되었다.

피로스 1세의 정찰병은 로마군이 말벤툼에 야영하고 있음을 보고했고 피로스 1세는 이들을 야습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이 야습은 그의 군대가 말벤툼에 접근한 시간이 너무 지체된 탓에 이들의 접근을 알고 있었던 로마인들은 야습에 대비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피로스군의 공격을 쉽게 격퇴했다. 피로스 1세는 코끼리를 투입했으나 로마인들은 이제 코끼리를 상대하는 것에 익숙해진 상태였다. 삼니움족으로부터 도입한 무기인 필룸을 병사들에게 지급하고, 코끼리가 보이면 즉시 투척하게 한 것이었다.[9] 코끼리들은 창에 맞아 부상을 입어 절반 가까이가 목숨을 잃었다. 코끼리들은 보충할 수 없는 전력이었으므로 이는 피로스 1세에게 뼈아픈 손실이었다.

다음날이 되자 로마인들은 거꾸로 그들의 진영에서 나와 공세를 펼쳤다. 그들의 초기 공격은 피로스 1세에 의해 저지되었는데 그 이유는 피로스 1세가 자신의 남은 코끼리와 호플리테스를 중심으로 로마 보병진을 흔들었기 때문이었다. 그 뒤 로마군은 다시 전열을 가다듬었고, 두 번째 공격을 시도했다. 이 공격에서 피로스 1세의 코끼리들은 필룸에 의해 무력화되어 에페이로스군의 진영을 혼란스럽게 했고 이를 본 피로스 1세는 즉시 군대를 철수하여 물러났다.

피로스 1세는 코끼리들이 무력화되자 바로 철수했는데 아직 로마군보다 우세한 기병이 있었다는 점에서 로마군과 계속 전투를 치렀다면 한니발이나 알렉산드로스식의 기병 운용을 함으로써 승리를 거머쥘 수도 있었을 것이다. 다만 이전 두 번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그의 휘하 병력의 손실이 컸으므로 이번 전투에서도 그런 결과가 나올 것을 두려워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이를 보고 로마군을 상대로 뒤쳐지는 전력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트레비아 전투, 칸나이 전투 등에서 주력군의 손실이 거의 없이 압도적인 대승을 거둔 한니발 바르카의 군사적인 능력이 돋보인다고 하는데 한니발의 경우는 시작부터 끝까지 자신이 노리던 방향과 장소로 끌고 들어와 이긴 반면, 베네벤툼 전투의 경우는 처음부터 피로스 1세의 허를 찌른 전투였다. 굳이 따지자면 자마 전투에 가깝다. 이마저도 그나마 다시 준비할 시간과 장소를 알고 있었던 자마 전투보다도 상황은 안 좋았다. 사실상 기습을 당한 거나 마찬가지라 이 상황에서의 모습을 보고 비교하는 것은 곤란하다. 애초에 한니발이 자신보다 윗줄로 평가한 사람이 피로스 1세이다. 물론 정말로 윗줄인지는 제쳐놓더라도 단순히 우열은 논하는 것은 금물이다.키배 지름길이니까.

전투 이후, 로마인들은 '안 좋은 상황'이라는 의미를 가진 '말벤툼'을 '좋은 상황'이라는 의미를 가진 '베네벤툼'으로 바꾸었다. 피로스 1세는 타라스로 후퇴한 뒤 그곳에서 내내 움직이지 않다가 마침내 전쟁을 단념하고, 이탈리아 반도를 떠났는데 그에겐 오직 8,000명의 보병과 500기의 기병만 남아있었을 뿐이었다. 처음 이탈리아에 상륙했을 때 동행한 25,000명의 병력 중에서 3분의 2가 전사했던 것이다. 떠나면서 피로스 1세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8. 그 후

피로스 1세가 떠난 뒤 로마인들은 남하하여 타라스를 압박했고, 결국 기원전 272년, 타라스는 로마에 항복했다. 로마인들은 타라스에게 그들이 전형적으로 정복민들에게 쓰는 조약을 맺게 했는데 이는 곧 타라스의 자치를 보장하면서 그들은 로마가 필요할 때 군사적 원조를 하게한 것이었다. 타라스는 이 조약을 받아들인 뒤 로마의 동맹시로 남았다. 그래도 로마는 타라스에 대한 의심을 거두지는 않았으므로 로마군의 군영을 도시내에 설치했다. 타라스가 무너지자 이탈리아 남부의 다른 도시들도 로마에게 항복했으며 그들 모두 로마의 동맹시가 되었다.

로마가 빠르게 세력을 확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정복한 민족에게 당시로서는 보기 드물게 온건한 태도를 취한 데도 있었다. 로마는 패배한 국가를 동맹국으로 삼았는데 과중한 세금을 매기지도 않았고, 친 로마파 정치가를 억지로 앉히지도 않았다. 그들이 요구한 것은 전쟁시 보조병의 조달이 전부였다. 이에 따른 혜택으로써 동맹시의 시민은 로마로부터 라틴 시민권을 부여받았으며, 이 시민권만 있으면 로마를 비롯한 어떤 로마 동맹시에서도 로마법의 보호를 받으면서 자유롭게 통상 및 거주할 수 있어 참정권을 제외하면 로마 시민권과 같았다. 이렇게 온건한 노선으로 인해 피로스 1세 뿐만 아니라 한니발 바르카의 침략때도 많은 피정복 도시들이 대거 이탈하지 않고 로마와 계속 동맹을 유지했다. 단 이러한 온건주의는 동맹시들이 자발적으로 로마의 군사적 강력함을 인정하고 있어야한다는 전제가 있었으므로, 로마의 영토가 넒어지면서부터는 잘 통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그리스 국가들은 로마에게 패배한 이후 로마의 동맹시가 되었지만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었으므로 이탈리아 국가들에 비해 로마에 대해 압박을 잘 느끼지 않았고 사사건건 반기를 들었다.[10] 로마는 이탈리아와는 전혀 다른 이러한 그리스의 움직임에 매우 곤혹스러워하여 온건주의 외교 노선에 회의를 가졌고, 결국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를, 아카이아 전쟁에서 코린토스를 철저하게 파괴한 후 주민 전체를 노예로 팔아 본보기를 보이는 한편, 점령지의 많은 곳을 속주화함으로써 점점 제국화되어갔다.

헌데 가장 먼저 로마에 원정을 온 에페이로스 왕국은 정작 큰 피해 없이 스무스하게 로마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니, 아이러니한 일이다. 특히 피로스군을 불러온 타라스 등의 도시는 징벌적인 조치를 받기도 했다.

신빙성이 의심되긴 하나 로마 장군들과 피로스 1세와의 일화 등으로 미뤄보면 로마 나름대로 피로스 1세를 인정했을지도, 아니면 단순한 용병으로 생각했을지도, 혹은 둘 다일지 모를 일이다.

9. 의미

비록 로마인들은 피로스 1세를 전투에서 이기지는 못했으나 전쟁에서는 승리했다. 이는 피로스 1세가 동시대의 가장 유능한 장군이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것이었다. 이 승리 덕에 로마의 군사적인 명성은 지중해 세계에서 상당히 높아졌다. 게다가 피로스 1세와 전투를 치를 때 간혹 보인 로마 군단병의 거센 저항은 훗날 군단병이 팔랑크스에 보인 강력함을 의미했다. 게다가 헬레니즘 국가들에선 피로스 1세 이후 다시는 로마에 대항할 수 있는 유능한 장군이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11]

피로스 1세를 상대로 승리한 뒤 로마는 그들의 군사적인 능력이 국제사회에서도 충분히 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로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로마에 사절을 보내 영구적인 우호협정을 맺었다.

이 피로스 전쟁을 통해 로마는 이탈리아 반도 내에 맞수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그때까지 로마에 저항하고 있었던 포 강 이남의 모든 이탈리아의 도시들이 기원전 264년 이전에 모두 항복했고, 라티움 지방의 소도시 로마는 최초로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한 지중해의 강자로 등극했다. 그리고 로마는 지중해의 또다른 강자이자 피로스 전쟁 당시 로마의 동맹이었던 카르타고와 지중해의 패권을 두고, 3차에 걸친 장대하고 격렬한 포에니 전쟁을 벌였다. 이는 피로스 1세가 이탈리아 반도를 떠나면서 남긴 말대로였다.

9.1. 피로스의 승리

언어학적으로 피로스 전쟁은 피로스의 승리라는 단어를 낳았는데 이 단어는 너무도 많은 희생 끝에 얻은 승리라는 뜻이다. 이 단어는 플루타르코스의 저서에서 유래하며, 플루타르코스는 다음과 같은 피로스 1세의 말을 기록했다.
두 군대는 마침내 물러났다. 그리고 피로스는 그의 승리를 축하하는 장교에게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만약 우리가 이런 승리를 한 번만 더한다면 완전히 망할 것이다."

[1] 라틴어로는 타렌툼(Tarentum).[2] Thurii, 헬라어 Θούριοι.[3]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의 아들로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를 암살하고, 마케도니아로 망명했다가 마케도니아군의 지명으로 왕이 되었다.[4] 로마 동맹은 의외로 결속력이 튼튼했으며 이는 100여 년 뒤, 한니발 바르카의 침략에도 불구하고 굳건한 결속력을 보여주었다.[5] 물론 결과론적인 얘기이고, 실제로 당대에는 피로스 1세가 로마보다 더 위협적인 위치에 있었다.[6] 오늘날의 팔레르모.[7] 오늘날의 에리체.[8] 오늘날의 마르살라.[9] 이때 중보병에게 처음 실용화된 필룸은 이후 아주 오랜 기간에 걸쳐 로마 중보병의 보조무기로 자리잡는다.[10] 또한 그리스 국가들은 선민의식이 강하여 로마를 야만족으로 취급한터라 그들이 야만족으로 여기던 로마에게 정복당한 것을 수치로 여겼고, 반감이 강한터라 로마의 지배를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았다.[11] 거의인 이유는 헬레니즘 국가인지는 둘째치고, 그리스권은 확실한 스파르타의 용병대장 크산티포스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 집정관 레굴루스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며 카르타고를 구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