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13:27:45

파피루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파피루스(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피루스(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피루스(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파피루스(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피루스(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피루스(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color=#A0522D,#A0522D>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color=#A0522D,#A0522D> 역사 <colbgcolor=#FFF,#1F2023>선왕조 (상이집트 · 하이집트) · 이집트 초기 왕조 (제1왕조 · 제2왕조) · 이집트 고왕국 (제3왕조 · 제4왕조 · 제5왕조 · 제6왕조) · 이집트 제1중간기 (제7왕조 · 제8왕조 · 제9왕조 · 제10왕조 · 제11왕조) · 이집트 중왕국 (제11왕조 · 제12왕조) · 이집트 제2중간기 (제13왕조 · 제14왕조 · 제15왕조 · 제16왕조 · 아비도스 왕조 · 제17왕조) · 이집트 신왕국 (제18왕조 · 제19왕조 · 제20왕조) · 이집트 제3중간기 (제21왕조 · 제22왕조 · 제23왕조 · 제24왕조 · 제25왕조) · 이집트 말기 왕조 (제26왕조 · 제27왕조 · 제28왕조 · 제29왕조 · 제30왕조 · 제31왕조)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문화 고대 이집트 · 이집트 문명 · 나일강 · 이집트 미술 · 이집트 상형 문자 · 고전 이집트어 · 콥트 문자 · 콥트어 · 세네트 · 네메스 · 스핑크스 · 메자이 · 카노푸스 · 샤브티 · 포티 · 앙크 · 호루스의 눈 · 파라오 · 파라오/미라 · 미라/이집트 · 사자의 서 · 어떤 남자와 그의 영혼의 대화 · 스캐럽 · 파피루스 · 코피스 · 이집토마니아 · 고대 이집트/성문화
도시 기르가 · 기제 · 다만후르 · 다클라 · 데숙 · 룩소르 · 메르사마트루 · 멤피스 · 미냐 · 바하리야 · 반하 · 베니수에프 · 빌베이스 · 사이스 · 사파가 · 소하그 · 수에즈 · 시와 · 아마르나 · 아비도스 · 아스완 · 아시유트 · 아크밈 · 알렉산드리아 · 에드푸 · 에스나 · 엘아리쉬 · 자가지그 · 카르가 · 콤옴보 · 쿠세이르 · 쿠스 · 퀴나 · 키프트 · 타니스 · 탄타 · 파이윰 · 헬리오폴리스 · 펠루시움
종교 이집트 신화 · · · 테프누트 · 게브 · 누트 · 오시리스 · 이시스 · 세트 · 네프티스 · 호루스 · 아누비스 · 하토르 · 토트 · 프타 · 세베크 · 아포피스 · 아톤 · 엔네아드
유물 나르메르 팔레트 · 투탕카멘의 가면 · 투탕카멘의 단검 · 네페르티티 흉상 · 로제타 석 · 팔레르모 석
건축 아부심벨 대신전 · 카르나크 신전 · 룩소르 신전 · 에드푸 신전 · 덴데라 신전 · 콤 옴보 신전 · 에스나 신전 · 필라에 신전 · 기자의 대스핑크스 · 데이르 엘 바하리 · 하트셉수트의 장제전 · 라메세움 · 오벨리스크 ·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인물 나르메르 · 조세르 · 임호텝 · 쿠푸 · 카프레 · 멘카우레 · 투트모세 3세 · 하트셉수트 · 아멘호테프 3세 · 아케나톤 · 네페르티티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네페르타리 · 람세스 3세 · 넥타네보 2세 · 알렉산드로스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역대 이집트 파라오
낭설 고대 이집트인 흑인설 · 덴데라 신전의 전구 · 아비도스 사원의 헬리콥터 · 초고대문명설 · 투탕카멘의 저주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8px-Kew.gardens.papyrus.plant.arp.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0px-Papyrus%2C_Fonte_Aretusa%2C_Syracuse%2C_Italy.jpg
식물 파피루스
파일:attachment/파피루스/papyrus.jpg
파피루스지

1. 개요2. 제본
2.1. 제조2.2. 특징2.3. 말로
3. 식용4. 그 외 용도5. 매체6. 언어별 명칭7. 여담

1. 개요

Papyrus

이집트 나일강변에서 자라는 사초류 또는 이 식물로 만든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식물로는 Cyperus papyrus라고 부르고 파피루스지는 Papyrus로 표기한다.

2. 제본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피루스의 줄기를 이용해 종이와 비슷한 것을 만들어 문서를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중국에서 제지법이 전해지기 전까지 유럽에서도 양피지와 함께 문서 기록 용도로 사용되었다.

2.1. 제조

파피루스를 만들 때는 겉껍질은 사용하지 않고, 줄기 속의 부드러운 부분을 얇게 찢어 40cm 길이의 얇은 띠 모양의 구조를 만든 후 아교를 바른 뒤 가로로 주욱 한 번, 세로로 다시 한 번 겹쳐서 방망이로 납작해질 때까지 두들긴 후에 무거운 것으로 눌러 건조시켰다. 삼베같은 느낌의 무늬가 생기는 이유가 이것이다.

자연물을 가공하는 특성상 파피루스는 다양한 품질과 가격을 가진다. 대 플리니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파피루스는 254mm의 폭을 가지는 최고급품인 아우구스투스(Augustan)부터 101mm의 폭을 가지는 그냥 파피루스까지 6종류가 있으며 기록을 하기에 부적합하거나 101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파피루스는 등급외로 판정하고 기록용이 아닌 포장용이나 마무리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보통 20여 장의 사각형 파피루스를 하나로 이어 두루마리로 만들어 사용했다. 서기 1세기부터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아코디언식으로 접어 작은 공책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도 조금씩 늘어났다. 이집트에서 발견된 나그함마디 문서(4~5세기 무렵 콥트어로 쓰인 기독교 신학 저작 52편 모음집)가 바로 이런 경우이다.

2.2. 특징

점토판이나 양피지에 비해서 내구성이 약했으나 양피지에 비하면 재료를 구하기 쉽고 가격도 쌌다. 또한 점토판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서 문서를 대량으로 기록하는데 적합하여 애용되었다. 그리고 내구성이 약하다고는 하지만 점토판보다 약하다는 것으로 적절한 환경이 유지된다는 조건 하에서는 매우 오랜 세월을 버틸 수 있으며 화학물질에도 강하다.[1] 수많은 고대 이집트 문헌들이 현재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습기에 취약한데다가 후술하듯이 식량으로 쓸 정도로 영양분이 높으므로 습도가 높은 곳에서는 쉽게 곰팡이가 피어나며 썩어버리고, 습도가 너무 적으면 반대로 균열이 다수 발생하면서 쩍쩍 갈라지는 현상이 심해서 서유럽서안 해양성 기후와는 궁합이 맞지 않는다. 당시 기록에서도 파피루스의 수명은 서유럽 같은 환경에서는 좋은 환경에서 최대한 보존하더라도 수십년 정도가 한계이며 200년 정도 된 파피루스는 존재 자체가 매우 희귀한 것으로 간주될 정도였다. 그래서 파피루스의 전성기에도 공문서나 종교 경전같은 중요한 문서 제조에는 파피루스가 부적당하다고 판단했기에 값비싼 양피지가 고급문서나 장기보존용 서적 제작용으로 공존할 수 있던 것이다.

재질의 특성도 있어서 파피루스를 접으면 그대로 부서지거나 찢어지며 결에 따라서 오그라드는 성질이 있으므로 파피루스에 기록할 때에도 말려들어가는 안쪽 면으로만 기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상가상으로 두루마리 제본 외에 다른 제본으로는 제조하기가 까다로워지며 실제 결과물의 경우에도 파피루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파손이 쉽게 일어나므로 부적절했다. 위에 나온 나그함마디 문서도 목적상 짧은 기간만 사용한 후에 장기간 항아리 내부에 밀봉된 채 보존되었다는 행운이 있어서 오늘날까지 원형을 유지한 채 보존될 수 있던 것이다.

파피루스의 서식지와 재배지 문제도 상당했다. 파피루스라는 식물이 원래는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며 아프리카 중앙부와 동부가 원산지인지라 지중해 근방에서는 이집트와 근방 지역에서만 자생하며 판매가 가능할 수준의 대량재배가 가능한 것이다.출처 따라서 원산지에서는 파피루스의 가격이 매우 저렴하지만 조금만 멀어져도 원거리 수송 문제가 발생하고 무역시에 흔히 발생하는 해적같은 장애물 때문에 이집트에서 멀어질수록 파피루스의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사태가 발생해버린다. 그래서 고대 로마의 전성기 시절처럼 지중해제해권을 확보하고 해적을 대부분 소탕해버린 시절에는 서유럽에서도 파피루스를 양피지와 같이 공용할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서로마 제국이 무너지고 동로마 제국이슬람 제국에게 밀리기 시작하자 지중해에 해적이 창궐하면서 서유럽 지역에서는 파피루스를 구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는 가격이 높더라도 일단 소량이라도 구입이 가능한 양피지가 더 우월해지게 되며 4세기부터 서유럽에서는 파피루스에서 양피지로 기록물을 교체하는 사례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아직까지 무역로가 잔존했던 이탈리아반도나 프랑스 남부 지역등 지중해에 연안을 접하였으며 이슬람 세력과의 무역이 가능했던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는 여전히 파피루스를 사용했다. 시칠리아에서 파피루스를 시험적으로 재배하기도 했고, 교황령에서는 1057년까지 공문서에서 파피루스를 사용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갈릴레오 갈릴레이처럼 유명인의 저작물 원본도 파피루스에 기록한 것이 있다. 하지만 이런 지역들도 딱 자신들의 수요만 충족할 수준으로만 파피루스 조달이 가능했기에 서유럽 지역은 종이를 제조하는 제지법이 알려질 때까지 양피지의 수요 및 공급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2.3. 말로

탈라스 전투에서 포로가 된 당나라 제지업자 출신 병사들에 의해 종이를 제조하는 제지법이 이슬람 세계로 넘어오면서 파피루스의 생산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제지법이 확산함에 따라 유럽13세기 이후로는 이슬람에게 종이를 수출할 정도로 역전된다.

그래서 이집트의 경우에는 서기 10세기 무렵부터 기록용으로 사용되는 파피루스의 생산이 거의 중단되었으며 포장용이나 마감용으로만 파피루스가 생산된다. 제지법이 확산된 12세기부터는 모든 지역에서 파피루스의 생산이 거의 중단되었다.

파피루스의 제작이 중단된 이후에 제조법이 사라지고 잊혀졌다. 심지어 이집트에서 야생 파피루스가 멸종해버리는 사태까지 일어난다. 그래서 18세기 중반부터 파피루스 제조를 부활시키려는 시도가 이어졌으며 여기에 사용된 파피루스는 시칠리아에서 재배하다가 야생화된 파피루스가 사용되었다. 이집트에서는 1972년에 프랑스로부터 파피루스를 다시 입수해서 재배를 시작한 후 1962년에 이집트의 기술자인 하산 라가브(Hassan Ragab)가 개발한 파피루스 제조법을 사용해서 파피루스의 복원을 완료한다. 그래서 21세기 기준으로 파피루스의 생산지는 이집트와 시칠리아이며 이 중에서 이집트가 파피루스의 생산 중심지다. 이런 이유로 인해 오늘날에는 파피루스로 기념품으로 만들어 이집트 각지에서 판매한다.

3. 식용

고대 이집트의 문맹률은 90%를 상회했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인들은 파피루스를 문자 기록 용도로만 사용하기 위해 대량 재배한 것은 아니고, 주 목적은 식용이었다.

섬유질이 많지만, 의외로 단맛이 나서 구워먹거나 생으로 먹기도 했다고 한다. 단, 딱딱한 겉껍질이 아니라 내부 섬유질을 먹었다는 듯. 그야말로 버릴 것이 없는 식물이다.

가히 이집트를 상징하는 식물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아스완 지역의 아스완 하이 댐의 준공 이후, 나일강의 습지가 파괴되면서 간신히 복원해놓은 야생 파피루스의 개체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다고 한다.

실제로 루리웹에서 먹어본 유저가 있다.

4. 그 외 용도

갈대배를 만들때 파피루스를 엮어 사용하기도 했다. 다만 이렇게 만든 배는 결국 풀로 만든 배이다 보니 본격적인 바다 항해에 쓰긴 어려웠고, 주로 나일 강에서만 쓰였다. 이 때문에 이집트는 비블로스를 통해 파피루스를 팔고 레바논의 백향목을 사들여야 했다. 모험가인 토르 헤이에르달이 파피루스로 만든 갈대배인 라 호를 만들어서 1969년 모로코의 사피를 출발해 서인도 제도로 항해를 시작했으나 서인도 제도 근방에서 침몰함으로서 갈대배의 연약함을 손수 입증해주었다.

또한, 슬리퍼모자를 비롯한 공예품 등에도 사용되었고, 카페트나 매트 등의 제작에도 사용되었다. 21세기 기준으로 이집트에서는 관광용 기념품으로 제작하지만 동아프리카나 중앙아프리카처럼 파피루스가 자생하는 지역에서는 습지에서 자라는 파피루스를 이용해서 지붕의 재료나 밧줄이나 울타리를 만드는 용도로도 사용한다. 물론 해당 지역에서도 관광용 기념품으로 바구니나 쟁반, 모자, 통발등을 제조해서 방문객에게 판매하고 있다.

이외에도 연료로 사용하거나 생리대로 사용되기도 했다.

파피루스라는 식물 그 자체를 관엽식물로써 기르기도 한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관상용으로 기르던 파피루스가 환경에 적응하는 바람에 플로리다에서는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었으며 루이지애나, 캘리포니아, 하와이에서는 파피루스의 개인 재배가 금지되었다.

5. 매체

6.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파피루스, 종이방동사니
영어 papyrus(파파이러스)
페니키아어 𐤑(차데)

순우리말로는 '종이방동사니'라고 한다.

영어로는 Papyrus라 쓰는데, 한국처럼 "파피루스" 가 아니라 "파파이러스" 라고 발음한다.

고대 종이 이전의 기록매체 중 가장 유명한 것이다 보니 영어에서의 종이를 뜻하는 영단어 paper(페이퍼)의 어원이 되었으며, 영어의 bible과 bibliography의 어원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중해권에 파피루스를 판매한 페니키아의 상업 도시 비블로스에서 따온 말이기 때문이다.

7. 여담


[1]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에서는 식초에 닿으면 녹아서 죽이 되어버린다고 서술되어 있지만, 제대로 만든 파피루스 종이는 실제로는 식초 따위가 아니라 염산에 24시간 푹 담가 놓아도 분해되지 않는다.[2] 이 부분 때문에 대다수 비정상들이 새미의 말에 동조했다. 비록 한국말로 토론을 펼치고 있지만, 다들 머리속에 Paper를 생각하고 있으니까 현대의 펄프제지 종이의 본류를 생각하기보다, Paper의 원류를 생각하고 대화한 것이다. 애초에 소위 서양사람들에게는 파피루스나 한지 모두 비서구권에서 건너온 문물이기도 하고. 물론 종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오늘날의 종이 원류는 장위안 말대로 중국이 맞다. 사실 장위안은 어쩔 수 없는 수준의 본토 특유 내셔널리즘 성향이 조금 있지만 국수주의와는 확실히 거리를 두는 사람이라 맞는 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3] 이집트 계통 신이교주의자들이 의식에 사용하기도 한다.[4] 지금의 유리 패널은 값이 싸지만, 과거의 유리 패널은 가뜩이나 유리도 비싼데 유리 패널을 만드는 기술도 숙련된 기술자가 힘들게 만들어야 해서 부르는 게 값이었다.[5] 로마 시대에는 지금과 달리, 의무교육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인구의 대부분인 약 90% 이상이 글을 읽을 줄도 쓸 줄도 모르는 문맹이었고, 따라서 돈이 많은 부유층들만 교육을 받을 수 있었고 따라서 책의 가격 또한 매우 비쌌다. 그런 책들을 모은 도서관이 자기 집에 있다는 것은 그만큼 엄청난 부자라는 사실을 뜻했다.[6] 화문석의 재료이다.